KR101674028B1 -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028B1
KR101674028B1 KR1020150124742A KR20150124742A KR101674028B1 KR 101674028 B1 KR101674028 B1 KR 101674028B1 KR 1020150124742 A KR1020150124742 A KR 1020150124742A KR 20150124742 A KR20150124742 A KR 20150124742A KR 101674028 B1 KR101674028 B1 KR 10167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reventing
compound represent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최현경
강성묵
정승윤
송경희
고성호
Original Assignee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2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2Sulfur atoms
    • C07D213/34Sulfur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ab27a를 표적으로 하여 이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Novel sulfone amide derivatives compou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ha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Rab27a를 표적으로 하여 이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내 이동(intracellular trafficking)은 진핵 세포에서 세포 구획들 사이의 단백질 및 지질의 일정한 교환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 형질전환, 침윤 및 전이 등의 많은 양상을 매개한다. Rab family(군)는 소 GTPase에 속하며 공여 막으로부터 수송 운반체의 형성, 세포골격 경로를 따른 상기 운반체의 이동, 및 표적 막과 상기 운반체의 융합과 같은, 세포내 수송의 핵심 조절제로 작용한다는 많은 증거가 있었다.
또한, Rab 단백질은 몇 가지 인체 암에서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종양 진행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데 모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b 단백질은 GTP와 결합하면 활성화된 상태가 되며, Rab GTPase들은 각각의 아세포 위치에서 다양한 이펙터 단백질들과 상호작용한다. Rab 류에 속하는 60 여개의 단백질들 중에서, Rab27a 및 Rab27b은 멜라닌 세포, 세포독성 T 임파구 및 과립에 존재하고 있으며, 외분비 및 내분비 세포에서 세포내 수송 및 엑소좀 분비의 조절인자로서 작용한다.
멜라닌 세포에서, Rab27은 멜라노좀의 막에 활성 상태로 발현되며 멜라닌세포-특이적 Rab27a 이펙터인 멜라노필린(melanophilin)/Slac2a에 의해 매개되는 액틴 의존성 미오신 Va 모터 단백질과 결합한다.
인간 RAB27A 유전자에서 기능 돌연변이가 상실되면, Rab27a-멜라노필린-미오신 Va 세부분 복합체(tripartite complex)가 감소하여 정상적 액틴-의존성 멜라노좀 수송의 문제를 일으켜서 피부 색소 결핍증(cutaneous albinism)을 일으키는 외에도 T 세포의 세포독성 활성을 상실시키는 특징이 있는 그리셀리 증후군(Griscelli syndrome)이 초래된다.
최근의 연구에서, Rab27a은 종양의 전이 및 침윤과 관련이 있는 내분비 및 외분비 세포의 엑소좀 분비에 실제적으로 관여하여 왔다. 또한, Rab27a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I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인간 유방암 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암세포의 전이는 치료 실패의 가장 일반적인 이유이다. 종양 세포 의 이동, 전이 및 침윤에 대한 다양한 기작이 밝혀지고, 이러한 기작을 조절함으로써 종양 진행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암 치료법이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것은 없는 실정이다. 이는 암세포 종류나 다양한 주변환경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이프로그램이 작동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암 치료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전략으로 암세포 침윤이나 전이 과정의 분자 수준 혹은 세포 수준의 기전을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 여전히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암세포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함으로써 여러 가지 고형 종양의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규 작용제(agent)를 개발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활성제 혹은 억제제)을 발굴하고 신약으로 개발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진행 중에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5-0081365호(공개일 : 2015.07.13)
Phieng Siliphaivanh and Paul Harrington, 2007; Neeru Khanna and H.J. Jayaram, 2004
Rab GTPase들이 모든 진핵세포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세포내 막 이동(trafficking)을 조절한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고, Rab27a및 이의 멀티 이펙터(multiple effector)는 리소좀 연계 소기관의 세포외 유출에 관여하고 종양의 악성화(malignancy)에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Rab27a를 표적하는 화합물들은 종양의 침윤성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고, 이에 본 발명자들은 Rab27a 표적 화합물들을 설계 및 합성하고, MDA-MB231 및 A375 세포에서의 항전이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특정 설폰아미드계 유도체가 종양세포의 침윤, 전이이동을 저해, 억제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1
화학식 1에서 상기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5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6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09
,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0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른 반응을 통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1
상기 반응식 1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5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6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19
,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0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Rab27a 발현, N-카데린(N-cad), 비멘틴(Vm), 상피 간엽 전환(EMT) 분자 등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 특히 유방암 세포 및/또는 악성 흑색종 세포의 침윤, 전이이동을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실험예 2에서 실시한 상처 스크래치 분석법을 통한 세포 전이 억제 효과 측정 사진이고, 도 1B는 스크래치된 라인 내부로 전이 이동한 세포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A는 MDA-MB231및 A375두 세포에서 상처 스크래치 분석법을 통해 전이 억제 효과를 측정한 사진이고, 도 2B 각각은 실험예 3에서 실시한 트랜스웰 침윤 분석법을 통한 세포 침윤 측정 결과이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실험예 4에서 실시한 웨스턴 블럿 분석 실험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5에서 실시한 흑색종의 폐 전이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Rab27a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합성한 후, 종양세포, 바람직하게는 MDA-MB231 유방암 세포 및 A375 악성 흑색종 세포의 침윤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1
화학식 1에서 상기 R은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으로서,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5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6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29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5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6
이고,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39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4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6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7
이다.
그리고, 상기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Rab27a 발현, N-카데린(N-cad) 및 비멘틴(V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발현, 상피 간엽 전환(EMT) 분자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에서 R이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8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49
인 경우, N-카데린(N-cad) 및 비멘틴(V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발현 저해 또는 억제 효과가 다른 치환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다.
그리고, 화학식 1에서 R이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0
인 경우, 상피 간엽 전환(EMT) 분자의 발현 저해 또는 억제 효과가 다른 치환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다. 또한, 상기 상피 간엽 전환(EMT) 분자는 피브로넥틴(FN), 콜라겐(Col) 및 민무늬 액틱(SM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는 하기 반응식 1에 의거한 반응을 통해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1
반응식 1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R은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으로서,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5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6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59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5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6
이고,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69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4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6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7
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발물질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1단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2단계;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반응공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1단계는 디메칠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용액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 교반하여 반응시켜서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반응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염산으로 희석하는 단계; 희석한 반응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한 유기물을 건조, 여과, 진공농축시키는 단계; 및 진공농축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트그래피를 통해 정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단계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켜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단계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4-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와 반응시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성분들(및 지정된다면, 특정 양들)을 포함하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특정 양으로 특정 성분들의 조합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얻어지는 어떠한 산출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가 상기 제제의 다른 성분들에 적합하고, 이들의 수용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담체는 선택되어 지고, 이를 활성 성분인 상기 설폰아미드계 유도체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적 처치를 위해 비경구적, 국소적, 경구적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완충수, 0.04% 식염수, 0.3% 글라이콜 등의 다양한 수성 운반체가 사용될 수 있고, 알부민, 지질단백, 글로불린 등과 같은 안정성을 강화하는 다른 단백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성물은 기존에 잘 알려진 멸균기법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그 용액은 사용을 위해 포장될 수 있고, 무균 조건에서 여과되고 냉동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 건조된 제조물은 투여 전에 멸균된 용액과 결합된다.
경구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운반체를 포함한다. 그들은 젤라틴 캡슐에 봉해 넣어지거나 또는 정제에 압축되어 있다. 경구 치료적 투여의 목적을 위해, 상기 활성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포함되어 정제, 트로키 또는 캡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약제학적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탁액, 시럽제, 엘릭시르 및 용액제와 같은 경구용 액체 제제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을 담체로 사용할 수 있고, 산제, 환제, 캅셀제 및 정제와 같은 고체 제제의 경우에는 전분, 설탕,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정제 및 캅셀제가 가장 편리한 복용 형태이며, 정제 및 환제의 경우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경구 제제의 경우, 담체로서 통상 멸균수를 사용하며, 용해 보조제와 같은 다른 성분도 포함시킬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 들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오일도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성 고정 오일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은 치료를 요하는 병에 대한 공지된 생체내(in vivo) 및 시험관내(in vitro) 모델 시스템에서 해당 화합물을 실험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치료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이란, 치료를 요하는 병의 증상을 경감 또는 줄이거나 예방을 요하는 병의 임상학적 마커 또는 증상의 개시를 줄이거나 지연시키는데 유효한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활성 성분, 구체적으로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투여시, 이를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단일 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총 1일 용량은 체중 1㎏당 0.1 ~ 1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지만,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환자의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약제의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약제 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투여량이 변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는 그것의 프로드럭(prodrug) 등의 형태로 유효한 제약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거나 활성 성분의 작용을 보조하는 기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바람직하게 기존에 알려진 항암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질환은 유방암 및/또는 피부암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암은 악성 흑색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는 유방암 세포 및 흑색종 세포의 침윤 및 전이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방암 세포는 MDA-MB231 세포이고, 상기 흑색종 세포는 A375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생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침전, 결정화, 동결-건조, 분무건조, 또는 증발 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고체 플러그(solid plug),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수득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또는 고주파 건조도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의 합성 조건
이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모든 화학적 시약들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들을 사용했으며,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했다. 녹는점은 Kruess M5000 Melting Point 장치에서 측정했고, 보정하지 않았다.
양자 NMR 스펙트럼은 500 MHz에서 Avance-500(Bruker)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화학적 이동은 기준 물질로서 Me4Si를 이용하여 ppm 단위로 기록했다.
고해상도 질량 스펙트럼(HRMS)은 JMS-700(Jeol, Japan) High Resolution Tandem Mass Spectrometer 상에서 고속 원자 충격(FAB)으로부터 얻었다.
모든 반응의 생성물은 실리카 겔 60 (Merck EM9385, 230-400 매시)을 이용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고, 사전에 코팅된 실리카 겔 60 F254 (매시)(E. Merck, Mumbai, India) 상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통해 확인했다. 스팟(spot)은 UV 광(254 nm)하에서 시각화했고, PMA 혹은 Hanessian 용액으로 염색했다.
실시예 1
하기 반응식 1에 따른 반응을 통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16084433980-pat00078
(1) 설폰아미드 형성 반응(1단계)
클로로포름(2.5 mL)에 용해된 디메칠아민(0.16ml, 0.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7 ml, 1.0 mmol)의 용액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0.11 g, 0.5 mmol)을 첨가했다.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및 0.2 M HCl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몇 번 추출했다. 합쳐진 유기층들을 무수 MgSO4위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농축했다. 그 잔류물을 용리액으로 EtOAc/핵산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80% 수율)을 얻었다.
(2) 히드라진 형성 반응(2단계)
에탄올(5.0 ml)에 용해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96 mg, 1.0 mmol)이 자기 교반된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0.11 ml, 1.8 mmol)을 첨가했다. 다음에, 그 혼합물을 60℃까지 가열하고 10 시간 교반했다. 다음으로,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용리액으로 메탄올/클로로포름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생성물(41% 수율)을 얻었다.
(3) 디히드록시벤질리덴 형성 반응(3단계)
에탄올(1.5 ml)에 용해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120 mg, 0.41 mmol)을 3,4-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57 mg, 0.41 mmol)로 처리하고 20 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의 완료 후, 그 혼합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에탄올로 세척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53% 수율)를 얻었다.
제조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의 특성, 녹는점(mp), 1H NMR, MS 측정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79
화학식 1에서, 상기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0
이다.
실시예 2 ~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하되, 1 단계에서 아민류를 달리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에서 R을 각각 달리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분 R 특징
실시예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1
황색 고체 / mp = 201.6 ~ 201.8℃,
1H NMR (500 MHz, DMSO-d6) δ1H NMR (500 MHz, DMSO-d6) δ8.38 (dd, J=2.24, 9.42 Hz, 1H), 8.00 (s, 1H), 7.87-7.85 (m, 1H), 7.25 (d, J=8.98 Hz, 1H), 7.18-7.22 (m, 1H), 6.94 (br d, J=7.63 Hz, 1H), 6.75-6.80 (m, 1H), 2.62 (s, 6H);
MS (FAB) m/z 337 (MH+).
실시예 2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2
백색 고체 / mp = 197.5 ~ 197.7℃,
1H NMR (500 MHz, DMSO-d6) δ8.46 (d, J=1.79 Hz, 1H), 7.84-7.98 (m, 1H), 7.71-7.76 (m, 1H), 7.07-7.25 (m, 7H), 6.76 (d, J=8.08 Hz, 1H), 4.21 (s, 2H), 3.24 (t, J=6.06 Hz, 2H), 2.80-2.88 (m, 2H);
MS (FAB) m/z 425 (MH+).
실험예
3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3
황색 고체 / mp = 188.6 ~ 188.8℃
1H NMR (500 MHz, DMSO-d6) δ8.81 (dd, J=5.13 Hz, 1H), 8.21-8.27 (m, 1H), 7.52-7.55 (m, 1H), 7.47 (s, 1H), 7.05 (s, 1H), 7.30-7.22 (m, 2H) 3.25 (dd, J=14.79 Hz, 1H), 1.66-1.49 (m, 11H), 1.12 (d, J=6.06 Hz, 3H);
MS (FAB) m/z 419 (MH+).
실시예
4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4
갈색 고체 / mp = 220.1 ~ 220.3℃,
1H NMR (500 MHz, DMSO-d6) δ8.27 (d, J=2.34 Hz, 1H), 8.04 (s, 1H), 7.71 (dd, J=2.57, 9.11 Hz, 1H), 7.34-7.28 (m, 2H), 7.14 (dd, J=1.87, 7.94 Hz, 1H), 6.98 (d, J=7.94 Hz, 1H), 6.81-6.85 (m, 2H), 6.41-6.51 (m, 2H);
MS (FAB) m/z 419 (MH+).
실시예
5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5
백색 고체 / mp = 252.2 ~ 252.4℃,
1H NMR (500 MHz, DMSO-d6) δ8.37 (d, J=2.69 Hz, 1H), 7.98 (s, 1H), 7.87 (dd, J=2.69, 8.98 Hz, 1H), 7.24 (d, J=8.98 Hz, 1H), 7.18 (d, J=1.80 Hz, 1H), 6.91 (dd, J=1.80, 8.08 Hz, 1H), 6.77 (d, J=8.08 Hz, 1H), 2.90 (br s, 4H), 2.31-2.42 (m, 4H), 2.16 (br s, 3H);
MS (FAB) m/z 392 (MH+).
실시예
6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6
담황색 고체 / mp = 228.2 ~ 228.4℃,
1H NMR (500 MHz, DMSO-d6) δ8.48 (d, J=2.24 Hz, 1H), 7.99 (s, 1H), 8.00 (d, J=9.65 Hz, 1H), 7.24-7.40 (m, 6H), 7.19 (d, J=1.79 Hz, 1H), 6.92 (dd, J=1.79, 8.05 Hz, 1H), 6.77 (d, J=8.05 Hz, 1H), 4.13 (s, 2H), 2.54 (s, 3H);
MS (FAB) m/z 413 (MH+).
구분 R 특징
실시예 7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7
황색 고체 / mp = 200.1 ~ 200.3℃,
1H NMR (500 MHz, DMSO-d6) δ8.40 (d, J=2.19 Hz, 1H), 7.93-8.05 (m, 2H), 7.19-7.26 (m, 2H), 6.96 (br d, J=7.45 Hz, 1H), 6.79 (d, J=7.89 Hz, 1H), 3.97-4.20 (m, 4H), 2.80 (s, 3H), 1.10-1.30 (m, 3H);
MS (FAB) m/z 409 (MH+).
실시예 8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8
오렌지색 고체 / mp = 198.6 ~ 198.8℃,
1H NMR (500 MHz, DMSO-d6) δ8.27 (d, J=2.34 Hz, 1H), 7.99 (s, 1H), 7.89 (dd, J=2.57, 9.11 Hz, 1H), 7.16-7.28 (m, 2H), 6.93 (dd, J=1.87, 7.94 Hz, 1H), 6.77 (d, J=7.94 Hz, 1H), 6.62-6.72 (m, 2H), 6.41-6.51 (m, 2H), 5.21 (s, 1H);
MS (FAB) m/z 401 (MH+).
실험예
9
Figure 112015085730317-pat00089
황색 고체 / mp = 212.9 ~ 213.1℃,
1H NMR (500 MHz, DMSO-d6) δ11.47 (br s, 1H), 8.35 (d, J=1.76 Hz, 1H), 7.99 (s, 1H), 7.88 (dd, J=2.42, 9.02 Hz, 1H), 7.24 (d, J=8.78 Hz, 1H), 7.19 (s, 1H), 6.93 (br d, J=7.04 Hz, 1H), 6.78 (d, J=7.92 Hz, 1H), 2.84-2.95 (m, 4H), 1.50-1.60 (m, 4H), 1.38 (br d, J=3.96 Hz, 2H);
MS (FAB) m/z 377 (MH+).
실시예
10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0
백색 고체 / mp = 150.5 ~ 150.7℃,
1H NMR (500 MHz, DMSO-d6) δ8.44 (d, J=1.76 Hz, 1H), 7.97 (s, 1H), 7.96 (d, J=7.63 Hz, 1H), 7.23 (d, J=8.57 Hz, 1H), 7.17 (s, 1H), 6.91 (dd, J=1.76, 8.36 Hz, 1H), 6.77 (d, J=8.36 Hz, 1H), 3.13 (br t, J=6.60 Hz, 4H), 1.64-1.72 (m, 4H);
MS (FAB) m/z 363 (MH+).
실시예
1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1
옅은 오렌지색 고체 / mp = 208.6 ~ 208.8℃,
1H NMR (500 MHz, DMSO-d6) δ9.17 (br s, 1H), 8.41 (d, J=2.20 Hz, 1H), 7.98 (s, 1H), 7.97 (d, J=9.49 Hz, 1H), 7.12-7.23 (m, 2H), 7.02 (d, J=8.80 Hz, 1H), 6.93 (dd, J=1.98, 8.14 Hz, 1H), 6.77 (d, J=7.92 Hz, 1H), 6.67 (d, J=2.64 Hz, 1H), 6.52 (dd, J=2.42, 8.58 Hz, 1H), 5.38 (br s, 1H), 3.25-3.51 (br s, 1H);
MS (FAB) m/z 435 (MH+).
실시예
12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2
황색 고체 / mp = 203.0 ~ 203.2℃,
1H NMR (500 MHz, DMSO-d6) δ8.31-8.40 (m, 1H), 7.97-8.12 (m, 2H), 7.27 (d, J=9.24 Hz, 2H), 6.95-7.10 (m, 1H), 6.81 (d, J=8.36 Hz, 1H), 3.21-3.39 (m, 2H), 3.12-3.18 (m, 3H), 2.90-2.98 (m, 2H);
MS (FAB) m/z 367 (MH+).
구분 R 특징
실시예
13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3
백색 고체 / mp = 207.5 ~ 207.7℃,
1H NMR (500 MHz, DMSO-d6) δ8.38 (d, J=1.76 Hz, 1H), 7.98 (s, 1H), 7.88 (dd, J=2.42, 9.02 Hz, 1H), 7.25 (d, J=8.80 Hz, 1H), 7.18 (d, J=1.76 Hz, 1H), 6.92 (dd, J=1.98, 8.14 Hz, 1H), 6.77 (d, J=8.36 Hz, 1H), 3.59-3.70 (m, 4H), 2.83-2.93 (m, 4H);
MS (FAB) m/z 379 (MH+).
실시예 14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4
백색 고체 / mp = 201.2 ~ 201.4℃,
1H NMR (500 MHz, DMSO-d6) δ8.37 (d, J=3.08 Hz, 1H), 7.97 (s, 1H), 7.87 (dd, J=2.64, 8.80 Hz, 1H), 7.23 (d, J=9.24 Hz, 1H), 7.17 (d, J=1.76 Hz, 1H), 6.91 (dd, J=1.98, 8.14 Hz, 1H), 6.77 (d, J=7.92 Hz, 1H), 4.67 (br s, 1H), 3.46-3.60 (m, 1H), 3.09-3.28 (m, 2H), 2.64-2.75 (m, 2H), 1.75 (ddd, J=3.30, 6.49, 9.57 Hz, 2H), 1.44 (dtd, J=3.96, 8.45, 12.60 Hz, 2H);
MS (FAB) m/z 393 (MH+).
실시예 15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5
백색 고체 / mp = 180.3 ~ 180.5℃,
1H NMR (500 MHz, DMSO-d6) δ8.65 (d, J=2.64 Hz, 1H), 8.56 (t, J=6.16 Hz, 1H), 8.08 (s, 1H), 8.05 (s, 1H), 7.90 (d, J=7.23 Hz, 1H), 7.83 (dd, J=1.98, 7.26 Hz, 1H), 7.40-7.60 (m, 9H), 4.53 (d, J=6.16 Hz, 2H);
MS (FAB) m/z 449 (MH+).
실험예 1 : 세포 생존율 측정 실험
실시예 1 ~ 실시예 15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각각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인간 유방암 MDA-MB231 세포 및 인간 흑색종 A375 세포에서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세포 준비
인간 유방암 MDA-MB231 세포 및 인간 흑색종 A375 세포를 각각 10% 우태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00 U/ml)이 첨가된 RPMI-1640 배지 및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배지(Welgene, Daegu, Korea)에서 5% CO2 및 37℃의 조건 하에서 각각 배양했다.
(2) 흡광도 측정
배양한 상기 MDA-MB231 세포 및 A375 세포(2×104개 세포/mL) 각각을 24-공 플레이트(24-well plate)에서 실시예 1 ~ 실시예 15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10 μM(micromole)로 각각 처리한 다음,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다음으로 0.5 mg/mL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각의 공에 첨가했다. 다음으로, 37℃에서 3 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포름아잔 결정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켰다.
그리고, 550 nm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3회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대조군에 대한 억제율(%)로 나타냈다.
구분 세포 성장 억제율 (10 μM에서 대조군의 %)
MDA - MB231 세포 A375 세포
대조군(DMSO) 0±5.82 0±2.78
실시예 1 4.81±7.09 1.44±3.17
실시예 2 14.87±3.95 8.41±4.02
실시예 3 -25.80±4.40 3.45±7.78
실시예 4 26.34±0.38 71.66±2.22
실시예 5 2.10±1.34 1.29±4.36
실시예 6 24.62±5.04 49.39±2.10
실시예 7 0.97±6.50 -13.68±5.94
실시예 8 -1.92±5.82 -15.12±3.14
실시예 9 -15.64±11.12 5.06±3.68
실시예 10 -13.56±5.20 -2.01±2.17
실시예 11 7.47±0.16 -3.03±7.03
실시예 12 -9.95±5.19 -11.39±6.60
실시예 13 -5.98±6.11 -9.25±7.99
실시예 14 -15.82±8.52 -14.10±0.678
실시예 15 -20.97±6.97 -13.79±6.10
표 4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디히드록시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딘의 설폰에 여러 가지 아민을 도입하여 제조한 설폰아미드 유사체들 중에서, 실시예 8, 실시예 12 및 실시예 15와 같이 2차 아민 부분을 갖는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3차 아민 부분을 갖는 화합물들은 모두 MDA-MB231 및 A375 세포 모두에서 종양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닐린 부분을 갖는 화합물(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1) 또는 벤질 부분을 갖는 화합물(실시예 2, 실시예 6)은 질소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화합물들(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과 비교하여 세포 성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하지만,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닐린 화합물(실시예 8, 실시예 11)은 이러한 효과가 상쇄되었다. 마찬가지로, 나프틸과 같은 커다란 기(bulky group)는 불충분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알킬을 갖는 화합물(실시예 1, 실시예 7 및 실시예 12) 및 시클로헥실에틸 부분을 갖는 화합물(실시예 3)은 비교적 낮은 세포 성장 억제를 나타냈다.
그리고, 3개의 화합물(실시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6)는 MDA-MB231 세포의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그러나, A375 세포를 이용하여 수행한 실험에서 실시예 2는 세포 성장을 약간 억제한 반면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6은 MDA-MB231 세포의 성장억제효과에 비해 A375 세포 성장을 상당히 크게 억제했다.
결론적으로,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아닐린 또는 벤질 아민을 갖는 화합물들은 MDA-MB231및 A375 세포의 성장 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세포 독성 측정 및 전이이동한 세포 밀도 측정 실험
(1) 실시예 1 ~ 실시예 15의 세포독성 효과를 항전이 효과와 구별하기 위해 MDA-MB231 세포를 대상으로 상처 스크래치 분석법(wound scratch assay)을 이용하여, 실시예 1 ~ 실시예 15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각각의 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를 조사했다.
측정 방법은 MDA-MB231 세포(1×106 개 세포/공)를 6-공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 mL의 세포배양 배지에서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e)까지 성장시켰다.
다음으로, 세포 단일층의 중간부를 200㎕ 피펫 팁으로 긁어 상처를 만들고, 실시예 1 ~ 실시예 15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10 μM로 각각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각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이동시킨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crystal violet staining)을 실시한 후, 이동 패턴을 현미경(OLYMPUS IX73, 일본 동경)하에서 관찰하고 40배 배율로 사진을 찍었으며, 그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살펴보면,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는 세포 전이 과정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실시예 4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역시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
(2) 또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들의 항전이 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밀도계(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스크래치된 라인 내부로 전이 이동한 세포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B를 살펴보면, 실시예 2는 암세포의 이동을 예방하지 못했지만, 실시예 4, 실시예 6,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은 무처리 대조 세포와 비교하여 암세포 이동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세포 침윤 측정 실험
MDA-MB231 및 A375 세포를 실시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6 각각의 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처리하고, 트랜스웰(transwell) 시스템(8 ㎛ 공극 크기, Corning Incorporated, Corning, NY)을 이용한 트랜스웰 침윤 분석법(trans-well invasion assay)을 통해 세포 침윤 측정을 분석했다.
측정 방법은 트랜스웰 막의 상부면을 20 ㎕의 Matrigel(1 mg/mL)로 코팅하고, 0.1 ml의 MDA-MB231 세포(5×05 cells/mL)를 트랜스웰의 상부 구역에 접종했다. 다음으로, 트랜스웰의 하부 구역은 0.6 ml의 성장 배지로 채운 다음,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다음으로, 필터의 하부면으로 이동한 세포를 고정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100배 배율로 사진을 찍었으며,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로 처리하는 경우, 암세포의 침윤이 대조군에 비해 변화없이 유지되는 반면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6은 무처리 대조 세포와 비교하여 두 종류 세포의 전이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함을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Rab27a 및 상피 간엽 전환( EMT ) 발현 측정 실험
상피 간엽 전환(EMT) 신호전달은 몇 가지 형태의 암에서 세포 이동, 전이, 침윤 및 약물 내성의 중요한 요소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EMT 관련 분자인 피브로넥틴(FN), 콜라겐(Col) 및 민무늬근 액틴(SMA)의 발현에 대해 실시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6 각각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Rab27a 등에 대한 발현 여부도 함께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 블럿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프로테아제 억제제(1 mM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1 ㎍/mL 아프로티닌, 1 ㎍/mL 루펩틴(leupeptin) 및 1 mM Na3VO4)가 첨가된 TNN 용해 완충액(1 M Tris-HCl, 5M NaCl 및 10% NP-40)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여 세포 용출물(lysates)을 얻었다.
(2) 다음으로, 단백질의 정량은 Bradford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의해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이동시켰다. 다음으로, PVDF 막을 Tris-완충 염수에서 5% 탈지 분유로 블로킹하고, 4℃에서 일차 항체를 가하여 밤새 배양했다.
(3) 다음으로, 막을 퍼옥시다제가 결합된 이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키고, 증강 화학발광 시약(GE Healthcare, Little Chalfont, UK)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추천에 따라 면역반응 밴드를 검출했다. 이때, 단백질 발현 분석의 대조군으로는 β-액틴(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결과는 3회의 독립적인 실험의 대표값으로 표시하였다.
도 3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피브로넥틴(FN), 콜라겐(Col) 및 민무늬근 액틴(SMA)과 같은 대표적인 세포외 기질(ECM) 마커의 수준이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에 의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은 간엽 마커인 N-카데린(N-Cad) 및 구조적 단백질인 비멘틴(Vm)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4는 두 세포주에서 N-카데린 및 비멘틴의 발현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2는 비멘틴 감소를 제외하고는 무처리 대조 세포와 차이가 없었으며, 실시예 2 및 실시예 4는 ECM 분자들의 발현을 변화시키지는 않았다.
또한, Rab27a의 발현은 실시예 4 및 실시예 6의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B16-F10 흑색종의 폐 전이 실험
(1) 6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22~25g)를 샘타코 바이오코리아에서 구입하여, 7일간의 순화기간을 가진 다음, 7마리씩 4개의 실험군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① 정상 대조군, ② 2×105 개의 B16-F10 흑색종 세포를 마우스의 꼬리정맥을 통해 주사한 군, ③ B16-F10 세포 이식 후,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2 mg/kg으로 복강 투여한 군, 및 ④ B16-F10 세포 이식 후,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10 mg/kg으로 복강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상기 ③과 ④의 실험군 각각은 흑색종을 이식한 후, 3일째부터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2일에 1번씩 2 mg/kg, 또는 10 mg/kg의 농도로 총 7회 복강 주사하였으며, 17일째에 전부 치사시켜서 폐를 적출하였다.
다음으로, 포화피크린산, 포름알데히드, 빙초산으로 구성된 부앙 용액(Bouin? Fixative)으로 적출한 폐를 염색한 다음, 현미경 하에서 육안으로 폐에 생성된 흑색종 콜로니 수를 계수하였다,
상기 조건에서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처리에 의해 사망한 마우스는 없었으며, 도 4에서 보듯이, 실시예 6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처리는 흑색종 전이군에 비해 각각 50.8%와 56.2%로 용량 의존적으로 흑색종이 폐로 전이 되는 것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신규한 설폰아미드 유도체가 간엽 부착 마커 (N-Cad), 세포골격 분자(Vm) 및 대표적 ECM 분자(FN, Col, SMA)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생성 또는 세포간 전달 억제는 세포 극성,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b27a의 역할이 잘 알려진 A375 흑색종 세포 외에도, MDA-MD231 세포는 임상적으로 치료법의 선택이 제한되는 악성 종양으로 에스트로젠 수용체 음성,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상피세포수용제 Her2 음성인 삼중 음성 유방암의 대표적인 세포주인데, 약물학적 방법을 통해 Rab 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종양 전이(dissemination)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새로운 Rab27a-표적 설폰아미드 화합물을 이용하여 인간 유방암 및 흑색종 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약학 조성물, 암 치료/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8)

  1. Rab27a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6

    화학식 1에서 상기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7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8
    ,
    Figure 112015085730317-pat00099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4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5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카데린(N-cad) 및 비멘틴(V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 또는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6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8
    이며, 상피 간엽 전환(EMT) 분자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 간엽 전환 분자는 피브로넥틴(FN), 콜라겐(Col) 및 민무늬 액틱(SM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출발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1단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2단계;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하는 3단계;
    를 포함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5085730317-pat00109

    반응식 1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R은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0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1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2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3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4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5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6
    ,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7
    또는
    Figure 112015085730317-pat00118
    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디메칠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용액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 교반하여 반응시켜서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반응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염산으로 희석하는 단계;
    희석한 반응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한 유기물을 건조, 여과, 진공농축시켜서 진공농축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진공농축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트그래피를 통해 정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켜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4-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와 반응시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방암 및 피부암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암이 악성 흑색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는 유방암 세포 및 흑색종 세포의 침윤 및 전이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경구용 제제, 비경구용 제제, 주사용 제재 또는 경피용 제제로 제형화시키는 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10항의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여 Rab27a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시켜서, 유방암 및 피부암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124742A 2015-09-03 2015-09-03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167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42A KR101674028B1 (ko) 2015-09-03 2015-09-03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42A KR101674028B1 (ko) 2015-09-03 2015-09-03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028B1 true KR101674028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742A KR101674028B1 (ko) 2015-09-03 2015-09-03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0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365A (ko) 2012-11-09 2015-07-13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신규한 벤젠 설폰아미드 티아졸 화합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365A (ko) 2012-11-09 2015-07-13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신규한 벤젠 설폰아미드 티아졸 화합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 Biochem Biotechnol, 172, 1882-1897(2014.) *
Phieng Siliphaivanh and Paul Harrington, 2007; Neeru Khanna and H.J. Jayaram, 2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8165B (zh) 用作iap抑制剂的smac肽模拟物
KR20150027217A (ko) 항진균성 항생 암포테리신 b의 n-치환된 제2 세대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및 응용 방법
JP2021176853A (ja) 5員環および6員環が縮合したアザ環式芳香族系化合物、その製造方法、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WO2017148406A1 (zh) 嘧啶类七元环化合物、其制备方法、药用组合物及其应用
US10370364B1 (en) Substituted chromenes for treatment of fibrosis 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JP2013028630A (ja) テモゾロマイドエステルよりなる医薬組成物
EP2272845B1 (en) Benzophenone thiazole derivatives useful for inhibiting formation of microtub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7903185B (zh) 新型eEF2K抑制剂的制备及应用
CN101475506B (zh) 高级脂肪酸衍生物类化合物抗肿瘤制药用途
WO2017142269A1 (ko) 신규한 인돌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674028B1 (ko) 신규한 설폰아미드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JP5701387B2 (ja) ベルバミンのジカルボキシミド誘導体、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AU2016304331B2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with a combination of benzylideneguanidine derivatives and chemotherapeutic agent.
US10414778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resistant cancer
WO2016127949A1 (zh) 作为t790变异抑制剂的嘧啶衍生物
JP2021528366A (ja) トリペプチドプロピレンオキシド誘導体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応用
US11970499B1 (en) Pyrazolo[1,5-c]pyrimidine compounds as CK2 inhibitors
US11866437B1 (en) 1,2-dioxo-2,3-dihydro-1H-pyrrolo[2,3-c]quinoline-7-carboxylic acid compounds as CK2 inhibitors
US11964981B1 (en) Substituted pyrimido[4,5-b]indoles as CK2 inhibitors
US11891377B1 (en) Pyrrolo[3,2-c][2,7]naphthyridine-2-carboxylic acid compounds as CK2 inhibitors
US11851430B1 (en) Pyrido[4,3-B]indole-7-carboxylic acid compounds as CK2 inhibitors
US11884667B1 (en) Substituted pyrrolo[2,3-c][2,7]naphthyridines as CK2 inhibitors
CN101157628B (zh) 一类取代苯甲酸类含氮衍生物及其抗肿瘤医药用途
CN117180247A (zh) 2-氨基-6-甲基苯酚衍生物作为铁死亡抑制剂在制备防治骨关节炎的药物中的应用
WO2012126084A1 (en) Hsp-90 binding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iν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fungal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