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005B1 -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 Google Patents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005B1
KR101674005B1 KR1020140116254A KR20140116254A KR101674005B1 KR 101674005 B1 KR101674005 B1 KR 101674005B1 KR 1020140116254 A KR1020140116254 A KR 1020140116254A KR 20140116254 A KR20140116254 A KR 20140116254A KR 101674005 B1 KR101674005 B1 KR 10167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ser diode
optical fiber
concave le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747A (ko
Inventor
이병규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콤
Priority to KR102014011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0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Abstract

본 발명은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Single Waveleng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3dB 스플리팅 필터 (3dB splitting filter)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6dB 광손실 (optical loss)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다이오드 (laser diode)와 광화이버 (optical fiber) 사이에 오목렌즈 (concave lens)를 삽입해서 레이저다이오드에서 광화이버로 입사된 광의 개구수 (numerical aperture)는 작아지고 반대로 광화이버에서 포토다이오드 (photodiode)로 입사되는 광의 개구수는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고, 또한 레이저다이오드 빔 (beam)이 투과할 수 있는 구멍이 내장된 반사체 (mirror with hole)를 사용하여 레이저다이오드 빔은 손실 없이 광화이버로 집속되고 동시에 수광부 (photodiode)로 최대의 광이 입사되어 광손실을 2dB 이하로 감소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SFP (Small Form Factor) 광송수신모듈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화가 가능하고 광송신부와 광수신부 사이의 고립도 (optical isolation, optical cross-talk)가 특별한 장치 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집적광 (focusing beam)을 사용하므로 기존대비 광손실이 향상되고도 저가격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Single Waveleng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본 발명은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한 광송수신모듈 구조에서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광손실이 6dB 발생하는 것을 반사경과 오목렌즈를 이용한 구조를 적용하여 총 손실을 2.0dB 이하로 감소하고 또한 기존의 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해서 소형화 저가격화를 실현하는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분야에서 기존에는 두개의 광섬유를 사용하거나 두개의 파장을 하나의 광섬유로 양방향 전송하는 구조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는 하나의 광섬유에 단일파장을 사용하는 구조가 저가격 및 사용의 간편성 때문에 증가하는 추세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 광통신망의 link power budget 에는 문제가 없으나 점차 광송수신모듈이 1.25Gbps 에서 10Gbps 로 고속화하고, 전송거리 (transmission distance) 가 10km 에서 40km, 80km 로 장거리화 되는 추세에서 향후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광손실을 줄이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종래의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은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하여 레이저다이오드(10)에서 출력된 광이 스플리팅 필터(40)를 거치면서 50% 광은 광화이버 (60)로 집속되고 나머지 50%는 반사되는 구조이다.
또한 광화이버(60)에서 출력되어 포토다이오드(80)로 입사되는 광은 레이저다이오드와 마찬가지로 3dB 스필리팅필터를 거치면서 투과된 50% 광만이 수광소자로 입사되고 나머지 50%는 반사되면서 결국 두개의 광송수신모듈을 사용한 광망에서는 총 6dB 의 광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광송수신모듈 내부에서 3dB 스플리팅 필터(40)에서 반사되고 산란된 광은 포토다이오드(80)로 침투되어 레이저다이오드(10)의 광신호와 왜곡되는 optical cross-talk 현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특별한 구조를 사용하여 optical isolation 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로 미국특허 US20120148257A1 이 있다.
이러한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한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구조에서 발생하는 6dB 손실을 보완하는 구조로 미국특허 US7039278B1 이 있는데, 광서큘레이터 (optical circulator)의 기능을 사용한 구조로서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된 빔은 광화이버로 집속되고 반대로 광화이버에서 출력된 빔은 서큘레이터를 거치면서 포토다이오드로 전체 빔이 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하는 구조대비 광서큘레이터를 사용해서 1dB의 광손실을 이루었지만 광서큘레이터를 구성하는 Faraday rotator, Birefringence wedge, magnet 등 고가의 부품을 사용한 복잡한 구조를 이루며,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된 빔을 평행광 (collimating beam)으로 변형하는데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모듈제조의 가격경쟁력이 취약하고 또한 광서큘레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는 small form factor case 에 장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US5848203 에서는 Gaussian beam diameter 가 서로 다른 두개의 GRIN 렌즈 (Graded Index lens)를 사용해서 optical isolator 의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을 이용한 양방향 광송수신모듈도 시도될 수 있으나, 기존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된 빔을 집속광 렌즈 (focusing lens)를 통해서 GRIN lens 에 결합시키는 광학계를 사용하고 또한 광화이버에 또 다른 GRIN 렌즈를 사용함에 따라서 고가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가격경쟁력이 없고, 제작 및 조립에 있어서도 부품의 평행도 유지에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한 광송수신모듈 구조에서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광손실이 6dB 발생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 반사경과 오목렌즈를 이용한 구조에서 총 손실을 2.0dB 이하로 감소하고 또한 기존의 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해서 소형화 저가격화를 실현하는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은,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있어서,
레이저다이오드 (1)에서 출력된 광신호가 집광렌즈 (2)와 광아이소레이터 (3)를 통과해서 집속광 (focusing beam)을 이루고, 반사경 (4)의 구멍과 오목렌즈 (5)를 거치면서 개구수 (numerical aperture)가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광화이버 (6)로 집속되는 구조이다.
상기 광화이버 (6)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오목렌즈를 거치면서 개구수가 증가하고 상기 반사경을 통해 90도로 광축이 변환되고 집속광렌즈 (7)를 통해 포토다이오드 (8)로 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오목렌즈 (5)를 사용해서 상기 레이져다이오드 (1)에서 출력된 광신호의 개구수는 감소하고 상기 광화이버 (6)에서 출력된 광신호의 개구수는 증가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레이져다이오드의 빔을 (1)를 상기 오목렌즈 (5) 대비 기울이거나 끝단이 6 내지 8 도로 경사지게 가공된 광화이버 (6)를 사용해서 광결합효율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광송수신모듈의 손실을 개선한다.
상기 반사경(4)은 내부에 구멍 (9)을 갖으며, 상기 구멍(9)을 빛을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광신호로서 1260 ~ 1610nm 중 단파장대역을 사용하고, 출력광신호로서 동일한 파장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은,
레이저다이오드 (1)에서 출력된 광신호가 집광렌즈 (2)와 광아이소레이터 (3)를 통과해서 집속광 (focusing beam)을 이루고, 광화이버(6)로부터 수광되는 광신호가 집속광렌즈 (7)를 통해 포토다이오드 (8)로 집속되는 구조를 가지는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구멍 (9)을 가지며, 상기 광아이솔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중에서 상기 구멍에 비추는 광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상기 광파이버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에서 구멍(9)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반사를 하는 반사경(4);
상기 반사경(4)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집광하여 상기 광화이버(6)로 출력하고, 상기 광파이어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산하여 상기 반사경으로 출력하는 오목렌즈(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목렌즈와 반사경이 내장된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에 의하면 기존의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한 구조에서 발생하는 6dB 광손실과 비교하여 전반적인 특성의 저하 없이 광송신부의 결합손실은 0.5dB 이하 그리고 광수광부의 결합손실은 1.5dB 이하로 총손실을 2dB 이하로 유지하는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나타나는 내부의 산란된 광신호에 의한 수광부의 optical cross-talk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optical cross-talk 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특별히 장착하지 않고 안정된 수광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의 생산성 향상과 저가격화를 이루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파장을 사용한 경우 이외에도 특별한 구조의 변경 없이 양방향의 파장이 서로 다른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수광부 앞에 간단히 블로킹필터 (blocking filter)를 장착함으로서 원하는 파장대역만을 포토다이오드로 투과시켜서 CWDM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3dB 스필리팅 필터를 사용한 광송수신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렌즈와 반사체가 내장된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렌즈를 사용한 양방향 가우시안빔형태 (Gaussian beam shape) 변화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렌즈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 광화이버에서 출력된 빔형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다이오드를 기울여서 입사할 경우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렌즈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 레이저다이오드 기울임에 따른 광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목렌즈와 반사체를 사용한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과 오목렌즈가 내장된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경과 오목렌즈가 내장된 단파장 양방향 광송신모듈은 레이저다이오드 (1)에서 출력된 광을 집속광 (focusing beam)으로 변환하는 비구면 렌즈 (2)와 광아이소레이터 (3)를 거치고 난 후 빔이 통과할 수 있는 작은 구멍이 있는 반사경 (4)를 거친 후 오목렌즈 (5)를 투과해서 개구수 (numerical aperture)가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끝단이 6도로 경사지게 연마된 광화이버(6) (6)로 집속된다.
이때, 광화이버 (6)는 레이저다이오드 (1)와 오목렌즈 (5)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반대로 광화이버 (6)에서 출력된 빔은 오목렌즈 (5)를 거친 후 개구수가 증가하고 42도로 경사지게 위치한 반사경 (4)에 반사되고 비구면렌즈 (7)를 거쳐 포토다이오드 (8)에 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경(4)의 내부에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출력된 빔이 투과할 수 있도록 직경 0.6mm ~ 0.8mm 의 구멍 (9)이 있으며, 레이저다이오드(1)와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의 Gaussian beam profile 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레이저다이오드(1)의 빔은 0.5dB 이하의 손실로 광화이버(6)에 집속되고,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은 1.5dB 이하의 손실로 포토다이오드에 집광되어 최종적으로 광송수신모듈에서 2.0dB 이하의 광손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단부 Gaussian beam 에서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 중 빗금부분 70% 이상이 수광부로 집속되어 1.5dB 의 손실을 갖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단일파장을 사용한 경우 이외에도 특별한 구조의 변경 없이 양방향의 파장이 서로 다른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적용하고, 특히 수광부 앞에 간단히 블로킹필터 (blocking filter) 를 장착함으로서 원하는 파장대역만을 투과시켜 CWDM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핵심부품인 오목렌즈의 역할을 나타낸 것으로 비구면렌즈 (2)를 통과한 레이저다이오드(1)의 빔은 Gaussian beam 의 1/e2 (광파워 최대치의 13.5%) 에서 NA = 0.1 의 값을 가질 경우, f = -6mm (focal length)인 오목렌즈 (4)를 통과하면서 개구수는 0.06으로 감소하고 개구수 0.1인 광화이버 (6)로 집속된다. 반대 방향의 경우 광화이버 (6)에서 출사된 개구수 0.1인 빔은 오목렌즈 (4)를 통과하면서 개구수 0.14 이상인 빔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오목렌즈를 투과하는 빔의 좌우방향에 따라서 개구수가 감소하고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광손실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3 하단부에 레이져다이오드와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의 Gaussian beam profile 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었고, 레이져다이오드에서 출력된 빔과 중복되기 때문에 수광부로 집속되는 빔은 35% 로 4dB 의 큰 손실을 갖게 된다.
도 4 는 도 3 의 광화이버에서 출력된 빔이 오목렌즈를 거친 후 Gaussian beam shape 을 실측한 결과이다. 점선은 오목렌즈가 없을 경우, 실선은 오목렌즈가 있을 경우 far filed pattern 을 측정한 것으로 오목렌즈가 있을 경우 beam diameter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빔이 오목렌즈를 통과한 후 Gaussian beam shape 이 변화하고 이 현상을 이용해서 손실이 향상된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을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양방향 손실을 감소하기 위해서 레이저다이오드(1) 빔의 입사각도를 변화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1310nm 파장대역에서 광화이버(6)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1.467 이다. 반사손실(optical return loss)를 향상하기 위해서 끝단이 6도로 경사지게 연마된 광화이버(6)를 사용한 경우 광화이버(6)의 광축대비 약 2.8도 기울어진 광이 출사되며 광화이버(6)의 경사진 끝단을 수광부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빔은 수광부로 향하게 된다. 오목렌즈(5)의 중심축대비 레이저다이오드(1) 빔의 입사각도를 수광부 반대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광결합효율(optical coupling efficiency)은 최대값에 비교하여 큰 저하 없이 광화이버(6)로 집속되며,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은 수광부를 향하게 되어 반사경(4)를 거친 후 비구면렌즈를 통해 수광부로 집속된다.
도 6은 도 5에서 레이저다이오드(1) 빔의 기울임에 따른 광화이버 (6)로 집속된 광파워 (optical output power)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점선은 오목렌즈가 없을 경우에 6도 연마된 광화이버 (6)에 레이저다이오드(1) 빔을 시계반대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입사한 경우 +3도 각도에서 4mW로 최대결합효율 (optical coupling efficiency)을 보이고 -1도와 +7도에서 광파워값은 3.5mW 로 유지된다.
실선은 오목렌즈가 있을 경우 레이저다이오드(1) 빔을 기울여서 입사함에 따른 광파워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7도 에서 최대값을 보이고 0도와 +14도에서 3mW 의 광파워값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험결과에서 레이저다이오드(1) 빔을 광화이버(6)의 중심축 대비 0도로 경사지게 입사할 경우에 광송신모듈의 손실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도 1 과 같이 구멍이 있는 반사경을 이용하여 광수신부의 손실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구멍이 있는 반사경과 오목렌즈를 사용한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의 실시예로서, 레이저다이오드 (1)는 1550nm DFB LD 를 사용하였고 집속광렌즈 (2)를 통과한 개구수는 FWHM 이 0.1 이고 레이저다이오드(1)의 기울임은 광축대비 0도로 하였다. 반사경(4)은 구멍(9)의 직경 0.8mm, 크기 2mm x 2.8mm 의 반사경(Au coated mirror)을 사용하였고 반사경의 반대면은 무반사 (anti reflection) 코팅처리를 하였다.
반사경은 광축대비 42도의 각도를 유지하여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이 포토다이오드(8)로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구성하였다. 오목렌즈(5)는 직경 3mm, focal length = -6mm 인 양면이 무반사 코팅된 렌즈를 사용하였고, 광화이버(6)는 끝단이 6도로 연마된 single mode fiber 를 사용하였고, 연마된 끝단이 수광부방향을 향하도록 수평광축에 대해서 기울임 없이 고정하였다.
포토다이오드(8)의 비구면렌즈(7)는 개구수 0.17 x 0.38 인 렌즈를 사용하였고 포토다이오드(8)는 수광부 직경 (active area diameter) 50um 인 칩을 사용하였다. 6도 연마된 광화이버(6)의 축에 대해서 레이져다이오드는 0도의 각도로 입사되도록 정렬되었고 반사경 내부의 구멍의 중심과 일축선상에 놓이도록 설계되었으며 오목렌즈의 중심과도 일치하게 기구물을 설계하였다. 이때 오목렌즈와 광화이버(6)의 거리는 1.5 ~ 2mm 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상온에서 광출력을 측정한 결과 레이저다이오드(1)의 구동전류를 25mA 로 할 경우 3.0mW 의 광출력을 보였다. 레이저다이오드(1)의 비구면렌즈 앞단에서 측정한 광출력 값이 6mW 임을 감안할 때 광결합효율은 약 50%로 계산된다. 통상적인 비구면렌즈를 사용한 레이저다이오드(1)와 광화이버(6)와의 결합효율이 50% 정도임을 감안할 때 광송신모듈의 손실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화이버(6)에 3.0mW 의 광을 입력할 경우 수광부에 인가된 전류는 2.3mA 로 측정되어 수광부의 responsivity 는 0.75A/W 로 계산된다. 최종적으로 총 손실은 2dB 이하로 3dB 스플리팅 필터를 사용한 구도보다 4dB 이상의 손실이 개선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레이저다이오드 (laser diode)
2. 비구면렌즈 (aspheric focusing lens)
3. 광아이소레이터 (optical isolator)
4. 구멍이 있는 반사체 (mirror with hole)
5. 오목렌즈 (concave lens)
6. 광화이버 (single mode optical fiber)
7. 비구면렌즈 (aspheric focusing lens)
8. 포토다이오드 (photodiode)
9. 구멍 (hole)

Claims (7)

  1. 양방향 광송수신모듈에 있어서,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출력된 광은 집속광렌즈(2)와 광아이소레이터(3)를 거치고 난 후 집속광 (focusing beam)형태의 빔으로 변환되고, 상기 집속광렌즈 (2)와 상기 광아이소레이터(3)를 통과한 빔은 작은 구멍(9)이 있는 반사경(4)을 거친 후 오목렌즈(5)를 투과해서 개구수 (numerical aperture)가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끝단이 6 ~ 8도 경사지게 연마된 광화이버(6)로 집속되며,
    상기 광화이버(6)는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와 상기오목렌즈 (5)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빔은 상기 오목렌즈(5)를 거친 후 개구수가 증가하고 42도로 경사지게 위치한 반사경(4)에 반사되고 비구면렌즈(7)를 거쳐 포토다이오드(8)에 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출력된 광신호가 상기 집속광렌즈(2)를 통해 제1 가우시안 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광화이버(6)를 통해 출력된 빔은 상기 오목렌즈(5)를 거치면서 광개구수가 증가되어 제2 가우시안 빔 형상을 갖으며, 상기 광화이버(6) 끝단이 6 ~ 8도 경사지게 연마되어 광축대비 3도 경사진 빔이 출력되므로 상기 제1 가우시안 빔 및 상기 제2 가우시안 빔은 중심축상에서 겹치지 않고,
    상기 포토다이오드(8)로 향하는 상기 광화이버(6)의 제2 가우시안 빔 (12)을 집속하면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의 제1 가우시안 빔이 상기 광화이버 (6)로 집속하는 구조이며,
    상기 광화이버(6)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상기 오목렌즈(5)를 거치면서 개구수가 증가하고 상기 반사경(4)을 통해 90도로 광축이 변환되고 상기 비구면렌즈 (7)를 통해 상기 포토다이오드(8)로 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반사경(4)은 내부에 상기 구멍(9)을 갖으며, 상기 구멍(9)은 빛을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 (5)를 사용해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 (1)에서 출력된 광신호의 개구수는 감소하고 상기 광화이버 (6)에서 출력된 광신호의 개구수는 증가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광송수신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의 빔을 상기 오목렌즈 (5) 대비 기울이거나 끝단이 6 내지 8 도로 경사지게 가공된 광화이버 (6)를 사용해서 광결합효율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광송수신모듈의 손실을 개선하는 광송수신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16254A 2014-09-02 2014-09-02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KR10167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54A KR101674005B1 (ko) 2014-09-02 2014-09-02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54A KR101674005B1 (ko) 2014-09-02 2014-09-02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47A KR20160027747A (ko) 2016-03-10
KR101674005B1 true KR101674005B1 (ko) 2016-11-22

Family

ID=5553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54A KR101674005B1 (ko) 2014-09-02 2014-09-02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443B2 (en) 2016-11-08 2019-0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wavelength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cylindrical lenses
CN107390366B (zh) * 2017-08-30 2020-10-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显示方法及交通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634A (ja) 2007-06-11 2007-11-01 Teruki Nobuyoshi モード分散補償方法、及びモード群分離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0300B2 (ja) * 1988-06-22 1998-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光検出装置
JPH0588052A (ja) * 1991-09-25 1993-04-09 Hitachi Electron Eng Co Ltd 計測器用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634A (ja) 2007-06-11 2007-11-01 Teruki Nobuyoshi モード分散補償方法、及びモード群分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47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195B2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US7184621B1 (en) Multi-wavelength transmitter optical sub assembly with integrated multiplexer
KR101283678B1 (ko) 파장분할소자와 양방향 광송수신 소자가 집적화된 광송수신 모듈
KR100703464B1 (ko) 양방향 광 송수신기
US10641966B2 (en) Free space grating coupler
EP2568626B1 (en) Bi-direction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transceiver
US9709759B2 (en) NxN parallel optical transceiver
CN101222115A (zh) 半导体激光器模块
US10700781B2 (en) Transceiver with reduced filter insertion los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8054088A1 (en) Fiber coupled laser source pump with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isolator, tap filter, and photodetector
JPS6266209A (ja) 光通信網用の波長マルチプレクス素子
JP2008181025A (ja) 一芯双方向光モジュール
US6516116B1 (en) High speed optical receiver
US20090162073A1 (en) Optical module
US20140217270A1 (en) Light-receiving module
KR102167838B1 (ko) 좁은 파장 간격의 양방향 통신용 광모듈 패키지 구조
CN113917628B (zh) 一种Combo Plus OLT光器件
KR101674005B1 (ko) 단파장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JP2017211419A (ja) 光モジュール
KR20110114395A (ko)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용 양방향 전송 광송수신 모듈
KR101687788B1 (ko) 광개구수를 이용한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CN208506305U (zh) 一种多波长合波光学模块
US9935425B2 (en) Fiber coupled laser source pump with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US20210165175A1 (en) Optical sub-assembly and telescopic-shaped core cylinder module thereof
KR101674006B1 (ko) 저손실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