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70B1 -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70B1
KR101673870B1 KR1020140033184A KR20140033184A KR101673870B1 KR 101673870 B1 KR101673870 B1 KR 101673870B1 KR 1020140033184 A KR1020140033184 A KR 1020140033184A KR 20140033184 A KR20140033184 A KR 20140033184A KR 101673870 B1 KR101673870 B1 KR 10167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ink ball
coupling
sink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358A (ko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
Publication of KR2015009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 둘레를 따라 결합턱(12)이 형성되는 싱크볼(10)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부 바닥을 관통하여 배수 관로와 연결되는 배수공(21)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턱(12)에 대응하여 결합턱(22)이 형성되는 배수통(20) 및; 결합턱(12, 22)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고무패킹(30)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턱(12, 22)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돌기(S)가 돌출 형성되고, 싱크볼(10)과 배수통(20)은 돌기(S)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 스폿 용접되어 결합턱(12, 22)이 서로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배수통을 싱크볼에 조립하는 불편함이 없고, 배수통과 싱크볼 결합부에 물때나 이물질 등이 끼지 않으며, 싱크볼과 배수통간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Sink bowl with drain unit}
본 발명은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를 담아 세척하는 싱크볼과, 싱크볼의 배수구에 결합되어 세척에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로와 연결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거르는 거름망이 수용되는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는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싱크대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싱크대에는 적정 크기의 싱크볼(sink bowl)이 마련되어 있어 이 싱크볼에 식기 등을 담아 두었다가 설거지를 하게 된다.
이러한 싱크볼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41653호(싱크볼의 배수유닛)과, 공개 특허공보 제2011-0028191호(단 패킹구조의 싱크대 배수장치)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볼과 배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의 싱크볼(100)의 바닥을 관통하여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의 하부에 배수통(110)을 위치시킨 다음, 싱크볼(100)의 배수구 상부 쪽으로 배수통 조립체(111)를 위치시키고, 이들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배수통(110)이 싱크볼(100)의 배수구에 고정되며, 이러한 배수통(110) 내부에는 음식물을 거르는 거름통(120)과 배수통(110)의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물과 음식물이 통과하여 거름통(120)으로 유입되게 하는 커버(130)가 수용되고, 또한 배수통(110)의 하부에는 배수관로(1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볼과 배수통의 결합 방법 구조는 싱크볼 상부에 조립되는 배수통 조립체(111)와 싱크볼(100)간의 접촉부분에 단턱 내지 홈이 형성되므로 음식물이 끼이거나 물이 고일 수 있고, 이 경우 음식물이 부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싱크볼과 배수통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싱크볼(100)의 배수구측 상하면에 각각 배수통(110)과 배수통 조립체(111)를 위치시킨 다음, 이들을 서로 스크루 조립하여 고정해야 하고, 이때 배수통(110)과 배수통 조립체(111) 및 싱크볼(10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패킹 등이 함께 조립되어야 하므로 배수통(110)을 싱크볼(100)에 조립하는 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KR 10-1041653 B1 KR 10-2011-0028191 A KR 10-2011-0053607 A KR 10-1259177 B1 KR 20-0462565 Y1 KR 20-0465273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싱크볼과 배수통의 결합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싱크볼에 배수통을 조립하는 불편함이 없이 서로 강건하게 고정되며, 싱크볼과 배수통이 결합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물때가 생기지 않고, 싱크볼과 배수통의 결합부분을 통해 물이 누출되지 않는 구조가 개선된 싱크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볼 조립체를,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 둘레를 따라 결합턱이 형성되는 싱크볼과; 관로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를 따라 싱크볼의 결합턱에 대응하여 결합턱이 형성되는 배수통 및; 결합턱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턱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싱크볼과 배수통은 돌기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 스폿 용접되어 결합턱이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싱크볼의 결합턱은 싱크볼 바닥과 수평의 방향으로 제1단턱과 제2단턱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배수통의 결합턱은 싱크볼의 제1, 2단턱과 각각 대응하여 제1단턱과 제2단턱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의 결합턱이 싱크볼의 결합턱 하부에 위치되며, 결합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2단턱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1단턱 사이에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배수통의 결합턱이 싱크볼의 결합턱 상부에 위치되며, 결합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단턱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2단턱 사이에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싱크볼의 결합턱은 싱크볼 바닥과 수직의 방향으로 제1단턱과 제2단턱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배수통의 결합턱은 제1, 2단턱과 각각 대응하여 제1단턱과 제2단턱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의 결합턱이 싱크볼의 결합턱 내측에 위치되며, 결합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단턱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2단턱 사이에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배수통의 결합턱이 싱크볼의 결합턱 외측에 위치되며, 결합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2단턱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1단턱 사이에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배수공에 배수 관로와 스크루 결합되는 배수관결합체가 더 구비되는 ㄱ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때 배수관결합체는 배수통의 배수공의 저면에 위치되며, 외주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스크루가 형성되는 결합본체 및; 배수통의 배수공의 상면에 위치되며 결합본체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싱크볼의 배수구에 배수통이 스폿 용접에 의해 강건하게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므로 싱크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싱크볼에 배수통을 조립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그리고 싱크볼에 배수통을 가압 스폿 용접하는 과정에서 서로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 과정에서 싱크볼과 배수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패킹이 가압되면서 싱크볼과 배수통 사이에 상당한 기밀이 유지되며, 이에 의해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배수통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므로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지 못함과 동시에 세척도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볼과 배수통의 결합 구조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통이 일체로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볼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볼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통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통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결합체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에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싱크볼과 싱크볼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볼 조립체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0)과 배수통(20) 및 고무패킹(30)으로 이루어지고, 싱크볼(10)과 배수통(20)은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실시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싱크볼(10)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식기를 담아 두었다가 세척하기 위한 적정 크기의 그릇(bowl)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싱크볼(10)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싱크볼로 실시될 수 있고, 따라서 싱크볼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볼(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에 일정 크기의 배수구(11)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 배수구(11) 둘레를 따라 결합턱(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배수통(20)과 밀착되어 스폿 용접된다.
스폿 용접(spot welding)은 점 용접이라고도 하는데 겹쳐 놓은 모재의 앞쪽 끝을 적당하게 성형한 전극으로 누르고, 여기에 전류를 통하면 접촉면의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며, 이 발열에 의하여 재료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모재 자체의 저항이 커져서 온도가 더욱 상승하며, 여기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서로 용접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결합턱(12)은 배수통(20)과 스폿 용접됨과 동시에 배수구(11)와 배수통(20)을 거처 배수 관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결합턱(12)과 밀착 접촉되는 배수통(20)의 결합턱(22) 사이에 링 형상의 고무패킹(30)이 개재되어 가압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기밀이 유지되며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배수공(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턱(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0)의 바닥면과 동일한 방향 즉, 싱크볼(10)의 바닥과 수평을 이루를 방향으로 제1단턱(A)과 제2단턱(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2단 단턱으로 실시되거나, 후술하는 도 9(a, b)에 도시된 제3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싱크볼(10)의 바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제1단턱(C)과 제2단턱(D)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2단 단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결합턱(12)의 저면에는 스폿 용접을 위해 후술하는 배수통(20)의 결합턱(22)과 부분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S)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기(S)에 의해 싱크볼(10)과 배수통(20)에 각각 전극을 접촉시킨 다음, 통전시키면 이 돌기(S)에 전류와 가압력이 집중되면서 돌기(S)가 융해되고, 이와 동시에 양측의 결합턱(12, 22)이 서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돌기(S)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싱크볼(10)의 결합턱(12)에 형성되거나 배수통(20)의 결합턱(2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구(1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돌기(S)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단턱(A, C)과 제2단턱(B, D) 중 선택되는 어느 일측의 단턱에 형성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고무패킹(30)이 배수 유로 상으로 노출되거나 배수 유로 방면에 위치되지 않도록 고무패킹(30)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선정된다.
싱크볼(10)의 배수구(11)의 결합턱(12)에 밀착되어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배수통(2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거름통(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되기 위한 적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 바닥을 관통하여 배수 관로와 연결되는 배수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통(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싱크볼(10)의 결합턱(12)에 대응되는 결합턱(22)이 형성되는데, 이때 결합턱(22)은 싱크볼(10)의 결합턱(12)과 평행을 이루도록 방향으로 연속되어 제1단턱(A')과 제2단턱(B')의 2단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이 바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수통(20)의 결합턱(22) 역시 이에 대응하여 제1단턱(C')과 제2단턱(D')이 형성된다.
싱크볼(10)의 결합턱(12)과 배수통(20)의 결합턱(22)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고무패킹(30)은 싱크볼(10)과 배수통(20)이 스폿 용접에 의해 통전 가압되어 밀착 고정되는 과정에서 결합턱(12, 22)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의해 고무패킹(30)은 결합턱(12, 22) 사이에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싱크볼(10)과 배수통(2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볼 조립체는 싱크볼(10)의 결합턱(12) 또는 배수통(20)의 결합턱(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턱(12, 22)에 돌기(S)가 형성되며, 이 돌기(S)에 의해 스폿 용접되어 결합턱(12, 22)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는데, 이때 본 발명은 싱크볼(10)의 결합턱(12)과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고무패킹(30)과 돌기(S)의 위치가 다르게 실시되고, 따라서 이하에서는 결합턱(12, 22)이 서로 스폿 용접되는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이 싱크볼(10) 바닥과 수평의 방향으로 제1단턱(A)과 제2단턱(B)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제1, 2단턱(A, B)과 각각 대응하여 제1단턱(A')과 제2단턱(B')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된 것으로, 이때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 하부에 위치되며,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2단턱(B, B')에 돌기(S)가 형성되고, 제1단턱(A, A') 사이에 고무패킹(30)이 설치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1,2단턱(A, A', B, B')이 형성되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단턱(A, A')에 돌기(S)가 형성되고, 제2단턱(B, B') 사이에 고무패킹(30)이 설치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이 싱크볼(10) 바닥과 수직의 방향으로 제1단턱(C)과 제2단턱(D)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제1, 2단턱(C, D)과 각각 대응하여 제1단턱(C')과 제2단턱(D')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된 것으로, 이때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 내측에 위치되며,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단턱(C, C')에 돌기(S)가 형성되고, 제2단턱(D, D') 사이에 고무패킹(30)이 설치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제1,2단턱(C. C', D, D')이 형성되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 외측에 위치되며, 이때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2단턱(D, D')에 돌기(S)가 형성되고, 제1단턱(C, C') 사이에 고무패킹(30)이 설치된다.
위와 같은 실시예 1, 2, 3, 4는 각각 결합턱(12, 22)이 싱크볼(10)의 바닥과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과, 배수통(20)의 결합턱(12)이 싱크볼(10)의 결합턱(12)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내외측에 위치됨에 따라 돌기(S)와 고무패킹(30)의 위치가 다르게 실시되는 것에 대한 예로서,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스폿 용접된 결합턱(12, 22) 사이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결합턱(12, 22) 사이에서 가압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고무패킹(30)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더욱이 스폿 용접과정에서 가압되는 고무패킹(30)이 싱크볼(10)의 배수구 방면, 그리고 배수통(2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고무패킹(30)이 사용간에 손실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은 배수통(20)의 배수공(21)에 배수 관로와 스크루 결합되는 배수관결합체(40)가 조립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수관결합체(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20)의 배수공(21)의 저면에 위치되며, 외주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스크루가 형성되는 결합본체(41)와, 배수통(20)의 배수공(21)의 상면에 위치되며 결합본체(41)와 체결부재(45)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플레이트(44)로 구성된다.
이때 결합본체(41)와 배수공(21)의 사이와, 배수공(21)과 배수플레이트(44)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 O링(42, 43)이 개재되며, 이와 같은 구조의 배수관결합체(40)는 결합본체(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를 이용하여 배수 관로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싱크볼의 배수구에 배수통이 스폿 용접에 의해 강건하게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므로 싱크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싱크볼에 배수통을 조립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싱크볼에 배수통을 가압 스폿 용접하는 과정에서 서로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 과정에서 싱크볼과 배수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패킹이 가압되면서 싱크볼과 배수통간에 상당한 기밀이 유지되어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배수통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므로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지 못함과 동시에 세척도 용이하다.
10: 싱크볼 11: 배수구
12: 결합턱 20: 배수통
21: 배수공 22: 결합턱
30: 고무패킹 40: 배수관결합체
41: 결합본체 42, 43: O링
44: 배수플레이트 44A: 관통공
45: 체결부재 A, A', C, C': 제1단턱
B, B', D, D: 제2단턱 S: 돌기

Claims (8)

  1. 삭제
  2. 바닥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 둘레를 따라 결합턱(12)이 형성되는 싱크볼(10)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부 바닥을 관통하여 배수 관로와 연결되는 배수공(21)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싱크볼(10)의 결합턱(12)에 대응하여 결합턱(22)이 형성되는 배수통(20) 및;

    상기 결합턱(12, 22)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고무패킹(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싱크볼(10)의 결합턱(12)은 상기 싱크볼(10) 바닥과 수평의 방향으로 제1단턱(A)과 제2단턱(B)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20)의 결합턱(22)은 상기 제1, 2단턱(A, B)과 각각 대응하여 제1단턱(A')과 제2단턱(B')의 2단 단턱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턱(12, 22)에는 복수 개의 돌기(S)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싱크볼(10)과 상기 배수통(20)은 상기 돌기(S)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 스폿 용접에 의해 돌기(S)가 용착되어 상기 결합턱(12, 22)이 서로 밀착 고정되고,

    상기 싱크볼(10)의 제1단턱(A)과 배수통(20)의 제1단턱(A')이 겹쳐지고 상기 싱크볼(10)의 제2단턱(B)과 배수통(20)의 제2단턱(B')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볼(10)의 제1단턱(A)과 배수통(20)의 제1단턱(A') 사이에 상기 고무패킹(30)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볼(10)의 제2단턱(B)과 배수통(20)의 제2단턱(B') 사이에 위치한 돌기(S)가 용착되어 상기 결합턱(12, 22)이 서로 밀착 고정되거나,
    아니면, 상기 싱크볼(10)의 제2단턱(B)과 배수통(20)의 제2단턱(B') 사이에 고무패킹(30)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볼(10)의 제1단턱(A)과 배수통(20)의 제1단턱(A') 사이에 위치한 돌기(S)가 용착되어 상기 결합턱(12, 22)이 서로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상기 싱크볼(10)의 결합턱(12)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2단턱(B, B')에 상기 돌기(S)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A, A') 사이에 상기 고무패킹(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20)의 결합턱(22)이 상기 싱크볼(10)의 결합턱(12)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턱(12, 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단턱(A, A')에 상기 돌기(S)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턱(B, B') 사이에 상기 고무패킹(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21)에 배수 관로와 스크루 결합되는 배수관결합체(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결합체(40)는 상기 배수통(20)의 배수공(21)의 저면에 위치되며, 외주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스크루가 형성되는 결합본체(41) 및;
    상기 배수통(20)의 배수공(21)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본체(41)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플레이트(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KR1020140033184A 2014-02-21 2014-03-21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KR101673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028 2014-02-21
KR1020140020028 2014-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358A KR20150099358A (ko) 2015-08-31
KR101673870B1 true KR101673870B1 (ko) 2016-11-08

Family

ID=5406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184A KR101673870B1 (ko) 2014-02-21 2014-03-21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0Y1 (ko) * 2000-05-22 2000-10-16 배상청 싱크대 상판의 싱크볼 부착장치
KR100619180B1 (ko) * 2004-04-14 2006-08-31 안영규 배수트랩
KR200439606Y1 (ko) * 2006-12-08 2008-04-22 박종현 싱크대 조립장치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53B1 (ko) 2009-08-13 2011-06-15 김원종 싱크볼의 배수유닛
KR20110028191A (ko) 2009-09-11 2011-03-17 김종남 단 패킹구조의 싱크대 배수장치
KR20110053607A (ko) 2009-11-16 2011-05-24 김원종 싱크볼의 배수유닛
KR200462565Y1 (ko) 2011-03-15 2012-09-14 김원종 싱크볼의 배수유닛
KR101259177B1 (ko) 2011-06-20 2013-05-07 홍순홍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KR200465273Y1 (ko) 2012-10-16 2013-02-08 서재식 싱크대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0Y1 (ko) * 2000-05-22 2000-10-16 배상청 싱크대 상판의 싱크볼 부착장치
KR100619180B1 (ko) * 2004-04-14 2006-08-31 안영규 배수트랩
KR200439606Y1 (ko) * 2006-12-08 2008-04-22 박종현 싱크대 조립장치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358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3355B1 (en) Radiator element provided with a hooked closing cap and radiator thereof
US10676245B2 (en) Threaded plugs in furniture being partially submerged
CN106662124B (zh) 用于多室压力容器的贯穿连接件
KR101673870B1 (ko) 배수통이 구비된 싱크볼 조립체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JP2015075157A (ja) 漏油防止構造および漏油防止方法
KR101181245B1 (ko) 차량용 배수플러그
JP5484169B2 (ja) 分岐継手
JP2017015242A (ja) ソフトシート型ディスクシートレスシールバルブ
JP2008256177A (ja) サドル付き分水栓
KR200484398Y1 (ko)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스텐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KR200480846Y1 (ko) 배수통 일체형 싱크볼 조립체
JP2006250276A (ja) 排水管継手における横枝管接続用パッキン
CN105156174A (zh) 油底壳的放油装置
KR20100117824A (ko) 여과막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필터
RU2526602C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101399645B1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479000Y1 (ko) 루프드레인용 여과망 덮개
WO2005024283A1 (en) Pipe connector
CN105201798B (zh) 一种水增压器
CN218494395U (zh) 一种耐高温橡胶密封件
JP3225969U (ja) ステンレス管接続用鋳鉄製可撓継手
CN101865528A (zh) 分段式加热器隔离件和分段式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