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353B1 -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353B1
KR101673353B1 KR1020150072140A KR20150072140A KR101673353B1 KR 101673353 B1 KR101673353 B1 KR 101673353B1 KR 1020150072140 A KR1020150072140 A KR 1020150072140A KR 20150072140 A KR20150072140 A KR 20150072140A KR 101673353 B1 KR101673353 B1 KR 10167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receiving
coil
wireless charg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용
이대우
양시훈
양진영
송병섭
이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B60L11/182
    • Y02T90/122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충전장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 코일, 배터리 및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치,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WIRELESS CHARGING DEVICE AND RECEIVING CIRCUIT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 및 환경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음에 따라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신하여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친 환경차의 상용화를 위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이 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크기 및 용량의 제약이 크며 반복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유선으로 커넥터를 사용하여 충전이 되며 충전 과정 및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과정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산재되어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직접적인 접촉 없이 상호 자기유도를 통해 무선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시스템의 구조나 방법에 따라 충전 전력 및 효율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은 에어-갭(air-gap)이 큰 변압기로 모델링하여 해석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변압기와 다르게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가 자화 인덕턴스에 비해 큰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공진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는 효율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일반적인 공진 방식으로는 직렬/직렬(series/series), 직렬/병렬(series/parallel), 병렬/직렬(parallel/series) 및 병렬/병렬(parallel/parallel)의 4가지 방식이 있다. 무선 전력 시스템 특성에 따라 적합한 공진 방식이 선택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송신부에서는 60Hz 정도의 AC 전원, PFC(Power Factor Correction), 인버터 및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한다. 수신부에서는 수신 코일, 정류단 및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에 수신된 전력을 저장한다.
배터리가 특정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CC 모드(Constant Current Mode)로 충전되고, 특정 전압에 도달된 후에는 CV 모드(Constant Voltage Mode)로 충전되게 된다.
이러한 충전 모드를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수신부에 컨버터를 포함시키고, 이러한 컨버터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 및 전압량을 조절하였다. 또한 수신부의 피드백을 송신부가 받고, 송신부의 제어를 수신부의 컨버터에 전달하기 위해서 와이파이(Wi-Fi) 기능부 등의 통신부(미도시)가 무선충전장치에 포함되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무선충전장치의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제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컨버터 및 통신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CC 모드 및 CV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가 필요하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281호(2016.02.19)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4616호(2015.04.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단의 컨버터 및 송수신단 간의 통신부를 제거하여 저비용의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 코일, 배터리 및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치,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의 양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CC 모드(Constant Current Mode)에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전기적으로 제거되고, CV 모드(Constant Voltage Mode)에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CC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2 커패시터가 병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turn ratio),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V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직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전압원, 제1 정류부, PFC(Power Factor Correction) 및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원, 제1 정류부, PFC, 인버터 및 송신 코일의 전기적 순서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제2 정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 제2 정류부 및 배터리의 전기적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는,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로서,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치,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의 양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CC 모드에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전기적으로 제거되고, CV 모드에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CC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2 커패시터가 병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V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직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단의 컨버터 및 송수신단 간의 통신부를 제거하여 저비용의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e는 CC 모드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CV 모드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된다.
송신부는 전압원(100), 제1 정류부(200), PFC(300), 인버터(400) 및 송신 코일(T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부는 수신 코일(RC), 스위칭부(500), 제2 정류부(600) 및 배터리(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압원(100)은 교류 전압원으로 구성되고, 교류 전류가 제1 정류부(200)를 통과하면서 직류 전류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압원(100)이 직류 전압원인 경우 제1 정류부(200)가 제거될 수도 있다.
PFC(Power Factor Correction)(300)는 제1 정류부(200)를 통과하여 입력된 직류 전압과 직류 전류의 위상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무효 전력분을 상쇄시켜 전력 효율을 상승시킨다.
인버터(400)는 PFC(300)로부터 역률 보상되어 출력된 직류 전류를 교류 전류로 다시 변환시켜 송신 코일(TC)과 수신 코일(RC)이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버터(400)를 구성하는 스위치(S1, S2, S3, S4)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함으로써 전류 제어가 가능하다.
송신 코일(TC)과 수신 코일(RC)은 에어-갭이 큰 변압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에는 누설 인덕턴스 성분(Lleakage2)이 존재하고, 송신부에는 누설 인덕턴스 성분(Lleakage1)이 존재하며, 자화 인덕턴스 성분(Lm)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송신부의 커패시터(C1), 수신부의 제1 커패시터(CA) 및 제2 커패시터(CB)는 공진 커패시터이다. 각각의 커패시터가 충전 모드에 따라 공진 조건에 맞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도 3a 내지 3e 및 도 4a 내지 4c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칭부(500)는 스위치(SW), 수신 코일(RC)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A) 및 수신 코일(RC)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CB)를 포함한다.
스위치(SW)의 양단은 제1 커패시터(C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SW)가 온 상태(ON state)가 되면 제1 커패시터(CA)는 전기적으로 제거되어 무시가능하다. 스위치(SW)가 오프 상태(OFF state)가 되면 제1 커패시터(CA)는 수신 코일(RC)과 직렬 연결 상태가 된다.
스위치(SW)의 일단은 제2 커패시터(CB)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SW)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모드를 CC 모드 또는 CV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SW)가 온 상태일 때 무선충전장치는 CC 모드로 동작하고,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일 때 무선충전장치는 CV 모드로 동작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3e 및 도 4a 내지 4c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정류부(600)는 입력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한다. 변환된 직류 전류는 배터리(700)를 충전하게 된다. 커패시터(Co)는 배터리(700)와 병렬로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이다. 커패시터(Co)는 전압 평활화를 위해 사용된다.
배터리(700)는 특정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CC 모드로 충전되고, 특정 전압에 도달하면 CV 모드로 충전된다. 본 발명에서 충전 모드의 선택은 스위치(SW)의 온-오프로 제어되므로, 수신부에서 배터리(700)의 전압을 센싱하여 스위치(SW)의 온-오프를 제어하면 족하다. 따라서 수신부와 송신부 사이에 충전 모드 제어를 위한 통신이 필요없으므로, 종래의 기술과 달리 통신부가 필요없다.
또한 스위치(SW)의 온-오프로 CC 모드 및 CV 모드를 선택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수신부에 컨버터가 필요없다.
도 3a 내지 3e는 CC 모드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충전장치가 CC 모드로 동작될 수 있음을 등가 회로 변환 등의 회로 해석을 통해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위치(SW)가 온 상태이다. 따라서 스위치(SW)를 통한 단락 경로가 형성되므로, 제1 커패시터(CA)는 전기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B) 이하단은 등가 저항(RL)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송신부에서 인버터(400)의 출력 전류를 전류원(Is)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커패시터(C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제거된 상태이다. 또한 송신부의 전류 제어를 통해 누설 인덕턴스(Lleakage1)와 커패시터(C1)는 무시가능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누설 인덕턴스(Lleakage2)의 좌측이 회로 해석을 위해 테브닌 등가 회로(Thevenin Equivalent Circuit)로 대체되어있다. 이때 n은 수신 코일(RC)과 송신 코일(TC)의 턴비(turn ratio)이다(n=N2/N1).
따라서, 수신 코일(RC), 송신코일(TC) 및 자화 인덕턴스 성분(Lm)이 하나의 인덕턴스(n*Lm)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전압원은 전압은 n*jwLm*Is로 표현될 수 있다. 테브닌 등가 회로 해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증명은 생략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2 커패시터(CB)의 좌측이 회로 해석을 위해 노턴 등가 회로(Norton Equivalent Circuit)로 대체되어 있다. 이때 병렬 인덕턴스 성분은 n*Lm+Lleakage2 값을 가지고, 전류원은 (n*jwLm*Is)/jw(n*Lm+Lleakage2)값을 갖는다. 노턴 등가 회로 해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증명은 생략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병렬 인덕턴스 성분(n*Lm+Lleakaage2)과 제2 커패시터(CB)가 회로 해석상 제거되었다. 이러한 제거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른 병렬 공진 조건을 만족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병렬 인덕턴스 성분(n*Lm+Lleakaage2)은 CC 모드에서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jw(n*Lm+Lleakage2) + 1/jwCB = 0
CC 모드일 때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송신 코일(TC)과 수신 코일(RC)의 턴비, 구동 주파수(w),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제2 커패시터(CB)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류원((n*jwLm*Is)/jw(n*Lm+Lleakage2))과 등가 저항(RL)만 남은 형태로 해석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스위치(SW)가 온 상태일 때 CC 모드로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CV 모드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이다. 따라서 스위치(SW)의 경로는 큰 저항 값으로서 무시되고, 제1 커패시터(CA)는 수신 코일(RC)과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B) 이하단은 등가 저항(RL)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송신부에서 인버터(400)의 출력 전류를 전류원(Is)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송신부의 전류 제어를 통해 누설 인덕턴스(Lleakage1)와 커패시터(C1)는 무시가능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송신 코일(TC)의 좌측을 테브닌 등가 회로로 대체하여 표현하였다. 이때 전압원은 jwLm*Is의 값을 갖고, 인덕턴스 성분은 Lm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턴비(n)을 고려하여 전압원은 n*jwLm*Is 값을 갖고, 등가 인덕턴스 성분(n*Lm+Lleakage2) 및 제1 커패시터(CA)는 직렬 공진 조건을 만족하여 회로 해석상 제거되어 있다. 직렬 공진 조건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jw(n*Lm+Lleakage2) + 1/jwCA = 0
CV 모드일 때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송신 코일(TC)과 수신 코일(RC)의 턴비, 구동 주파수(w),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제1 커패시터(CA)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압원(n*jwLm*Is)과 제2 커패시터(CB) 및 등가 저항(RL)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해석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일 때 CV 모드로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신부에 스위칭부(500)가 포함됨으로써, 스위치(SW)가 온 상태일 때는 출력 등가 저항에 관계없이 CC 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배터리(700)의 전압이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스위치(SW)가 오프 상태가 되어 출력 등가 저항에 무관하게 CV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Inductive Power Transfer(IPT) 방식과 Magnetic Resonance 방식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송신부의 전류 제어 방식은 인버터(400)의 스위칭 또는 PFC(300)의 출력단의 전압 제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코일(TC)과 수신 코일(RC)은 Circular type 및 Solenoid type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압원
200: 제1 정류부
300: PFC
400: 인버터
TC: 송신 코일
RC: 수신 코일
500: 스위칭부
CA: 제1 커패시터
CB: 제2 커패시터
SW: 스위치
600: 제2 정류부
700: 배터리

Claims (11)

  1.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 코일, 배터리 및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치,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의 양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충전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CC 모드(Constant Current Mode)에서 상기 스위치는 온되고,
    CV 모드(Constant Voltage Mode)에서 상기 스위치는 오프되는
    무선충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C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2 커패시터가 병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turn ratio),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무선충전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V 모드일 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직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무선충전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전압원, 제1 정류부, PFC(Power Factor Correction) 및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원, 제1 정류부, PFC, 인버터 및 송신 코일의 전기적 순서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제2 정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류부는 상기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무선충전장치.
  7.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로서,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치, 상기 수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의 양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CC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는 온되고,
    CV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는 오프되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C 모드일 때, 상기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2 커패시터가 병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V 모드일 때, 상기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등가 인덕턴스와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직렬 공진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턴비, 구동 주파수, 상기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의 등가 인덕턴스의 값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무선충전장치의 수신 회로.
KR1020150072140A 2015-05-22 2015-05-22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KR10167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40A KR101673353B1 (ko) 2015-05-22 2015-05-22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40A KR101673353B1 (ko) 2015-05-22 2015-05-22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53B1 true KR101673353B1 (ko) 2016-11-17

Family

ID=5754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40A KR101673353B1 (ko) 2015-05-22 2015-05-22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2262A (zh) * 2018-05-15 2018-08-10 北京国网普瑞特高压输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系统及充电方法
CN110266113A (zh) * 2019-05-29 2019-09-2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航天器间无线配电系统及控制方法
KR20220154957A (ko) * 2021-05-14 2022-1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설계 방법
KR20220154963A (ko) * 2021-05-14 2022-1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과전류 및 과전압 방지를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WO2023075087A1 (ko) * 2021-10-28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선 충전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회로의 전력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44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배터리 정보 기반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50034616A (ko) 2013-09-26 2015-04-03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19281A (ko)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44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배터리 정보 기반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50034616A (ko) 2013-09-26 2015-04-03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19281A (ko)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2262A (zh) * 2018-05-15 2018-08-10 北京国网普瑞特高压输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系统及充电方法
CN110266113A (zh) * 2019-05-29 2019-09-2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航天器间无线配电系统及控制方法
KR20220154957A (ko) * 2021-05-14 2022-1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설계 방법
KR20220154963A (ko) * 2021-05-14 2022-1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과전류 및 과전압 방지를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2496611B1 (ko) 2021-05-14 2023-02-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설계 방법
KR102564065B1 (ko) * 2021-05-14 2023-08-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과전류 및 과전압 방지를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WO2023075087A1 (ko) * 2021-10-28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선 충전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회로의 전력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517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ow and medium power
KR101673353B1 (ko) 무선충전장치 및 그 수신 회로
KR101577517B1 (ko) 충전 시스템
US10144301B2 (en) Optimized compensation coil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1628133B1 (ko) 펄스폭 변조 공진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기
KR101191137B1 (ko) 양방향 충전 시스템
US20130038282A1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method
US1093824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8808875B (zh) 一种适用于电池特性的恒流、恒压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的方法
CN103928961A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系统
CN110429716B (zh) 一种变参数和变频率恒流恒压感应式无线电能传输系统
KR20190100018A (ko) 다기능 차량-내 전력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
CN112737038B (zh) 基于磁集成技术的副边交错并联Buck型无线充电系统
KR20170110866A (ko) 무선 전력 전송 일차 코일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그라운드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CN111108016A (zh) 混合充电系统
WO2014045873A1 (ja) 受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TWI399010B (zh) Power supply
CN111817451B (zh) 无线充电系统
CN111183564A (zh) 低电压无线电力传输焊盘
JP2013219899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Kudo et al.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suitable for low voltage and large current charging for EDLCs
JP2014217117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20230253947A1 (en) Matching Networks, Inductors, and Coupled-Inductor Capac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Circuit and Related Techniques
KR101492965B1 (ko) 보조인덕터 적용 양방향 전력수수를 위한 sllc 공진컨버터
CN112994264A (zh) 无线电能传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