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227B1 - 휴대용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227B1
KR101673227B1 KR1020160039570A KR20160039570A KR101673227B1 KR 101673227 B1 KR101673227 B1 KR 101673227B1 KR 1020160039570 A KR1020160039570 A KR 1020160039570A KR 20160039570 A KR20160039570 A KR 20160039570A KR 101673227 B1 KR101673227 B1 KR 10167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stopper
housing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식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Priority to KR102016003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 A61M2205/353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using mechanical means, e.g. subcutaneous push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기가 장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고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되는 전달부와, 전달부에 의해 작동되고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여, 노약자도 편리하게 주사를 놓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주입장치{PORTABLE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제작되고, 장전된 주사기에 저장된 주사액을 안정적으로 피부에 투입시킬 수 있는 휴대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는 하루에 수시로 인슐린을 주사를 맞는다. 최근에는 인슐린이 포함된 주사액이 주사기에 주입되고, 주사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주사바늘 보다 미세한 구멍으로 주사액이 피부를 통과하여 통증을 억제한다.
종래에는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구비하여 휴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3148호(2009.04.06. 공개, 발명의 명칭 : 인슐린 자동주사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형으로 제작되고, 장전된 주사기에 저장된 주사액을 안정적으로 피부에 투입시킬 수 있는 휴대용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는: 주사기가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가 내장되는 하우징덮개부; 및 상기 하우징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사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부; 상기 구동배터리부에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되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부의 구동을 인가하는 구동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달축부; 상기 전달축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전달작동부; 및 상기 전달작동부와 상기 압박부를 연결하여 상기 압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작동부는 상기 전달축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작동나사부; 상기 작동나사부를 커버하여 상기 작동나사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커버부; 및 상기 작동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박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장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달핀부가 관통되는 작동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전달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핀부가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압박실린더부; 상기 전달핀부가 관통되고, 상기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피스톤부;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내장되고, 상기 압박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압박탄성부;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시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압박스토퍼부; 및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박스토퍼부를 작동시켜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압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스토퍼부는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부가 상기 압박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압박피스톤부에 걸리는 스토퍼몸체부; 상기 스토퍼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스토퍼연장부; 상기 스토퍼연장부와 상기 압박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연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탄성부; 및 상기 스토퍼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박해제부와 연계되는 스토퍼연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해제부는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해제몸체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연계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해제연장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해제연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해제연장부가 상기 스토퍼연계부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해제연계부를 가압하는 해제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는: 상기 주사기와, 상기 전달부와, 상기 압박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점등되는 하나 이상의 점등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점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주사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전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와 제3센서부; 및 상기 압박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4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는 주사기가 장착되는 하우징부 내부에 주사기를 자동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노약자도 편리하게 주사를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는 주사기가 하우징고정부에 체결됨으로써, 압박부가 주사기 가압시 주사기가 하우징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는 구동배터리부가 충전되어 구동모터부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하우징부의 내부 부품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압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압박부의 압박피스톤부가 후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주사기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해제버튼부가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압박피스톤부가 전방 이동되어 주사기에 저장된 주사액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하우징부의 내부 부품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1)는 하우징부(10)와, 구동부(20)와, 전달부(30)와, 압박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에는 주사기(100)가 장착된다. 일 예로, 하우징부(10)의 전단부에 주사기(100)가 삽입될 수 있다. 주사기(100)는 주사액이 내장되고 전단부에 미세한 홀이 형성되는 주사실린더(101)와, 주사실린더(101)에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주사실린더(101)에 저장된 주사액을 압박하는 주사피스톤(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사실린더(101)의 후단부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어 동력을 생성한다. 전달부(30)는 구동부(20)에 연결되고, 구동부(20)의 동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된다. 압박부(40)는 전달부(3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달부(30)에 의해 작동되어 주사기(100)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하우징덮개부(11)와 하우징고정부(12)를 포함한다.
하우징덮개부(11)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하우징덮개부(11)의 내부에는 구동부(20)와, 전달부(30)와, 압박부(40)가 내장된다. 하우징덮개부(11)의 전단부에는 주사기(100)가 삽입되기 위해 개구된 형상을 할 수 있다.
하우징고정부(12)는 하우징덮개부(11)에 형성되고, 주사기(10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일 예로, 하우징고정부(12)는 하우징덮개부(11)의 전단부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주사피스톤(102)은 하우징고정부(12)를 관통하고, 주사실린더(101)의 단부는 하우징고정부(12)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는 구동배터리부(21)와, 구동모터부(22)와, 구동버튼부(23)를 포함한다.
구동배터리부(21)는 구동모터부(2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부(22)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배터리부(21)는 충전이 가능하고, 하우징부(10)의 후단부에 충전을 위한 구동커넥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부(22)는 구동배터리부(21)에 연결되고, 구동배터리부(21)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축(221)이 회전된다. 이때, 구동축(221)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구동버튼부(23)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구동모터부(22)의 구동을 인가한다. 일 예로, 구동버튼부(23)는 버튼가압부(231)와, 버튼기판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가압부(231)는 하우징덮개부(11)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기판부(232)는 하우징덮개부(11)에 내장되고, 버튼가압부(231)와 접촉에 따라 구동모터부(22)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가압부(231)가 버튼기판부(232)에 접촉됨에 따라 구동축(221)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30)는 전달축부(31)와, 전달작동부(32)와, 전달핀부(33)를 포함한다.
전달축부(31)는 구동부(20)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전달축부(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구동축(221)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달작동부(32)는 전달축부(31)에 나사 결합되고, 전달축부(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된다. 즉, 전달축부(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달작동부(32)가 후진하고, 전달축부(3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달작동부(32)가 전진할 수 있다.
전달핀부(33)는 전달작동부(32)와 압박부(40)를 연결하여, 압박부(40)에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작동부(32)는 작동나사부(321)와, 작동커버부(322)와, 작동막대부(323)를 포함한다.
작동나사부(321)는 전달축부(31)에 나사 결합되고, 전달축부(31)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된다. 일 예로, 전달축부(31)가 관통하는 작동나사부(321)의 외측면은 각진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전달축부(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작동커버부(322)는 작동나사부(321)를 커버하여 작동나사부(321)의 직선 이동을 유도한다. 일 예로, 작동커버부(322)는 관 형상을 하여 전달축부(31)가 내장될 수 있다. 작동커버부(322)의 내측면은 작동나사부(321)와 맞물려 작동나사부(321)의 회전을 제한하고 직선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작동커버부(322)의 측면은 개구될 수 있다.
작동막대부(323)는 작동나사부(321)에 결합되어 압박부(40)와 나란히 배치된다. 작동막대부(323)는 길이방향으로 장방홀부(325)가 형성되어 전달핀부(33)가 관통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작동막대부(323)는 후단부가 작동나사부(32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마주보고, 작동커버부(322)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전달핀부(33)는 작동막대부(323)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장방홀부(325)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에서 압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40)는 압박실린더부(41)와, 압박피스톤부(42)와, 압박탄성부(43)와, 압박스토퍼부(44)와, 압박해제부(45)를 포함한다.
압박실린더부(41)는 전달축부(31)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전달핀부(33)가 내부에서 직선 이동된다. 일 예로, 압박실린더부(41)는 작동커버부(322)의 단부와 결합되어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압박실린더부(41)는 덕트 형상을 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마주보는 한 쌍의 양측면에는 전달핀부(33)가 이동 가능한 압박홀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압박피스톤부(42)는 전달핀부(33)에 관통되고, 전달핀부(33)와 연동되어 압박실린더부(41) 내부에서 직선 이동된다. 압박피스톤부(42)는 주사기(100)를 가압한다. 즉, 압박피스톤부(42)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주사피스톤(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압박탄성부(43)는 압박실린더부(41)에 내장되고, 압박피스톤부(42)를 탄성 지지한다. 압박탄성부(43)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고, 후단부가 압박실린더부(41)의 후단부에 지지되며, 전단부가 압박피스톤부(42)를 지지할 수 있다.
압박스토퍼부(44)는 압박실린더부(41)에 장착되고, 압박피스톤부(42)의 후방 이동시 압박피스톤부(42)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압박스토퍼부(44)는 압박피스톤부(42)가 후방 이동되어 압박탄성부(43)가 수축될 때 압박피스톤부(42)에 걸려 압박피스톤부(4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압박해제부(45)는 압박실린더부(41)에 장착되고, 압박스토퍼부(44)를 작동시켜 압박피스톤부(42)의 이동 제한을 해제한다. 즉, 압박해제부(45)에 의해 압박피스톤부(4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면, 압박탄성부(43)의 복원력에 의해 압박피스톤부(42)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주사피스톤(10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스토퍼부(44)는 스토퍼몸체부(441)와, 스토퍼연장부(442)와, 스토퍼탄성부(443)와, 스토퍼연계부(444)를 포함한다.
스토퍼몸체부(441)는 압박실린더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부가 압박실린더부(41)를 관통하여 압박피스톤부(42)에 걸린다. 일 예로, 스토퍼몸체부(441)는 압박실린더부(41)의 상부에 핀 결합되고, 압박실린더부(41)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홀부(412)를 통해 후방 이동된 압박피스톤부(42)에 걸릴 수 있다.
스토퍼연장부(442)는 스토퍼몸체부(441)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스토퍼연계부(444)는 스토퍼몸체부(44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압박해제부(45)와 연계된다.
스토퍼탄성부(443)는 스토퍼연장부(442)와 압박실린더부(41) 사이에 배치되고, 스토퍼연장부(442)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스토퍼탄성부(443)는 압박실린더부(41)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413)에 삽입되어 상방에 위치되는 스토퍼연장부(442)를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탄성부(443)에 의해 스토퍼몸체부(441)는 회전되어 하단부가 압박피스톤부(42)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해제부(45)는 해제몸체부(451)와, 해제연장부(452)와, 해제연계부(453)와, 해제버튼부(454)를 포함한다.
해제몸체부(451)는 압박실린더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해제몸체부(451)는 압박실린더부(41)의 상부에 핀 결합되고, 스토퍼몸체부(44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해제연장부(452)는 해제몸체부(4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스토퍼연계부(444)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토퍼탄성부(443)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연계부(444)가 해제연장부(452)를 눌러 해제몸체부(4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해제연계부(453)는 해제몸체부(451)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해제버튼부(454)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해제연장부(452)가 스토퍼연계부(444)를 들어 올리도록 해제연계부(453)를 가압한다. 일 예로, 해제버튼부(454)는 평상시 해제연계부(453)에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덮개부(11)에 장착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버튼부(454)가 가압되면 해제연계부(453)가 하방 이동되면서 해제몸체부(4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1)는 센서부(50)와, 점등부(60)와,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주사기(100)와, 전달부(30)와, 압박부(40)의 상태 또는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0)는 센서부(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점등부(60)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제어부(70)의 제어로 램프가 점멸된다. 이때, 점등부(60)는 하나 이상이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점등부(60)의 점등 여부를 통해 정상 작동 및 주사기(100) 주입 시기 등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50)는 제1센서부(51)와, 제2센서부(52)와, 제3센서부(53)와, 제4센서부(54)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51)는 주사기(1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제1센서부(51)는 하우징고정부(12)에 주사기(10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부(51)는 하우징고정부(12)에 설치되고 주사기(100) 장착시 압박을 감지거나, 하우징덮개부(1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센서부(52)와 제3센서부(53)는 전달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제2센서부(52)는 작동막대부(323)가 설계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제3센서부(53)는 작동막대부(323)가 설계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부(52)와 제3센서부(53)는 하우징덮개부(11)의 내측에 장착되고, 작동막대부(323)에 장착되는 피감지부(34)를 감지할 수 있다.
제4센서부(54)는 압박부(4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제4센서부(54)는 압박피스톤부(4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센서부(54)는 압박피스톤부(42)가 설계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4센서부(54)는 하우징덮개부(1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4센서부(54)가 압박피스톤부(42)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압박피스톤부(42)가 전진하여 주사액이 분사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점등부(60)는 제2센서부(52)와 연계되어 점등되는 전진램프(62)와, 제3센서부(53)와 연계되어 점등되는 후진램프(63)와, 제4센서부(54)와 연계되어 점등되는 압박램프(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압박부의 압박피스톤부가 후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주사기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서 해제버튼부가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압박피스톤부가 전방 이동되어 주사기에 저장된 주사액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휴대용 주입장치(1)를 환자에게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주입장치(1)에 전원을 인가한 후, 작동막대부(323)가 설계된 바와 같이 전방 이동되어 제2센서부(52)가 이를 감지하면, 전진램프(62)가 점등된다.
전진램프(62)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구동버튼부(23)를 누른다. 구동버튼부(23)가 1차 가압되면, 구동모터부(22)가 구동되어 구동축(2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축(2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달작동부(32)가 후방 이동된다. 전달작동부(32)가 후방 이동되면, 전달핀부(33) 및 전달핀부(33)와 연결된 압박피스톤부(42)가 후방 이동된다. 이때, 압박피스톤부(42)를 탄성 지지하는 압박탄성부(43)는 수축되고, 압박피스톤부(42)는 압박스토퍼부(4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도 7 참조).
압박피스톤부(42)가 후방 이동되어 제4센서부(54)가 이를 감지하면, 압박램프(64)가 점등된다. 압박램프(64)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하우징고정부(12)에 주사기(100)를 장착한다. 이때, 주사액이 저장된 주사실린더(101)는 하우징고정부(12)에 체결되고, 주사피스톤(102)은 압박실린더부(41)에 삽입된다(도 8 참조).
주사기(100)가 장착되면, 사용자는 구동버튼부(23)를 누른다. 구동버튼부(23)가 재차 가압되면, 구동모터부(22)가 구동되어 구동축(221)이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축(22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달작동부(32)가 전방 이동된다. 전달작동부(32)가 전방 이동되더라도 압박피스톤부(42)는 압박스토퍼부(4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전달작동부(32)만 전방 이동되어 안전장치가 해제되면, 제2센서부(52)가 이를 감지하여 전진램프(62)가 점등된다.
전진램프(62)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주사기(100)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시킨 후 해제버튼부(454)를 누른다. 사용자가 해제버튼부(454)를 누르면, 해제몸체부(451) 및 해제연장부(452)가 회전되면서 해제연장부(452)의 상방에 배치되는 압박스토퍼부(44)를 회전시킨다(도 9 참조).
압박스토퍼부(44)가 회전되면서 압박피스톤부(42)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압박탄성부(43)의 복원력에 의해 압박피스톤부(4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주사피스톤(10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사액이 환자의 피부에 신속하게 주입된다(도 10 참조). 한편, 점등부(60)의 점등시 음성으로 작동 상태 등을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1)는 주사기(100)가 장착되는 하우징부(10) 내부에 주사기(100)를 자동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노약자도 편리하게 주사를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1)는 주사기(100)의 주사실린더(101) 단부가 하우징고정부(12)에 체결됨으로써, 압박부(40)가 주사기(100)의 주사피스톤(102)을 가압하면 주사피스톤(102)만 이동되어 주사액이 피부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주입장치(1)는 구동배터리부(21)가 충전되어 구동모터부(22)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외출 또는 장기 여행시에도 지속적으로 주사를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11 : 하우징덮개부
12 : 하우징고정부 20 : 구동부
21 : 구동배터리부 22 : 구동모터부
23 : 구동버튼부 30 : 전달부
31 : 전달축부 32 : 전달작동부
33 : 전달핀부 40 : 압박부
41 : 압박실린더부 42 : 압박피스톤부
43 : 압박탄성부 44 : 압박스토퍼부
45 : 압박해제부 50 : 센서부
51 : 제1센서부 52 : 제2센서부
53 : 제3센서부 54 : 제4센서부
60 : 제어부 100 : 주사기

Claims (10)

  1. 주사기가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달축부;
    상기 전달축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전달작동부; 및
    상기 전달작동부와 상기 압박부를 연결하여 상기 압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작동부는
    상기 전달축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작동나사부;
    상기 작동나사부를 커버하여 상기 작동나사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커버부; 및
    상기 작동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박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장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달핀부가 관통되는 작동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2. 주사기가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달축부;
    상기 전달축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전달작동부; 및
    상기 전달작동부와 상기 압박부를 연결하여 상기 압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전달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핀부가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압박실린더부;
    상기 전달핀부가 관통되고, 상기 주사기를 가압하는 압박피스톤부;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내장되고, 상기 압박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압박탄성부;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시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압박스토퍼부; 및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박스토퍼부를 작동시켜 상기 압박피스톤부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압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부;
    상기 구동배터리부에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되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부의 구동을 인가하는 구동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가 내장되는 하우징덮개부; 및
    상기 하우징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사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스토퍼부는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부가 상기 압박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압박피스톤부에 걸리는 스토퍼몸체부;
    상기 스토퍼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스토퍼연장부;
    상기 스토퍼연장부와 상기 압박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연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탄성부; 및
    상기 스토퍼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박해제부와 연계되는 스토퍼연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해제부는
    상기 압박실린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해제몸체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연계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해제연장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해제연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해제연장부가 상기 스토퍼연계부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해제연계부를 가압하는 해제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와, 상기 전달부와, 상기 압박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점등되는 하나 이상의 점등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점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주사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전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와 제3센서부; 및
    상기 압박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4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입장치.
KR1020160039570A 2016-03-31 2016-03-31 휴대용 주입장치 KR10167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70A KR101673227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70A KR101673227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227B1 true KR101673227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70A KR101673227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2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20A (ko) * 2003-03-31 2003-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시린지펌프
US20090036868A1 (en) * 2007-08-01 2009-02-05 Raffi Pinedjian Spring Driven Ophthalmic Injection Device with Safety Actuator Lockout Feature
US20120056019A1 (en) * 2009-03-03 2012-03-08 Dieter Hölze Technik-Projekte Gmbh Injection device having injection volume adjustment
US20120109061A1 (en) * 2002-05-31 2012-05-03 Miller Larry J Apparatus and Method to Inject Fluids into Bone Marrow and Other Target Si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9061A1 (en) * 2002-05-31 2012-05-03 Miller Larry J Apparatus and Method to Inject Fluids into Bone Marrow and Other Target Sites
KR20030036420A (ko) * 2003-03-31 2003-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시린지펌프
US20090036868A1 (en) * 2007-08-01 2009-02-05 Raffi Pinedjian Spring Driven Ophthalmic Injection Device with Safety Actuator Lockout Feature
US20120056019A1 (en) * 2009-03-03 2012-03-08 Dieter Hölze Technik-Projekte Gmbh Injection device having injection volume adjus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7609B (zh) 药物供给装置
EP2180912B1 (en) Injection system with base station
GB0214452D0 (en) Medical needle assemblies
WO2005097238A3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MY154721A (en) Injection device
GB2443606B (en) Injection device
JP2009514572A (ja) 自動注射器を作動させるトリガ要素
NZ593137A (en) Auto-injector apparatus with a pump for engaging with a flexible medicament container to expel the medicament
RU2014113407A (ru) Перезаряжаем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KR102102176B1 (ko) 니들 프리 피내 주입 장치
KR101487908B1 (ko) 피부 시술 장치
WO2008050158A3 (en) Medical needle safety devices
IL164969A0 (en) Injection device
JP2011530361A5 (ko)
KR102003335B1 (ko) 자동 주사 장치
WO2009013011A3 (de) Injektionseinrichtung zur injektion in biologisches gewebe und injektionsdepot
CN114555154A (zh) 自动注射装置
KR102430181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1673227B1 (ko) 휴대용 주입장치
KR101660457B1 (ko) 이중압력센서를 이용한 자동주입제어식 자동주사장치
KR100705607B1 (ko) 약물주사용 건의 약물손실방지장치
CN113171518A (zh) 一种儿童辅助自动皮下注射器
WO2021058525A1 (en) Auto-injector
US11052192B2 (en) Disposable inserter and reusable inserter for accommodating a disposable inserter
AU675172B2 (en) Injector with retractable shro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