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63B1 -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63B1
KR101672963B1 KR1020150003949A KR20150003949A KR101672963B1 KR 101672963 B1 KR101672963 B1 KR 101672963B1 KR 1020150003949 A KR1020150003949 A KR 1020150003949A KR 20150003949 A KR20150003949 A KR 20150003949A KR 101672963 B1 KR101672963 B1 KR 10167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ail
hole
fram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544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폴리텍
Priority to KR102015000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 이들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통공(121)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삽입공(111)을 형성되어 상기 통공(121)과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맞춤못(140)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110,120,130)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창호의 프레임을 재활용 합성수지로 제작하되 철재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측면 프레임에는 맞춤못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다수개의 걸림판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으로 설계된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는 통공을 형성하되 통공 내측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맞춤못을 견고하게 물어 맞춤못이 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문(창문)프레임 또는 문틀(창문틀)프레임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Door or window frame using dowel}
본 발명은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보강재 없이 재활용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창호용 프레임을 제작하되 손쉽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개 창호, 즉 문과 문틀, 창과 창틀(이하 창호라 통칭한다)의 프레임은 종래 목재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합성수지제로 대체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제 창호프레임은 목재로 제작되는 창호에 비해 경량화 및 단가절감 등에서 유리하여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문짝프레임(10) 또는 좌우 문짝프레임(10) 에 중공(11)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11)에 금속 보강부재를 끼워넣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문짝프레임(10)들은 상호 접하는 부분에 각각 핀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홀(15)에 결합핀(17)을 삽입시켜서 상호 접하는 프레임들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문짝(1)의 틀 형태를 구조를 갖는다.
이때 결합핀, 즉 맞춤못은 다모 또는 다보라고도 하는데, 종래의 맞춤못은 일측단은 일측의 프레임에, 타측단은 접하는 타측의 프레임에 삽입되므로 외부로는 전혀 눈에 띄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되나, 단순한 원통형상에 외측면에 나선형의 홈만 형성된 구조여서 프레임의 삽입구멍이 조금이라도 크게되면 맞춤못이 헐거워져 견고한 결합이 곤란하고, 또 구멍이 조금이라도 작은 경우에는 맞춤못이 들어가지 않아 결합 자체가 곤란한 폐단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에는 상기 맞춤못을 홀딩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 맞춤못이 쉬 이탈되거나 헐거워지면서 결국 프레임의 결합력이 약화되지게 되어 문틀과 창틀이 틀어지기도 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특허공개번호 : 10-2011-0079002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호의 프레임을 재활용 합성수지로 제작하되 철재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프레임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또 손쉬운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창호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통공을 형성하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는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걸림판부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부 프레임의 통공과 측면 프레임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는 맞춤못에 의해 각 프레임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의 걸림판부재에는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의 걸림판부재 중 중앙에 형성되는 걸림판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통공에는 내측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창호의 프레임을 재활용 합성수지로 제작하되 철재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측면 프레임에는 맞춤못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다수개의 걸림판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으로 설계된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는 통공을 형성하되 통공 내측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맞춤못을 견고하게 물어 맞춤못이 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문(창문)프레임 또는 문틀(창문틀)프레임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창호용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창호용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일측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W-W선 단면도.
도 7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단면도.
도 8은 측면 프레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창호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 이들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통공(121)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삽입공(111)을 형성되어 상기 통공(121)과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맞춤못(140)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110,120,130)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걸림판부재(112)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판부재(1120의 중앙에는 돌기(11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판부재(112) 중 중앙부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걸림판부재(112b)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판부재(112)는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맞춤못(140)의 일단이 박히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걸림판부재(112)에 돌기(112a)를 형성하고, 중간부에는 원형 걸림판부재(112b)를 형성하는 이유는 재활용 합성수지로 문(창문) 및 문틀(창틀)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이 뒤틀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맞춤못(140)의 견고한 결합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에는 맞춤못(140)의 타측을 삽입하기 위한 통공(1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통공(121)은 원통관(121a)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관(121a)은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강대(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통공(121)의 형성은 원통관(121a)의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관(121a)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23)가 형성되도록 하여 통공(121)을 통해 삽입되는 맞춤못(140)의 직경이 통공(121)의 직경보다 조금 작더라도 돌기가 이그러지면서 맞춤못(140)의 외측을 지탱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 삽입공(111)과 통공(121)은 맞춤못(140)의 직경이 조금 작더라도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또 삽입공(111)과 통공(121)의 내측 직경과 맞춤못(140)의 외측 직경이 동일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당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프레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100) 뿐만 아니라 창호를 감싸는 창호틀(200), 즉 문틀과 창문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어떠한 제품에라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창호용 프레임
110: 측면 프레임 111: 삽입공
112: 걸림판부재 120: 상부 프레임
121: 통공 122: 보강대
123; 돌기 130: 하부 프레임
140: 맞춤못 200; 창호틀

Claims (3)

  1.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 이들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통공(121)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형성되도록 하는 창호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2개 이상의 걸림판부재(112)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판부재(112)중 어느 하나는 중앙에 돌기(11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원통형상의 걸림판부재(112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통공(121)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에는 원통관(121a)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통관(121a)의 내측면으로는 다수개의 돌기(123)가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150003949A 2015-01-11 2015-01-11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KR10167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49A KR101672963B1 (ko) 2015-01-11 2015-01-11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49A KR101672963B1 (ko) 2015-01-11 2015-01-11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44A KR20160086544A (ko) 2016-07-20
KR101672963B1 true KR101672963B1 (ko) 2016-11-04

Family

ID=5667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949A KR101672963B1 (ko) 2015-01-11 2015-01-11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067Y1 (ko) * 2000-08-18 2001-02-15 주식회사샤인화학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JP2002089145A (ja) * 2000-09-19 2002-03-27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用補助サッシ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878A (ko) *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보강돌기가 형성된 철판형 보강부재를 갖는 합성수지재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067Y1 (ko) * 2000-08-18 2001-02-15 주식회사샤인화학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JP2002089145A (ja) * 2000-09-19 2002-03-27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用補助サ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44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5554A1 (en) Friction picket system
US7232114B2 (en) Fence assembly with rail clip for use therewith
US20140215772A1 (en) Connecting element
KR101522945B1 (ko) 문틀 보강프레임
KR101672963B1 (ko) 맞춤못을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
US10711813B2 (en) Attachment device providing double engagement for high retention
US20160265268A1 (en) Corner for a screen frame
KR101616526B1 (ko) 발포성 합성수지 문틀구조
EP2754786B1 (en) Control and operating unit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951348B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101582284B1 (ko) 방화문용 문틀
KR20190123844A (ko)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KR200480644Y1 (ko) 프레임 결합용 연결브라킷
KR101562886B1 (ko) 등간격 가변형 조립식 문틀
KR200472011Y1 (ko) 박스의 조립 구조
KR200403203Y1 (ko) 차음 펜스용 플라스틱 패널
KR101681077B1 (ko) 창호용 프레임 결합을 위한 맞춤못
KR101614354B1 (ko) 보강프레임 결합홈을 갖는 문틀
KR200393547Y1 (ko) 조립식 창호
KR101708475B1 (ko) 철근정착장치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US20140338117A1 (en) Curved shower rod attachment
KR101418213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20190000592U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