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703B1 -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 Google Patents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703B1
KR101672703B1 KR1020140184333A KR20140184333A KR101672703B1 KR 101672703 B1 KR101672703 B1 KR 101672703B1 KR 1020140184333 A KR1020140184333 A KR 1020140184333A KR 20140184333 A KR20140184333 A KR 20140184333A KR 101672703 B1 KR101672703 B1 KR 10167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gas
tank
liqui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904A (ko
Inventor
박관순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종합화학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종합화학, 박종진 filed Critical (주)한국종합화학
Priority to KR102014018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7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물질이 발생된 지역으로 즉각적인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액상 또는 가스 등의 유해물질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 및 저장이송 또한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유해가스의 경우에는 탱크로리 내부 자체에서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유해액체의 경우에는 유해물질처리장소로 저장이송하되, 이송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스크러버를 통해 처리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REMOVAL VEHICLE OF HARMFUL SUBSTANCE AND ACID AND ALKALINE REMAINING GAS}
본 발명은 유해물질 발생지역으로 이송되어, 유해물질의 가스 및 액상형태에 상관없이 제거 및 저장이송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제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용접이나 별도의 다양한 공정처리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며 또 비산업 현장에서도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액체는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해가스는 작업자는 물론 작업자 주위 및 주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발생 즉시 작업장과 멀리 떨어진 외부로 이송하여 배출하거나 또는 여과기로 이송하여 여과한 후 배출해야만 원활한 공정작업 및 환경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유해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기나 여과장치는 설치규모가 대규모일뿐만 아니라, 처리시설을 갖추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공정마다 영세공장마다 설치하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며, 설치가 되어 있더라도 외부로의 유해가스 및 물질의 누출 및 누수는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더불어, 이러한 여과 및 처리시설은 일정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의 처리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물질이 발생된 지역으로 장소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해당 유해물질이 가스나 액상 어느것이어도 처리가 가능토록 하며, 유해가스의 경우에는 직접 내부에서 처리하여 배출하고, 유해액체의 경우에는 발생되는 잔여가스는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면서 유해물질처리장소로 안정하게 저장이송할 수 있도록 한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해물질 발생지역으로 이송되어, 해당 유해가스 및 액체를 처리하는 제거차량에 있어서, 유해물질 발생지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이송가능한 제거차량(1);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일단에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가 분기설치되는 흡입관(10);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0) 일부가 내설되어, 내부에 유해물질이 저장 또는 처리되는 탱크로리(20); 상기 탱크로리(20) 내의 유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탱크로리(20)에 설치되는 스크러버 배출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해물질 발생지역으로 바로 이동되어 해당 유해물질을 저장 및 처리함으로써, 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가스 또는 액상이든 무관하게 처리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로리 내부에 저장되어 이송되는 유해물질에서 발생되는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로리 및 흡입관을 테프론 라이닝 처리하여 부식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장기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을 이용하여 유해액체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유해물질 발생지역으로 이송되어, 해당 유해가스 및 액체를 처리하는 제거차량에 있어서, 유해물질 발생지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이송가능한 제거차량(1);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일단에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가 분기설치되는 흡입관(10);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0) 일부가 내설되어, 내부에 유해물질이 저장 또는 처리되는 탱크로리(20); 상기 탱크로리(20) 내의 유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탱크로리(20)에 설치되는 스크러버 배출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로리(20)는 상기 유해가스 흡입구(11)를 통해 가스형태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사전에 탱크로리(20) 내부에 물 또는 가스 흡수제를 충진시켜,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로리(20) 내 물 또는 가스 흡수제는 유해가스를 흡수할 수 없는 사전설정 포화농도에 이르면, 외부로 배출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로리(20)는 상기 유해액체 흡입구(12)를 통해 액상형태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 배출부(30)를 통해 유해 잔여가스가 제거되면서, 유해물질처리장소로 저장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은 흡입관(10), 탱크로리(20), 스크러버 배출부(3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제거차량으로써, 유해물질 발생지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이송가능한 제거차량(1)을 통해, 유해물질이 발생된 지역으로 즉각적이고 빠른 장소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흡입관(10)은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단이 개구되되 개구된 일단이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로 이루어지는 2개의 흡입구로 분기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고, 타단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공(15)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일단으로부터 흡입된 유해가스 또는 유해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흡입관(10)의 분기된 일단, 즉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에는 각각 내산펌프(14) 및 테프론 라이닝 처리된 버터플라이 밸브(13) 등이 설치되어, 유해가스 및 유해액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흡입관(10)의 복수개 흡입구는 주름관 형태가 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등 유해물질에 인접하여 흡입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이다.
상기 탱크로리(20)는 내부가 비어있는 것으로, 전술된 흡입관(10) 중 타단이 일부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것이다.
즉, 흡입관(10)의 일단을 통해 외부에 누수 및 누출된 유해물질(유해가스 및 유해액체)을 흡입하면, 이러한 유해물질은 탱크로리(20)에 내설된 흡입관(10) 타단의 배출공(15)을 통해 탱크로리(20)에 방출되어, 탱크로리(20)에 저장되는 형태가 된다.
물론, 이러한 탱크로리(20) 및 전술된 흡입관(10)의 경우, 부식방지를 위해 테프론 라이닝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유해물질에 의한 부식발생 위험이 있는 부분이면, 이러한 테프론 라이닝 처리는 되어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탱크로리(20)의 경우, 전술된 흡입관(10)의 복수개의 흡입구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액체 흡입구(12)를 통해 액상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탱크로리(20) 내부에 이러한 유해물질이 흡입저장된 상태로, 유해물질(유해액체)을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유해물질처리장소(ex: 폐수처리장 등)로 안정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이송 중 탱크로리(20) 내에서 유해액체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가스(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는 후술될 스크러버 배출부(30)를 통해 여과되어 처리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된 흡입관(10)의 복수개의 흡입구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가스 흡입구(11)를 통해 가스형태의 유해물질이 탱크로리(20)에 유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전에 탱크로리(20) 내부에 물 또는 가스 흡수제 등 다양한 가스 흡수물질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충진시켜, 이러게 충진된 물 및 가스 흡수제 내부에 흡입관(10)의 타단이 잠겨있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흡입관(10) 타단의 배출공(15)을 통해 유해가스가 되면, 배출되는 유해가스는 탱크로리(20)에 채워져 있는 물과 가스 흡수제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 성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거된 유해가스의 잔여가스(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등)는 유해액체가 유입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후술될 스크러버 배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탱크로리(20)의 경우, 다양한 물 및 가스 흡수제(가스 흡수물질)를 탱크로리(20)에 채우기 위해, 온/오프(on/off) 밸브가 설치된 주입구(21) 및 이러한 주입구(21)와 연결된 가스 흡수제 주입펌프(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로리(20) 내 물 또는 가스 흡수제가 유해가스를 흡수할 수 없는 사전설정 포화농도에 이를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해, 또 다른 온/오프(on/off) 밸브 및 배출펌프(24)가 구비된 배출 드레인(23) 또한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러버 배출부(30)는 탱크로리(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유해액체 이송시 발생되는 잔여가스(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가스 처리시의 잔여가스(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스크러버 배출부(30)는 탱크로리(20)에 연통설치되어, 상기의 잔여가스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러버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라, 다양한 형태의 스크러버(scrubber)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렇게 스크러버로 여과된 여과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팬(31) 또한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의 부호인 '25'는 안전밸브를 의미하며, 전술된 스크러버 배출부(30) 등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사용되어, 탱크로리(2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제거차량 10: 흡입관
11: 유해가스 흡입구 12: 유해액체 흡입구
13: 버터플라이 밸브 14: 내산펌프
15: 배출공 20: 탱크로리
21: 주입구 22: 주입펌프
23: 배출 드레인 24: 배출펌프
25: 안전밸브 30: 스크러버 배출부
31: 송풍팬

Claims (4)

  1. 유해물질 발생지역으로 이송되어, 해당 유해가스 및 액체를 처리하는 제거차량에 있어서,
    유해물질 발생지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이송가능한 제거차량(1);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일단에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가 분기설치되며, 상기 유해가스 흡입구(11)와 유해액체 흡입구(12)에 내산펌프(14) 및 버터플라이 밸브(13)가 설치되는 흡입관(10);
    상기 제거차량(1)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0) 일부가 내설되어, 내부에 유해물질이 저장 또는 처리되는 탱크로리(20);
    상기 탱크로리(20) 내의 유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탱크로리(20)에 설치되는 스크러버 배출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탱크로리(20)는
    상기 유해가스 흡입구(11)를 통해 가스형태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사전에 탱크로리(20) 내부에 물 또는 가스 흡수제를 충진시켜,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며,
    상기 스크러버 배출부(30) 등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탱크로리(20)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안전밸브(25)가 상기 탱크로리(20)의 상측에 더 구비되고,
    상기 탱크로리(20) 내 물 또는 가스 흡수제는
    유해가스를 흡수할 수 없는 사전설정 포화농도에 이르면, 외부로 배출처리되고,
    상기 탱크로리(20)는
    상기 유해액체 흡입구(12)를 통해 액상형태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 배출부(30)를 통해 유해 잔여가스가 제거되면서, 유해물질처리장소로 저장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84333A 2014-12-19 2014-12-19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KR10167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33A KR101672703B1 (ko) 2014-12-19 2014-12-19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33A KR101672703B1 (ko) 2014-12-19 2014-12-19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04A KR20160075904A (ko) 2016-06-30
KR101672703B1 true KR101672703B1 (ko) 2016-11-07

Family

ID=5635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333A KR101672703B1 (ko) 2014-12-19 2014-12-19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7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30B1 (ko) 2005-09-15 2007-03-09 포아센산업 주식회사 분진,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KR100874991B1 (ko) 2008-04-03 2008-12-19 주식회사 한성기건 지하생활공간용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14B1 (ko) * 2004-08-19 2006-07-13 코아텍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
KR100653824B1 (ko) * 2004-12-28 2006-12-05 김재용 비상용 가스 스크라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30B1 (ko) 2005-09-15 2007-03-09 포아센산업 주식회사 분진,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KR100874991B1 (ko) 2008-04-03 2008-12-19 주식회사 한성기건 지하생활공간용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04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002443U (zh) 一种化学实验室废液处理装置
CN203763998U (zh) 一种工业废水过滤装置
CN107555672B (zh) 一种小型工业废水处理设备
KR101421109B1 (ko) 유해물질 제독방법 및 유해물질 제독장치
KR101672703B1 (ko) 산 또는 알칼리 잔여가스 및 유해물질 제거차량
CA2906234C (en) Sealing apparatus for mitigating emissions of hazardous gases
KR100824162B1 (ko) 유해 가스 제거 장치
KR101643139B1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배기관의 드레인포켓
JP6571549B2 (ja) アンモニア処理装置及びアンモニア処理方法
KR101976418B1 (ko) 트레일러 장착용 모듈식 스케일 및 유해화학물질 제거 장치
KR101827915B1 (ko) 악취제거장치
CN204768231U (zh) 一种磷化氢环流熏蒸尾气处理装置
CN202682421U (zh) 一种检验科废液处理装置
KR101610855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용 커넥터
CN203767995U (zh) 己内酰胺槽车卸料装置
KR101527773B1 (ko) 방사성폐기물 제염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 제염처리방법
KR101392510B1 (ko) 유류 저장탱크의 유해가스 치환장치
RU1684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CN203886393U (zh) Cit实验室废气处理装置
CA2535672A1 (en) Settling and evaporation tank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2584151B1 (ko) 선박의 암모니아처리시스템
KR20150123355A (ko) 금속표면처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497915B1 (ko) 금속표면처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CN203794730U (zh) 医疗废液处理、存储装置
CN207641237U (zh) 蒸汽吸收系统及其改进型吸收液循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