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69B1 -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169B1 KR101672169B1 KR1020160061997A KR20160061997A KR101672169B1 KR 101672169 B1 KR101672169 B1 KR 101672169B1 KR 1020160061997 A KR1020160061997 A KR 1020160061997A KR 20160061997 A KR20160061997 A KR 20160061997A KR 101672169 B1 KR101672169 B1 KR 101672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ilure
- aeration tank
- aeration
- electric sign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148470 aerobic 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Y02W10/1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기조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폭기조에 기포가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은 하수가 공급 수용되는 폭기조;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폭기조의 내부 저면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장치; 상기 폭기조 내부에 공급되는 기포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 장치;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 상기 고장판단값을 전달하고,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공급장치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은 하수가 공급 수용되는 폭기조;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폭기조의 내부 저면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장치; 상기 폭기조 내부에 공급되는 기포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 장치;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 상기 고장판단값을 전달하고,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공급장치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폭기조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폭기조에 기포가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란, 생활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총칭하는 것으로써, 크게 오수와 우수로 구성되는데, 오수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폐수, 지하수 등이 집합된 것이며, 우수란 빗물이 도로 등의 배수로를 통해 모아진 물을 말한다.
하수의 특징은 질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지역에 따라 상이하며, 오수와 우수를 함께 집수하는 집수식, 또는 별도로 분류하는 분류식인가에 따라서 그 특성이 다르며, 또한 처리구역의 지역적 특성이나 규모, 주거민의 생활양식, 공장의 형태 또는 계절에 따라서도 양적, 질적으로 다르게 발생된다.
이러한 하수는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으로부터 공공위생을 보호하고 맑은 하천, 해안, 식수를 위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하수처리를 통해 정화되는데, 하수처리는 하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고 오염물질과 유기물을 감소시키며, 산호를 회복시키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하수처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수를 인공적으로 정화하여 하수에 포함된 오탁 성분을 분리, 제거하여 하수를 맑고 안전한 물로 만드는 일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하수유입, 간이 처리, 최초침전지, 폭기조, 최종침전지 및 처리수 방류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상기의 과정 중, 폭기조에서는 활성슬러지법 또는 살수여상법 등에 의해서 최초 침전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처리하게 된다.
이 중에서 활성슬러지법은 폭기조에 유입되는 하수가 호기성 세균으로 구성된 활성슬러지와 혼합되며, 동시에 산기장치로부터 호기성세균의 생활환경에 적합한 용존산소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기포가 발포되는데, 호기성 세균은 하수 중의 유기물질을 영양분으로 하여 배양되어 침전되기 쉽도록 응집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하는 수처리공정 제어장치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57119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수처리공정 제어장치는 집수조와 폭기조의 부유물 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 산출부에서 측정부로부터 획득한 유기물 농도와 부유물 농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연산로직을 통하여 F/M비(Food to Microorgamism ratio)를 산출하고, 산출된 F/M비와 기설정된 F/M비를 비교하여 수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수처리 공정 제어장치는 하수의 농도에 따라 전체 정화 공정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폭기조에서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폭기조를 구성하는 장치 중 일부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처리 공정 제어장치는 폭기조에서 문제가 발생된 정도로만 판단이 가능하고, 고장원인이 되는 장치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고장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폭기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를 검사해야 함에 따라, 고장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검사를 실시하는 작업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작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폭기조에 기포가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장 검출부가 상기 공급장치의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함에 따라,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은 하수가 공급 수용되는 폭기조;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폭기조의 내부 저면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장치; 상기 폭기조 내부에 공급되는 기포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 장치;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 상기 고장판단값을 전달하고, 상기 동작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공급장치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동작 감지 장치는, 상기 펌프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 및 압력을 측정하는 펌프 동작 감시부; 상기 폭기조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폭기조에 공급된 산소에 의해 동작되며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폭기 상태 감시부; 상기 펌프 동작 감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 및 압력값을 전달받고,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태정보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고장판단을 위한 고장판단값을 전달받아 상기 고장 검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고장 검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중앙서버 상호 구성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는, 하면이 격자 형태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 내부에 공급된 하수 및 산소가 하방에서 공급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하방에서 상승되는 산소에 의해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는 플로트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전기신호가 생산되며, 생산된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장 검출부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가 비연속 전기신호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기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연속적인 전기신호인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장 검출부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가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측정된 전류값 및 압력값과 상기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폭기 상태 감시부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고,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하도록 함에 따라, 고장시 사용자가 정확한 고장원인을 찾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쉽게 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시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 이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시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 이후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폭기조(100)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rp는 동작 감지 장치(300)를 이용하여 폭기조(100)에 기포가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 상태 감시부의 활성 상태 이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폭기조(100), 공급장치(200), 동작 감지 장치(300), 중앙서버(400)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폭기조(100)는 활성슬러지법에 의해 하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하수가 공급되어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폭기조(100) 내부로 하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공급관 및 배출관의 구성은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명하게 필요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해서 자세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공급장치(200)는 상기 폭기조(100)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210)와 상기 펌프(210)에 의해 상기 폭기조(100)의 내부 저면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포 공급관(220)의 일측은 상기 펌프(210)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다량의 기공이 형성된 공급노즐(221)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노즐(221)이 상기 폭기조(100)의 내부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기포 공급관(2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산소가 유동되어 상기 폭기조(100) 내부로 기포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포 공급관(220)은 상기 폭기조(100)의 전 영역에 걸쳐 기포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는 상기 폭기조(100)의 정상운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공급된 기포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가 상기 폭기조(100)의 정상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서버(400)는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로 상기 고장판단값을 전달하고,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로부터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장판단값은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의 고장여부 판단을 위해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폭기에 사용되는 상기 펌프(210)의 출력 및 상기 기포 공급관(220)의 직경 및 길이 등에 의해 계산되어 저장된다. 부연하면, 상기 고장판단값은 상기 펌프(210)의 정상 작동시의 전류값, 상기 펌프(210)의 정상 작동시의 토출 압력값 및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의 비연속성 여부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공급장치(200) 규격의 변경에 따라 계산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상기 폭기조(100)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서버(400)로부터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상태에서 직관적으로 고장여부를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폭기조(100) 내에서 정상적으로 폭기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는 펌프 동작 감시부(310), 폭기 상태 감시부(320), 고장 검출부(340), 제어부(330) 및 통신부(35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폭기 상태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는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기포가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폭기조(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폭기조(100)에 공급된 기포에 의해 상하로 동작되면서 전기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는 케이스(321), 플로트부(322) 및 스위치부(3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21)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면이 격자형태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공급된 하수 및 기포가 하방에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트부(322)는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서 상승하는 기포에 의해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방에서 상승되는 기포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323)는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부(322)의 상하운동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상기 전기신호는 후술할 고장 검출부(340)로 전달되고, 상기 고장 검출부(340)에서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323)는 접점부(323a)에 스위치 손잡이(323b)가 접촉됨에 따라 전기신호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부(323a)는 상기 케이스(321)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32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접점부(323a)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가 상기 접점부(323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전기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하수가 만수위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부(322)와 상기 스위치부(323)는 상호 구성 간에 비접촉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정상적으로 기포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321) 내부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해 상기 플로트부(322)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상기 플로트부(322)가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를 자연적으로 상측으로 밀어올림에 따라,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가 상기 접점부(323a)에 접촉되면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이후 상승된 기포가 수면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상기 플로트부(322)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가 상기 접점부(323a)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신호가 끊어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불연속의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즉,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는 상기 폭기조(100)에서 폭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불연속의 전기신호가 발생되므로, 상기 스위치부(323)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의 연속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고장여부를 진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는 상기 플로트부(322)가 정확하게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의 타측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321)의 측벽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 격벽(32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 격벽(324)에 의해 상기 플로트부(322)는 상기 접점부(323a)의 하측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손잡이(323b)를 밀어올림으로써, 발생되는 전기신호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펌프 동작 감시부(310)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확한 고장 원인을 찾기 위해 상기 펌프(210)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21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값 및 압력값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펌프(21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전기 회로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펌프(21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상기 펌프(210)를 구성하는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펌프 동작 감시부(310)는 상기 펌프(210)에 전류를 인가하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부(211)에 전류센서(311)를 구비하고, 상기 기포 공급관(220)의 관로 상에 압력센서(312)를 구비함으로써, 폭기 공정 중에서 상기 전류센서(311) 및 상기 압력센서(312)가 전류값 및 압력값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상기 펌프(21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류센서(311) 및 압력센서(312)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 동작 감시부(310)로부터 측정된 전류 및 압력값을 전달받고,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태정보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중앙서버(400)로부터 고장판단값을 전달받아 상기 고장 검출부(340)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 검출부(340)는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달받은 상태정보 데이터와 고장판단값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다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고장 검출부(340)는 폭기조(100)의 작동시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고장 검출부(340)는 전달되는 상기 전기신호가 불연속 전기신호인 경우, 상기 공급장치(2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기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연속적인 전기신호인 경우, 폭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다른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류센서(311)에서 측정되는 전류값과 상기 고정판단값을 비교하도록 하며, 측정값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210)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즉, 폭기 공정상에 절전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과정을 종료하며,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류센서(311)에서 측정되는 전류값과 상기 고정판단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 회로 계통이 아닌 다른 구성에서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으로 상기 펌프(21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압력센서(312)에서 측정되는 압력값과 상기 고정판단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210)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판단과정을 종료하며,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압력센서(312)에서 측정되는 압력값과 상기 고정판단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포 공급관(220)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판단과정을 종료하며,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350)는 상기 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서버(400) 상호 구성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통신부(350)는 상기 중앙서버(400)로부터 고장진단값을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여 상기 고장 검출부(340)에서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30)에 저장된 상기 고장 판단결과를 상기 중앙서버(4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고, 정확한 고장원인을 진단하도록 함에 따라, 고장시 사용자가 정확한 고장원인을 찾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쉽게 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고장 검출부(340)에 의해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이를 빠른 시간 내에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는 경고부(36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고부(360)는 시각신호 또는 청각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 형성되며, 상기 폭기조(100)가 설치된 수처리장 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고장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장원인에 따라 시각신호 또는 청각신호가 서로 다르게 발생되도록 하여, 고장원인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폭기조
200 : 공급장치 210 : 펌프
211 : 전원부 220 : 기포 공급관
300 : 동작 감지 장치 310 : 펌프 동작 감시부
311 : 전류센서 312 : 압력센서
320 : 폭기 상태 감시부 321 : 케이스
322 : 플로트부 323 : 스위치부
323a : 접점부 323b : 스위치 손잡이
324 : 안내 격벽
330 : 제어부 340 : 고장 검출부
350 : 통신부 360 : 경고부
400 : 중앙서버 5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공급장치 210 : 펌프
211 : 전원부 220 : 기포 공급관
300 : 동작 감지 장치 310 : 펌프 동작 감시부
311 : 전류센서 312 : 압력센서
320 : 폭기 상태 감시부 321 : 케이스
322 : 플로트부 323 : 스위치부
323a : 접점부 323b : 스위치 손잡이
324 : 안내 격벽
330 : 제어부 340 : 고장 검출부
350 : 통신부 360 : 경고부
400 : 중앙서버 5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5)
- 하수가 공급 수용되는 폭기조(100);
펌프(210) 및 상기 펌프(210)에 의해 상기 폭기조(100)의 내부 저면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220)을 포함하는 공급장치(200);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공급되는 기포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장치(20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 장치(300);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로 상기 고장판단값을 전달하고,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로부터 상기 공급장치(200)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달하는 중앙서버(400); 및
상기 중앙서버(40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고장여부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500);
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 장치(300)는,
상기 펌프(21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 및 압력을 측정하는 펌프 동작 감시부(310);
상기 폭기조(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폭기조(100)에 공급된 산소에 의해 동작되며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폭기 상태 감시부(320);
상기 펌프 동작 감시부(310)로부터 측정된 전류 및 압력값을 전달받고,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태정보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중앙서버(400)로부터 고장판단을 위한 고장판단값을 전달받아 고장 검출부(340)로 전달하는 제어부(330);
상기 제어부(3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태정보와 고장판단값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구성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고장 검출부(340);
상기 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서버(400) 상호 구성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는,
하면이 격자 형태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공급된 하수 및 산소가 하방에서 공급되는 케이스(321);
상기 케이스(321) 내부에 구비되며, 하방에서 상승되는 산소에 의해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는 플로트부(322); 및
상기 케이스(321)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부(322)의 상하운동에 따라 전기신호가 생산되며, 생산된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스위치부(323);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출부(340)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가 비연속 전기신호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기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연속적인 전기신호인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출부(340)는,
상기 폭기 상태 감시부(320)가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측정된 전류값 및 압력값과 상기 고장판단값을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997A KR101672169B1 (ko) | 2016-05-20 | 2016-05-20 |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997A KR101672169B1 (ko) | 2016-05-20 | 2016-05-20 |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2169B1 true KR101672169B1 (ko) | 2016-11-16 |
Family
ID=5754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1997A KR101672169B1 (ko) | 2016-05-20 | 2016-05-20 |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16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84476A (zh) * | 2017-12-13 | 2018-04-06 | 天津膜天膜科技股份有限公司 | 基于Arduino控制器的柱式膜组件曝气强度监测系统 |
CN115417492A (zh) * | 2022-08-30 | 2022-12-02 |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基于水下视觉的高级氧化系统及控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79A (ko) * | 2002-03-29 | 2003-10-08 | 주식회사 듀라 | 슬러지 수집기의 운전 제어 시스템 |
KR100957119B1 (ko) | 2008-11-26 | 2010-05-13 | 정우이엔티 (주) | 수처리공정 자동제어장치 |
KR20100069368A (ko) * | 2008-12-16 | 2010-06-24 | (주)에이엔티이십일 | 무선 통신 및 자동 보정 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 장치 |
-
2016
- 2016-05-20 KR KR1020160061997A patent/KR1016721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79A (ko) * | 2002-03-29 | 2003-10-08 | 주식회사 듀라 | 슬러지 수집기의 운전 제어 시스템 |
KR100957119B1 (ko) | 2008-11-26 | 2010-05-13 | 정우이엔티 (주) | 수처리공정 자동제어장치 |
KR20100069368A (ko) * | 2008-12-16 | 2010-06-24 | (주)에이엔티이십일 | 무선 통신 및 자동 보정 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84476A (zh) * | 2017-12-13 | 2018-04-06 | 天津膜天膜科技股份有限公司 | 基于Arduino控制器的柱式膜组件曝气强度监测系统 |
CN107884476B (zh) * | 2017-12-13 | 2024-05-17 | 天津膜天膜科技股份有限公司 | 基于Arduino控制器的柱式膜组件曝气强度监测系统 |
CN115417492A (zh) * | 2022-08-30 | 2022-12-02 |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基于水下视觉的高级氧化系统及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9416B1 (ko) | 수질측정센서별 자가진단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수질측정장치 및 수질측정센서 자가진단 방법 | |
KR101465775B1 (ko) | 상하수도 관로의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 |
CN107357243B (zh) | 基于云端数据监控的污水处理系统 | |
AU200325647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gray water | |
KR101135697B1 (ko) |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 |
KR102085122B1 (ko) |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수돗물 실시간 스마트 관리 시스템 | |
CA2603247A1 (en) |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of membrane filter in water purifier | |
CN107340375A (zh) | 一种水体污染在线监测装置及方法 | |
KR101672169B1 (ko) | 폭기조 원격 감시 시스템 | |
CN109682861A (zh) | 一种水质多参数远程监控及水质远程控制加药平台 | |
CN209657133U (zh) | 污水处理监控系统 | |
CN208568759U (zh) | 基于互联网的测量水污染装置 | |
KR101979543B1 (ko) | 하수관로 오염 감시 시스템 | |
Priya et al. | IoT based automation of real time in-pipe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in drinking water | |
KR20160112229A (ko) | 스마트 염소처리시스템 | |
JP4591703B2 (ja) | 液処理方法及び装置 | |
CN206219281U (zh) | 一种tds双路检测净水机 | |
KR101726303B1 (ko) | 살균수 생성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
JP4591661B2 (ja) | 膜処理装置及び膜破断検知方法 | |
CN201835319U (zh) | 建筑中水在线检测装置 | |
KR20180113939A (ko) | 스마트 단말을 통한 개인하수처리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 |
JP2018124803A (ja) | 流体処理装置の監視制御システム | |
JP4591702B2 (ja) | 膜処理装置及び膜損傷検知方法 | |
JP5475076B2 (ja) | 水位変化検出機能付残留塩素計 | |
KR100609073B1 (ko) | 오,폐수처리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