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734B1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734B1
KR101671734B1 KR1020150023651A KR20150023651A KR101671734B1 KR 101671734 B1 KR101671734 B1 KR 101671734B1 KR 1020150023651 A KR1020150023651 A KR 1020150023651A KR 20150023651 A KR20150023651 A KR 20150023651A KR 101671734 B1 KR101671734 B1 KR 10167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unit
registered
registratio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329A (ko
Inventor
윤인모
이은비
김미희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 및 해제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는 잠금서비스앱이 설치된 기억부와, 외부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서비스앱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잠금서비스앱은 설정된 허용 횟수동안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하는 분실서비스모드를 지원한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에 의하면, 분실시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mobile phone and method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실된 상태에서 현재 위치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인프라 확장 및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단순한 음성통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영상통신, 인터넷 통신 등 지원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발신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암호설정기능을 제공하였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암호 설정기능은 등록되어 있는 연락처, 사진, 동영상, 은행 결제용 공인인증서 등을 포함하는 소유자의 다양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욱더 활성화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암호는 숫자나 문자 방식, 문양 패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분실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경우 원 소유자의 정보 또는 통화기록을 통해 분실사실을 지인에게 알려주려고 하여도 잠금이 설정된 경우 전달노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잠금 해제 입력신호가 설정된 횟수동안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위치정보를 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방식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36119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방식은 분실 위치정보만 제공해주기 때문에 악의를 갖고 있는 습득자에 대한 신상정보는 제공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잠금해제 입력정보가 설정된 횟수동안 일치하지 않으면 조작자를 촬상한 영상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를 함께 설정된 통신주소로 전송처리하는 것을 지원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잠금 및 해제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는 잠금서비스앱이 설치된 기억부와, 외부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서비스앱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잠금서비스앱은 설정된 허용 횟수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하는 분실서비스모드를 지원한다.
상기 잠금서비스 앱은 휴면상태에서 잠금기능을 설정할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지원하는 화면잠금선택부와; 상기 등록잠금패턴의 등록을 지원하는 잠금패턴 등록지원부와; 상기 잠금기능 설정시 잠금패턴 입력에 대한 재시도 허용횟수의 설정을 지원하는 재시도 허용 횟수 설정부와; 상기 분실서비스 모드시 적용할 분실응답 통신주소의 설정을 지원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처리하는 위치응답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응답 처리부는 현재 위치를 문자로 응답하는 위치안내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위치안내문자이면 현재 위치정보를 대응되는 외부 통신기기에 문자로 전송처리한다.
상기 잠금서비스 앱은 알람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알람지시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알람지시문자이면 설정된 알람신호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하는 알람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잠금해제 제어방법은 잠금 및 해제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는 잠금서비스앱이 설치된 기억부와, 외부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서비스앱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잠금해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제어부는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서비스앱을 실행시키고, 설정된 허용 횟수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된 통화안내단말기와의 통화연결 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다. 상기 나 단계에서 취소를 선택하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에 의하면, 분실시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서비스 앱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입력되는 잠금해제신호에 대한 처리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1), 터치스크린(113), 표시부(115), 통신부(117), 마이크로폰(119), 음향출력부(121), GPS수신기(123), 제1카메라(125a), 제2카메라(125b), 기억부(127), 제어부(135)를 구비한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등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입력부로서 적용된 키입력부(111)는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키가 마련되어 있고, 터치스크린(113)을 표시부(115)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내에서 정보 입력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15)는 제어부(135)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부(117)는 제어부(135)에 제어되어 통신 즉, 음성통신, 데이터 통신 등 지원되는 통신을 수행한다.
GPS수신기(123)는 GPS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어부(135)에 제공한다.
제1카메라(125a)는 터치스크린(113)이 마련된 전면에 설치되어 화상을 촬상하며 통상 셀프 카메라로 칭하는 카메라이다.
제2카메라(125b)는 터치스크린(113)이 마련된 전면 반대편 즉, 배면에 설치되어 화상을 촬상한다.
기억부(127)는 제어부에 제어되어 정보를 기록하며 응용프로그램인 잠금서비스앱(130)이 설치되어 있다.
잠금서비스앱(130)은 제어부(135)에 의해 실행되며 잠금 및 해제 기능의 수행을 지원한다.
잠금서비스앱(13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서버에서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제어부(135)는 휴면상태에서 입력부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3)을 통해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수신되면 잠금서비스앱(130)을 실행한다.
여기서 휴면상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 표시부(115)를 통해 표시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신호 입력을 대기하며 잠금설정으로 된 경우 이후에는 잠금해제 처리과정을 거쳐 사용하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제어부(135)에 의해 실행되는 잠금서비스앱(130)은 설정된 허용 횟수동안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기억부(127)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카메라(125a)(125b)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하는 분실서비스모드를 지원한다.
여기서, 분실서비스모드 수행시 제1카메라(125a)로 촬상된 영상만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잠금서비스앱(130)의 상세 기능요소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잠금서비스 앱(130)은 화면잠금선택부(131), 잠금패턴 등록지원부(133), 재시도 허용횟수 설정부(135), 위치응답 처리부(137), 알람처리부(139) 및 기록 처리부(141)를 구비한다.
화면잠금선택부(131)는 단말기(100)가 비사용상태인 휴면상태에서 잠금기능을 설정할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지원한다.
즉, 화면잠금선택부(131)는 사용자가 화면잠금을 선택하면 휴면상태에서 잠금기능이 작동하고, 화면잠금을 선택하지 않으면 잠금기능이 설정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잠금패턴 등록 지원부(133)는 등록잠금패턴의 등록을 지원한다. 여기서 등록잠금패턴은 문자, 숫자를 포함하는 암호, 문양패턴 등 지원되는 방식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잠금패턴에 대해 기록처리부(141)의 지원하에 기억부(127)에 기록한다.
재시도 허용 횟수설정부(135)는 잠금기능 설정시 잠금패턴 입력에 대한 재시도 허용횟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재시도 허용 횟수설정부(135)를 재시도 허용 횟수를 1회, 2회, 3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선택된 횟수를 설정하도록 구축된다.
위치응답처리부(137)는 분실서비스 모드시 적용할 분실응답 통신주소의 설정을 지원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기억부(127)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처리한다.
여기서, 위치응답처리부(137)는 분실응답 통신주소에 대해 전자메일주소와 통화연결 전화번호를 각각 설정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응답처리부(137)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기억부(127)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된 통화연결 전화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할지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통화연결을 시도하지 않으면, 제1카메라(125a)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 중 전자메일 주소로 전송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위치응답 처리부(137)는 현재 위치를 문자로 응답하는 위치안내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위치안내문자이면 현재 위치정보를 대응되는 외부 통신기기에 문자로 전송처리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즉, 위치응답 처리부(137)는 위치안내 문자등록메뉴를 제공하고, 문자등록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일 예로서, 위치안내 문자를 'abc'로 등록한 경우,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통신부(117)를 통해 'abc' 문자가 수신되면, 해당 외부 통신기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문자로 전송처리한다.
알람처리부(139)는 알람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알람지시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알람지시문자이면 설정된 알람신호가 출력부 예를 들면 음향출력부(121)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한다.
즉, 알람처리부(139)는 알람지시 문자등록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알람지시 문자등록메뉴를 통해 일 예로서, 알람지시 문자를 '어디있어?'로 등록한 경우,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통신부(117)를 통해 '어디있어?' 문자가 수신되면, 음향출력부(121)를 통해 설정된 알람음 또는 벨음을 출력되게 처리한다.
기록처리부(141)는 화면잠금선택부(131) 잠금패턴 등록지원부(133), 재시도 허용 횟수설정부(135), 위치응답 처리부(137), 알람처리부(139)에서 설정되는 설정정보를 기억부(127)에 기록되게 처리하는 것을 지원한다.
제어부(135)는 잠금기능이 설정된 경우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잠금서비스앱(130)을 실행한다.
한편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GPS수신기(123)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GPS수신기(123)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확보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잠금서비스앱이 설치된 단말기(100)의 잠금이 설정된 경우 휴면상태에서의 처리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35)는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는지 즉, 잠금해제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10).
단계 210에서 잠금해제 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잠금서비스앱(130)을 실행시키고, 수신된 잠금해제신호가 기억부(127)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20).
단계 220에서 등록 잠금패턴과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해제처리한다(단계 230).
이와는 다르게 단계 220에서 등록 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재시도 횟수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40).
단계 240에서 횟수 초과 이내이면 재입력요청메시지를 출력하고(단계 250), 단계 220으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240에서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연결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260).
연결 안내 메시지는 일 예로서'사용자가 지정한 연락처로 음성통화를 연결하시겠습니까?"란 안내 메시지와 함께 "취소" 또는 "연결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가 음성통화 연결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70).
단계 270에서 음성통화연결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통화안내단말기의 전화번호로 통화연결을 수행한다(단계 280).
이와는 다르게, 단계 270에서 취소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카메라(125a)를 통해 현재 수신된 영상정보와 현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 전자메일 주소로 전송한다(단계 290).
이상에서 설명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분실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알람지시문자를 이용가능한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발생되는 알람음으로부터 분실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위치안내문자를 이용가능한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면 분실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습득자의 경우 잠금패턴 입력오류를 거쳐 제공되는 연결안내 메시지를 통해 연결을 선택하면 통화를 통해 분실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악의를 갖고 있는 습득자가 잠금패턴 입력오류를 거쳐 제공되는 연결안내 메시지를 통해 취시를 선택하면 습득자의 영상과 위치정보가 분실자가 등록한 전자메일로 전송됨으로써 회수를 위한 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11: 키입력부 113: 터치스크린
115: 표시부 117: 통신부
127: 기억부 130: 잠금서비스 앱
135: 제어부

Claims (5)

  1.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는 잠금서비스앱이 설치된 기억부와;
    외부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휴면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서비스앱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잠금서비스앱은 설정된 허용 횟수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잠금해제시도 신호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된 통화안내 단말기와의 통화연결 또는 취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취소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하는 분실서비스모드를 지원하고,
    상기 잠금서비스 앱은
    휴면상태에서 잠금기능을 설정할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지원하는 화면잠금선택부와;
    상기 등록잠금패턴의 등록을 지원하는 잠금패턴 등록지원부와;
    상기 잠금기능 설정시 잠금패턴 입력에 대한 재시도 허용횟수의 설정을 지원하는 재시도 허용 횟수 설정부와;
    상기 분실서비스 모드시 적용할 분실응답 통신주소의 설정을 지원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된 등록잠금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과 현재 위치정보를 등록된 분실응답 통신주소로 전송처리하는 위치응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응답 처리부는
    현재 위치를 문자로 응답하는 위치안내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위치안내문자이면 현재 위치정보를 대응되는 외부 통신기기에 문자로 전송처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잠금서비스 앱은
    알람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알람지시 문자등록을 지원하고,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가 등록된 알람지시문자이면 설정된 알람신호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하는 알람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23651A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KR10167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51A KR101671734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51A KR101671734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29A KR20160101329A (ko) 2016-08-25
KR101671734B1 true KR101671734B1 (ko) 2016-11-03

Family

ID=5688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651A KR101671734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477B1 (ko) 2017-08-23 2018-06-14 (주)키웨스트테크 도난 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95B1 (ko) * 2012-09-04 2014-02-17 변현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890A (ko) * 2000-02-22 2001-08-31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잠금 기능 방법
KR20040022286A (ko) * 2002-09-03 2004-03-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695081B1 (ko) *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95B1 (ko) * 2012-09-04 2014-02-17 변현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477B1 (ko) 2017-08-23 2018-06-14 (주)키웨스트테크 도난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29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5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dressing unreported theft or loss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2471289B1 (ko)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빠르게 열기 위한 방법, 및 단말
EP315150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evice
KR101825653B1 (ko) 통신 단말기의 분실 모드 수행 방법 및 장치
JP671986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47495B (zh) 敏感操作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JP2009245122A (ja) 認証装置、電子機器、そ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642019B1 (ko) 단말기 검증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658817B2 (en) Screen sharing terminal, method of screen sharing, and program for screen sharing terminal
CN108156537B (zh) 一种移动终端的远程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5072079A (zh) 账号登录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132128B (zh) 一种账户控制方法及装置
EP3407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loss of card or device associated with account number or stolen of account number
CN104010094A (zh) 在语音服务中的信息发送方法和装置
US20220408238A1 (en) Verif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062929A (zh) 一种显示数据的方法、装置和终端
CN105069344B (zh) 移动终端锁定方法及装置
KR101671734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CN105530129A (zh) 路由器重置方法及装置
JP2005102085A (ja) 端末装置、宅内制御装置、及び、来訪通知システム
CN105142169A (zh) 异常操作的处理方法及装置
JP2006211377A (ja) 無線端末装置
JP200028695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媒体
JP2017034359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動作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189163A (ja) 車載機、携帯端末およびそれらを含む車載機システム、ならびに、車載機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