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195B1 -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195B1
KR101361195B1 KR1020120097599A KR20120097599A KR101361195B1 KR 101361195 B1 KR101361195 B1 KR 101361195B1 KR 1020120097599 A KR1020120097599 A KR 1020120097599A KR 20120097599 A KR20120097599 A KR 20120097599A KR 101361195 B1 KR101361195 B1 KR 10136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ock
portable terminal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섭
변현
Original Assignee
변현
김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현, 김규섭 filed Critical 변현
Priority to KR102012009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라 함)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는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잠금 해제 서비스 앱에 의해 제어되어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되는 잠금 또는 해제용 키패턴을 이용하여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 패턴 설정시에는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을 설정하고, 잠금 해제시에는 설정된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해제용 키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과 편의에 따라 잠금 패턴을 선택하도록 다양한 잠금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을 취향에 따라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종래기술에 비해 보완성을 한층더 강화시켜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LOCKING AND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LOCKING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라 함)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영상통신,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인터넷 검색, 온라인 쇼핑 및 소셜 네트워킹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 및 컨텐츠 개발과 맞물려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짧은 기간에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초기에는 단순히 발신을 제한하기 위하여 암호가 설정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기술 발전에 따른 기능의 다양화와 저장 용량의 증대로 인해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연락처, 컨텐츠(사진, 동영상), 그리고 은행 결제용 공인인증서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소유자의 다양한 개인정보 등이 저장됨에 따라 발신 제한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암호가 설정되고 있다.
이처럼 암호를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암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암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잠금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시 타인이 무분별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피해를 방지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소유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설정시 사용되는 암호는 복수개의 숫자 또는 문자 조합을 보편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의 개발에 기인하여 전통적인 방식과 같이 사용자가 숫자 또는 문자를 단순 입력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정한 잠금 패턴을 제공한 후 사용자가 제공되는 잠금 패턴을 일정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잠금 패턴 방식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잠금 패턴 기술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3432호(공개일 : 2009. 02. 0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0986호(공개일 : 2011. 09. 1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1866호(공개일 : 2012. 07. 2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83396호(공개일 : 2010. 07. 22)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터치스크린 상에 일정한 잠금 화면, 예를 들면 썸네일(thumbnail)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화면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패턴으로 잠금 화면을 드래그(drag)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단말기에 설치된 센서(가속센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움직임(기울기) 속도 또는 방향이 감지되고, 감지된 단말기의 움직임 속도 또는 방향이 기설정된 움직임 속도 또는 방향과 일치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단말기 기종에 따라 잠금 패턴이 단일 패턴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과 편의에 따라 잠금 패턴을 선택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잠금 패턴의 선택 폭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사용자별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없다. 더욱이, 동일 패턴 규칙을 갖는 단일 패턴 내에서 암호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반복적인 패턴 사용으로 인해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패턴 자국이 잔존함에 따라 타인이 이를 쉽게 인지 가능하여 암호 노출 가능성도 높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휴대용 단말기 분실시 단말기 사용과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패턴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단말기 습득자로부터 단말기를 회수하기 위한 사후 조치에 대해서는 어떠한 방안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 패턴과 연계하여 단말기를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단말기 분실시 최초 분실 장소는 단말기의 회수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최초 분실 장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KR 10-2009-0013432 A, 2009. 02. 05. KR 10-2011-0100986 A, 2011. 09. 15. KR 10-2012-0081866 A, 2012. 07. 20. KR 10-2010-0083396 A, 2010. 07. 22.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과 편의에 따라 잠금 패턴을 선택하도록 다양한 잠금 패턴을 제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보완성을 한층더 강화시켜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시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잠금 패턴 설정 완료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설정된 잠금 패턴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용 키패턴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호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에게 2회에 걸쳐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각 회마다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잠금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는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잠금 해제 서비스 앱에 의해 제어되어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되는 잠금 또는 해제용 키패턴을 이용하여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 패턴 설정시에는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을 설정하고, 잠금 해제시에는 설정된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해제용 키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패턴 설정시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의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키패드 인식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인식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센서 인식부와, 상기 키패드 인식부, 상기 터치스크린 인식부, 상기 센서 인식부로부터 입력받는 키패턴 제공부와, 상기 키패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각각 비교하는 키패턴 비교부와, 상기 키패턴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키패턴 판단부와, 상기 키패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잠금용 키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을 설정하고,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수행부와, 상기 키패턴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지 않아 발생되는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오류 판단부와, 상기 오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한 경우 무선통신부의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 인식부와, 상기 위치 인식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지도와 결합하여 이미지 형태로 가공한 후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의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지정된 이메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이후에도, 설정된 시각마다,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추가로 송신하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또는 버튼조작 중에서 어느 하나도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을 조작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잠금 패턴 설정 완료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설정된 잠금 패턴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용 키패턴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e) 키패턴 비교부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d) 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f) 키패턴 판단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회수를 판단하여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과 편의에 따라 잠금 패턴을 선택하도록 다양한 잠금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을 취향에 따라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종래기술에 비해 보완성을 한층더 강화시켜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시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시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고, 이를 통해 분실 장소를 쉽게 알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존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이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색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색 패턴이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분할 영역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유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비밀번호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패턴"에서 키패턴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 설정 제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레벨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인터페이스부, 출력부, 메모리,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부는 유무선통신 시스템, 유무선통신 또는 단말기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모듈, 이동통신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Wibro/Wimax, WiFi, 3G(또는 4G) 등과 같은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모듈)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위성항법장치는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정보와 정확한 시간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위성항법장치는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 지역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위성항법장치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 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지리정보장치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패드가 후술하는 표시부와 상호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 및 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방위, 가속 및 감속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이로센서(자이로스코프), 가속센서(acceleration sensor)(모션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proximity sensor),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밝기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설치된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식별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부(display), 음향 출력 모듈 및 알람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수신된 영상 또는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가 구현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등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메시징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시징 서비스 앱은 예를 들어, e-메일 서비스와, 메시징 서비스(예를 들면, MSN, 야후 메신저, 네이트온, 버디버디, 카카오톡,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와, 이동통신 메시징 서비스(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장문 메시지 서비스(L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 휴대용 단말기에 실행 가능한 메시징 툴(Tool)이거나, 혹은 이들 메시징 서비스를 통합하여 운용하는 통합 메시징 툴(Tool)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잠금 패턴"이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를 암호화하여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 패턴으로서, 전통적인 암호화 패턴인 문자, 숫자(또는 이들의 조합)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형태, 그리고 특정 모양 또는 색상과 같이 특정 패턴을 갖는 패턴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패턴은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한다.
"기존 패턴"은 현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제공하고 있는 일반화된 암호화 패턴으로서 특정 모양의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배열한 후 이들을 한번의 드래그로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색 패턴"은 특정 모양과 색상이 조합된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으로 터치스크린상의 프레임 내에 배열한 후 이들 패턴 중 특정 색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거나,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기울기 패턴"은 터치스크린상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분할한 후, 이들 분할 영역 중 설정된 영역 내에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특정 패턴이 위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자유 패턴"은 "기존 패턴"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패턴으로, 특정 모양의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배열하여 제공되나, "기존 패턴"과 달리 한번의 드래그로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만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 연결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연속적 연결과 비연속적 연결을 모두 포함하는 패턴을 말한다.
"비밀번호 패턴"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에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서, 사용자에게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창에 입력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을 말한다.
또한, "키패턴"이라 함은 상기 잠금 패턴과 대응하여 잠금 설정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후 잠금 해제모드시 잠금을 해제시키는 암호키로서,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의 비밀번호("비밀번호 패턴")이거나, 또는 사용자 정의 패턴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의 패턴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정의된 특정 패턴으로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적어도 한번 포인트 터치("색상 패턴"), 한번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 드래그(drag) 동작("기존 패턴", "자유 패턴"), 또는 특정 패턴의 이동 동작(기울기 패턴)일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인터페이스부, 출력부, 메모리,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관련된 구성들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키패드(11), 터치스크린(12), 센싱부(13), 제어부(20), 무선통신부(30) 및 메모리부(40)를 포함한다.
키패드(11)는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비밀번호 패턴" 적용시 사용된다. 키패드(11)는 "비밀번호 패턴" 적용시 잠금 패턴을 설정하거나, 혹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입력받아 제어부(20)로 제공한다.
터치스크린(12)은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존 패턴", "색 패턴", "자유 패턴" 적용시 사용된다. 터치스크린(12)은 "기존 패턴", "색 패턴" 또는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 적용시 잠금 패턴을 설정하거나, 혹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포인트 터치, 드래그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 연결을 입력받아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센싱부(13)는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울기 패턴" 적용시 사용된다. 센싱부(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방위, 가속 및 감속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이로센서(자이로스코프) 또는 가속센서(acceleration sensor)(모션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센싱부(13)는 "기울기 패턴" 적용시 잠금 패턴을 설정하거나, 혹은 설정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기울기)을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일례로, 가속센서는 물체에 가해지는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하는 센서로, 1축, 2축, 3축 등 축의 수에 의해 타입이 구분된다. 예를 들어, 3축 중력가속도센서의 경우, x, y, z 축의 3축 방향의 3차원 공간에서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중력가속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물체가 운동할 때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이다. 수평방향의 중력가속도센서가 기울어지면서 지구의 중력에 반응하여 90°, 즉 수직방향을 이루면, 1G(9.8m/s2) 크기의 중력가속도가 검출된다.
따라서, 중력가속도는 sin(기울어진 각도)의 관계를 가지며, 예를 들어 0.5G 크기의 중력가속도가 측정되면,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는 30°로 환산될 수 있다. 즉, x축 방향으로 45°의 경사를 갖게 되면 1G×sin 45°로 0.707G 크기의 중력가속도가 검출된다. 중력가속도센서를 통해 x축 방향으로 0G의 중력가속도가 검출되고 y축 방향으로 1G 크기의 중력가속도가 검출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y축 방향으로 있는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x축 방향으로 있는 상태임을 감지하거나, 혹은 휴대용 단말기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 및 중력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부(40)에는 잠금 해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인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20)는 잠금 패턴 설정 또는 설정된 잠금 해제시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의 실행을 통해 잠금 패턴 설정모드 또는 잠금 해제모드로 진입하여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인식부(21), 터치스크린 인식부(22), 센서 인식부(23), 키패턴 제공부(24), 키패턴 비교부(25), 키패턴 판단부(26), 오류 판단부(27), 잠금 해제 설정부(28), 위치 인식부(29) 및 위치정보 생성부(51)를 포함한다.
키패드 인식부(21)는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비밀번호 패턴" 적용시 키패드(11)를 활성화시켜 키패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키패턴 제공부(24)로 제공한다.
터치스크린 인식부(22)는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존 패턴", "색 패턴" 또는 "자유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 적용시 터치스크린(12)을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의 포인트 터치, 드래그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 연결에 대응하는 터치 또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받아 키패턴 제공부(24)로 제공한다.
센서 인식부(23)는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울기 패턴" 적용시 센싱부(13)를 활성화시키고, 센싱부(13)를 통해 감지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키패턴 제공부(24)로 제공한다.
키패턴 제공부(24)는 잠금 패턴 설정모드 또는 잠금 해제모드시 키패드 인식부(21), 터치스크린 인식부(22) 또는 센서 인식부(23)로부터 제공되는 키패턴을 메모리부(40)와 키패턴 비교부(25)로 각각 제공한다.
키패턴 비교부(25)는 잠금 패턴 설정모드 또는 잠금 해제모드시 키패턴 제공부(24)와 메모리부(40)로부터 각각 키패턴을 제공받고, 이들 키패턴을 상호 비교한다.
키패턴 판단부(26)는 키패턴 비교부(25)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잠금 패턴 설정모드 또는 잠금 해제모드시 키패드 인식부(21), 터치스크린 인식부(22) 또는 센서 인식부(23)로부터 제공되는 키패턴과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42)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잠금 해제 수행부(28)는 키패턴 판단부(26)의 판단 결과에 응답하여 잠금 패턴 설정을 수행하거나, 잠금모드를 수행 중인 단말기의 잠금모드를 해제하여 해제모드를 수행한다.
오류 판단부(27)는 키패턴 비교부(25)의 비교 결과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시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그 결과를 위치 인식부(29)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오류 판단부(27)는 키패턴 비교부(25)의 비교 결과 오류회수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오류 초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위치 인식부(29)로 제공한다.
위치 인식부(29)는 오류 판단부(27)로부터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통신부(30)의 위치정보 모듈(31)로부터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제공받아 위치정보 생성부(51)로 제공한다. 이때, 위치정보 모듈(31)은 위성항법장치, 또는 기지국 통신, 무선 접속장치의 인터넷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성부(51)는 위치 인식부(29)로부터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도와 경도를 지리정보장치(GIS)와 연계하여 지도상에 표시된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위치정보는 이미지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위치정보는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무선통신부(30)의 무선 인터넷 모듈(32)을 통해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제공된다.
위치정보 생성부(51)는 최초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송신한 후에도 설정된 시간마다 혹은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지정된 이메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지정된 이메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이후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버튼조작 중에서 어느 하나도 없는 경우 이메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잠금 패턴 설정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을 실행한다(S21). 이때,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시작버튼, 전원버튼 등)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터치스크린(12) 상에는 '화면 잠금을 적용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예'라고 누르면 잠금 패턴 설정모드로 진입한다(S22).
잠금 패턴 설정모드로 진입하면,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잠금 패턴이 제공된다(S23).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잠금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비밀번호 패턴" 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 패턴들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면, 선택된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키패턴을 설정하도록 제공한다(S24~S26). 이때, 터치스크린(12) 상에는 선택된 잠금 패턴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잠금 패턴에 원하는 키패턴을 키패드(11), 터치스크린(12) 또는 센싱부(13)를 통해 입력받는다(S27). 이때, 상기 키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잠금 패턴에 따라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 정의 패턴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패턴은 제어부(20)를 거쳐 메모리부(40)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에게 단계 S27에서 제공한 잠금 패턴과 동일한 잠금 패턴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단계 S27에서 입력된 키패턴과 동일한 키패턴을 재입력받는다(S28).
이후, 키패턴 비교부(25)는 사용자로부터 재입력되는 키패턴과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42)을 서로 비교하여 키패턴 판단부(26)를 통해 이들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9).
판단 결과, 재입력되는 키패턴과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42)이 상호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잠금모드로 설정한다(S30).
이하, 잠금 패턴 설정모드에서 각 잠금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 패턴
먼저, 잠금 패턴들 중 "기존 패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제공하고 있는 일반화된 암호화 패턴으로서 특정 모양의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배열한 후 이들을 한번의 드래그로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존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이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잠금 해제 서비스 앱 실행 단계(S31), 잠금 패턴 설정 단계(S32), 잠금 패턴 제공 단계(S33)는 도 2에 도시된 잠금 패턴 설정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존 패턴"을 선택하면, 도 4와 같이 원형 구조의 특정 패턴(1)이 3×3으로 배열된 상태의 화면이 터치스크린(12) 상에 표시된다(S34).
이후,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키패턴을 입력받는다(S35). 이때, 키패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3으로 총 9개로 배열된 특정 패턴들(1)을 한번의 드래그로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입력하여야 한다.
이후, 단계 S35에서 키패턴 입력방식이 틀린 경우, 예를 들면 연속적인 패턴 연결이 아니라 비연속적인 패턴으로 입력되거나 혹은 동일 패턴이 연속적으로 2번 이상 연결된 경우에는 키패턴 입력 오류로 판정하여 사용자에게 에러메시지를 제공한다(S36, S37).
이후, 단계 S36에서 키패턴 입력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단계 S35에서 입력된 키패턴과 동일한 키패턴을 재입력받은 후, 키패턴 비교부(25)를 통해 이들 키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면 해당 키패턴을 메모리부(40)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에러메시지를 제공한 후 단계 S35로 이동한다(S39).
단계 S39에서, 키패턴 비교부(25)의 비교 결과 키패턴이 상호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기존 패턴" 잠금모드로설정한다(S40).
색 패턴
"색 패턴"은 특정 모양과 색상이 조합된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으로 터치스크린상의 프레임 내에 배열한 후 이들 패턴 중 특정 색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거나,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색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색 패턴이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 서비스 앱 실행 단계(S51), 잠금 패턴 설정 단계(S52), 잠금 패턴 제공 단계(S53)는 도 2에 도시된 잠금 패턴 설정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색 패턴"을 선택하면, 도 6과 같이 원형 구조의 특정 색 패턴(2)이 3×3으로 배열된 상태의 화면이 터치스크린(12) 상에 표시된다(S54).
도 6의 색 패턴에서, "적"은 적색, "녹"은 녹색, "황"은 황색, "흑"은 흑색, "백"은 백색, "청"은 "청색", "남"은 남색, "회"는 회색, "자"는 자색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색 배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키패턴을 입력받는다(S55). 이때, 키패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3으로 총 9개로 배열된 특정 색 패턴들(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받거나, 특정 색 패턴(2)을 순차적으로 복수개 이상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단계 S55에서 입력된 키패턴과 동일한 키패턴을 재입력받은 후, 키패턴 비교부(25)를 통해 이들 키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색 패턴" 잠금모드로 설정한다(S59). 그렇지 않고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제공한 후 재입력받는다(S56~S58).
예를 들어, 단계 S55에서 사용자가 "청"을 터치하여 키패턴으로 선택한 후, 재입력시 사용자가 "청"을 다시 터치하여 재입력하면 "색 패턴" 잠금모드가 설정된다.
기울기 패턴
"기울기 패턴"은 터치스크린상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분할한 후, 이들 분할 영역 중 설정된 영역 내에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특정 패턴이 위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하는 패턴을 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패턴"의 패턴 배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분할 영역 3×3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 서비스 앱 실행 단계(S71), 잠금 패턴 설정 단계(S72), 잠금 패턴 제공 단계(S73)는 도 2에 도시된 잠금 패턴 설정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기울기 패턴"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터치스크린상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N×M(N과 M은 자연수)으로 분할된 분할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원형(또는, 다각형)의 특정 패턴(3)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패턴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와 연동하여 분할 영역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그 모양(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으며, 원형, 다각형, 또는 캐릭터일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특정 패턴을 N×M(N과 M은 자연수)의 분할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키패턴을 입력한다(S75). 이때, 센싱부(13)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인식하고, 이렇게 인식된 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특정 패턴(3)은 제어부(20)를 통해 그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특정 패턴(3)이 위치하는 영역이 키패턴으로 정의되어 메모리부(40)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단계 S75와 동일한 방법으로 키패턴을 재입력받는다(S76).
이후, 키패턴 비교부(25)를 통해 이들 키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기울기 패턴" 잠금모드로 설정한다(S79). 그렇지 않고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제공한 후 재입력받는다(S77, S78).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특정 패턴(3)이 좌표(1, 3)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키패턴을 입력한 후, 재입력시 사용자가 단말기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특정 패턴(3)이 좌표(1, 3)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키패턴을 재입력하면 "기울기 패턴" 잠금모드가 설정되고, 그 이외에는 에러메시지가 제공된다.
자유 패턴
"자유 패턴"은 "기존 패턴"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패턴으로, 도 4에 도시된 패턴과 동일하게 제공되나, "기존 패턴"과 달리 패턴 연결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드래그를 통한 패턴 연결시 연속적 연결과 비연속적 연결을 모두 포함하는 패턴을 말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유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기존 패턴"의 설정 방법과 동일 방법으로 수행됨에 따라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통해 전술한 "기존 패턴" 설정 방법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비밀번호 패턴
"비밀번호 패턴"은 사용자에게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창에 입력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을 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비밀번호 패턴"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패턴"에서 키패턴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 서비스 앱 실행 단계(S101), 잠금 패턴 설정 단계(S102), 잠금 패턴 제공 단계(S103)는 도 2에 도시된 잠금 패턴 설정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사용자가 다양한 잠금 패턴들 중 "비밀번호 패턴"을 선택하면, 터치스크린(12)을 통해 키패턴 입력창(4)을 제공하여 키패드(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패턴을 입력받는다(S104, S105).
이후, 사용자로부터 단계 S105와 동일한 방법으로 키패턴을 재입력받는다(S106).
이후, 키패턴 비교부(25)를 통해 이들 키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비밀번호 패턴" 잠금모드로 설정한다(S107, S109). 그렇지 않고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제공한 후 재입력받는다(S107, S108).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 해제 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2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잠금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시작버튼, 전원버튼 등)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이 자동으로 실행된다(S121).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터치스크린(12) 상에는 '화면 잠금을 해제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예'라고 누르면 잠금 해제모드로 진입한다(S122).
잠금 해제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로부터 키패드(11), 터치스크린(12) 또는 센싱부(1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키패턴을 입력받는다(S123)). 이때, 상기 키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잠금 패턴에 따라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 정의 패턴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잠금 패턴이 "비밀번호 패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패드(11)를 통해 키패턴을 입력받는다. 또한, "기존 패턴", "색 패턴", "자유 패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키패턴을 입력받는다. 또한, "기울기 패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센싱부(13)를 통해 키패턴을 입력받는다.
이후, 키패턴 비교부(2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패턴과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42), 즉 도 2의 잠금 패턴 설정모드에서 설정되어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42)을 서로 비교하여 키패턴 판단부(26)를 통해 이들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24).
판단 결과, 입력된 키패턴과 메모리부(40)에 저장된 키패턴(142)이 상호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해제 수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한다(S125).
한편, 단계 S124에서, 키패턴 비교부(25)를 통한 키패턴 비교 결과 상호 일치되지 않은 회수, 즉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지를 오류 판단부(27)를 통해 판단한다(S126).
오류 판단부(27)의 판단 결과, 오류회수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위치정보 모듈(31)과 위치 인식부(29)를 통해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생성부(51)를 통해 지도와 결합된 이미지 형태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127).
이후, 지정된 이메일로 위치정보 생성부(51)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S128). 이때, 위치정보 생성부(51)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는 무선 인터넷 모듈(32)을 통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패턴으로 설정된 잠금 패턴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잠금 패턴을 다른 패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3을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 설정 제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시작버튼, 전원버튼 등)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이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된다(S131). 즉,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41)은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 또는 대기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을 누르면 다른 동작에 우선하여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후,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특정 잠금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특정 잠금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특정 잠금 패턴을 제거한다(S132~S134). 단계 S132에서, 잠금 패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잠금 패턴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 후 잠금 패턴을 설정하도록 제공한다(S135, S136). 이때, 잠금 패턴 설정 방법은 도 2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 패턴들 중 "기울기 패턴", "색 패턴", "자유 패턴"의 경우 보안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 14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레벨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잠금 해제 서비스 앱 실행 단계(S141), 잠금 패턴 설정 단계(S142), 잠금 패턴 제공 단계(S143)는 도 2에 도시된 잠금 패턴 설정 방법과 동일하다.
사용자가 잠금 패턴들 중 "기울기 패턴", "색 패턴", "자유 패턴"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안레벨 설정 여부를 확인한 후 보안레벨을 설정한다(S114, S145).
예를 들어, "기울기 패턴"의 경우 보안레벨 설정은 N×M(N과 M은 자연수)의 분할 영역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설정하고, "색 패턴"과 "자유 패턴"의 경우 보안레벨 설정은 N×M(N과 M은 자연수)의 특정 패턴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과 M의 수가 높을수록 보안레벨은 높아지게 되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 상으로 제공되는 입력창을 통해 N과 M의 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보완레벨 설정이 완료되면, 도 2 내지 도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한다(S14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2, 3 : 특정 패턴 4 : 키패턴 입력창
11 : 키패드 12 : 터치스크린
13 : 센싱부 20 : 제어부
21 : 캐패드 인식부 22 : 터치스크린 인식부
23 : 센서 인식부 24 : 키패턴 제공부
25 : 키패턴 비교부 26 : 키패턴 판단부
27 : 오류 판단부 28 : 잠금 해제 수행부
29 : 위치 인식부 51 : 위치정보 생성부
30 : 무선통신부 31 : 위치정보 모듈
32 : 무선 인터넷 모듈 40 : 메모리부
41 : 잠금해제 서비스 앱 42 : 키패턴

Claims (9)

  1. (a)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잠금 패턴 설정 완료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설정된 잠금 패턴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용 키패턴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호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에게 2회에 걸쳐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각 회마다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잠금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며,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2. 삭제
  3. 삭제
  4.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되는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잠금 해제 서비스 앱에 의해 제어되어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되는 잠금 또는 해제용 키패턴을 이용하여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 패턴 설정시에는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을 설정하고, 잠금 해제시에는 설정된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해제용 키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패턴 설정시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의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키패드 인식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인식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인식하는 센서 인식부;
    상기 키패드 인식부, 상기 터치스크린 인식부, 상기 센서 인식부로부터 입력받는 키패턴 제공부;
    상기 키패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각각 비교하는 키패턴 비교부;
    상기 키패턴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잠금용 키패턴 또는 상기 해제용 키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키패턴 판단부;
    상기 키패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잠금용 키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패턴을 설정하고,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수행부;
    상기 키패턴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지 않아 발생되는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오류 판단부;
    상기 오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한 경우 무선통신부의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위치 인식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지도와 결합하여 이미지 형태로 가공한 후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의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지정된 이메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이후에도, 설정된 시각마다,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추가로 송신하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또는 버튼조작 중에서 어느 하나도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이메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a)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버튼을 조작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기존 패턴", "색 패턴", "기울기 패턴", "자유 패턴" 및 "비밀번호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잠금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잠금 패턴에 대응하는 잠금용 키패턴을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잠금 패턴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잠금 패턴 설정 완료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휴면상태에서 상기 외부 버튼이 동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 해제 서비스 앱을 우선적으로 자동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설정된 잠금 패턴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잠금 패턴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용 키패턴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e) 키패턴 비교부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d) 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해제용 키패턴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
    (f) 키패턴 판단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잠금용 키패턴과 상기 해제용 키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패턴을 해제하고,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회수를 판단하여 오류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지정된 이메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 패턴들 중 상기 "색 패턴", 상기 "기울기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잠금 패턴들의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 패턴" 또는 상기 "자유 패턴"의 보안레벨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특정 패턴 개수를 조정하고, 상기 "기울기 패턴"은 N×M(N과 M은 자연수)개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보안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 방법.
  9. 삭제
KR1020120097599A 2012-09-04 2012-09-04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R10136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99A KR101361195B1 (ko) 2012-09-04 2012-09-04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99A KR101361195B1 (ko) 2012-09-04 2012-09-04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195B1 true KR101361195B1 (ko) 2014-02-17

Family

ID=5027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99A KR101361195B1 (ko) 2012-09-04 2012-09-04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329A (ko) * 2015-02-16 2016-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KR20160135072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2277A (ko) * 2018-07-26 2020-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코어 기반의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잠금 패턴의 보안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828A (ja) * 2002-02-07 2003-08-22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情報処理機器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828A (ja) * 2002-02-07 2003-08-22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情報処理機器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베가레이서에서 패턴 및 비밀번호 잠금법(2012/03/0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usetang&logNo=150133163385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329A (ko) * 2015-02-16 2016-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KR101671734B1 (ko) * 2015-02-16 2016-11-0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잠금해제 제어방법
KR20160135072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5887B1 (ko) * 2015-05-15 2021-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2277A (ko) * 2018-07-26 2020-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코어 기반의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잠금 패턴의 보안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79868B1 (ko) 2018-07-26 2020-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코어 기반의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잠금 패턴의 보안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8879B2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US20210243603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equipment and system
US1085294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95259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61070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671373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966561B1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2939576B (zh) 用于基于手势的远程控制的方法和装置
US9860738B2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pieces of SIM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30195879A1 (en) Social account recovery
US201501495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CN106027108A (zh) 一种室内定位方法、装置及穿戴设备和移动终端
KR201601246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038462B (zh) 设备控制操作方法及系统
KR101361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R2017002990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600125B1 (en) Autonomous device authentication and compartment unlocking
US20180210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of sensors to enhance security
CN10785124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549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580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4184955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lost device by using uwb and ar,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95248B1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KR201101318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이체 서비스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