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48B1 -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48B1
KR101671248B1 KR1020130147395A KR20130147395A KR101671248B1 KR 101671248 B1 KR101671248 B1 KR 101671248B1 KR 1020130147395 A KR1020130147395 A KR 1020130147395A KR 20130147395 A KR20130147395 A KR 20130147395A KR 101671248 B1 KR101671248 B1 KR 10167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osteen
fatty liver
alpha
pres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583A (ko
Inventor
진영원
최영희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AMPK를 활성화함으로써 비만상태에서의 혈당,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간과 지방의 조직 검경에서 증가한 지방 세포의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켜 간기능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비알콜성 지방간 및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lpha-mangostee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본 발명은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지방량이 표준체중보다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로, 소비된 칼로리보다 섭취된 칼로리가 많을 경우 여분의 칼로리가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돼 생기는 질환을 뜻한다.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은 고혈압; 심근경색; 정맥류증; 폐색전증; 관상동맥 질환; 뇌출혈; 치매; 파킨슨;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뇌졸중; 자궁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의 암; 심장병; 담낭 질환; 수면 중 무호흡; 관절염; 불임증; 정맥궤양; 돌연사; 지방간; 비대심장 근육병증; 혈전색전증; 식도염; 복벽 탈장; 요실금; 심혈관 질환; 고혈압; 내분비 질환 등이 있다(obesity research vol.12(8), 2004, 1197-1211).
당뇨병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되는 전신적인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 체내에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질병으로 혈중의 당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당뇨병 합병증으로는 저혈당증, 케톤산증, 고삼투압성 혼수, 대혈관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신증 등이 있다.
대사성 질환(Metabolic Syndrome)은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당대사 이상, 혈액응고 이상 및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을 의미한다. 2001년에 공표된 미국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TP III에 따르면, ① 허리둘레가 남자 40 인치(102 cm), 여자 35 인치(88 cm) 이상인 복부 비만, ② 중성지방(triglycerides) 150 mg/dL 이상, ③ HDL 콜레스테롤이 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이하, ④ 혈압 130/85 mmHg 이상, ⑤ 공복혈당(fasting glucose)이 110 mg/dL 이상 등의 다섯 가지 위험인자 중 세 개 이상을 한 환자에서 나타낼 경우 대사성 질환으로 판정하게 된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수행하는 "포도당을 세포 내로 공급하는 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바, 혈액 중의 포도당은 세포 내로 들어가지 못해 고혈당 증세를 보이게 되고, 세포는 세포대로 포도당이 부족해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결국 대사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대사성 질환 중 하나인 비만과 함께 동반되는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등은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은 생체 내의 지방 및 당대사에서 가장 핵심적 기관으로 비만에 의해 40~90% 유도되는 비알콜성 지방간은 식습관의 조절, 운동, 체중감량에 의해 가역적으로 정상화될 수 있으나, 발병이 진행되면 지방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의 중증 질환으로 이행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2008년 한 해 11,000여 명이 간암으로 인해 사망하여 암종 중에서 사망률 1위를 기록하였다. 대사성 질환이 지방간 단계에서 적절히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많은 환자들이 중증 이환하여,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대한간학회가 1988년부터 2007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총 73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특히 사회활동이 활발한 30세 이상 남성의 지방간 유병률은 40%에 달하였으며, 여성의 경우 50대에 지방간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지방이 많은 서구식 음식 섭취의 증가, 운동 부족으로 인해 10년 전에 비해 지방간의 발생빈도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지방간은 의학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초과하는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를 포함하는 간질환은 선진국 40-50대 성인 인구의 사망원인에서 암 다음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인정된다. 선진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인구 중 30%는 지방간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중 20%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하게 되며, 간경변증 환자의 약 절반은 진단 후 10년 이내에 간질환으로 사망한다. 지방간 및 지방간염의 주요 원인은 과음,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며, 이중에서 서구식 식습관과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비만에서 기인한 대사성 지방간은 알콜성 지방간증과 더불어 간염, 간경변증 및 간암의 주요 원인이다.
간 질환은 조기발견 또는 예방할 때 효과를 나타내므로 지방간 상태에서 식생활을 통한 개선 조치 및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 현재 지방간을 약물학적으로 치료하는 유용한 약제는 거의 없는 상태이고, 시판되는 약물의 치료 효과가 의심되거나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운동과 식이요법만이 권장되고 있으나, 실제로 이러한 방법에 의한 지방간의 치료효율은 매우 낮아서 유용한 치료제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 분야는 최근 바이오 분야의 산업 및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고부가가치 산업 및 대규모 경제 도약의 기반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산업분야가 될 수 있다.
현재 외국 및 국내 제약사에서 개발중인 후보 약물들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 또는 간성상세포 사멸을 목표로 한 후보약물 도출에 한정되며, 이들 약물들은 전임상 또는 임상연구 중에 있으므로 명백한 치료효능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다. 효능 면에서 볼 때 여러 후보물질들은 본질적인 치료제가 아닌 증상 개선제이므로 표적 효과로 평가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이들 타겟 핵수용체에 직접 작용하는 리간드 이외에 RXR(Retinoid X receptor)/LXR(liver X receptor)와 같은 활성 조절 신호 네트워크 내 분자/성분을 타겟으로 활용한 신약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약물 타겟으로서 핵수용체의 장점 및 중요성을 바탕으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은 4천억 달러의 전세계 약물 시장에서, 핵수용체를 신약 타겟으로 하는 약물 개발에 전체 시장 규모의 10~15% 정도를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까지 핵수용체에 작용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약물들이 개발되었고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인 PPARα 효능제, 당뇨병 치료제인 PPARγ 효능제 등과 같은 약물들은 이미 블록버스터급으로 막대한 매출을 올린 바 있다. 또한 만성대사성 질환에서 핵수용체의 역할의 중요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신규한 핵수용체(LXR, FXR, PXR)를 작용점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물질에 대한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망고스틴(Garcinia mangostana)은 말레이시아가 원산지인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고추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향기가 있고 새콤달콤하여 열매 중의 여왕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맛이 뛰어나다. 망고스틴의 과육에 있는 색소는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색이 변하지 않아 염료로 사용할 수 있다. 망고스틴은 수정을 하지 않고 종자를 만들어 심음으로써, 옛날부터 동일한 품종이 재배되었으며, 재배가 까다로워 제한된 지방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고스틴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타이완, 필리핀,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분포한다. 망고스틴은 살균, 항균,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으며,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망고스틴은 골다공증 예방, 시력증진, 식욕증진, 소화촉진, 변비예방, 간기능 활성화, 결핵 예방, 심장보호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고스틴의 껍질에는 크산톤(Xanthone, 또는 잔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위와 같은 우수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크산톤은 대표적으로 알파 망고스틴, 감마 망고스틴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알콜성 지방간 및 비알콜성 지방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알파 망고스틴이 비만상태에서의 혈당,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간기능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AMPK를 활성화함으로써 비만상태에서의 혈당,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간과 지방의 조직 검경에서 증가한 지방 세포의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켜 간기능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비알콜성 지방간 및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의 체중 감소효과를 나타낸 도이다[ND: 정상식이군, NDMG10: 정상식이군에 알파망고스틴 10 mg/kg 투여군, NDMG50: 정상식이군에 알파망고스틴 50 mg/kg 투여군, HF: 고지방식이군, HFMG10: 고지방식이군에 알파망고스틴 10 mg/kg 투여군, HFMG50: 고지방식이군에 알파망고스틴 50 mg/kg 투여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하루당 식이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적출한 부위별 지방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적출한 간과 신장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간의 조직 검경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알부민, ALT, AST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BUN, 크레아티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포도당, 유리 지방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AMPK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109477938-pat00001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알파 망고스틴은 통상적인 추출 및 분획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또는 유기 합성적인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먼저, 음건한 망고스틴 과피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때,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1 내지 100%(v/v)의 메탄올, 1 내지 100%(v/v)의 에탄올이며, 1 내지 100%(v/v)의 메탄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득한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고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로 순차 분획한다. 이들 분획들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노란 분말형태의 알파 망고스틴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AMPK(AMP-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하는데, AMPK는 체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를 위한 센서 단백질이다. 세포 내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는 세포 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단백질 키나제 캐스케이드의 하부 구성 요소이며, AMPK의 중추적인 역할은 전신의 에너지를 대사를 조절하는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므로 AMPK는 2형 당뇨병 및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AMPK를 활성화함으로써 비만상태에서의 혈당,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간과 지방의 조직 검경에서 증가한 지방 세포의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간과 신장의 무게, ALT, AST, 알부민, BUN, 크레아티닌의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시킴으로써 간과 신독성은 야기되지 않았으며,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간기능 손상의 개선 효과도 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은 의학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초과하는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대사성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파 망고스틴과 함께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1일 1 mg/ kg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 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알파 망고스틴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파 망고스틴의 제조
음건한 망고스틴 과피(1.3 kg)를 100% 메탄올(v/v %)로 8 L씩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망고스틴 메탄올 추출물(401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메탄올 추출물 중에서 164g의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4 L)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로 순차 분획을 실시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얻었다. 이들 분획물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37.9 g)에 대하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용매로 하는 농도구배 실리카 겔(gradient silica gel) (593 g) 개방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총 49개의 분획물(GMC1 내지 GMC 49)로 분획하였고, 그 중 24번 및 25번 분획물을 메탄올과 증류수로 재결정하여 알파-망고스틴(8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알파 망고스틴의 체중 감소효과 및 식이량의 변화 확인
수컷 C57BL/6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에서 구입하여, 일주일간 안정화 기간을 거친뒤, 정상 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으로 나누었다. 고지방 식이군은 60% kcal의 지방이 함유된 식이를 11주간 시행하였다. 고지방 식이를 시작한지 5주가 지난 후 마우스를 비히클(vehicle) 투여군, 10 mg/kg 알파 망고스틴 투여군, 50 mg/kg 알파 망고스틴 투여군으로 각각 나누어 1일 1회로 5주간 알파 망고스틴을 경구투여하였다. 알파 망고스틴은 물과 PEG(polyethylene glycol)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에 녹여 투여하였고, 비히클로는 알파 망고스틴을 녹인 용매를 투여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3일에 한번씩 체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체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하루 식이량의 변화를 사료 공급시 준 양과 남은 양의 차이를 통해 계산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 망고스틴 투여시 하루 식이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알파 망고스틴 투여에 따른 장기의 무게 변화 및 조직 검경 결과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준비된 고지방 식이를 시작한지 11주가 지난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하고, 간, 신장, 복부과 신장뒤의 지방을 적출하여 적출한 부위별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장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간과 신장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때, 간과 지방의 일부를 잘라 슬라이싱하고 4% 포르말린에 담근 다음 조직 검경에 사용하였으며, 조직 검경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과 신장의 무게가 정상 범위였으며, 간과 증가한 지방 세포의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알파 망고스틴 투여에 따른 간 및 신장의 독성 여부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채취된 혈액은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혈액 임상검사를 실시한 후, 알부민, AST, ALT, BUN,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혈당,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LDL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 망고스틴은 혈액 내에서 알부민, AST, ALT, BUN, 크레아티닌의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 망고스틴은 혈액 내에서 혈당, 유리 지방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남은 장기와 혈액 샘플을 -8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3. 알파 망고스틴의 면역 블롯(Immunoblot) 분석
실험에 사용한 p-AMPK, AMPK, SirT1, PPARγ, RXRα 항원은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Danvers, MA)에서 구입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표준 절차에 따라 웨스턴 블록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BIO-RAPID 단백질 분석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전체 세포의 20~30μg)을 2×샘플 완충액(20% 글리세롤, 4% SDS, 10% 2-ME, 0.05% 브로모페놀블루, 및 1.25 M 트리스(Tris)[pH 6.8])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8 또는 15 % SDS-PAGE 젤에 로딩하여 150 V에서 90분 동안 실행하였다. 세포단백질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Bio-Rad 반습식(semidry) 전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면역 블롯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막(Bio-Rad)으로 옮겼다. 그 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막을 0.1% Tween 20을 넣은 트리스 완충 식염수에서 5% 우유를 넣고 일차 Ab(1:500~1:1000로 희석)와 함께 밤새 배양하였다. 블롯을 0.1% Tween 20을 넣은 트리스 완충 식염수로 세번 세척하고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anti-IgG Ab (1:2000~1:20,000로 희석)와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블롯을 0.1% Tween 20을 넣은 트리스 완충 식염수로 다시 세척하고, 화학 발광 기질(chemiluminescent substrate)(ECL-Plus; Amersham Biosciences, Piscataway, NJ)을 이용하여 면역반응성 밴드(immunoreactive bands)를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 망고스틴 처리 그룹에서 AMPK 인산화는 SirT1, PPARγ 및 RXRα 신호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알파 망고스틴을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정제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캡슐제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4. 주사제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5. 액제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1. 건강식품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알파 망고스틴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53912887-pat0000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은 후, 조추출물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로 순차 분획하여 얻은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1 내지 100%(v/v)의 메탄올 또는 1 내지 100%(v/v)의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53912887-pat00003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30147395A 2013-11-29 2013-11-29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395A KR101671248B1 (ko) 2013-11-29 2013-11-29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395A KR101671248B1 (ko) 2013-11-29 2013-11-29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583A KR20150062583A (ko) 2015-06-08
KR101671248B1 true KR101671248B1 (ko) 2016-11-01

Family

ID=5350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395A KR101671248B1 (ko) 2013-11-29 2013-11-29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8588A (ja) * 2015-11-17 2017-05-25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 予防・治療剤
CN107362159A (zh) * 2016-05-13 2017-11-21 上海交通大学医学院 呫酮类化合物及其衍生物在制备降血脂药物中的应用
CN115737627A (zh) * 2022-11-14 2023-03-07 昆明医科大学 α-倒捻子素在制备防治高血压及高血压肾病药物中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0581A (zh) * 2011-03-08 2012-09-19 吉林农业大学 α-mangostin在防治糖尿病中的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0581A (zh) * 2011-03-08 2012-09-19 吉林农业大学 α-mangostin在防治糖尿病中的用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dentification of the role of mangostin in adipocytes with high- throughput biosensor platform(2013.4.27.)*
PLoS ONE, Vol. 7(3), pp. 1-6(2012.03.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583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0921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200002260A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248B1 (ko)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3825B1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59728B1 (ko) 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728A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6466B1 (ko) 신규한 스티그마스테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903185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 d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552282B1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6982192B2 (ja) 鎮痛に有効な山椒葉抽出物の分画物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5552A (ko) 마황, 대황 및 자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2604A (ko) 이소리퀴리티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53413A1 (ja) PPARγ活性化用組成物及び糖取込み促進能向上用組成物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19185B1 (ko) 신규 바이페닐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06226B1 (ko) 콩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2151B1 (ko) 두충 추출물 및 산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4890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