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179B1 -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179B1
KR101671179B1 KR1020140088176A KR20140088176A KR101671179B1 KR 101671179 B1 KR101671179 B1 KR 101671179B1 KR 1020140088176 A KR1020140088176 A KR 1020140088176A KR 20140088176 A KR20140088176 A KR 20140088176A KR 101671179 B1 KR101671179 B1 KR 10167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online education
education service
service providing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273A (ko
Inventor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영
Priority to KR102014008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1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 상기 각 질문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및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가 기록된 질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학습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마다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각각의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문장의 입력을 상기 학습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의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을 각각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 간의 배열을 가이드 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ONLINE EDUCATION SERVICE BY SERVER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시와 진학에 필요한 자기소개서의 작성방법 교육에 관한 학습 컨텐츠를 온라인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소개서의 작성에 미숙한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자기소개서 작성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입시와 진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영향에 힘입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계에서 각광을 받고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대부분 해당 과목 강사의 강의를 동영상 파일로 저작하여 교육 제공 서버를 통해 인터넷 상에 올린 다음, 사용자가 인터넷이 연결된 PC로 시간과 장소에 상관 없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다운 로드 받아 시청하고 학습할 수 있는 스트리밍 방식의 주문형 강의(LOD: Lecture On Demand)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이버 대학, 인터넷 교육업체 등의 교육 관련 웹 사이트에서 교육 자료(동영상, 음성, 문자 등을 포함한다)를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여 학습하는 멀티미디어 인터넷 재택학습이 가능하고, 다운로드 받은 교육 자료는 언제 어디서든지 PC를 통해 반복 학습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교육 자료에 대한 질문 사항이나 강의 평가 등을 인터넷을 통해 교육 서비스 제공자와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강의 내용이 대부분 교과목에 대한 강사의 일방적인 지식전달에만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학생들과 강사 간의 상호보완적인 교육이 아닌 강사의 강의를 동영상이나 mp3 파일 등을 통해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시청하거나 청취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아, 오프라인 강의가 갖는 실시간 대화형 학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국어, 영어, 수학 등 학과목의 지식전달에만 치우쳐 있다. 근자의 진학을 위한 입시는 이러한 학과목 점수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소개서나 에세이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소개서 등의 작성에 대한 교육은 우리나라 공교육 시스템이 커버하지 못하는 범위인지라, 대다수의 학생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자기소개서의 작성은 비단 입시에만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되어 기업체나 기관의 입사 시에도 필수적이면서 중요한 평가수단으로 채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단순하게 교과목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자기소개서 등의 에세이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인터렉티브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6446호(2010.01.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시와 진학에 필요한 자기소개서의 작성방법 교육에 관한 학습 컨텐츠를 온라인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소개서의 작성에 미숙한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자기소개서 작성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입시와 진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 상기 각 질문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및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가 기록된 질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학습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마다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각각의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문장의 입력을 상기 학습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의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을 각각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 간의 배열을 가이드 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의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을 각각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답변 문장이 포함하는 각 단어의 품사를 태깅(Tagging)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품사 태깅된 상기 각 단어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하나 이상의 어구로 파싱(Parsing)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맞춤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각 어구의 맞춤법을 정정한 후, 상기 맞춤법이 정정된 상기 각 어구를 조합하여 문장으로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문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문장에 대한 문법을 정정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 간의 배열을 가이드 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의 배열 변경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의 입력이 가능한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각 문장의 배열정보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입력된 상기 배열정보 및 상기 접속사를 통해 상기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질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질문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면접 항목이 기록된 면접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답변 텍스트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명사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독출된 하나 이상의 명사 중 선정된 개수 이상의 동일한 명사를 포함하여 문장이 구성된 면접 항목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판독된 면접 항목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답변 텍스트 및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선정된(predetermined) 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보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문가가 입력한 보정 내용을 수신하면, 상기 보정 내용이 첨삭 형태로 가미된 답변 텍스트를 상기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자기소개서 작성에 미숙한 학습자에게 자기소개 작성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하여 그에 따라 연상되는 문장을 입력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자기소개서의 작성방법을 기초부터 편리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학습자가 입력한 자기소개 문장에 대한 맞춤법 및 문법에 대한 보정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함께 고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소개서 작성 내용의 보정을 전문가로부터 실시간으로 첨삭지도의 형태를 통해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인터렉티브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답변문장 보정 단계의 상세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자기소개서 작성 가이드 프로그램의 각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 등 온라인을 통해 접속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PC(101), 스마트폰(102), 스마트패드(103) 등 온라인을 통해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접속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질문 데이터베이스(110), 면접 데이터베이스(120), 맞춤법 검사모듈(130), 문법 검사모듈(140)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질문 데이터베이스(110), 면접 데이터베이스(120), 맞춤법 검사모듈(130), 문법 검사모듈(140)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개의 외부 장치로 구성되어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와 각각 온라인 접속되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작되어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로컬 형태로 배포된 후,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각 프로그램들의 실행 및 동기화를 통해 수행될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배포될 수도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연계되는 웹사이트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이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연계된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되고, 학습자는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른 자기소개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 상기 각 질문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및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가 기록된 질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질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질문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면접 항목이 기록된 면접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유지한다(단계(211)).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학습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단계(212)). 상기 질문 항목은 자기소개서 작성에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질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질문 항목은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에 대하여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세요."라는 질문 문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질문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러한 자기소개서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의 질문 항목이 문제은행 텍스트 형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답변 가이드 항목은 상기 질문 항목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목차분류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답변 가이드 항목은 상술한 질문 항목의 예에 대응하여 "영향을 준 경험(인문, 서적, 사건)"라는 제1 답변 가이드 항목, "구체화된 꿈! 지속적 꿈의 성장(지원동기)"라는 제2 답변 가이드 항목, "지원분야를 위한 노력과 준비"라는 제3 답변 가이드 항목, "역경을 이겨낸 학습(성장 과정)"이라는 제4 답변 가이드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마다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각각의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문장의 입력을 상기 학습자에게 요청한다(단계(213)).
상기 답변 키워드는 답변 가이드 항목에 따라 학습자가 작성해야 하는 답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에 대한 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키워드는, "과학쟁이", "축구경기관람", "백일장"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키워드는, "신약개발", "노벨 문학상", "2002 한일 월드컵 4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키워드는, "경암바이오 유스멘토링", "박지성 축구캠프", "청소년 글짓기 콘테스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키워드는 "학업우수상", "결승전 2골 1어시스트", "콘테스트 금상 입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답변 키워드를 보고 학습자는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따라 연상되는 자신의 경험에 따른 답변 문장을 자신의 수준에 맞게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의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을 각각 보정한다(단계(214)).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답변문장 보정 단계의 상세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214)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답변 문장이 포함하는 각 단어의 품사를 태깅(Tagging)한다(단계(311)).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문장의 형태소(Morpheme)를 분석하여 상기 문장이 포함하는 각 단어의 품사를 태깅한다. 품사 태깅은 문장 내에서 단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 각 단어에 올바른 품사 정보를 할당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품사 태깅은 일반적으로 어휘 모호성으로 인한 구문 분석 단계에서의 과다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품사 태깅 방법으로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규칙 기반 품사 태깅 방법 및 통계 기반 품사 태깅 방법이 있다. 통계 기반 접근 방법은 실세계 자연어 용례들과 부속 정보를 포함하는 대량의 원시(raw) 또는 태깅된(tagged) 코퍼스(corpus)를 분석하고, 자연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추출하여 얻은 확률(probability) 또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이용하여 어휘적 모호성 문제를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한편, 규칙 기반 접근 방법은 품사 태깅에 적용되는 공통적인 원리나 결정적인 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적 모호성을 결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규칙 기반 접근 방법 및 통계 기반 접근 방법과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품사 태깅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품사를 태깅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품사 태깅된 상기 각 단어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하나 이상의 어구로 파싱(Parsing)한다(단계(312)).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품사 태깅된 각 단어의 의미를 분류하여 각 단어에 대응하는 기본 의미를 태깅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단어의 일반적 의미가 기록된 소정의 워드 센스(Word Sense)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단어의 의미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의미 분류된 단어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문장을 하나 이상의 어구로 파싱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단어에 태깅된 품사 또는 의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어를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장이 "친척동생이 소아암으로 투병하였다"인 경우, 상기 문장이 포함하는 단어는 "친척", "동생", "이", "소아암", "으로", "투병", "하였다"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각 단어에 태깅된 품사 또는 의미분류를 통해 상기 각 단어를 서로 동일 역할을 하는 단어끼리 조합하여 "친척동생이", "소아암으로", "투병하였다"라는 어구로 파싱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맞춤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각 어구의 맞춤법을 정정한 후, 상기 맞춤법이 정정된 상기 각 어구를 조합하여 문장으로 배열한다(단계(313)).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문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문장에 대한 문법을 정정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보정한다(단계(314)). 상기 맞춤법 검사모듈과 상기 문법 검사모듈은 국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맞춤법 보정 프로그램과 문법 보정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 간의 배열을 가이드 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텍스트를 완성한다(단계(215)). 단계(215)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의 배열 변경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의 입력이 가능한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각 문장의 배열정보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상기 배열정보 및 상기 접속사를 통해 상기 답변 텍스트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답변 텍스트 및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선정된(predetermined) 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보정을 요청한다(단계(216)).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문가가 입력한 보정 내용을 수신하면, 상기 보정 내용이 첨삭 형태로 가미된 답변 텍스트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단계(217)). 단계(217)에 따른 웹사이트 화면은 도 1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답변 텍스트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명사를 독출한다(단계(218)).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독출된 하나 이상의 명사 중 선정된 개수 이상의 동일한 명사를 포함하여 문장이 구성된 면접 항목을 판독한다(단계(219)).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판독된 면접 항목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단계(220)). 즉,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소개서 내용과 최대한 일치하는 면접 질문을 학습자에게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 이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자기소개서 작성 능력의 향상과 함께 구술면접에 대한 학습과 대비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면접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면접 질문 텍스트가 문제은행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자기소개서 작성 가이드 프로그램의 각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자기소개서 작성 학습 가이드 웹사이트의 각 화면에 대한 설명을 한다.
로그인 후 첫 화면 상단에는 로그인 한 회원의 이름, 학교, 학년 및 각 과목 별 내신 평균 성적과 최근 모의고사 등급에 대한 정보가 게시된다. 중앙 부분에는 학생부, 관심학과, 관심대학, 작성된 자기소개서 및 예상면접질문에 대한 정보가 게시된다.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 탐색 부분은 인적사항 등을 입력한 것으로 작성이 완료된 문항은 다른색으로 색칠되며,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관심학과 탐색 부분은 최근에 탐색한 순서대로 보여지며,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관심대학탐색 부분은 최근에 탐색한 순서대로 보여지며,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작성 자기소개서 부분은 최근에 작성한 순서대로 문항별로 보여지며, 작성의 진행률과 첨삭의 유무 여부가 표시된다. 면접 부분에서는 저장된 날짜별로 예상 면접질문을 확인할 수 있다.
하단 부분에서는 공지사항과 입시뉴스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업데이트 된 멘토의 사진과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 탐색 세부 화면은 좌측에는 각 항목이 표시되며, 그 문항의 TIP 이 표시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관리자 모드에서 수정 가능하다. 우측 상단에는 선택한 항목이 지문과 그림으로 구성되어 보여진다. 우측 하단에는 문항과 관련된 질문이 표시되며 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다. 상기 질문과 답변에 대한 DB는 누적되어 자신의 활동으로 인쇄가 가능하며, 자기소개서 작성 및 면접 화면에서 문항별로 검색과 열람이 가능하다.
학과 탐색 세부 화면은 좌측에는 학과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보여지며, 그에 대한 학과개요, 배우는 과목, 전공필수과목, 학과전망, 향후 진로 항목을 클릭할 수 있다. 클릭된 항목은 우측 상단에서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클릭할 수 있는 항목은 수정가능하며, 상기 정보는 관리자 DB에서 검색된다. 좌측 하단에는 최근 검색한 정보가 표시된다. 우측 하단에는 문항과 관련된 질문이 표시되며 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다. 상기 질문과 답변에 대한 DB는 누적되어 자신의 활동으로 인쇄가 가능하며, 자기소개서 작성 및 면접 화면에서 문항별로 검색과 열람이 가능하다.
학교 탐색 세부 화면은 좌측에는 학교를 지역별로 검색할 수 있는 선택창이 보여지며, 그에 대한 위치, 특징, 학사정보 항목을 클릭할 수 있다. 클릭된 항목은 우측 상단에서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클릭할 수 있는 항목은 수정가능하며, 상기 정보는 관리자 DB에서 검색된다. 좌측 하단에는 최근 검색한 정보가 표시된다. 우측 하단에는 문항과 관련된 질문이 표시되며 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다. 상기 질문과 답변에 대한 DB는 누적되어 자신의 활동으로 인쇄가 가능하며, 자기소개서 작성 및 면접 화면에서 문항별로 검색과 열람이 가능하다.
자기소개서 작성에 들어가기 전에, 시작 전 캐릭터 강의화면에서 좌측에는 캐릭터가 나타나며, 우측에는 전자칠판이 표시되어 강의 내용이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전자칠판에 한글자씩 표시된다. 시작 전 멘토 강의 화면에서 앞서 회원의 자료에 맞춰 계열별로 멘토 2명의 강의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 화면 좌측에는 멘토의 사진과 프로필이 표시된다. 우측에는 선택된 멘토의 동영상 강의가 재생된다. 멘토의 동영상 강의는 관리자 모드를 통해 업로드 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화면 상단에는 자기소개서 완성도에 따라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률바가 표시된다.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이 표시되며 질문은 관리자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다. 좌측에는 질문에 대한 주요 팁이 표시되며, 그 하단에는 회원이 탐색했던 학과, 학교생활부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우측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으며, 질문에 해당하는 중심키워드를 기재하도록 한다. 하단 좌측에는 멘토의 TIP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멘토의 사진과 프로필이 표시되며, 하단 우측에는 문항과 관련된 신문기사와 전문가 조언 TIP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두번째 화면 상단에는 자기소개서 완성도에 따라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률바가 표시된다.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이 표시되며 질문은 관리자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다. 좌측에는 질문에 대한 주요 팁이 표시되며, 그 하단에는 회원이 탐색했던 학과, 학교생활부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우측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으며, 지난 단계에서 기재했던 키워드가 자동 생성되며 그에 대한 문장을 기재하도록 한다. 하단 좌측에는 멘토의 TIP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멘토의 사진과 프로필이 표시되며, 하단 우측에는 문항과 관련된 신문기사와 전문가 조언 TIP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세번째 화면 상단에는 자기소개서 완성도에 따라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률바가 표시된다.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이 표시되며 질문은 관리자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다. 중앙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수 있으며, 지난 단계에서 기재했던 문장이 기재한 순서대로 자동 생성되어 확인할 수 있다. 본 화면에서는 그에 대한 문장의 순서를 배열하도록 한다. 문장 전체의 위치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키보드의 화살표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하단 좌측에는 멘토의 TIP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멘토의 사진과 프로필이 표시되며, 하단 우측에는 문항과 관련된 신문기사와 전문가 조언 TIP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네번째 화면 상단에는 자기소개서 완성도에 따라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률바가 표시된다.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이 표시되며 질문은 관리자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다. 중앙에는 지난 단계에서 배열된 문장을 최종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작성이 완료되며 관리자가 이에 대한 첨삭을 한다. 첨삭된 부분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며, 해당 문장에 마우스를 접근시키면 화면에 첨삭된 문장이 말풍선 형태로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
101: PC
102: 스마트폰
103: 스마트패드
110: 질문 데이터베이스
120: 면접 데이터베이스
130: 맞춤법 검사모듈
140: 문법 검사모듈

Claims (6)

  1.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 상기 각 질문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및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가 기록된 질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질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질문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면접 항목이 기록된 면접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학습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질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2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 가이드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키워드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마다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각각의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문장의 입력을 상기 학습자에게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답변 가이드 항목의 상기 각 답변 키워드에 대응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을 각각 보정하되, 상기 답변 문장이 포함하는 각 단어의 품사를 태깅(Tagging)하고, 상기 품사 태깅된 상기 각 단어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하나 이상의 어구로 파싱(Parsing)하며, 맞춤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각 어구의 맞춤법을 정정한 후, 상기 맞춤법이 정정된 상기 각 어구를 조합하여 문장으로 배열한 후, 문법 검사모듈을 통해 상기 문장에 대한 문법을 정정하여 상기 답변 문장을 보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 간의 배열을 가이드 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질문 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되, 상기 보정된 하나 이상의 답변 문장의 배열 변경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의 입력이 가능한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문장 배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각 문장의 배열정보 및 각 문장 간에 삽입되는 접속사를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상기 배열정보 및 상기 접속사를 통해 상기 답변 텍스트를 완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답변 텍스트 및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선정된(predetermined) 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에 대한 보정을 요청하는 제6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첨삭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문가가 입력한 보정 내용을 수신하면, 상기 보정 내용이 첨삭 형태로 가미된 답변 텍스트를 상기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제7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답변 텍스트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상기 답변 텍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명사를 독출하는 제8 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독출된 하나 이상의 명사 중 선정된 개수 이상의 동일한 명사를 포함하여 문장이 구성된 면접 항목을 판독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판독된 면접 항목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제10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88176A 2014-07-14 2014-07-14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KR10167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176A KR101671179B1 (ko) 2014-07-14 2014-07-14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176A KR101671179B1 (ko) 2014-07-14 2014-07-14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73A KR20160008273A (ko) 2016-01-22
KR101671179B1 true KR101671179B1 (ko) 2016-11-09

Family

ID=5530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176A KR101671179B1 (ko) 2014-07-14 2014-07-14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1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813A (ko) 2017-05-31 2019-01-16 (주)미래융합정보기술 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901B1 (ko) * 2018-12-07 2019-03-27 주식회사 이에프엠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입시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55614A (ko) 2018-11-13 2020-05-21 (주)창체넷 면접 지원 시스템
KR102188091B1 (ko) * 2020-03-13 2020-12-07 (주)레오코퍼레이션 효과적인 학습 및 수시 전형 성공을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밀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84B1 (ko) 2019-03-15 2021-04-20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대입 수시전형 준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122A (ja) * 2001-04-24 2002-11-08 Toshio Ueda ウェブページを利用した定型文書作成システム
KR100788781B1 (ko) * 2006-09-21 2007-12-27 주식회사 씨디아이홀딩스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68669A (ja) * 2011-02-14 2012-09-06 Nec Corp インタビュー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4488B2 (ja) * 2008-09-29 2014-06-0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文書作成支援装置および文書作成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46A (ko) 2008-07-09 2010-01-19 메가스터디(주) 온라인교육평가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온라인 교육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122A (ja) * 2001-04-24 2002-11-08 Toshio Ueda ウェブページを利用した定型文書作成システム
KR100788781B1 (ko) * 2006-09-21 2007-12-27 주식회사 씨디아이홀딩스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14488B2 (ja) * 2008-09-29 2014-06-0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文書作成支援装置および文書作成支援プログラム
JP2012168669A (ja) * 2011-02-14 2012-09-06 Nec Corp インタビュー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813A (ko) 2017-05-31 2019-01-16 (주)미래융합정보기술 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5614A (ko) 2018-11-13 2020-05-21 (주)창체넷 면접 지원 시스템
KR101962901B1 (ko) * 2018-12-07 2019-03-27 주식회사 이에프엠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입시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88091B1 (ko) * 2020-03-13 2020-12-07 (주)레오코퍼레이션 효과적인 학습 및 수시 전형 성공을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밀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73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0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keywords in language learning
Brown Young learners’ transactions with interactive digital texts using e-readers
Pang Lexical bundles and the construction of an academic voice: A pedagogical perspective
KR101671179B1 (ko)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Bouck et al. Free computer-based assistive technology to support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in the writing process
Hickey et al. One step forward and two steps back in teaching an endangered language? Revisiting L2 reading in Irish
Cassels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Indigenous language learning: Literature review and app survey
Kourbetis et al. Digital Accessibility in the education of the deaf in Greece
Chen et al. Developing and evaluating an academic collocations and phrases search engine for academic writers
Moroz App assisted language learning: How students perceive Japanese smartphone apps
Burns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multilingual classrooms
Adel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E-Book on Promoting Idiomatic Competence and Motivation Among L2 Learners of Arabic Language in Saudi Arabia
Andrea et al. Use of Electronic Resources in Teaching and Learning EFL in Higher Education
Al Smadi et al. Exploratory User Research for CoRSAL
Kleeblatt Depth of Vocabulary in Intermediate German Textbook
Snead et al. Building a community‐centered archive for Cherokee language description, documentation, and reclamation
Theyerl Multi-Word Verbs in Prerecorded Instructor Speech: A Corpus-Informed Study
Education et al. Outlining, Compiling & Writing
Alfaifi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E-Book on Promoting Idiomatic Competence and Motivation Among L2 Learners of the Arabic Language in Saudi Arabia
Walmsley Learner modelling for individualised reading in a second language
White Creating basic low-tech high-relevance personalized language corpora with science postgraduates
Botha Evaluating the Task-technology Fit of E-readers in the South African Secondary School Environment
JONGEPIEROVÁ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at a B1+ Level EFL Class
Kultanova The impact of mass media on foreign language teaching
Caffarel et al. Online Support for Learning French at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