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614A - 면접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면접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614A
KR20200055614A KR1020180139444A KR20180139444A KR20200055614A KR 20200055614 A KR20200055614 A KR 20200055614A KR 1020180139444 A KR1020180139444 A KR 1020180139444A KR 20180139444 A KR20180139444 A KR 20180139444A KR 20200055614 A KR20200055614 A KR 2020005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question
history information
key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537B1 (ko
Inventor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주)창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체넷 filed Critical (주)창체넷
Priority to KR102018013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5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접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질문 DB 내의 질문 항목과 매칭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면접 코칭을 할 수 있고, 사용자 이력 정보가 사용자 키워드의 수를 설정 갯수 확보하지 못할 정도로 작성된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와 키워드 매칭 비율이 높은 제3자의 이력 정보를 참고 샘플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제3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키워드 보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력 정보의 보완 작성에 소모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과 의미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제 확률이 높은 질문 항목을 우선 대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범위의 갯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질문 항목의 제공이 가능하며,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를 사용자 질문 항목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이슈에 신속한 면접 대응을 할 수 있는 면접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접 지원 시스템{Interview supporting system}
본 발명은, 면접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질문 DB 내의 질문 항목과 매칭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면접 코칭을 할 수 있고, 사용자 이력 정보가 사용자 키워드의 수를 설정 갯수 확보하지 못할 정도로 작성된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와 키워드 매칭 비율이 높은 제3자의 이력 정보를 참고 샘플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제3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키워드 보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력 정보의 보완 작성에 소모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과 의미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제 확률이 높은 질문 항목을 우선 대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범위의 갯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질문 항목의 제공이 가능하며,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를 사용자 질문 항목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이슈에 신속한 면접 대응을 할 수 있는 면접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영향에 힘입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계에서 가광을 받고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대부분 해당 과목 강사의 강의를 동영상 파일로 제작하여 교육 제공 서버를 통해 인터넷상에 올린 다음, 사용자가 인터넷이 연결된 PC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다운로드 받아 시청하고 학습할 수 있는 스트리밍 방식의 주문형 강의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이버 대학, 인터넷 교육업체 등의 교육 관련 웹사이트에서 교육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여 학습하는 멀티미디어 인터넷 재택학습이 가능하고, 다운로드 받은 교육 자료는 언제 어디서든지 PC를 통해 반복 학습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교육 자료에 대한 질문 사항이나 강의 평가 등을 인터넷을 통해 교육 서비스 제공자와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강의 내용이 대부분 교과목에 대한 강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에만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국어, 영어, 수학 등 학과목의 지식 전달에만 치우쳐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학 입시, 회사 취업 등에 면접의 중요도가 올라가고 있는 실정이며, 면접의 질문은 개인의 이력 사항 및 자기소개서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출제되므로, 기존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으로는 개인 맞춤형 면접 지도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이력 정보에 맞는 맞춤형 면접 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671179(등록번호) 2016.10.26.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질문 DB 내의 질문 항목과 매칭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면접 코칭을 할 수 있는 면접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력 정보가 사용자 키워드의 수를 설정 갯수 확보하지 못할 정도로 작성된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와 키워드 매칭 비율이 높은 제3자의 이력 정보를 참고 샘플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제3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키워드 보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력 정보의 보완 작성에 소모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면접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과 의미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제 확률이 높은 질문 항목을 우선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범위의 갯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질문 항목의 제공이 가능한 면접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를 사용자 질문 항목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이슈에 신속한 면접 대응을 할 수 있는 면접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 또는 공통 질문 항목이 저장되어 있는 질문 DB;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력 정보가 입력되는 이력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키워드를 적어도 둘 이상 선정하는 키워드 선정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매칭되는 각각의 질문 항목을 상기 질문 DB로부터 추출하는 질문 매칭부; 상기 질문 매칭부로부터 추출된 질문 항목과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완성하는 질문 생성부; 상기 사용자 질문 항목 또는 상기 공통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문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이력 DB; 상기 사용자 키워드가 설정 갯수 미만인 경우 상기 이력 DB에 저장된 제3자의 이력 정보 중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적어도 둘 이상 동일한 키워드가 매칭된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는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3자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3자 이력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질문 매칭부에 제공하는 키워드 보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복수의 이력 구간으로 구분하는 이력 정보 구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 DB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상기 이력 구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가 더 많은 제3자 이력 정보가 우선순위가 되도록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에 각 이력 구간별 기 설정된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총합이 더 높은 제3자 이력 정보가 우선순위가 되도록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이 저장된 실면접 DB; 상기 질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상기 기출 면접 항목과 비교하여 의미 유사성이 높고 중복 비율이 더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우선순위가 되도록 정렬하는 질문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 전송부는 상기 질문 정렬부로부터 정렬된 순서로 사용자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질문 정렬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의 갯수가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과정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슈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이슈 수집부; 상기 이슈 수집부에 설정 시간 단위로 중복 수집되는 이슈 키워드를 중복 횟수에 따라 순위를 정하되, 설정 순위 이상 유지된 기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또는 설정 순위 이상 노출된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하는 이슈 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문 매칭부는, 상기 주요 이슈 키워드와 매칭되는 질문 항목을 상기 질문 DB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질문 DB 내의 질문 항목과 매칭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면접 코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력 정보가 사용자 키워드의 수를 설정 갯수 확보하지 못할 정도로 작성된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와 키워드 매칭 비율이 높은 제3자의 이력 정보를 참고 샘플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제3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키워드 보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력 정보의 보완 작성에 소모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과 의미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출 확률이 높은 질문 항목을 우선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범위의 갯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질문 항목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를 사용자 질문 항목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이슈에 신속한 면접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접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접 지원 시스템의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접 지원 시스템의 질문 정렬부의 순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 또는 공통 질문 항목이 저장되어 있는 질문 DB(10)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력 정보가 입력되는 이력 입력부(21)와,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키워드를 적어도 둘 이상 선정하는 키워드 선정부(22)와, 각각의 사용자 키워드와 매칭되는 각각의 질문 항목을 질문 DB(10)로부터 추출하는 질문 매칭부(11)와, 질문 매칭부(11)로부터 추출된 질문 항목과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완성하는 질문 생성부(12)와, 사용자 질문 항목 또는 공통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문 전송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하기에서 설명할 각 부는 별도의 기기에 구현된 기능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 장치와 같은 기기 내부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기능적 명칭을 쓸 뿐 그 명칭으로서 각 부가 하나의 독립된 개체를 뜻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의 경우, 입력부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일수도 있으나,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내부의 파일 불러오기 기능을 뜻할 수도 있는 것이며,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은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라는 기재가 키보드의 타이핑에 의해서만 키워드가 입력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결과적으로 어떠한 데이터가 다음의 처리 단계로 제공되는 일련의 과정을 본 발명에서는 '입력'으로서 지칭하는 것이다.
질문 DB(10)는,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질문 DB(10)는 예를 들어, "( )가 갖추어야 할 가장 큰 덕목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고교시절 ( )활동이 왜 대입 전형에 반영되어야 하는지 이유를 말해보세요." 와 같은 형태로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들이 다수 저장된다. 이러한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들에는 키워드 선정부(22)로부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가 공란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어느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에 어느 사용자 키워드를 적용하는지는 하술할 질문 매칭부(11)에서 결정된다.
또한, 질문 DB(10)는 공통 질문 항목도 저장되어 있다. 공통 질문 항목은 사용자 키워드와 매칭할 필요가 없는 질문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조기 영어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논리적인 사고를 키우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한편, 질문 DB(10)는 하술할 실면접 DB(30)와도 연계될 수 있는데, 실면접 DB(30)에 저장된 기출 면접 항목으로부터 공통 질문 항목이 추출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실면접 DB(30)에 저장된 기출 면접 항목에서 키워드가 배제된 형태로 추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력 입력부(2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력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키보드의 타이핑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완성되는 웹 게시판 형태일수 있고, 또는 완성된 워드 파일 등이 업로드되는 창구일 수 있다.
이력 입력부(21)는 사용자 이력 정보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 즉, 정형화된 폼 내의 텍스트 형태로 존재함으로써, 이력 정보 구분부(23) 또는 키워드 선정부(22)에서 이를 처리 가능한 상태를 만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력 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이력 정보는 이력 DB(20)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가 제3자 이력 정보로서 활용 가능하다.
이력 입력부(21)는 입력된 사용자 이력 정보가 폼에서 요구되는 글자수를 만족하지 못했을 경우 이의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
키워드 선정부(22)는, 이력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키워드를 적어도 둘 이상 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문장의 형태소(Morpheme)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사용자 이력 정보 내의 문장이 포함하는 각 단어의 품사를 태깅(Tagging)한다. 품사 태깅은 문장 내에서 단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 각 단어에 올바른 품사 정보를 할당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품사 태깅 방법으로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규칙 기반 품사 태깅 방법 및 통계 기반 품사 태깅 방법이 있다. 통계 기반 접근 방법은 실세계 자연어 용례들과 부속 정보를 포함하는 대량의 원시(raw) 또는 태깅된(tagged) 코퍼스(corpus)를 분석하고, 자연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추출하여 얻은 확률(probability) 또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이용하여 어휘적 모호성 문제를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규칙 기반 접근 방법은 품사 태깅에 적용되는 공통적인 원리나 결정적인 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적 모호성을 결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규칙 기반 접근 방법 및 통계 기반 접근 방법과 공개된 품사 태깅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품사를 태깅할 수 있다.
태깅된 품사 중 명사에 해당되는 품사는 사용자 키워드로서 각 단어의 의미를 분류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본 의미를 태깅할 수 있다. 이때, 단어의 일반적 의미가 기록된 소정의 워드 센스(Word Sense)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단어의 의미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때 축구 동아리에서 활동하였는데, 이를 통해 개인의 역량을 팀의 조직력과 적절히 조율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습니다."라는 문장은, "고등학교", "때", "축구", "동아리", "에서", "활동", "하였는데", "이를", "통해", "개인", "의", "역량", "을", "팀", "의", "조직력", "과", "적절히", "조율", "하는", "방법", "을", "터득", "할", "수", "있었습니다."가 될 수 있다. 이 중 명사는 "고등학교", "축구", "동아리", "활동", "개인", "역량", "팀", "조직력", "조율", "방법"이 명사로서 사용자 키워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이를 의미가 있는 키워드만으로 다시 선정한다면, "고등학교", "축구", "동아리", "개인", "역량", "팀", "조직력", "조율"이 그 대상이 될 수 있고, 여기서 더 나가아 "축구"와 "동아리"는 연관 키워드로서 서로 묶일 수 있고, "개인"과 "팀", "개인"과 "조직력", "팀"과 "조직력", "팀"과 "조율", 또는 "조직력"과 "조율"은 서로 연관 키워드로서 서로 묶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키워드는 향후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24)에서 사용자 키워드와 제3자의 이력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를 비교할 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이력 정보는, 크게 두 가지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는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소개서의 형태이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경우 인적사항, 학적사항, 출결상황, 수상경력, 자격증, 진로희망사항,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교과학습발달상황, 독서활동상황 등 정규화된 폼이 있다. 자기소개서의 경우에는 다시 대입 자기소개서와 취업 자기소개서로 나뉘는데, 대입 자기소개서는 학습에 기울인 노력, 학습 경험, 배우고 느낀 점 등 비교적 자유로운 폼을 갖고, 취업 자기소개서는 성장 배경, 업무의 강점, 성취감을 이룬 경험, 입사 후 포부를 기재하거나 또는 성장 배경, 지원 동기, 성격의 장단점, 입사 후 포부를 기재하는 두 가지 폼으로 크게 구분된다.
따라서, 대입을 위한 사용자 이력 정보는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 취업을 위한 사용자 이력 정보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인데, 자기소개서의 경우에 대입용과 취업용 상호간에는 폼이 다르나, 각기의 용도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은 폼을 보이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는 복수의 이력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입 자기소개서의 경우 학습에 기울인 노력, 학습 경험, 배우고 느낀 점의 3가지 구간, 취업 자기소개서의 경우 성장 배경, 업무의 강점(지원 동기), 성취감을 이룬 경험(성격의 장단점), 입사후 포부의 4가지 구간으로 나누며, 학교생활기록부나 이력서의 경우 기재 양식의 구분점에 따라 수 개로 나눌 수 있다.
이력 정보 구분부(23)는 이처럼 사용자 이력 정보를 복수의 이력 구간으로 구분한다.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사용자 이력 정보는 키워드 선정부(22)에서 각각의 구간별로 사용자 키워드가 선정되며, 이력 DB(20)는 이러한 사용자 키워드를 이력 구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질문 매칭부(11)는, 키워드 선정부(22)로부터 선정된 각각의 사용자 키워드와 매칭되는 각각의 질문 항목을 질문 DB(10)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질문 항목들 중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들에는 키워드가 배제된 부분, 즉, 공란에 어느 분류의 사용자 키워드가 삽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 )활동이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본인을 성장시키는데 어떠한 계기가 되었습니까?" 라는 질문 항목의 공란에는, 동아리 활동과 연관 키워드로 묶인 사용자 키워드가 매칭될 수 있다. 또는, "( )을 읽을 때 그 책을 선택한 기준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의 공란에는, 학교생활기록부의 독서활동상황으로부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가 매칭될 수 있다.
질문 생성부(12)는, 질문 매칭부(11)로부터 추출된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과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완성한다. 이는 질문 매칭부(11)에서 직접 수행해도 되는 기능이나, 질문 생성부(12)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 키워드를 질문 항목의 공란에 삽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삽입될 사용자 키워드에 맞는 적절한 품사를 선택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질문 생성부(12)는 맞춤법 검사 모듈을 통해 각 어구의 맞춤법을 정정할 수 있고, 따라서, 단일 사용자 키워드 뿐만 아닌 연관 키워드로 묶인 복수의 사용자 키워드 역시 문장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활동이 고등학교 생활에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라는 질문 항목에 매칭되는 사용자 키워드로서 "축구"가 선정되고, 이와 연관된 사용자 키워드인 "동아리" 역시 선정됨으로써, "축구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교 생활에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의 문장으로 생성될 수 있다.
질문 전송부(13)는, 질문 생성부(12)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질문 항목 또는 공통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질문 전송부(13)는 통상의 네트워크 통신부일 수 있으며, 만일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일체형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 모니터, 프린터 또는 기타 출력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키워드 선정부(22)에서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갯수에 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설정 갯수라 함은,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사용자 키워드 갯수로서, 예를 들어, 50개의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해야 하는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의 총 갯수가 30개라면 20개의 부족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 이력 정보가 충분히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지 못하여 발생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며, 1500자를 채워야 하는 자기소개서를 500자만 채운 경우 사용자 키워드의 선정은 절반에 못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렇듯, 사용자 키워드가 설정 갯수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이력 정보를 보완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 외에 유사한 계열의 다른 키워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완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력 DB(20)에 저장된 제3자의 이력 정보 중 사용자 키워드와 적어도 둘 이상 동일한 키워드가 매칭된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는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24)가 구성된다.
이때, 모든 사용자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3자 이력 정보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차선책으로 유사도가 높은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력 구간 정보를 활용한다. 사용자 키워드는 이력 구간 정보와 매칭되어 이력 DB(2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제3자 이력 정보 역시 마찬가지로 제3자 이력 구간 정보와 제3자 키워드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 키워드와 제3자 키워드가 동일한 단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이력 구간에 속해있는 경우 이는 다른 단어로 취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24)는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가 많은 순서로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한다.
한편, 이력 구간은 상호 동일한 가중치를 갖지 않을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력 정보, 성장 환경 등의 정보보다 성격의 장단점, 지원 동기 등의 정보가 면접시 더 중요한 정보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문 항목 역시 이와 관련된 질문들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24)는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제3자 이력 정보 내의 키워드에 각 이력 구간별 기 설정된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총합이 높은 순서로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키워드가 사용자 키워드와 겹치는 제3자 이력 정보보다 보다 적은 키워드이지만 사용자 키워드와 겹치는 이력 구간이 가중치가 높은 이력 구간인 제3자 이력 정보가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는 두 가지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 이력 정보의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력 정보 제공부(25)가 구성되며, 이력 정보 제공부(25)는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샘플 제공의 의미이며, 이때 제공되는 제3자 이력 정보는 해당 이력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동의하에 자기소개서에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자신과 유사한 키워드를 갖는 제3자 이력 정보를 보고 자신이 부족하게 기재했던 부분을 깨우칠 수 있고, 더욱 보완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재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자기소개서의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설사 다른 사람의 자기소개서를 참고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관심 분야 또는 해당되는 분야와 전혀 다른 분야의 것들이 많아 자기소개서 보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둘째로, 키워드가 직접 질문 매칭부(11)에 제공되어 사용자 질문 항목의 생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키워드를 사용자 또는 질문 매칭부(11)에 제공하는 키워드 보강부(26)가 구성된다.
키워드 보강부(26)는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의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리스트 형태로 표출된 키워드를 보고 이 중 자신에게 해당되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고, 키워드 보강부(26)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키워드를 사용자 키워드로서 질문 매칭부(11)에 제공한다.
또는, 키워드 보강부(26)는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의 키워드를 질문 매칭부(11)에 직접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선택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속한 장점이 있으나, 자칫 엉뚱한 키워드가 사용자 질문 항목의 생성에 관여될 수 있다. 따라서, 키워드 보강부(26)는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제3자 이력 정보의 키워드를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키워드와 비교하여 그 유사도가 설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만 질문 매칭부(11)에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키워드가 "박지성", "축구", "유럽축구리그", "월드컵" 이고, 제3자 이력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가 "손흥민", "축구", "유럽축구리그", "아시안게임", "꿈", "열정", "도전" 인 경우 제3자 이력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를 질문 매칭부(11)에 직접 제공할 수 있을 정도라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실제 면접은 시대의 변화 또는 해가 바뀜에 따라 특정 추세를 따라 바뀌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제 면접시의 기출 문항을 시스템에 적용하여야 실제 면접에서 활용 가능한 면접 지원 시스템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이 저장된 실면접 DB(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질문 생성부(12)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질문 항목을 기출 면접 항목과 비교하여 의미 유사성이 높고 중복 비율이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질문 정렬부(31)가 더 구성된다.
질문 정렬부(31)는, 기출 면접 항목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에 사용된 키워드와 비교하고, 워드 센스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단어의 의미가 유사한 키워드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순서를 부여한다. 이때, 기출 면접 항목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는 모든 기출 면접 항목으로부터 추출되어 그 중복 횟수가 매칭되며, 단어의 의미 유사성으로 정렬된 동 순위의 사용자 질문 항목 중에서 그 유사성 판단에 활용된 키워드가 몇 회 중복되었는지를 다시 판정하여 중복 횟수가 많은 키워드를 포함한 사용자 질문 항목을 더 우선순위로 정렬시킨다.
이러한 질문 정렬부(31)로부터 순서가 정렬된 사용자 질문 항목은 질문 전송부(13)에서 해당 순서에 맞게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질문 정렬부(31)에 의한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은,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가 설정 갯수보다 많을 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사용자 키워드의 수가 50개라 할 때,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가 80개인 경우, 너무나 많은 사용자 키워드에 의해 사용자 질문 항목이 필요 이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을 정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중요도가 낮은 사용자 질문 항목에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정작 중요한 사용자 질문 항목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채 면접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질문 정렬부(31)로부터 사용자 질문 항목이 기출 면접 항목과 유사한 순서로 정렬, 즉, 실제 제출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을 전단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 질문 항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가 설정 갯수로부터 설정 오차범위 이내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설정 갯수가 50개이고 오차범위가 5개라 할 때, 선정된 사용자 키워드의 수가 47개이면 질문 정렬부(31)로부터 사용자 질문 항목을 정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자에게 사용자 질문 항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정 범위의 사용자 키워드 갯수에서는 불필요한 연산 과정을 배제함으로써 보다 신속히 사용자에게 사용자 질문 항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출 면접 항목 중 일부는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키워드 유사성이 높은 기출 면접 항목들에서 추출된 키워드 중 중복 횟수가 가장 많은 다른 키워드는 유지하고, 중복 횟수가 가장 적은 키워드를 공란 처리한 후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으로서 질문 DB(10)에 등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악 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 "축구 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 "독서 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 이라는 기출 면접 항목이 있을 때, "동아리", "활동", "자신", "영향"은 중복 횟수가 가장 많은 키워드이고, "음악", "축구", "독서"는 중복 횟수가 가장 적은 키워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출 면접 항목들이 질문 DB(10)에 등록될 때에는 "( )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이라는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으로서 등록되는 것이다.
한편, 기출 면접 항목 중 다른 일부는 공통 질문 항목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키워드 유사성이 높은 기출 면접 항목들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모두 이력 DB(20)에 저장된 각각의 이력 정보의 키워드에 속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악 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 이라는 기출 면접 항목은 축구 동아리 활동을 했던 사용자의 이력 정보와는 "축구"라는 단어에 의해 일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인의 재능을 대학 입학 후 전공과 연관하여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계획인가?"는 보다 보편적으로 각각의 이력 정보의 키워드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관리자가 직접 기출 면접 항목을 참고하여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 공통 질문 항목을 생성하여 질문 DB(10)에 등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면접시의 질문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면접시의 질문은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묻는 방식이 실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현재 대두된 이슈에 대하여 질문 항목을 생성하기 위한 이슈 수집부(40)와 이슈 선정부(41)가 구성된다.
이슈 수집부(40)는, 이슈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인터넷상의 뉴스, 커뮤니티 등에서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저장한다. 이때, 국내 포털 사이트 등에서 실시간 키워드를 수집하는 것은 트래픽 문제, 저작권 문제 등 자칫 분쟁의 소지가 있으므로, 각 포털 사이트와 키워드 수집에 관하여 협약을 맺거나, 구글 등과 같은 매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슈 수집부(40)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되는 이슈 키워드는 이슈 선정부(41)에 의해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된다. 이슈 선정부(41)는 이슈 수집부(40)에 설정 시간 단위로 중복 수집되는 이슈 키워드를 중복 횟수에 따라 순위를 정하되, 설정 순위 이상 유지된 기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또는, 설정 순위 이상 노출된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유 해당 이슈 키워드를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한다.
예를 들어, "손흥민"이라는 키워드가 한달간 중복 횟수에 따른 순위 100위 안에 존재했고, "군면제"라는 키워드가 한달간 중복 횟수에 따른 순위 100위 내에 10번 이상 등재된 경우, "손흥민"과 "군면제"를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설정 순위, 유지된 기간, 노출 횟수 등은 관리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아시안게임 이후 화제였던 "손흥민 군면제"와 같은 단발적인 이슈 말고도 1년 또는 수년에 걸쳐 회자되는 이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년 반복되는 "국정감사", 또는 간간이 화제를 불러오는 "트럼프 대통령"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중장기에 걸친 이슈는 단발적인 이슈에 비해 실제 면접에서 질문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슈 선정부(41)는 이슈 수집부(40)에 설정 순위 이상 노출된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이며, 그 노출 빈도가 월간 도는 연간에 걸쳐 꾸준히 반복되는 이슈 키워드에 보다 가중치를 두어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슈 선정부(41)에 의해 선정된 주요 이슈 키워드는 질문 매칭부(11)에 제공되며, 질문 매칭부(11)는 주요 이슈 키워드와 매칭되는 질문 항목을 질문 DB(10)로부터 추출하여 질문 생성부(12)에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질문 DB(10) 내의 질문 항목과 매칭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면접 코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력 정보가 사용자 키워드의 수를 설정 갯수 확보하지 못할 정도로 작성된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와 키워드 매칭 비율이 높은 제3자의 이력 정보를 참고 샘플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제3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키워드 보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력 정보의 보완 작성에 소모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과 의미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 질문 항목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출 확률이 높은 질문 항목을 우선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로부터 선정된 키워드가 설정 범위의 갯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질문 항목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를 사용자 질문 항목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이슈에 신속한 면접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질문 DB 11: 질문 매칭부
12 : 질문 생성부 13 : 질문 전송부
20 : 이력 DB 21 : 이력 입력부
22 : 키워드 선정부 23 : 이력 정보 구분부
24 :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 25 : 이력 정보 제공부
26 : 키워드 보강부 30 : 실면접 DB
31 : 질문 정렬부 40 : 이슈 수집부
41 : 이슈 선정부

Claims (8)

  1. 키워드가 배제된 질문 항목 또는 공통 질문 항목이 저장되어 있는 질문 DB;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력 정보가 입력되는 이력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키워드를 적어도 둘 이상 선정하는 키워드 선정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매칭되는 각각의 질문 항목을 상기 질문 DB로부터 추출하는 질문 매칭부;
    상기 질문 매칭부로부터 추출된 질문 항목과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사용자 질문 항목을 완성하는 질문 생성부;
    상기 사용자 질문 항목 또는 상기 공통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문 전송부;
    를 포함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이력 DB;
    상기 사용자 키워드가 설정 갯수 미만인 경우 상기 이력 DB에 저장된 제3자의 이력 정보 중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적어도 둘 이상 동일한 키워드가 매칭된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는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
    를 포함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3자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력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3자 이력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질문 매칭부에 제공하는 키워드 보강부;
    를 포함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복수의 이력 구간으로 구분하는 이력 정보 구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 DB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상기 이력 구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3자 이력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가 더 많은 제3자 이력 정보가 우선순위가 되도록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와 동일한 이력 구간 정보에 매칭된 키워드에 각 이력 구간별 기 설정된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총합이 더 높은 제3자 이력 정보가 우선순위가 되도록 제3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실제 기출된 기출 면접 항목이 저장된 실면접 DB;
    상기 질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질문 항목을 상기 기출 면접 항목과 비교하여 의미 유사성이 더 높고 중복 비율이 더 높은 상기 사용자 질문 항목이 우선순위가 되도록 정렬하는 질문 정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 전송부는 상기 질문 정렬부로부터 정렬된 순서로 사용자 질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정렬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의 갯수가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질문 항목의 정렬 과정을 생략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이슈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이슈 수집부;
    상기 이슈 수집부에 설정 시간 단위로 중복 수집되는 이슈 키워드를 중복 횟수에 따라 순위를 정하되, 설정 순위 이상 유지된 기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또는 설정 순위 이상 노출된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주요 이슈 키워드로 선정하는 이슈 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질문 매칭부는, 상기 주요 이슈 키워드와 매칭되는 질문 항목을 상기 질문 DB로부터 추출하는 면접 지원 시스템.
KR1020180139444A 2018-11-13 2018-11-13 면접 지원 시스템 KR10221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44A KR102211537B1 (ko) 2018-11-13 2018-11-13 면접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44A KR102211537B1 (ko) 2018-11-13 2018-11-13 면접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614A true KR20200055614A (ko) 2020-05-21
KR102211537B1 KR102211537B1 (ko) 2021-02-04

Family

ID=7091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444A KR102211537B1 (ko) 2018-11-13 2018-11-13 면접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54A (ko) * 2020-09-29 2022-04-05 김문준 면접 훈련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01583A (ko) * 2021-06-28 2023-01-05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유사도 추출 모델을 이용한 심층 질문형 비대면 면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61B1 (ko) * 2021-05-25 2021-07-23 주식회사 무하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면접 질문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33A (ko) * 2011-11-21 2013-05-29 배창수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구직 면접 중개시스템
KR20160111180A (ko) * 2015-03-16 2016-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 형식 기반 질문 완성 장치, 방법 및 검색 시스템
KR101671179B1 (ko) 2014-07-14 2016-11-09 주식회사 윤영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12718A (ko)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라이크어로컬 유사 사용자 매칭을 이용한 자동 답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33A (ko) * 2011-11-21 2013-05-29 배창수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구직 면접 중개시스템
KR101671179B1 (ko) 2014-07-14 2016-11-09 주식회사 윤영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11180A (ko) * 2015-03-16 2016-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 형식 기반 질문 완성 장치, 방법 및 검색 시스템
KR20180112718A (ko)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라이크어로컬 유사 사용자 매칭을 이용한 자동 답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54A (ko) * 2020-09-29 2022-04-05 김문준 면접 훈련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01583A (ko) * 2021-06-28 2023-01-05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유사도 추출 모델을 이용한 심층 질문형 비대면 면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537B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0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keywords in language learning
Lim et al. A scientometric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1977–2020)
Bonnici et al. Instructional style and learner-centered approach: A cross-institutional examination of modality preference for online course delivery in a graduate professional program
KR102211537B1 (ko) 면접 지원 시스템
US10061813B2 (en) Educational querying processing based on detected course enrollment and course-relevant query time
US11188844B2 (en) Game-based training for cognitive computing systems
Dodson On target or missing the mark? Instruction courses in LIS graduate programs
Tsunekage et al. Integrating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into an inquiry-based introductory biology laboratory
Wang et al. Constructing a competence framework for interpreting technologies, and related educational insights: an empirical study
Vanichvasin Impact of Chatbots on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 in Higher Education Context.
Ledford et al. The Instagram activism slideshow: Translating policy argumentation skills to digital civic participation
Gökoğlu et al. Programming learning and teaching of pre-service computer science teachers: Challenges, concerns, and solutions
Alfonseca et al. Authoring of adaptive computer assisted assessment of free-text answers
López-Fitzsimmons et al. Google vs. library databases: Engaging twenty-first century undergraduate students in critical thinking
Arslan-Ari et al. Assistive technology training within a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Perception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tess Teaching Web search skills: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top trainers
Dwivedi et al. Designing an adaptive question Bank and question paper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Kimok et al. Visual tutorials for point-of-need instruction in online courses
Le Design of interactive English reading teaching system based on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Kononets E-learning in the Agrarian College of Management and Law of Poltava State Agrarian Academy: Approaches to Global Integration
Piercy et al. A cross-national study of family therapy training: A collaborative pilot project
O’Neill Do they know it when they see it?: Natural language prefer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library resources
Parker-Gibson From the womb to the web: Library assignments and the new generation
Osterman Student response systems: Keeping the students engaged
Opoku-Brobbe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LP-based Conversational CHATBOT Framework in Hig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