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53B1 -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 Google Patents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53B1
KR101670953B1 KR1020160098123A KR20160098123A KR101670953B1 KR 101670953 B1 KR101670953 B1 KR 101670953B1 KR 1020160098123 A KR1020160098123 A KR 1020160098123A KR 20160098123 A KR20160098123 A KR 20160098123A KR 101670953 B1 KR101670953 B1 KR 10167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af extract
parts
green tea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수
고용환
Original Assignee
조재수
고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수, 고용환 filed Critical 조재수
Priority to KR102016009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53B1/ko
Priority to US15/663,851 priority patent/US10321688B2/en
Priority to PCT/KR2017/008273 priority patent/WO20180261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6Separation of liquids from each other by electricity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은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투입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된다.

Description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MANUFACTURING METHOD FOR STERILIZATION DEODORANT AND STERILIZATION DEODORANT THEREOF}
본 발명은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이후에 급격히 발전한 과학기술은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인류의 삶을 보다 편하고, 풍요롭게 해주었으며,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도록 하는 한편,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 또한 대량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의 대량 생산 및 대량 소비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연환경이 오염되기 시작하여 20세기 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연과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점차적으로 커져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움직임은 미미한 실정이다.
자연환경의 오염은 주로 재화의 대량 생산시 소요되는 화학제품에 의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량 소비 후 버려지는 재화의 폐기 처리에서도 많은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에의 오염은 오염의 대상에 따라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에 대한 것만 언급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대기, 수질 및 토양의 오염 이외에 인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소음, 악취, 매연 또한 오염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오염의 종류 중에서 악취는 인간의 감각기관의 하나인 코(nose)를 통해 단순히 불쾌한 냄새부터 인체에 유해하거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후드(Hood), 닥트(Duct) 및/또는 높은 굴뚝에 의해 통제 확산시키는 방법인 통풍 및 희석법, 악취물질을 세정기에 통과시켜 세정액으로 흡수하여 제거하는 흡수법, 냉각기를 사용하여 악취물질을 응축 제거하는 응결법, 악취물질을 고온의 가열을 통해 연소시켜 제거하는 연소산화법, 촉매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산화 처리하는 촉매 산화법, 오존(O3) 및/또는 염소화합물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화학적 산화법 등이 있다. 또한 강한 방향취를 갖는 성분을 살포하고 악취를 위장하는 방법으로 바닐린, 송진유 및 초산벤질 등의 향료를 사용하는 위장법과 각기 다른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을 혼합시켜 악취를 무취화 또는 악취를 감소시키는 중화법이 이용되고 있다.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는 콩과의 낙엽활엽수이다. 싸리나무는 해열, 이뇨의 효능이 있으며 폐에 이로우며, 기침, 백일해 및 임질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상록의 활엽관목으로서, 60~90c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보통 어긋나며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의 엽맥이 들어갔고 뒷면은 회녹색으로 맥이 튀어나왔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10-11월에 피고 지름 3-5cm로서 흰색이며 향기가 있고 1-3개가 액생하거나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이듬해의 가을에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단단하다. 차나무잎(또는 녹차잎)은 카페인, 탄닌, 질소,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염류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각성작용과 이뇨, 강심, 해독 및 피로회복 등 인체에 이로운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높이 30~40m, 폭 1~2m 가량이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작은 바늘 모양의 잎이 가지에 밀생한다. 봄에 가지 위에 작은 꽃이 피며, 10월에 녹색의 구과가 붉은색으로 익는다. 구과는 지름 1㎝로 7~9개의 방패 모양인 비늘조각으로 되어 있다. 잎과 목재에는 1%의 정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패류(shellfish)는, 연체동물문에 속하는 동물 중, 조가비를 가진 연체동물을 통틀어 이른다. 패류는 크게 부족류, 복족류 및 굴족류를 총칭한다. 상기 패류 껍질은 강알칼리성이며, 산화칼슘(CaO) 및 산화마그네슘(MgO)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한 패류껍질을 소성하여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의 효과 증대를 위해 소성한 패류껍질 분말은 조개껍질, 석화껍질, 소라껍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800~900℃에서 30분~1시간 동안 소성 후 20~25℃의 온도로 냉각하고 100~200 메쉬(mesh)의 분말로 분쇄하여 얻은 소성한 패류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74767호(2000.12.15. 공개, 발명의 명칭: 강력 탈취제 맥섬석 대물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력 및 악취 제거 효율이 우수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효과가 우수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성이 우수하면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범위한 물질에 대한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 지속성 및 악취 제거 지속성이 우수한 악취 대상 물질의 제거 효과가 우수한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은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투입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액은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 1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을 전기 에너지 및 자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100~1000 kV의 전기장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자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5,000~5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24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성 패류껍질 분말은 패류껍질을 800~900℃에서 소성하고; 상기 소성된 패류껍질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그리고 상기 패류껍질을 100~200 메쉬(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및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녹차잎, 싸리잎 및 편백나무잎에 자외선을 10~30분 동안 각각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된 녹차잎, 싸리잎 및 편백나무잎 각 100 중량부를, 물 1000~2000 중량부에 각각 투입하고 80~1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50 중량부 및 나노실버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제는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소성 패류껍질 분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포함하여,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살균 탈취제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효과가 우수하며, 혼합성이 우수하고, 살균력 및 악취 제거 효율이 우수하며, 광범위한 물질에 대한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고, 살균 지속성 및 악취 제거 지속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살균”이란, 처리 대상 물질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미생물을 사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처리 대상 물질”은,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 성분으로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모든 세균, 진균, 효모 및 조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은 (S10) 제1 혼합액 제조 단계; (S20) 제2 혼합액 제조 단계; 및 (S30) 여과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은 (S10)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제1 혼합액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투입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0)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제1 혼합액 제조 단계
상기 단계는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액은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 1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을 전기 에너지 및 자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혼합액에 포함되는 성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혼합물
녹차잎 추출액
상기 녹차잎 추출액은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 부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은 녹차잎(차나무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된 녹차잎 각 100 중량부를, 물 1000~2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80~1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은 가열 전의 물 부피에 대하여 10~5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5~3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잎 분말 1~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및 탈취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분말은, 녹차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조사하고, 100~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기는, 최장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싸리나무잎 추출액
상기 싸리나무잎 추출액은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의 잎 부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싸리나무잎 추출액은 싸리나무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조사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된 싸리나무잎 각 100 중량부를, 물 1000~2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80~1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싸리나무잎 추출액은 가열 전의 물 부피에 대하여, 10~5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5~3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싸리나무잎 추출액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싸리나무잎 분말을 1~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싸리나무잎 분말은, 싸리나무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조사하고, 100~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백나무잎 추출액
상기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잎 부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편백나무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각각 조사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된 편백나무잎 각 100 중량부를, 물 1000~2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80~1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가열 전의 물 부피에 대하여, 10~5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5~30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편백나무잎 분말을 1~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나무잎 분말은, 편백나무잎에 10~398nm 파장의 자외선을 10~30분 동안 조사하고, 100~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성 패류껍질 분말
상기 소성 패류껍질 분말은 패류껍질을 800~900℃에서 30~1시간 동안 소성하고; 상기 소성된 패류껍질을 상온(20~30℃)으로 냉각하고; 그리고 상기 패류껍질을 100~200 메쉬(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류로는 부족류, 복족류 및 굴족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패류로는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굴 및 소라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패류껍질 분말 제조시 소성 후 냉각은 상온에서 방치하여 냉각, 냉풍을 이용한 냉각, 냉수에 침지시키는 냉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소성 패류껍질 분말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7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100~1000 kV의 전기장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자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5,000~5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24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전기 또는 자기 에너지 처리시, 상기 제1 혼합물에 함유된 물을 나노미터 크기로 분리하여,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가 악취를 발생하는 대상 물질에 대한 흡수력을 증가시키고, 악취 발생부에 침투하는 침투력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악취 발생부의 미생물을 살균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에서 악취 발생부는 악취가 발생하는 물건, 악취가 발생하는 지역, 악취가 발생하는 부위 및/또는 악취가 발생하는 처리 대상 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 10~70 중량부를 100~500rpm의 회전속도로 1~12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혼합성이 우수할 수 있다.
(S20) 제2 혼합액 제조 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혼합액에 산화게르마늄(germanium oxide) 및 나노실버(nano silver)를 투입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산화게르마늄
상기 산화게르마늄(GeO2)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살균 및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게르마늄은, 평균크기 0.01~5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산화게르마늄은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할 수 있다.
나노실버
상기 나노실버(nano silver)는, 본 발명의 살균 및 탈취 효과의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나노실버는 0.1~500nm 크기의 실버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실버의 양이온(Ag+)은 처리 대상 물질의 -SH기, -COOH기, 및 -OH기 등과 강하게 결합하여, 처리 대상물질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세포의 기능을 교란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나노실버는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의 혼합성이 우수하면서, 상기 살균 탈취제 성분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살균 및 탈취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산화게르마늄에 대하여, 상기 나노실버를 1:0.5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시, 살균 및 탈취의 상승 효과가 저하와, 살균 탈취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저하되고, 상기 산화게르마늄에 대하여 상기 나노실버를 1:3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시 나노실버 사용량 증가에 비한 살균 및 탈취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으며, 살균 탈취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5~1: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S30) 여과 단계
싱기 단계는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토르마린 필터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르말린 분말이 충전된 필터에 상기 제2 혼합액을 통과시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토르말린(tourmaline)은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학 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 규산염이다. 이러한 토르말린은 대개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의 주상을 이루며, 마찰에 의해서 전기를 생성하고, 가열하면 양 끝이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대전된다. 이러한 토르말린을 이용하는 정화장치는 오염수가 필터 역할을 하는 토르말린을 통과 시 전기적 성질을 가진 토르말린이 전류를 발생시켜 물을 순간적으로 전기 분해하여 알칼리 이온화 시킴으로써, 정화 및 정수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토르말린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시, 상기 살균 탈취제의 음이온 발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제는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소성 패류껍질 분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는, 액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좋지 않은 오염의 하나인 악취를 제거 및/또는 탈취시킬 수 있는 액상 살균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액상 살균 탈취제는 그 제형이 액상으로 되어 있어 악취의 발생 정도에 따라 적절한 함량의 살균 탈취제를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제는,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소성 패류껍질 분말 10~70 중량부. 산화게르마늄 1~50 중량부 및 나노실버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소성 패류껍질 분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잎 분말, 싸리나무잎 분말 및 편백나무잎 분말을 각각 1~1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살균 탈취제 성분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살균 및 탈취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산화게르마늄에 대하여, 상기 나노실버를 1:0.5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시, 살균 및 탈취의 상승 효과가 저하와, 살균 탈취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저하되고, 상기 산화게르마늄에 대하여 상기 나노실버를 1:3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시 나노실버 사용량 증가에 비한 살균 및 탈취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으며, 살균 탈취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5~1: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살균 탈취제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효과가 우수하여 건강에 유익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살균력 및 악취 제거 효율이 우수하며, 광범위한 물질에 대한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고, 살균 지속성 및 악취 제거 지속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녹차잎 추출액: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차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차나무잎 100 중량부를, 정제수 1000 중량부에 투입한 다음, 100℃로 가열하여, 가열 전 정제수 부피에 대하여 25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녹차잎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싸리나무잎 추출액: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싸리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싸리나무잎 100 중량부를, 정제수 1000 중량부에 투입한 다음, 100℃로 가열하여, 가열 전 정제수 부피에 대하여 25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싸리나무잎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편백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편백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편백나무잎 100 중량부를, 정제수 1000 중량부에 투입한 다음, 100℃로 가열하여, 가열 전 정제수 부피에 대하여 25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편백나무잎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소성 패류껍질 분말: 굴조개(Crassostrea gigas) 껍질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850℃에서 45분 동안 소성 후 상온에서 방치하여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평균 크기: 150 메쉬(mesh)로 분쇄하여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준비하였다.
살균 탈취제 제조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 싸리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 45 중량부를 290~310rpm의 회전속도로 6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을, 500kV의 전기장에서, 3 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 처리를 실시하여 제1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혼합액에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5 중량부 및 나노실버 15 중량부(1:1 중량비)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여,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1 혼합물을 3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 시간 동안 자기 에너지 처리하여 제1 혼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1 혼합물을 전기 에너지 처리한 다음, 3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 시간 동안 자기 에너지 처리하여 제1 혼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1 혼합물을 3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 시간 동안 자기 에너지 처리한 다음 500kV의 전기장에서, 3 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 처리를 실시하여 제1 혼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7
녹차잎 분말: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차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차나무잎을, 150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녹차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싸리나무잎 분말: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싸리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싸리나무잎을, 150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싸리나무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편백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편백나무잎에 램프를 이용하여, 190~210nm 파장의 자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된 편백나무잎을, 150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편백나무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소성 패류껍질 분말 45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싸리나무잎 분말 3 중량부 및 편백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를 290~310rpm의 회전속도로 6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을 30,000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시간 동안 자기 에너지 처리하여 제1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혼합액에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5 중량부 및 나노실버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여,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소성 패류껍질 분말 45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및 편백나무잎 분말 3 중량부를 290~310rpm의 회전속도로 6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녹차잎 추출액 100중량부, 소성 패류껍질 분말 45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싸리나무잎 분말 3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25 중량부 및 편백나무잎 분말 3 중량부를 첨가하고 290~310rpm의 회전속도로 6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산화게르마늄을 미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나노실버를 미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미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5 중량부 및 나노실버를 5 중량부(1:0.3 중량비)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0 중량부 및 나노실버 35 중량부(1:3.5 중량비)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탈취 능력 시험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대하여, 염기성 취기물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및 산성 취기물인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 능력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험 기기는 Model 801(GASTEC Co., Japan)을 사용하였으며, 탈취시험용장치(40cm x 40cm x 60cm) 내부에 악취발생원인 암모니아를 장치내부에 주입하여 농도가 50ppm이 되도록 가스텍으로 측정하여 조절하였고,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각각의 탈취시험용기에 주입하여, 농도가 100ppm이 되도록 조절한 다음, 초기 농도에 맞게 조절된 장치안에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 30㎖를 각각 분사기를 통해 분사시켜 30분, 1시간, 3시간 및 6시간 후에 농도를 기기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실험실내 조건은 실내온도 22±5℃, 상대습도 43±5%로 유지하였다.
Figure 112016074797645-pat00001
Figure 112016074797645-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 살균 탈취제의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능이 비교예 1~5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중 하나 이상을 미적용한 비교예 1~5는 실시예 1~7에 비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의 중량비를 벗어나 적용한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실시예 1~7에 비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급성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에 대해 동물에 대한 급성 독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급성 독성 실험에 사용된 실험용동물은 5 주령의 체중 105±4g의 수컷과 95±3g의 암컷의 SPF SD계 래트(구입처: 소망축산) 60마리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액상의 살균 탈취제 용액과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상기 래트들을 온도 22±2℃, 상대습도 53±2% 및 형광등 조명(09:00 점등-18:00 소등)의 명암사이클, 150~300lux의 조도 조건을 갖춘 실험실 사육상자에서 1주일 정도의 기간에 걸쳐 순화시킨 다음, 상기 래트 중에서 건강한 동물들만을 선택하여 평균체중이 일치하도록 각 군으로 나누고 일일 1회 20ml/kg의 양으로 14일 동안 강제 경구 투여한 다음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에 관하여 점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실험기간 동안 체중에 있어서 7% 이내의 변화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살균 탈취제를 섭취한 실험동물에 대해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고, 특이한 일반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액상의 살균 탈취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험예 (3): 안점막 자극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살균 탈취제에 대해 동물에 대한 자극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안점막자극 실험을 수행하였다.
안점막자극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흰토끼를 사용하였다. 먼저, 실험 동물들을 입수 후 2주일간 동물실에서 순화시키고 순화 기간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 개시 24시간 전에 토끼의 좌우 안구의 각막, 결막, 홍채 등의 병변상태를 검사하여 건강한 좌우 양안을 갖으며 체중 2.5±0.1kg의 흰토끼 8마리를 실험동물로 선정하였다.
2마리 토끼 당 각각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0.1ml씩 각각 점안 투여하고, 그 중 4마리는 30초 후 양쪽 눈에 무균생리식염수 20ml로 1분간 세안하고 나머지 4마리는 세안하지 않았다. 관찰은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다른쪽 눈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험물질을 투여한 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및 7일에 그 상태를 관찰하고, 그 후 3일 간격으로 13일 이상 일반증상, 사료 및 물 섭취 상태 등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안구 병변의 등급평가 및 자극성의 판정기준은 각각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1999-61호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간한 표준작업지침서(I)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안구 병변의 등급표 및 안점막 자극판 정표를 이용하여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즉, 안점막 자극을 평점화한 것을 이용하여 각 관찰시간 때마다의 각막(최대치 80점), 홍채(최대치 10점), 결막 (최대치 20점)을 산출하여 각 동물의 총계를 구하고, 각 마리마다의 총계의 합을 마리수로 나눈값을 M.O.I.(Mean Ocular Irritation Index)라 하고 이 값을 구하였다. 관찰기간중 M.O.I.의 최대치인 A.O.I.(급성안자극지수, 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등의 값으로 안점막 자극성의 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토끼의 점안 투여 후 자극에 의한 어떠한 현상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망 동물도 발견되지 않았고, 점안 투여 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및 7일에 각각 각막, 홍채 및 결막에 대한 어떠한 이상증상이 확인되지 않았고, A.O.I. 값은 “0”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는 무자극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피부자극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에 대해 동물에 대한 자극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피부자극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자극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로는 체중 2.5±0.1kg의 흰토끼 4마리를 사용하였다. 먼저, 실험 동물들을 입수 후 1주일간 동물실에서 순화시키고 순화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토끼는 시험물질 적용 24시간 전에 제모를 실시하여 처치구획 및 대조구획으로 구분한 다음 시험동물 한 마리당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를 각각 0.5ml씩 처치구획 투여부위에 1회 도포하고, 무처치 대조구획에는 멸균생리식염수를 동량 도포하였다. 살균 탈취제 및 멸균생리식염수를 각각 도포 후 고형 재질의 박지로 덮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일정시간 적용시켰다. 적용시간 종료 후에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도포부를 가볍게 세정해 주었다. 시험물질 투여 후 일주일간 매일 외관, 사료 및 음수 소비 상태와 임상증상 등에 대하여 관찰하고, 적용 후 7일째에 처치구획 및 대조구획에 대해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이용하여 24 시간과 72 시간에 대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P.I.I.(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방법에 따랐다.
시험결과 시험물질 도포부위의 홍반과 가피형성 및 부종 등의 자극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Draize의 P.I.I에 의한 피부1차 자극율은 “0”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는 시험동물에 대해 전혀 독성이나 자극성이 전혀 없음이 판명되어 주위환경이나 동물체에 대해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항곰팡이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살균 탈취제에 대해 항곰팡이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액상의 살균 탈취제 시료를 거름종이에 도포 후 4 x 4cm의 크기로 하여 곰팡이 성장 배지에 올려놓고 5종의 곰팡이 포자 현탁액을 시료에 접종하여 29±1℃, 상대습도 85%의 배양기에서 4주간 배양하며 시료 표면에서 곰팡이 성장 유무를 1주부터 4주까지 1주일 단위로 하여 경시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 내지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시료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7의 살균 탈취제 1중량부가 용해된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상기에서 곰팡이 성장 배지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5종의 곰팡이 포자 현탁액은 aspera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iobosum ATCC 6205, gliosiadium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의 5종 균주의 현탁액을 사용하였다.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1)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2)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3)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4)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5)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6)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시험항목 항곰팡이 시험(실시예 7)
배양기간(week)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시험결과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상기 표 3 내지 표 9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각각의 살균 탈취제에 접종된 5종의 곰팡이 포자 현탁액은 곰팡이의 성장이 발생하지 않아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각각의 살균 탈취제는 항균(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투입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액을 토르말린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액은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 싸리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편백나무잎 추출액 10~50 중량부 및 소성 패류껍질 분말 1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을 전기 에너지 및 자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100~1000 kV의 전기장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자기 에너지 처리는 상기 제1 혼합물을 5,000~50,000 가우스(Gauss)의 자기장에서 12~24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패류껍질 분말은 패류껍질을 800~900℃에서 소성하고;
    상기 소성된 패류껍질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그리고
    상기 패류껍질을 100~200 메쉬(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및 편백나무잎 추출액은,
    녹차잎, 싸리잎 및 편백나무잎에 자외선을 10~30분 동안 각각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된 녹차잎, 싸리잎 및 편백나무잎 각 100 중량부를, 물 1000~2000 중량부에 각각 투입하고 80~1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게르마늄 1~50 중량부 및 나노실버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6. 녹차잎 추출액, 싸리나무잎 추출액, 편백나무잎 추출액, 소성 패류껍질 분말,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게르마늄 및 나노실버는 1:0.5~1: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탈취제.
KR1020160098123A 2016-08-01 2016-08-01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KR10167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23A KR101670953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US15/663,851 US10321688B2 (en) 2016-08-01 2017-07-31 Method for preparing sterilizing deodorant and sterilizing deodorant prepared thereby
PCT/KR2017/008273 WO2018026161A1 (ko) 2016-08-01 2017-08-01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23A KR101670953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53B1 true KR101670953B1 (ko) 2016-11-09

Family

ID=5752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23A KR101670953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1688B2 (ko)
KR (1) KR101670953B1 (ko)
WO (1) WO20180261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61A1 (ko) * 2016-08-01 2018-02-08 조재수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40941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덕양에코 그래핀이 함유된 살균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살균탈취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2498A (zh) * 2018-07-26 2019-01-11 哈尔滨万维生物技术有限公司 宠物专用除味剂及制作方法
CN109010887A (zh) * 2018-07-26 2018-12-18 哈尔滨万维生物技术有限公司 厨卫专用杀虫除味剂及制作方法
CN111418618A (zh) * 2020-05-14 2020-07-17 杭州纳巍前沿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车用多效消毒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11616165A (zh) * 2020-05-25 2020-09-04 杭州纳巍前沿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负离子环保型空间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13084182A (zh) * 2021-03-04 2021-07-09 福建农林大学 一种以茶叶浸取液为原料制备纳米银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716A (ko) * 2001-04-30 2002-11-04 김용곤 액상의 다기능성 원적외선 방사체
JP2008110270A (ja) * 2006-08-13 2008-05-15 Jiro Hayashi 流体浄化活性装置
KR20120110429A (ko) * 2011-03-29 2012-10-10 고용환 액상 살균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60088006A (ko) * 2015-01-15 2016-07-25 정청식 나노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융합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67A (ko) 1999-05-20 2000-12-15 곽성근 강력 탈취제 맥섬석 대물림
KR20050120532A (ko) * 2004-06-19 2005-12-22 박진우 무자극취 목초액과 활성숯을 이용한 부착형 살균탈취제제조방법
KR100803110B1 (ko) * 2007-11-23 2008-02-13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시멘트독 제거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용 조성물
KR101670953B1 (ko) * 2016-08-01 2016-11-09 조재수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716A (ko) * 2001-04-30 2002-11-04 김용곤 액상의 다기능성 원적외선 방사체
JP2008110270A (ja) * 2006-08-13 2008-05-15 Jiro Hayashi 流体浄化活性装置
KR20120110429A (ko) * 2011-03-29 2012-10-10 고용환 액상 살균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60088006A (ko) * 2015-01-15 2016-07-25 정청식 나노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융합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61A1 (ko) * 2016-08-01 2018-02-08 조재수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4388B1 (ko) * 2018-01-15 2020-09-21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40941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덕양에코 그래핀이 함유된 살균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살균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7821A1 (en) 2018-02-01
US10321688B2 (en) 2019-06-18
WO2018026161A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53B1 (ko) 살균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살균 탈취제
CN102273742A (zh) 纳米元素甲壳素负离子远红外抗菌防螨防电磁波的学生服
US20080075794A1 (en) Natural antimicrob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082354A (zh) 一种天然驱蚊水及制备方法
KR20110000216A (ko) 솔잎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255487B (zh) 纳米元素天然纤维的青少年健身防护服
CN106359472A (zh) 杀菌性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CN108042842A (zh) 中草药抑菌芯片及其制备方法
CN109394597B (zh) 一种从桧木提取的抑菌宠物专用天然除味剂及其制备方法
JP2004509636A (ja) 食品用水性殺菌/消毒剤
KR102163976B1 (ko) 팅크처 방식으로 추출한 탱자추출물을 활용한 악취저감 반려동물 샴푸 제조방법
KR20120110429A (ko) 액상 살균 탈취제의 제조방법
CN110302408A (zh)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N106332922A (zh) 一种天然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N110433130A (zh) 一种男性基础护理液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CN104815096A (zh) 一种纳米复合皮肤消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403976B1 (ko) 위생기능성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속내의류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CN111821286B (zh) 一种具有广谱抑菌的液体隐形口罩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CN106577841A (zh) 一种电加热式蕲艾精油驱蚊液
KR101706536B1 (ko)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가습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RU22030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ми, спороцидными и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и свойствами
CN109077071A (zh) 一种车内杀菌净化草本组合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