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91B1 -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 Google Patents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991B1
KR101669991B1 KR1020150063309A KR20150063309A KR101669991B1 KR 101669991 B1 KR101669991 B1 KR 101669991B1 KR 1020150063309 A KR1020150063309 A KR 1020150063309A KR 20150063309 A KR20150063309 A KR 20150063309A KR 101669991 B1 KR101669991 B1 KR 10166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main body
hinge assembly
kitchen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15006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화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화상기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및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 조립체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동되게 한다. 힌지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평 거리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직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부위가 본체의 전면 부위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한다.

Description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comprising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주방용 화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작업을 하면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방용 화상기기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 등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주방에서 주방용 화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감상하면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사용된 그릇을 세척하는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화상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되게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될 때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펼쳐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주방용 화상기기의 사용을 끝내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하면에 접어둘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예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본체 중앙에 정확히 맞춰진 상태에서 본체의 하면에 접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중앙에 맞추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의 하면에 접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본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 그대로 본체에 용이하게 접힐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한 면이 본체의 전면과 동일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주방용 화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및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 조립체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게 하여 본체의 하면에 접히거나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펼쳐지게 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게 한다. 힌지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평 거리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직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부위가 본체의 전면 부위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중앙에 맞추지 않더라도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해 있는 상태 그대로 본체의 하면 쪽으로 원활히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하면에 접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본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한 면이 본체의 전면과 동일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전면에 조작부를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기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가 본체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방용 화상기기(100)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힌지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본체(110)는 가구에 접착물질에 의해 부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등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체(110)는 하면에 수납부(111)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11)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면에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수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좌우 폭이 본체(110)의 좌우 폭과 동일한 경우, 수납부(111)는 본체(110)의 좌우 가장자리까지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회로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주방용 화상기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는 조작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12)는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12)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음량 조절을 위한 스위치부, 채널 변경이나 외부 입력 변경을 위한 스위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작부(112)는 푸시 버튼(push butto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10)의 하면에는 본체(1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전원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는 후면 부위에 전원 입력 포트, 랜 포트, 티브이 입력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한쪽 면에 화면부(121)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화면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본체(110)에 접혀 수납부(111)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측에 접힌 상태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지면 화면부(121)가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의 반대쪽 부위의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111)의 양측으로 손가락을 넣어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힌지 조립체(130)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 사이에 장착된다.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게 하여 본체(110)의 하면에 접히거나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펼쳐지게 한다. 또한,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펼쳐진 후,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까지 수평 거리(HL)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하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까지 수직 거리(VL)가 서로 동일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한 면, 즉 화면부(121)를 갖는 면이 본체(110)의 전면과 동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의 전면에 조작부(112)를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112)를 조작하기 편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이란 허용 오차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 부위가 본체(110)의 전면 부위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을 설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 부위가 본체(110)의 전면 부위와 동일 면 상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을 설정하는 것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과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측 코너 사이의 회동 반경(R)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중앙으로부터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해 있는 상태 그대로 본체(110)의 하면 쪽으로 원활히 접힐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본체(110)의 중앙에 맞추지 않더라도 본체(110)의 하면 쪽으로 접을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본체(110)의 하면에 접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본체(110)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과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 부위 사이의 거리(DL)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과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측 코너 사이의 회동 반경(R)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에 대해 간섭 없이 원활히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수납부(111)에는 힌지 조립체(130)의 제1 몸체(131)가 장착되는 장착 홈(113)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의 반대쪽 면에 힌지 조립체(130)의 제2 몸체(141)와 상하 회동축(161)들이 수용되는 수용 홈(122)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 스피커의 그릴부(114)는 수납부(111) 외측에서 본체(11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의 반대쪽 면에 영구자석(123)이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영구자석(123)을 내장한 부위가 본체(1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체(110)는 수납부(111)에 자성 재질, 예컨대 철 재질의 고정 패드(115)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 패드(115)는 수납부(111)와 동일 면 상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패드(115)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접힌 상태에서 영구자석(123)과 부착될 수 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에 접힌 상태에서 영구자석(123)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 패드(115)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배치되고, 영구자석(123)이 본체(11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수납 감지부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홀 센서와, 다른 쪽에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조립체(130)는 제1 몸체(131)와, 제2 몸체(141)와, 좌우 회동축(151), 및 한 쌍의 상하 회동축(1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31)에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132)이 형성된다. 제1 몸체(131)는 회동용 홀(132)의 주변에 형성되어 본체(110)에 체결되는 체결부(133)를 구비한다. 체결부(133)는 체결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31)는 본체(110)의 장착 홈(113)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31)가 장착 홈(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가 체결 홀들을 통해 각각 장착 홈(113)의 암나사에 체결됨으로써, 제1 몸체(131)가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몸체(131)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몸체(131)는 좌우 폭 및 전후 폭이 제2 몸체(141)의 베이스부(142)의 좌우 폭 및 전후 폭보다 각각 넓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131)는 본체(110)에 고정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31)는 별도의 브래킷 부재 없이도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힌지 조립체(130)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 몸체(131)는 가장자리 부위가 장착 홈(113) 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 홈(113)은 제1 몸체(131)의 절곡 부위를 삽입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31)는 장착 홈(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몸체용 커버(136)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제1 몸체용 커버(136)는 제1 몸체(131)를 덮은 상태로 장착 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몸체용 커버(136)는 볼트에 의해 제1 몸체(131)와 함께 장착 홈(113)의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장착 홈(113)에는 좌우 회동축(151)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41)는 베이스부(142), 및 한 쌍의 연장부(146)들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42)에는 좌우 회동축(151)을 끼워서 고정하는 고정 홀(143)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42)는 후방 부위에 연장부(146)들을 연결하는 연결 턱(14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42)는 연결 턱(144)을 제외한 부위가 일정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46)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부(14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연장부(146)들은 수직으로 일정 두께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46)들은 베이스부(142)보다 전방에 가깝게 배치됨과 아울러 베이스부(142)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연장부(146)들은 베이스부(14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연장부(146)들이 베이스부(142)와 별도로 제조되어 베이스부(142)에 조립되는 것보다,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제2 몸체(141)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제2 몸체(141)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접힌 상태에서 수용 홈(122)에 수용된다. 이때, 수용 홈(122)의 저면은 베이스부(142)의 하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몸체(141)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상하로 회동할 때 수용 홈(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출입하게 된다.
좌우 회동축(151)은 상단부가 제1 몸체(131)의 회동용 홀(132)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베이스부(142)의 고정 홀(143)에 고정된다. 좌우 회동축(151)은 중공(152)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때, 케이블은 좌우 회동축(151)의 중공(152)을 통과해서 배치될 수 있다.
좌우 회동축(151)은 하단부가 고정 홀(143)에 끼워져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 부위가 확장 변형됨으로써, 베이스부(14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회동축(151)은 베이스부(142)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베이스부(142)에 고정된다. 다른 예로, 좌우 회동축(151)은 베이스부(14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좌우 회동축(151)은 상단부가 회동용 홀(132)에 끼워져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 부위가 확장 변형됨으로써, 제1 몸체(13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회동축(151)은 제1 몸체(131)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제1 몸체(1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예로, 좌우 회동축(151)의 상단부 둘레에 나사 탭이 형성되고, 나사 탭에 너트가 결합될 수도 있다.
좌우 회동축(151)은 제1 몸체(131)로부터 인출된 상단부에 와셔(washer, 156)들을 끼운 상태로 인출 부위가 확장 변형될 수 있다. 와셔(156)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좌우 회동축(151)과 제1 몸체(131) 사이에 댐핑 작용을 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정된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을 감상하기 편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회동시켜 편리하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한 쌍의 상하 회동축(161)들은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연장부(146)들의 각 자유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하 회동축(161)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하 회동 중심(CE)을 이루게 된다. 일 예로, 상하 회동축(161)들은 연장부(146)들의 축 홀들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하 회동축(161)은 연장부의 축 홀에 걸리도록 축 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헤드(161a), 및 헤드(161a)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146)의 축 홀을 통과하는 축부(161b)를 구비한다. 축부(161b)는 둘레에 나사 탭이 형성된다.
상하 회동축(161)들의 축부(161b)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연장부(146)들의 축 홀들에 각각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상하 회동축(161)들의 각 축부(161b)의 나사 탭에 너트(166)가 체결됨으로써, 연장부(146)들의 축 홀들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하 회동축(161)들은 제2 몸체(141)와 함께 수용 홈(122)에 수용된다.
상하 회동축(161)은 축부(161b)에 와셔(167)들을 끼운 상태에서 너트(166)와 체결될 수 있다. 와셔(167)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하 회동축(161)과 연장부(146) 사이에 댐핑 작용을 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조정된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게 한다.
상하 회동축(161)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체결되는 체결 편(162)을 각각 구비한다. 체결 편(162)들은 상하 회동축(161)들의 각 헤드(161a)의 반대쪽 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체결 편(162)들은 상하 회동축(161)들과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편(162)들이 상하 회동축(161)들과 별도로 제조되어 상하 회동축(161)들에 조립되는 것보다,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각 상하 회동축(161)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체결 편(162)들은 각 중심이 상하 회동축(161)들의 각 중심에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체결 편(162)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면에 접힌 상태에서 양쪽 면이 상하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고정된다. 수용 홈(122)에는 체결 편(162)들이 안착되는 돌출 면들을 가질 수 있다.
체결 편(162)들에는 체결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편(162)들은 체결 부재(124)들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체결 부재 (124)들은 볼트들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편(162)들이 수용 홈(122)의 돌출 면들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들이 체결 편(162)의 체결 홀들을 통해 각각 수용 홈(122)의 암나사에 체결됨으로써, 체결 편(162)을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하 회동축용 커버(125)들은 상하 회동축(161)들을 각각 일부 감싼 상태로 수용 홈(122)의 입구에 결합된다. 예컨대, 상하 회동축용 커버(125)는 상하 회동축(161)의 헤드(161a) 및 체결 편(162)을 덮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하 회동축용 커버(125)의 하면은 상하 회동축(161)의 헤드(161a)와 대응되는 부위에 오목 홈을 갖고서 헤드(161a)를 일부 감쌀 수 있다. 상하 회동축용 커버(125)는 수용 홈(122)에 후크 방식으로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예로, 상하 회동축용 커버(125)는 수용 홈(122)의 주변에 볼트 등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설정 각도, 예컨대 90도를 초과하여 펼쳐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16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68)들은 상하 회동축(161)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68)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90도로 회동한 상태에서 연장부(146)들에 각각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하 회동축(161)들의 회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본체
120..디스플레이 모듈
130..힌지 조립체
131..제1 몸체
141..제2 몸체
142..베이스부
146..연장부
151..좌우 회동축
161..상하 회동축
CE..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

Claims (5)

  1.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게 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접히거나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펼쳐지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게 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평 거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까지 수직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부위가 상기 본체의 전면 부위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회동 중심을 설정하며,
    상기 힌지 조립체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용 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본체의 장착 홈 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들을 구비하는 제2 몸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용 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체결되는 체결 편을 각각 구비하며,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들의 각 자유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하 회동축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90도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들에 각각 맞닿아 걸림에 따라 상기 상하 회동축들의 회동을 멈추게 하도록 상기 상하 회동축들에 각각 고정되는 스토퍼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좌우 폭 및 전후 폭이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폭 및 전후 폭보다 각각 넓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회동축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용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회동축들을 각각 일부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홈의 입구에 결합되는 상하 회동축용 커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
KR1020150063309A 2015-05-06 2015-05-06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KR10166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09A KR101669991B1 (ko) 2015-05-06 2015-05-06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09A KR101669991B1 (ko) 2015-05-06 2015-05-06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991B1 true KR101669991B1 (ko) 2016-10-27

Family

ID=5724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309A KR101669991B1 (ko) 2015-05-06 2015-05-06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09A (ko) 2019-08-28 2021-03-10 코스텔(주) 슬림화된 주방용 화상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76Y1 (ko) * 2004-12-21 2005-03-14 (주)대양디앤티 주방용 에이브이시스템의 힌지장치
KR20090106808A (ko) * 2008-04-07 2009-10-12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KR20120055892A (ko) *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KR101337949B1 (ko) * 2013-09-05 2013-12-06 주식회사 아트뷰 주방용 tv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76Y1 (ko) * 2004-12-21 2005-03-14 (주)대양디앤티 주방용 에이브이시스템의 힌지장치
KR20090106808A (ko) * 2008-04-07 2009-10-12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KR20120055892A (ko) *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KR101337949B1 (ko) * 2013-09-05 2013-12-06 주식회사 아트뷰 주방용 tv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09A (ko) 2019-08-28 2021-03-10 코스텔(주) 슬림화된 주방용 화상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2597S1 (en) Cabinet for audio/video components
US20120162949A1 (en) Display apparatus
KR101181959B1 (ko) 주방용 화상기기
US9715249B2 (en) Display device with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US9084344B2 (en) Display apparatus
US20080296452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69991B1 (ko)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기기
TW201427543A (zh) 平板電子裝置之後蓋以及具有該後蓋之平板電子裝置
KR1026093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160382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nnector terminal
JP2007065509A (ja) 壁掛け式平面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KR20190100330A (ko)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101533399B1 (ko)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주방용 화상기기
US6302539B1 (en) Eyeglass frame
CN208284768U (zh) 隐藏式桌面插座
KR100830424B1 (ko) 회전형 단자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249519B1 (ko) 슬림화된 주방용 화상기기
CN208284755U (zh) 一种隐藏式桌面插座
CN214663034U (zh) 一种交互显示屏组件
CN219626150U (zh) 一种学习机
CN108777409A (zh) 一种桌面插座
KR20070047560A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피커
KR200500343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210899961U (zh) 无刷电机控制器外壳
KR100304427B1 (ko) Pdp텔레비전의스피커착탈및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