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945B1 -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945B1
KR101668945B1 KR1020150034612A KR20150034612A KR101668945B1 KR 101668945 B1 KR101668945 B1 KR 101668945B1 KR 1020150034612 A KR1020150034612 A KR 1020150034612A KR 20150034612 A KR20150034612 A KR 20150034612A KR 101668945 B1 KR101668945 B1 KR 10166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hain
clutch
gear
ring gea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704A (ko
Inventor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유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원 filed Critical 유상원
Priority to KR102015003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9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체인을 파지하여 저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의 권취없이 볼체인만 회전되도록 하고, 볼체인을 고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와 결합된 플러그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블라인드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볼체인의 파지를 해제하면 볼체인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A TWO-WAY DRIVING DEVICE OF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볼체인을 파지하여 저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의 권취없이 볼체인만 회전되도록 하고, 볼체인을 고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와 결합된 플러그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블라인드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볼체인의 파지를 해제하면 볼체인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 방안, 사무실 등 창문이 설치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 장치들이 설치된다. 블라인드 장치는 유리창을 통해 건물 내부로 입사하는 직사광을 막고, 불필요한 외부 시선을 차단하며, 광량을 조절하여 실내 분위기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인테리어에 있어서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기능하여 미적인 면으로도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 장치는 스크린, 슬래트(slat)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구동 플러그에 감겨 기계적인 방식으로 승강하는 스크린 방식의 롤 블라인드 장치는 조작 신뢰성이 높고 편리하여 다양한 장소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롤 블라인드 장치는 구동부를 스크린 상단부에 연결하여 스크린을 롤업, 롤다운 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특허공개된 양방향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특허공개 제10-2014-0111569)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유성기어열에 의한 제조단가 비용이 상승되고, 구성요소가 많아 분해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둘째: 유성기어열에 의한 마찰력 상승으로 볼체인에 가해지는 힘이 증대되어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스프링을 삽입한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인한 분해 조립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과도하게 압축될 경우, 볼체인의 복귀가 되지 않아 신뢰성 있는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볼체인을 파지하여 저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의 권취없이 볼체인만이 회전되도록 하고, 볼체인을 고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와 결합된 플러그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블라인드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볼체인의 파지를 해제하면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볼체인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면 중앙에 고정봉(11)이 결합되는 캡부재(10);와, 상기 고정봉(11)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 외주면에 링기어(21)가 장착된 플러그(20);와, 원주면에는 볼체인(50)이 맞물려 결합되고, 내주면은 상기 플러그(20)의 링기어(21)와 일정 간격을 갖는 볼체인기어(30);와, 상기 볼체인기어(30)와 링기어(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 둘레에 다수의 클러치(41)가 힌지 결합된 클러치디스크(40);와, 상기 플러그(20)에 삽입되어 상기 볼체인기어(30)의 원주면이 부분노출되게 캡부재(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체인기어(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와 접촉되는 작동부(3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볼체인기어(30)는 저속 회전시 클러치(41)와 접촉되는 작동부(31)에 의해 상기 클러치디스크(40)와 동반 회전하고, 고속 회전시 급격한 회전력에 의한 회전속도 차이로 인해 클러치디스크(40)에서 미끄러지며 회전되어 작동부(31)의 최하점이 접촉된 클러치(41)를 하강시켜 링기어(21)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플러그(20)를 동반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링기어(21)의 원주면에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와 비접촉되는 다수의 치형(211)이 돌출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치형(211)은 상기 각 클러치(41)가 하강하면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작동부(31)의 양측단은 최상점이 형성되고 중앙은 최하점이 형성되도록 "아치" 형상 만곡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클러치(41)의 상하면은 상기 작동부(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3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3발명에서, 상기 각 클러치(41)는 중앙에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단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클러치디스크(40)는 탄성수단(43)을 매개로 상기 볼체인기어(30)와 연결되되, 상기 탄성수단(43)은 볼체인기어(30)에 강제된 힘이 제거되면, 클러치디스크(40)가 탄성복귀력에 의해 볼체인기어(30)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링기어(21)의 치형(211)에 접촉된 클러치(41)가 이탈되어 작동부(31)와 클러치(41)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볼체인(50)에는 무게추(51)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따르면, 볼체인을 파지하여 저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의 권취없이 볼체인만이 회전되도록 하고, 볼체인을 고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와 결합된 플러그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블라인드를 권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와 클러치디스크를 비접촉시켜 마찰력의 최소화시킴으로써, 볼체인의 파지를 해제하면 별도의 스프링 없이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볼체인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구조가 플러그와, 볼체인기어 및 클러치디스크만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분해 조립이 편리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양방향 구동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체인(50)을 파지하여 저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미도시)의 권취없이 볼체인(50)만 회전되도록 하고, 볼체인(50)을 고속으로 당기면 블라인드와 결합된 플러그(20)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블라인드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볼체인(50)의 파지를 해제하면 볼체인(50)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100)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캡부재(10)와, 플러그(20)와, 볼체인기어(30)와, 클러치디스크(40) 및 하우징(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부재(10)는 일명 중앙에는 플러그(20)를 삽입시키기 위한 고정봉(11)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고정봉(11)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플러그(20)는 블라인드에 삽입되어 블라인드를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외주면에는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링기어(21)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볼체인기어(30)는 원주면에는 볼체인(50)이 맞물려 구성되고, 내주면은 상기 플러그(20)의 링기어(21)와 일정 간격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디스크(40)는 상기 볼체인기어(30)와 링기어(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 둘레에는 다수의 클러치(41)가 힌지 결합되어 볼체인기어(30)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플러그(2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41)는 실시예로 4개로 구성되며, 상기 각 클러치(41)는 중앙에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클러치(41)는 볼체인기어(30)의 내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4개의 작동부(31)와 접촉되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볼체인기어(30)가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디스크(40)는 클러치(41)와 접촉된 작동부(31)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1)의 양측단은 최상점이 형성되고 중앙은 최하점이 형성되도록 "아치" 형상 만곡되게 돌출된 형상이다.
이 때 상기 클러치(41)의 상하면은 상기 작동부(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31)와 접촉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각 클러치(41)는 양측단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중앙부위는 두께가 가장 얇은 형상이다.
상술된 구조는 작동부(31)의 최하점이 클러치(41)의 양측단에 위치하면 힌지부위를 중심으로 클러치(41)의 양측단을 하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20)의 링기어(21)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각 클러치(41)와 비접촉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링기어(21)는 실시예로 외주면에는 다수의 치형(211)이 돌출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링기어(21)의 치형(211)은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가 하강할 경우, 상기 클러치(41)와 접촉되어 플러그(20)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디스크(40)는 탄성수단(43)을 매개로 상기 볼체인기어(3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디스크(40)는 상기 볼체인기어(30)의 내주면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어느 한지점에 절개면(4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42)과 볼체인기어(30)의 내주면은 탄성수단(43)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43)은 탄성력이 부여된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수단(43)은 볼체인기어(30)에 강제된 힘이 제거되면, 클러치디스크(40)가 탄성복귀력에 의해 볼체인기어(30)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링기어(21)의 치형(211)에 접촉된 클러치(41)가 이탈되어 작동부(31)와 클러치(41)가 접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볼체인기어(30)와 클러치디스크(40)의 회전력은 플러그(2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체인(50)에는 무게추(5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술된 무게추(51)는 볼체인(50)을 파지한 손을 해제하면 볼체인기어(30)가 클러치디스크(40)와 함께 자유회전되는 상태가 되므로, 자중에 의해 항시적으로 처음 위치로 볼체인(50)이 복귀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플러그(20)에 삽입되어 상기 볼체인기어(30)의 원주면이 부분노출되게 캡부재(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60)의 기능은 볼체인(50)을 노출시키면서 더불어 볼체인기어(30)와 클러치디스크(40)를 감싸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양방향 구동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양방향 구동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의 (a)와 같이, 볼체인(50)을 저속으로 당기면 상기 볼체인기어(30)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와 동반 회전하고, 플러그(20)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구성이다.
이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가 볼체인기어(30)의 작동부(31)와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볼체인기어(30)와 클러치디스크(40)는 동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볼체인(50)을 당겨 볼체인(50)의 무게추(51)가 올라간 상태에서 볼체인(50)을 파지한 손을 해제하면, 도 5의 (b)와 같이, 상기 볼체인(50)은 무게추(51)의 자중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어 이 후의 동작에서 좀 더 쉽게 볼체인(50)을 당길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도 6의 (a)와 같이, 볼체인(50)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당기면 상기 볼체인기어(30)는 고속 회전하고 급격한 회전력에 의한 회전속도 차이로 인해 클러치디스크(40)에서 미끄러지며 회전되어 작동부(31)의 최하점이 접촉된 클러치(41)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에 위치된다.
그러면 작동부의 최하점이 위치된 클러치(41)의 한쪽 측단이 하강되고, 하강된 클러치(41)의 측단이 링기어(21)의 치형(211)에 접촉되어 플러그(20)를 동반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20)와 삽입된 블라인드(미도시)를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권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의 (b)와 같이, 파지된 볼체인(50)에 강제된 힘을 제거되면, 탄성수단(4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클러치디스크(40)가 볼체인기어(30)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클러치(41)가 링기어의 치형(211)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상기 각 클러치(41)는 볼체인기어(30)의 작동부(31)에 접촉된 상태인 처음 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41)와 플러그(20)의 링기어(21)는 비접촉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체인(50)은 볼체인기어(30)와 클러치디스크(40)는 자유회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무게추(51)의 자중에 의해 처음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링기어(21)는 치형을 없앤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링기어에 치형이 없는 경우, 상기 클러치의 양측단이 링기어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동력이 플러그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형이 없는 링기어의 경우, 상기 클러치 및 링기어의 외주면에 마모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캡부재 11: 고정봉
20: 플러그 21: 링기어 211: 치형
30: 볼체인기어 31: 작동부
40: 클러치디스크 41: 클러치 411: 함몰부
42: 절개면 43: 탄성수단
50: 볼체인 51: 무게추
60: 하우징
100: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Claims (6)

  1. 일면 중앙에 고정봉(11)이 결합되는 캡부재(10);
    상기 고정봉(11)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 외주면에 링기어(21)가 장착된 플러그(20);
    원주면에는 볼체인(50)이 맞물려 결합되고, 내주면은 상기 플러그(20)의 링기어(21)와 일정 간격을 갖는 볼체인기어(30);
    상기 볼체인기어(30)와 링기어(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 둘레에 다수의 클러치(41)가 힌지 결합된 클러치디스크(40);
    상기 플러그(20)에 삽입되어 상기 볼체인기어(30)의 원주면이 부분노출되게 캡부재(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체인기어(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와 접촉되는 작동부(3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볼체인기어(30)는 저속 회전시 클러치(41)와 접촉되는 작동부(31)에 의해 상기 클러치디스크(40)와 동반 회전하고, 고속 회전시 급격한 회전력에 의한 회전속도 차이로 인해 클러치디스크(40)에서 미끄러지며 회전되어 작동부(31)의 최하점이 접촉된 클러치(41)를 하강시켜 링기어(21)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플러그(20)를 동반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21)의 원주면에는 상기 클러치디스크(40)의 클러치(41)와 비접촉되는 다수의 치형(211)이 돌출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치형(211)은 상기 각 클러치(41)가 하강하면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1)의 양측단은 최상점이 형성되고 중앙은 최하점이 형성되도록 "아치" 형상 만곡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클러치(41)의 상하면은 상기 작동부(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3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41)는 중앙에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단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디스크(40)는 탄성수단(43)을 매개로 상기 볼체인기어(30)와 연결되되,
    상기 탄성수단(43)은 볼체인기어(30)에 강제된 힘이 제거되면, 클러치디스크(40)가 탄성복귀력에 의해 볼체인기어(30)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링기어(21)의 치형(211)에 접촉된 클러치(41)가 이탈되어 작동부(31)와 클러치(41)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체인(50)에는 무게추(51)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KR1020150034612A 2015-03-12 2015-03-12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KR10166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12A KR101668945B1 (ko) 2015-03-12 2015-03-12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12A KR101668945B1 (ko) 2015-03-12 2015-03-12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04A KR20160109704A (ko) 2016-09-21
KR101668945B1 true KR101668945B1 (ko) 2016-10-24

Family

ID=5708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12A KR101668945B1 (ko) 2015-03-12 2015-03-12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10Y1 (ko) 2002-04-22 2002-07-13 김수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JP2009062778A (ja) 2007-09-07 2009-03-26 Nanik Japan Inc ブラインド用安全装置及びブラインド
KR101213737B1 (ko) 2010-07-14 2012-12-18 김정민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99397B1 (ko) 2011-07-25 2013-08-22 김정민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10Y1 (ko) 2002-04-22 2002-07-13 김수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JP2009062778A (ja) 2007-09-07 2009-03-26 Nanik Japan Inc ブラインド用安全装置及びブラインド
KR101213737B1 (ko) 2010-07-14 2012-12-18 김정민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99397B1 (ko) 2011-07-25 2013-08-22 김정민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04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7859B1 (en) Window shade and control system thereof
US8807311B2 (en) Winch brake
ES2306866T5 (es) Un embrague de toldo de rodillo con engranaje interno
ES2588104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la luz solar
EP2522803A2 (en) Bidirectionally operable/switchable pull cord mechanism for a window shade
TW201508159A (zh) 用於建築開口之遮蓋件
EP1707735A3 (en) Roller blind
JP2013538304A (ja) デュアルロールブラインド
US9523236B2 (en) Braking mechanism for a roller shade controller, control mechanis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handle
KR101668945B1 (ko)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US11286714B2 (en) Window shutter actuation device
JP6666125B2 (ja)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US9033841B2 (en) Window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with cycloidal drive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TWM458443U (zh) 橫移推拉門的自動閉合裝置
US10113765B1 (en)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KR101662642B1 (ko) 블라인드 회전 연동장치
US10352371B2 (en) Protective clutch assembly for toy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0222928A (ja) ブラインド内蔵型多重ガラスサッシの動力伝達装置
EP2397647A1 (en) Tubular gearmotor for actuating roller blinds
WO2012080528A1 (es) Mecanismo de cardan para persianas
JP711294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190106606A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CZ22933U1 (cs) Zarízení pro vytahování a spouštení a orientování žaluzie
JP2004211766A (ja) 駆動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