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768B1 -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768B1
KR101668768B1 KR1020157017167A KR20157017167A KR101668768B1 KR 101668768 B1 KR101668768 B1 KR 101668768B1 KR 1020157017167 A KR1020157017167 A KR 1020157017167A KR 20157017167 A KR20157017167 A KR 20157017167A KR 101668768 B1 KR101668768 B1 KR 10166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relay
packet
network component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214A (ko
Inventor
영훈 권
윤송 양
지강 롱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시스템 및 방법 실시예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 패킷 릴레이를 위한 방법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를 위한 것이며,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 RELAYING}
본 특허출원은, 2012년 12월 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Relaying”인 미국 임시 출원 제61/734,818호의 이익을 향유하는, 2013년 11월 6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Relaying”인 미국 정규 출원 제14/073,028의 이익을 향유하며, 상기 문헌들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반복되는 것처럼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 스테이션은, 국제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IEEE 802.16, 및 3GPP LTE와 같은 가장 발전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여겨진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에서, TGah(task group ah)은 최근 릴레이 특성을 포함하도록 결정했다. 그러나, 릴레이는 동일한 패킷의 다중 전송을 의미하므로, 임의의 연관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EEE 802.11 TGah에 릴레이 구성 내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가 제시되어 있다.
한 예시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컨텐션(contention)의 수를 줄이기 위한 릴레이 에 대한 공유(shared)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이다. 도 1은 다운링크 릴레이 예시를 도시한다. 102에서, 액세스 포인트(AP)는 릴레이에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을 전송한다. 104에서, 릴레이는 수신확인(acknowledgment; ACK)을 전송한다. 106에서, ACK의 수신 후, AP는 버퍼로부터 프레임을 제거하고, 다음 이벤트 전에 최대 물리적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X_PPDU) + ACK + 2*SIFS 만큼 연기(defer)한다. 108에서, 짧은 프레임간 간격(Short Inter-Frame Space; SIFS) 시간에, 릴레이는, 릴레이와 STA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AP가 릴레이에 전송한 MCS(modulation coding scheme)와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동일할 수도 있음) MCS를 통해 DATA를 전송한다. 릴레이는 전달이 성공적이거나 재시도 한계(retry limit)에 도달할 때까지 프레임을 버퍼 저장(buffer) 한다.
도 2는 업링크 릴레이 예시를 도시한다. 202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 (예를 들면, 무선 스테이션)은 릴레이에 업링크 DATA 프레임을 전송한다. 204에서, 릴레이는 ACK를 전송한다. 206에서, ACK의 수신 후, STA는 버퍼로부터 프레임을 제거하고, 다음 이벤트 전 MAX_PPDU + ACK + 2*SIFS 만큼 연기(defer)한다. 208에서, SIFS 시간에, 릴레이는, AP가 릴레이에 전송한 MCS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MCS를 통해 DATA를 전송한다. 릴레이는 전달이 성공적이거나 재시도 한계(retry limit)에 도달할 때까지 프레임을 버퍼 저장한다.
그러나, 다운링크와 업링크 예시 모두에 대해, ACK 프레임은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오리지널 송신기에 전송되어 데이터 패킷이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도록 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포함하고,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를 위한 것이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함 -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타겟 무선 장치를 위한 것이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타겟 무선 장치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은,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제1 무선 스테이션(wireless station)으로부터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제2 무선 스테이션을 위해 마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및 상기 ID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데이터를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1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제2 무선 스테이션에 목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및 상기 ID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데이터를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테이션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포워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ssage protocol data unit; MPDU)을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짧은 프레임간 간격(Short Inter-Frame Space; SIFS) 시간 내에서 연관된 수신된 MPDU를 상기 제2 스테이션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 및 유효 물리 계층 변환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sion Protocol; PLCP) 헤더가 수신확인 타임아웃 간격(ACKTimeout interval) 내에 수신될 때, 및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 RA)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부분 연관 ID(partial association identifier; PAID)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ID 또는 제2 스테이션의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 RA)와 동일한지에 따라,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이 성공적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가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전송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ssage protocol data unit; MPDU)을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유효 물리 계층 변환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sion Protocol; PLCP) 헤더가 수신확인 타임아웃 간격(ACKTimeout interval) 내에 수신될 때, 및 RA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부분 연관 ID(PAID)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ID 또는 제2 스테이션의 RA와 동일한 경우, 수신확인이 성공적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가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전송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한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이 짧은 프레임간 간격(short inter-frame space; SIFS) 시간 내에서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상기 수신된 MPDU를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공유 릴레이 동작(sharing relay operation) 하의 데이터 접수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은,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릴레이 AP와 연관된 스테이션(STA)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를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TA에서, PHY-RX-START-지연(delay) 내에서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indication primitive) 내의 PARTIAL_AID가 루트 AP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수를 상기 MPDU 전송의 성공적인 수신확인으로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 기회(TXOP) 공유 릴레이 동작(sharing relay operation) 하의 데이터 접수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은,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루트 AP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를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루트 AP에서, PHY-RX-START-delay 내에서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 내의 PARTIAL_AID가 전송된 MPDU의 목적지 주소(DA)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수를 상기 MPDU 전송의 성공적인 수신확인으로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및 이의 이점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다운링크 릴레이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업링크 릴레이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 다운링크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 업링크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플랫폼을 도시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작과 사용에 대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논의한다. 다만, 본 발명이 광범위하고 다양한 특정 콘텍스트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응용 가능한 창의적인 컨셉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제작하고 사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인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무선 장치(예를 들면, AP 또는 SPA 또는 다른 무선이 가능한 네트워크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목적지 장치(예를 들면, AP 또는 STA 또는 다른 무선이 가능한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은 적어도 데이터 패킷의 패킷 헤더(또는 물리적 헤더 부분) 내에 목표한 목적지 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부분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고, 송신기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는다. 송신기는 AP일 수 있거나 STA(예를 들면, 무선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유 식별자 또는 고유 주소는 릴레이 스테이션의 네트워크 내에서는 고유하지만, 송신기의 네트워크 내에서는 고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는 송신기(STA 또는 AP)에 목표한 목적지 장치의 고유 식별자 또는 고유 주소를 알릴 수 있다. 송신기는,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타겟 또는 목표한 목적지 무선 장치에 전송된 신호를 위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한다. 송신기가,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이 목표한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부분 식별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면, 송신기는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포워딩되었다고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AP가 데이터 패킷을 타겟 스테이션에 전송하기 전에, 예를 들면 STA의 부분 연관 ID 또는 타켓 스테이션의 고유 주소와 같은, 타겟 스테이션의 ID를 AP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타겟 스테이션이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타겟 스테이션의 고유 주소 및/또는 ID를 AP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타겟 스테이션의 ID가 변경될 때, 타겟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된 ID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이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예를 들면 AP의 부분 연관 ID와 같은 AP의 식별자, 또는 릴레이 스테이션이 연관된 AP의 고유 주소를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스테이션은 ID 또는 고유 주소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AP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STA가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AP에 전송할 때, 릴레이에 그것의 전송을 수신확인하는데 이 ID 또는 고유 주소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타겟 스테이션은 비-AP 스테이션(예를 들면, 타겟 비-AP 스테이션)일 수 있다.
실시예 릴레이 스테이션은 송신기에 ACK 프레임을 전송하기 않고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한다. (송신기는 AP 또는 STA 또는 다른 무선이 가능한 네트워크 컴포넌트일 수 있는 개시기(initiator)로써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확인(ACK) 프레임이 개시기에 전송되지 않을 때 모호성이 없다. 일 실시예는 모호성 없이 릴레이로부터 소스(source)에 패킷을 릴레이하는 ACK 프레임 전송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기로부터 릴레이에의 ACK가 여전히 존재한다. 일 실시예는 소스로부터 목적지에 패킷을 릴레이하는 전체 패킷 전송 시간을 줄여, 보다 나은 무선 매체 사용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액세스 포인트, 릴레이, 스마트 폰, 태블릿, 무선 센서,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Wi-Fi 능력을 가지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제1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은 제1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은, 그 후,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제2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제2 데이터 패킷은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제1 무선 스테이션에 AID 또는 PAID를 전송하기 위해 AID 공시(announcement) 요소를 포함하는 STA 정보 공시 프레임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는, 제2 무선 스테이션이 AP일 때, 제2 무선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제1 무선 스테이션에 AID 또는 PAID를 전송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 내의 릴레이 요소 내의 RootAP BSSID 필드를 사용한다.
실시예 다운링크 전송에서, AP는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릴레이 스테이션은 타겟 STA(타겟 무선 장치로 나타낼 수도 있음)에 패킷을 릴레이할 것이다.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STA에 대한 연관 식별자 또는 연관 ID(AID)는, 릴레이 스테이션이 연관되어 있는 AP에 알려져 있다. AP가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한 후, 릴레이 스테이션은, ACK 프레임을 AP에 회신하지 않고 사전 결정된 지연 시간이 지난 후, 적어도 릴레이 패킷의 물리적(PHY) 헤더 부분에 표시된 STA의 AID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통해 패킷을 곧바로 타겟 STA에 포워딩한다.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한 후, AP는 차후의 패킷의 식별자(ID) 또는 수신기 ID가 타겟 STA인지 판단하기 위해 차후의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을 확인한다. 차후의 패킷의 수신기 ID가 타겟 STA이라면, AP는 그것의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다고 간주한다.
실시예 업링크 전송에서, STA는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릴레이 스테이션은 패킷을 타겟 AP에 릴레이할 것이다. 릴레이 스테이션에 연관된 STA는 타겟 AP의 ID를 알고 있다. STA가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한 후, 릴레이 스테이션은, ACK 프레임을 STA에 회신하지 않고 사전 결정된 지연 시간이 지난 후, 적어도 릴레이 패킷의 PHY 헤더 부분에 표시된 예를 들면 AP의 부분적으로 연관된 ID와 같은 타겟 AP의 ID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통해 패킷을 곧바로 타겟 AP에 포워딩한다.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한 후, STA는 차후의 패킷의 수신기 ID가 타겟 AP인지 판단하기 위해 차후의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을 확인한다. 차후의 패킷의 수신기 ID가 타겟 AP라면, STA는 그것의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다고 간주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재적 ACK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릴레이 스테이션이 TXOP 공유 릴레이 동작에서 포워딩하기 위해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포콜 데이터 유닛(MPDU)를 수신할 때, 릴레이 스테이션은 MPDU의 전송기에 수신확인 프레임을 회신하지 않고 수신된 MPDU를 곧바로 포워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AID(PAID) 정보가 물리적 계층 컨버젼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sion Protocol; PLCP) 헤더 (≥ 2MHz PHY 프레임 포맷) 내에 포함될 때 이 내재적 ACK 메커니즘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MPDU가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STA에 의해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면, 이 릴레이 스테이션은 SIFS 시간 내에 연관된 AP에 수신된 MPDU를 포워딩한다. MPDU를 전송한 후, STA는, 예를 들면 PHY-TXEND.확인 프리미티브(confirm primitive)에서 시작하는 SIFS 시간 + 슬롯시간 + PHY-RXSTART-delay의 값과 같은, ACK 타임아웃 간격 동안 대기할 것이다. STA가 ACK 타임아웃 간격 내의 유효 PLCP를 수신하고,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PAID가 매치되면, 예를 들어 AP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ID와 동일하면, 과정 내의 특정 프레임 시퀀스에 대해 적절하므로 프레임 시퀀스를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시도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성공적인 수신확인이라고 STA는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서, MPDU가 AP에 의해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되면, 릴레이 스테이션은 SIFS 시간 내에 연관되는 STA에 수신된 MPDU를 포워딩한다. MPDU를 전송한 후, AP는, PHY-TXEND.확인 프리미티브에서 시작하는 SIFS 시간 + 슬롯타임 + PHY-RX-START-Delay 의 값을 가지는 ACK 타임아웃 간격 동안 대기할 것이다. AP가 ACK 타임아웃 간격 내의 유효 PLCP를 수신하고,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PAID가 매치되면, 예를 들어 전송된 MPDU의 DA에 대응하는 PAID와 동일하면, 과정 내의 특정 프레임 시퀀스에 대해 적절하므로 프레임 시퀀스를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시도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성공적인 수신확인이라고 AP는 인식한다. 포워딩된 MPDU의 수신기 주소(RA)가 AP에 의해 전송된 MPDU의 목적지 주소(DA)와 상이하면, 릴레이 스테이션은 내재적 ACK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내재적 ACK 절차에 대해, 릴레이가 연관된 AP는, 예를 들면 AP와 연관된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STA의 AID 또는 STA의 PAID와 같은, STA의 ID를 알고 있을 수 있다. 내재적 ACK를 위해, 릴레이 스테이션은, STA가 연관되게 되거나 STA의 AID가 변경될 때, AID 공시 요소를 포함하는 STA 정보 공시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예를 들면 STA의 AID 또는 PAID와 같은 연관된 STA의 ID를 AP에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링크 내재적 ACK 절차에 대해,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STA는, 예를 들면, 서빙 릴레이 스테이션이 연관되어 있는 AP의 BBSID 또는 AP의 PAID와 같은, AP의 ID를 알고 있을 수 있다. 내재적 ACK의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릴레이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내의 RootAP BSSID 정보를 이용하여 AP의 PAID 또는 AP의 BSSID를 새로운 연관 STA에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에, MPDU가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릴레이 AP와 연관된 STA에 의해 전송되고, PHY-RX-START-지연 내에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 내의 PARTIAL_AID가 매치되면, 예를 들면, 루트 AP의 BSSID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하면, 접수는 MPDU 전송의 수신확인이 성공적이라고 받아들일 것이다. 다른 예외는, AP가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MPDU를 릴레이 STA에 전송하고, PHY-RX-START-지연 내에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 내의 PARTIAL_AID가 매치되면, 예를 들면, 전송된 MPDU의 DA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하면, 접수는 MPDU 전송의 수신확인이 성공적이라고 받아들일 것이다.
도 3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300)를 도시한다. 네트워크(300)는 AP(310), 커버리지 영역(312)을 각각 가지는 릴레이 스테이션(314), 복수의 STA(320), 및 백홀 네트워크(backhaul network)(3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AP는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 또는 기지국(base station; BS)로 나타낼 수도 있고, 3가지 용어는 본 개시 전반에 혼용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AP(310)와 릴레이 스테이션(314) 각각은, 그 중에서도,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차세대 기지국(enhanced base station; eNB), 펨토셀, 및 다른 무선이 가능한 장치와 같은, STA(320)와 업링크(UL)(파선) 및/또는 다운링크(DL)(점선) 연결을 설정하여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STA(320)는 AP(310)와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임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STA(320)는 사용자 장치(UE)로 나타내어 질 수도 있다. STA의 예시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랩탑을 포함한다. AP(310)는 STA로써 나타내어 질 수도 있다. 백홀 네트워크(330)는 AP와 원격 단(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허용하는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집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300)는, 릴레어, 펨포셀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무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STA(320)는 릴레이 스테이션(314)를 통해 AP(310)와 통신한다. STA(320)가 릴레이 스테이션(314)과 통신하는 하나의 이유는 STA(320)가 AP의 커버리지 영역(312)의 외부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314)은, STA(320)으로부터 AP(310) 또는 AP(310)으로부터 STA(320)로 데이터를 릴레이할 때, STA(320) 또는 AP(310)에 내재적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AP(310)(또는 STA(320))는 릴레이 스테이션(312)으로부터 전송을 위한 무선 채널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릴레이 스테이션(312)으로부터 타겟 장치(예를 들면, AP(310) 또는 STA(320))로의 전송의 패킷 헤더 내의 주소, 부분 주소, 또는 식별자(예를 들면 AP 또는 STA의 부분 연관 식별자)가 타겟 장치의 주소, 부분 주소, 또는 식별자에 매칭되면, AP(310)(또는 STA(320))는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한다.
도 4는 실시예 다운링크 절차(400)를 도시한다. 402에서, AP는 PHY 헤더 내의 릴레이 스테이션의 ID로 설정한 수신기 ID를 통해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을 전송한다. 406에서, SIFS 시간 내에, 릴레이 스테이션은, 타겟 STA의 ID로 설정된 수신기 ID를 통해,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이 지정된 타겟 STA에 다운링크 DATA 프레임(상이할 수 있음) MCS를 재전송한다. 재전송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PHY 헤더 필드 내의 수신기 ID를 포함한다. AP는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을 모니터하고, 404에서, SIFS 시간 내에 AP가 재전송의 PHY 헤더 필드를 수신하면, AP는 재전송의 수신기 ID가 타겟 STA의 ID인지 확인한다. 그렇다면, AP는 타겟 STA로의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의 전송이 성공적이라고 간주하고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특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SIFS 시간에 DATA 프레임의 시간 간격이 더해짐) 내의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송이 PHY 헤더 필드 내의 타겟 STA의 수신기 ID를 포함하며 수신되지 않으면, AP는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의 전송이 성공적이지 않다고 간주하고 다운링크 DATA 프레임의 재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타겟 STA가 SIFS 시간 내에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재전송을 수신한 후, 타겟 STA는 릴레이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회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은 AP로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는다.
도 5는 실시예 업링크 절차(500)를 도시한다. 502에서, STA는 PHY 헤더 내의 릴레이 스테이션의 ID로 설정한 수신기 ID와 함께 업링크 DATA 프레임을 전송한다. 506에서, SIFS 시간 내에, 릴레이 스테이션은, 타겟 STA의 ID로 설정한 PHY 헤더 필드 내의 수신기 ID와 함께 업링크 DATA 프레임(상이한 MCS일 수 있음)를 재전송한다. STA는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을 모니터하고, 504에서, SIFS 시간 내에 STA가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면, STA는 PHY 헤더 필드를 확인하고 수신기 ID가 타겟 AP의 ID인지 확인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송의 PHY 헤더 필드 내의 수신기 ID가 타겟 AP의 ID이면, STA는 업링크 DATA 프레임 전송이 성공적이라고 간주하고 업링크 DATA 프레임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특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SIFS 시간에 DATA 프레임의 시간 간격이 더해짐) 내의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송이 PHY 헤더 필드 내의 타겟 AP의 수신기 ID를 포함하며 수신되지 않으면, STA는 업링크 DATA 프레임의 전송이 성공적이지 않다고 간주하고 업링크 DATA 프레임의 재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타겟 AP가 SIFS 시간 내에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재전송을 수신한 후, 타겟 AP는 릴레이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전송의 STA의 수신과, 재전송이 타겟 AP의 수신기 ID를 포함한다는 확인은 업링크 DATA 프레임 전송이 성공적이라는 수신확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릴레이 스테이션은 STA로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는다.
다운링크 전송에서는, 패킷의 PHY 헤더 부분에서의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해, 수신기의 ID에 대응하는 필드(예를 들면, 부분 AID 또는 AP의 ID의 기능)가 있어서,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을 수신하는 임의의 스테이션은 패킷의 전체 페이로드 부분을 디코딩하지 않고도 패킷의 수신기가 이 스테이션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전송 전, STA가 릴레이 스테이션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네트워크에 가입하면, 릴레이 스테이션은 그것의 루트 AP에 가입된 STA의 정보를 보고한다. 가입된 STA의 정보는, STA의 고유 ID(예를 들면, 매체 액세스 계층(medium access layer) 내의 MAC 주소)뿐만 아니라, 릴레이 스테이션 하의 STA의 부여된 연관 ID(AID) 또는 부분 AID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주어진 고유 ID와 함께 STA가 릴레이 스테이션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릴레이 스테이션 하의 STA의 AID 또는 PAID의 STA의 고유 ID로의 매핑 관계를 유지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으로의 AP의 패킷 전송에 대해, AP가 릴레이 스테이션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STA에 전달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 AP는 릴레이 스테이션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타겟 STA로의 릴레이 스테이션의 패킷 전송에 대해, 릴레이 스테이션이 AP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 패킷의 최종 목적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패킷을 재인코딩(re-encoded)한다. 재인코딩된 패킷은, 릴레이 스테이션과 타겟 STA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이전에 수신한 패킷과는 상이한 MCS을 가질 수 있다. 재인코딩된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은 타겟 STA의 ID(예를 들면, 타겟 무선 장치의 ID)에 대응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AP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후, 릴레이 스테이션은 사전 결정된 지연(예를 들면, SIFS) 후 타겟 STA로 재인코딩된 패킷을 전송한다.
AP에 대하여,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다운링크 패킷을 전송한 후, AP는 무선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패킷의 임의의 PHY 헤더 부분이 사전 결정된 지연(예를 들면, 사전 결정된 시간) 후 검출되는지 확인한다.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이 전술한 시간에 검출되면, AP는 수신기 ID에 대응하는 필드가 타겟 STA의 그것인지 확인한다. 필드 정보가 타겟 STA에 대한 것인 경우, AP는 그것의 이전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고 간주한다. AP가 패킷의 어떠한 PHY 헤더 부분도 수신하지 못하거나, 주어진 시간 내에 수신된 PHY 헤더 내에 타겟 STA의 ID를 포함하지 않으면, AP는 그것의 이전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재전송 과정을 개시한다.
업링크 전송에서,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해, 패킷의 PHY 헤더 부분에서, 수신기 ID에 대응하는 필드(예를 들면, 부분 AID 또는 AP의 ID의 기능)가 있어서,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을 수신한 임의의 스테이션은 패킷의 전체 페이로드 부분을 디코딩하지 않고도 패킷의 수신기가 이 스테이션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전송 전, STA가 릴레이 스테이션의 커버리지에 속하는 네트워크에 가입하면, 릴레이 스테이션은 STA가 루트 AP의 ID와 릴레이 스테이션에 속한다고 STA에 표시한다. 릴레이 스테이션으로의 STA의 패킷 전송에 대해, 릴레이 스테이션의 커버리지에 속하는 STA가 AP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 STA는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신된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의 수신기 ID 필드를 이용하는 대신, 패킷 길이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된 패킷이 그것의 전송의 릴레이 전송인지 확인할 수 있다. 수신된 패킷의 패킷 길이가 송신기가 처음 전송했던 패킷 길이와 동일하면, 송신기는 처음 전송했던 패킷이 성공적으로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달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방법은 다운링크와 업링크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AP로의 릴레이 스테이션의 패킷 전송에 대해, 릴레이 스테이션이 STA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그 패킷의 최종 목적지를 찾고 이에 따라 패킷을 재인코딩한다. 재인코딩된 패킷은, 릴레이 스테이션과 타겟 AP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이전에 수신한 패킷과는 상이한 MCS을 가질 수 있다. 재인코딩된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은 타겟 AP의 ID에 대응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STA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후, 릴레이 스테이션은 사전 결정된 지연(예를 들면, SIFS) 후 타겟 AP로 재인코딩된 패킷을 전송한다.
STA에 대하여,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업링크 패킷을 전송한 후, STA는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패킷의 임의의 PHY 헤더 부분이 사전 결정된 지연 시간이 지난 이후에 검출되는지 판단한다. 패킷의 PHY 헤더 부분이 전술한 시간에 검출되면, STA는 수신기 ID에 대응하는 필드가 타겟 AP의 그것인지 확인한다. 필드 정보가 타겟 AP에 대한 것인 경우, STA는 그것의 이전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고 간주한다. STA가 패킷의 어떠한 PHY 헤더 부분도 수신하지 못하거나, 주어진 시간 내에 수신된 PHY 헤더 내에 타겟 AP의 ID를 포함하지 않으면, STA는 그것의 이전 전송이 릴레이 스테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재전송 과정을 개시한다.
2012년 11월 TGah에 대해 제안된 프레임워크 사양 IEEE802.11-11/1137r12와 2012년 11월 두 개의 홉 릴레이 기능 IEEE802.11-12/1330r0은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된다. 이 각각의 참조는 그 전체로서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600)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인 장치는 도시된 모든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부분만을 이용할 수 있고, 통합의 정도는 장치마다 다양할 수 있다. 더욱이,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수신기 등과 같은 컴포넌트의 여러 예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600)은, 스피커, 마이크로폰, 마우스, 터치스크린, 키패드, 키보드, 프린터, 디스플레이,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장치를 가지는 프로세싱 유닛(6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1)은, 버스(640)에 연결되어 있는 중앙 처리 장치(CPU)(610), 메모리(620), 대용량 기억 장치(6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 I/O 인터페이스(660), 및 안테나 회로(6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1)은 또한 안테나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구성 요소(675)를 포함한다.
버스(640)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버스(peripheral bus), 비디오 버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타입의 여러 버스 아키텍처일 수 있다. CPU(610)는 임의의 타입의 전기적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동기 DRAM(SRAM), 리드-온리 메모리(ROM), 이들의 조합,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620)는 부트-업(boot-up)에서 사용하기 위해 ROM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램과 데이터 저장에 대해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 장치(630)는, 버스(640)를 통해 데이터, 프로그램, 및 다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프로그램,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임의의 타입의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 장치(630)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60)는 외부 입력 및 출력 장치를 프로세싱 유닛(601)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60)는 비디오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장치의 예시로는 비디오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와 I/O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마우스/키보드/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는 프로세싱 유닛(601)에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몇 개의 인터페이스 카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가 프린터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회로(670)와 안테나 구성 요소(675)는 프로세싱 유닛(601)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유닛과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회로(670)와 안테나 구성 요소(675)는, 롱 텀 에볼루션(LTE),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광대역 CDMA(WCDMA), 및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광역 통신망(WAN)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 회로(670)와 안테나 구성 요소(675)는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장치로의 WiFi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601)은, 이더넷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유선 링크, 및/또는 노드나 상이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1)는 프로세싱 유닛(601)이 네트워크(680)를 통해 원격 유닛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송신 안테나와 하나 이상의 수신기/수신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601)은, 다른 프로세싱 유닛, 인터넷, 원격 저장 시설,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원격 장치와의 통신과 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해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변경, 치환, 및 대체는 본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범위와 사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는,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합, 방법, 수단 또는 단계, 현재 존재하거나 이후에 개발될 것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본 개시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청구된 청구범위는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합, 방법, 수단 또는 단계와 같은 그들의 범위 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50)

  1.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relay)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제2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 포워딩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상이함 - ;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함 -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사전 결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은 짧은 프레임간 간격(Short Inter-Frame Space; SIFS)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업데이트된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액세스 포인트(AP)일 때,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고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일 때,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의 지시자(indication)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 내의 RootAP BSSID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BSSID의 지시자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물리적 헤더 부분(physical head portion)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 ID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연관 ID(association identification; A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고유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기본 서비스 설정 ID(BSS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연관 ID(AID)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MAC 주소인,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인,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무선 장치는 타겟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비-AP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무선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21.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타겟 무선 장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제2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 포워딩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상이함 - ;
    전송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 -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성공으로 간주함 -
    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이 사전 결정된 시간 내에 상기 타겟 무선 장치로 전송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하도록 하는 명령을 더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더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고,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또는 상기 ID가 변경될 때,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제공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고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상기 AP의 고유 주소 또는 상기 AP의 연관 ID(A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의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고유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주소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또는 상기 고유 주소가 변경될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지시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연관 ID(AID)를 포함하고, 상기 AID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또는 상기 연관 ID가 변경될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지시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물리적 헤더 부분 내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 ID를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연관 ID(A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고유 주소를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기본 서비스 설정 ID(BSS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상기 타겟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수신기 ID가 타겟 무선 장치의 ID의 일부분에 따라 결정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ID는, 상기 타겟 무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타겟 무선 장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 (BSSID)인,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35.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으로서,
    릴레이 스테이션으로 제1 무선 스테이션(wireless station)으로부터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제2 무선 스테이션에 목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상이함 - ; 및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회신하지 않고 제2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이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될 때 또는 상기 ID가 변경될 때,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제1 무선 스테이션이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고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는 연관 ID(AID), 부분 연관 ID(partial association ID; PAID), 또는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AID 또는 PAID를 전송하기 위해 AID 공시(announcement) 요소를 포함하는 STA 정보 공시 프레임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는,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AP)인 경우,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인,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AID 또는 PAID를 전송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내의 릴레이 요소(Relay element) 내에 보관된 RootAP BSSID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에서의 패킷 릴레이 방법.
  43.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스테이션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1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제2 무선 스테이션에 목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상이함 - ; 및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수신확인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수신확인을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포워딩함 없이, 제2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를 전송 -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상기 ID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함 -
    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스테이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제2 무선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더 포함하는,
    패킷 릴레이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스테이션.
  45. 제1 스테이션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station)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 포워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ssage protocol data unit; MPDU)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MPDU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이 짧은 프레임간 간격(SIFS) 시간 내에서 연관되는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포워딩됨 - ; 및
    유효한 물리 계층 변환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sion Protocol; PLCP) 헤더가 수신확인 타임아웃 간격(ACKTimeout interval) 내에 수신되고,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DA)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부분적 연관 ID(PAID)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ID 또는 제2 스테이션의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 RA)와 동일한 경우, 수신확인이 성공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가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전송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 포워딩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상기 RA가 상기 DA와 상이한 경우, 내재적 수신확인 절차를 이용하는,
    제1 스테이션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 포워딩하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AP의 BSSID의 지시자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내의 RootAP BSSID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AP의 BSSID의 지시자를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제공하는,
    제1 스테이션에서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 포워딩하는 방법.
  48.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스테이션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과 연관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을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 - 상기 MPDU는,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이 짧은 프레임간 간격(SIFS) 시간 내에서 연관되는,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상기 릴레이 스테이션에 의해 포워딩됨 - ; 및
    유효 물리 계층 변환 프로토콜(PLCP) 헤더가 수신확인 타임아웃 간격내에 수신되고, 목적지 주소(DA)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된 PLCP 헤더 내의 부분적 연관 ID(PAID)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ID 또는 제2 스테이션의 수신기 주소(RA)와 동일한 경우, 수신확인이 성공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가 계속될 수 있도록 또는 재전송 없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명령
    을 포함하는,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스테이션.
  49.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AP)에서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공유 릴레이 동작(sharing relay operation) 하의 데이터 수신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릴레이 AP와 연관된 스테이션(STA)이, 상기 릴레이 AP에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TA는, PHY-RX-START-delay 내에서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indication primitive) 내의 PARTIAL_AID가 루트 AP의 기본 서비스 설정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 을 상기 MPDU 전송의 성공적인 수신확인으로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데이터 수신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
  50.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 기회(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데이터 수신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루트 AP가, 릴레이 AP에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루트 AP는, PHY-RX-START-delay 내에서 발생한 PHY-RXSTART.지시 프리미티브 내의 PARTIAL_AID가, 전송된 MPDU의 목적지 주소(DA)에 대응하는 PARTIAL_AID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 을 상기 MPDU 전송의 성공적인 수신확인으로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TXOP 공유 릴레이 동작 하의 데이터 수신의 내재적 수신확인을 위한 방법.
KR1020157017167A 2012-12-07 2013-11-29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4818P 2012-12-07 2012-12-07
US61/734,818 2012-12-07
US14/073,028 2013-11-06
US14/073,028 US10091688B2 (en) 2012-12-07 2013-11-06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 relaying
PCT/CN2013/088127 WO2014086245A1 (en) 2012-12-07 2013-11-29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 relay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214A KR20150090214A (ko) 2015-08-05
KR101668768B1 true KR101668768B1 (ko) 2016-10-24

Family

ID=5088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167A KR101668768B1 (ko) 2012-12-07 2013-11-29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91688B2 (ko)
EP (2) EP2918022B1 (ko)
JP (1) JP6023895B2 (ko)
KR (1) KR101668768B1 (ko)
CN (2) CN104782059B (ko)
CA (1) CA2916407C (ko)
SG (1) SG11201510165PA (ko)
WO (1) WO2014086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3243B (zh) * 2013-03-11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US9137642B2 (en) * 2013-03-20 2015-09-15 Google Inc. Multi-cast optimized medium access method for wireless network
WO2015005677A1 (ko) * 2013-07-10 2015-01-1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41248B1 (en) * 2013-11-22 2017-05-02 Rockwell Collins, Inc. Signal extender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CN106254041A (zh) * 2015-08-20 2016-12-21 北京智谷技术服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数据接收方法、及其装置
CN105337981A (zh) * 2015-11-18 2016-02-17 上海新储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中继装置、更新方法及设备间进行数据交互的方法
US9929928B1 (en) * 2015-12-24 2018-03-27 Microsemi Solutions (U.S.), Inc. Packet transmitter and method for timestamping packets
CN107787018B (zh) * 2016-08-26 2020-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及系统
EP3530058B1 (en) * 2016-11-03 2021-05-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cess point device (ap) and client device (sta) using grouping of transmission parameters
JP7048931B2 (ja) * 2017-03-08 2022-04-06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CN109035789A (zh) * 2018-07-20 2018-12-18 深圳勤基科技有限公司 物品状态的监测系统及其方法
CN113273090A (zh) * 2019-01-11 2021-08-1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中的协作波束成形
JP2022135144A (ja) * 2021-03-04 2022-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親機、子機、中継器、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4306A2 (en) * 1999-05-28 2000-12-07 Basic Resources, Inc. Wireless transceiver network employing node-to-node data messaging
JP2008017487A (ja) * 2006-07-04 2008-01-24 Ntt Docomo Inc Harq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中継設備と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371B1 (en) 2003-10-22 2006-09-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voice reservation within wireless networks
WO2006057044A1 (ja) 2004-11-26 2006-06-01 Fujitsu Limited 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07052143A2 (en) * 2005-11-04 2007-05-10 Nokia Corporation Metho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ode and apparatus for multicast and/or broadcast ackowledgements
US7653355B2 (en) 2006-01-09 2010-0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Signal strength guided intra-cell upstream data forwarding
US9380503B2 (en) 2007-04-30 2016-06-2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35523B2 (ja) 2007-06-25 2011-12-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956726B1 (ko) 2007-07-20 201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적으로 수신한 맵 정보 또는 데이터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는 릴레이
CN101835194B (zh) 2009-03-13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基站
US8743760B2 (en) * 2009-06-29 2014-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protoco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4306A2 (en) * 1999-05-28 2000-12-07 Basic Resources, Inc. Wireless transceiver network employing node-to-node data messaging
JP2008017487A (ja) * 2006-07-04 2008-01-24 Ntt Docomo Inc Harq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中継設備と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6407C (en) 2018-02-20
EP2918022A4 (en) 2016-01-06
EP2918022A1 (en) 2015-09-16
CA2916407A1 (en) 2014-06-12
WO2014086245A1 (en) 2014-06-12
CN107612662B (zh) 2021-01-12
EP2918022B1 (en) 2017-06-14
US10091688B2 (en) 2018-10-02
US20140160930A1 (en) 2014-06-12
CN107612662A (zh) 2018-01-19
CN104782059A (zh) 2015-07-15
EP3217570A1 (en) 2017-09-13
KR20150090214A (ko) 2015-08-05
JP6023895B2 (ja) 2016-11-09
EP3217570B1 (en) 2020-01-08
CN104782059B (zh) 2017-10-17
JP2016502827A (ja) 2016-01-28
SG11201510165PA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768B1 (ko) 패킷 릴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32611A1 (en) Multi-link communications of a wireless network
US9295074B2 (en) Acknowledgement, error recovery and backoff operation of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140269544A1 (en) Transmission opportunity operation of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WO2014179722A1 (en) Method for selecting an entity based on a total link quality
JP7383161B2 (ja) データフレームの受信状況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108692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cknowledgement and data
US201401535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Frame
US2021009272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60029432A1 (en) Pause Signals for Full-Duplex Wireless Networks
US10681625B1 (en) Single-user acknowledgement op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ulti-user environment
US20210409161A1 (en) Multiple access point operation of a wireless network
JP708472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7114033A1 (zh) 一种传输机会确定方法及接入点
US20210007134A1 (en) Feedback indication for continued transmission for wireless networks
WO2020253637A1 (zh) 一种响应帧的发送方法和接收节点
WO202021357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70084579A (ko) 저지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재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