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295B1 - 강합성 박스 거더 - Google Patents
강합성 박스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8295B1 KR101668295B1 KR1020140101426A KR20140101426A KR101668295B1 KR 101668295 B1 KR101668295 B1 KR 101668295B1 KR 1020140101426 A KR1020140101426 A KR 1020140101426A KR 20140101426 A KR20140101426 A KR 20140101426A KR 101668295 B1 KR101668295 B1 KR 101668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concrete
- box girder
- girder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10),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20),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30)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강재 박스 거더; 및 상기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51)를 포함하는 강합성 박스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강합성 박스 거더를 상, 하부플랜지의 폭이 복부의 높이보다 작은 세폭 형상으로 구성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며, 거더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재를 줄여 강재의 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강합성 박스 거더를 상, 하부플랜지의 폭이 복부의 높이보다 작은 세폭 형상으로 구성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며, 거더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재를 줄여 강재의 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강합성 박스 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각형 또는 제형의 강재 박스 거더는 정모멘트와 부모멘트 구간의 단면 형상이 상, 하부플랜지와 2개의 복부로 구성된 폐합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단면 형상을 정사각형에 유사하거나 상, 하부플랜지의 폭과 복부의 높이가 크게 차이가 없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강재 박스 거더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거더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많은 수량의 보강재가 필요하므로 강재 소요량이 많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하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서는 압축저항을 인장부재인 강재가 모두 담당하고, 상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서는 바닥판 슬래브가 압축저항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제작과 시공의 편리성 때문에 상부플랜지를 폐합 단면으로 하여 구조적인 역할이 없음에도 강재를 사용하므로 강재 소요량이 많다. 즉, 종래기술은 강재 박스 거더의 응력에 따라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기보다 제작의 편리성만을 고려하다보니 고가인 강재의 낭비가 많은 편이다.
따라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성이 재고된 강재 박스 거더의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상, 하부플랜지의 폭을 줄여 세폭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 하부플랜지의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상, 하부플랜지의 폭을 줄여 세폭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강재 박스 거더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재를 줄여 강재 소요량을 절감하고, 그에 따라 거더의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 압축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압축영역에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압축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콘크리트를 합성함으로써 아칭효과에 의해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합성된 상부 콘크리트에 유압잭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부 콘크리트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와 아치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부재를 강재가 아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를 사용함으로써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치 콘크리트나 하부 콘크리트의 상부에 강재 리브를 구비하여 아치 콘크리트나 하부 콘크리트가 복부에 잘 고정 및 합성되는 강합성 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강재 박스 거더; 및 상기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 상기 강재 상부 리브의 하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상기 강재 복부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강재 박스 거더; 상기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상기 강재 복부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 및 상기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형상으로 타설되는 아치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치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 및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아치 콘크리트가 없는 부분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 상기 상부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블럭아웃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럭아웃부에 유압잭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블럭아웃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 복부는 상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이 하부보다 폭이 넓은 T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압축영역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 및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하측에 타설되는 하부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 및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콘크리트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는 강재 하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 상부 리브의 하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 및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 중앙지점의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서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상기 하부 콘크리트 사이에 아치 형상으로 타설되고 상측에서 상기 상부 콘크리트와 겹치는 아치 콘크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 상기 아치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 및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 상기 강재 복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콘크리트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는 강재 하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 중앙지점의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블럭아웃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럭아웃부에 유압잭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블럭아웃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 복부는 상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이 하부보다 폭이 넓은 T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강재 박스 거더를 상, 하부플랜지의 폭이 복부의 높이보다 작은 세폭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 하부플랜지의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상, 하부플랜지의 폭을 줄여 세폭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강재 박스 거더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재를 줄여 강재 소요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함과 동시에 거더의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상, 하부플랜지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압축응력을 추가로 증대시켜 경제적으로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아치 콘크리트에 의한 아칭효과에 의해 거더의 효율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합성된 상부 콘크리트에 유압잭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부 콘크리트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콘크리트와 아치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부재를 강재가 아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를 사용함으로써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치 콘크리트나 하부 콘크리트의 상부에 강재 리브를 구비하여 아치 콘크리트나 하부 콘크리트가 복부에 잘 고정 및 합성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b는, 도 1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도 5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b는, 도 9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16f는, 도 15의 A-A, B-B, C-C, D-D, E-E, F-F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종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19d는, 도 18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이다.
도 22a 내지 22c는, 도 21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b는, 도 1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도 5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b는, 도 9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16f는, 도 15의 A-A, B-B, C-C, D-D, E-E, F-F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종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19d는, 도 18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이다.
도 22a 내지 22c는, 도 21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도 1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상부 콘크리트(51)가 타설된다.
강재 상부플랜지(1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강재 하부플랜지(2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강재 복부(3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강재 박스 거더를 구성한다. 강재 박스 거더는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이며, 강재 박스 거더의 단면 형상을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에 사용되는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또한 거더 내부에 설치되는 종방향, 횡방향 등의 보강재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거더의 제작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51)의 하측에는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가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가 용접 등으로 강재 복부(30)에 결합된다. 강재 상부 리브(7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한 쌍의 강재 상부 리브(71)가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강재 상부 리브(71)의 하측에는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강재 박스 거더의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압축영역에 상부 콘크리트(51)를 합성함으로써 압축부재인 콘크리트가 압축력에 저항함으로써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강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강재 박스 거더를 거치하기 전이나 거치한 후에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부에 강재 상부 리브(71), 강재 상부 리브(71) 상측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상측에 상부 콘크리트(51)를 타설하며,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상측은 전단철근(110)과 전단연결재(100)에 의해 바닥판 슬래브와 합성된다.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구조를 강판이 아닌 강재 상부 리브(7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이용함으로써 강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양 강재 복부(3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거더의 비틀림이나 좌우방향의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콘크리트(53)가 타설된다.
강재 상부플랜지(1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강재 하부플랜지(2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강재 복부(3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강재 박스 거더를 구성한다. 강재 박스 거더는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이며, 강재 박스 거더의 단면 형상을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에 사용되는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또한 거더 내부에 설치되는 종방향, 횡방향 등의 보강재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거더의 제작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는 아치 콘크리트(53)가 타설된다. 아치 콘크리트(53)는 양 단부지점에서는 지점반력 등을 고려하여 강재 박스 거더 내부 하측에 강재 하부플랜지(20)와 수평하게 타설되고, 그 외 중앙부에서는 아치 형상으로 타설된다.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는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타설된 아치 콘크리트(53)의 하측에는 아치 콘크리트(53)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가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73)가 용접 등으로 강재 복부(30)에 설치된다. 강재 아치 리브(73)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한 쌍의 강재 아치 리브(73)가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된다.
강재 박스 거더 내부에 타설된 아치 콘크리트(53)는 거더 상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을 아치 콘크리트(53)를 통해 내, 외측 지점으로 분산시켜 거더의 효율성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다.
강재 박스 거더를 교대 또는 교각에 거치하기 전이나 거치한 후에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강재 아치 리브(73), 강재 아치 리브(73) 상측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 상측에 아치 콘크리트(53)를 아치 형상으로 타설함으로서 아칭효과가 부가되어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치 콘크리트(53)를 지지하는 구조를 강판이 아닌 강재 아치 리브(73)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이용함으로써 강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양 강재 복부(3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거더의 비틀림이나 좌우방향의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아치 콘크리트(53)의 상측에도 리브를 설치하여 아치 콘크리트(53)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즉 아치 콘크리트(53)가 강재 복부(30)에 잘 합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복부(30)에 유지관리용 개구부를 다수 형성하여 평소에는 유지관리용 개구부에 강재판을 덧대어 볼트로 막고, 사용중 필요시 볼트를 풀고 유지관리용 개구부를 통해 거더 내부 구조를 진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도 5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상부 콘크리트(51)와 아치 콘크리트(53)가 타설된다. 이는 전술한 강합성 박스 거더의 2가지 실시예들을 합성한 예로써,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콘크리트(53)를 타설하고,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서 아치 콘크리트(53)가 없는 부분에 상부 콘크리트(51)를 타설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는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아치 콘크리트(53)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은 기능 및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강재 박스 거더 내에 타설된 아치 콘크리트(53)와 상부 콘크리트(51)는 거더의 경간장을 더욱 길게 하거나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상부 콘크리트(51)를 타설한다.
또한, 상부 콘크리트(51)에는 블럭아웃부(90)를 형성하고, 블럭아웃부(90)에 유압잭(91)을 삽입하여 상부 콘크리트(5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에 블럭아웃부(90)에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콘크리트(51)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거더의 장, 단기 처짐을 감소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10b는 도 9의 A-A,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강합성 박스 거더는, 상부 콘크리트(51)가 타설되는 강재 박스 거더 상부의 강재 복부(30)의 폭이 강재 박스 거더 하부의 강재 복부(30)의 폭보다 넓은 T형상일 수 있다.
강재 상부 리브(71)는 폭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경계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강재 복부(30)의 폭을 T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강재 박스 거더 상부의 압축강도를 증대시켜 거더 전체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거더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강합성 박스 거더의 실시예들은 아치 콘크리트(53)의 정상부 또는 상부 콘크리트(51)에 매립된 전단철근(110)과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상측에 설치된 전단연결재(100)에 의해 바닥판 슬래브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과 그에 따른 기능 효과에 대해서 기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가 타설된다. 물론 상, 하부 콘크리트(51, 55)는 압축영역보다 좀 더 좁거나 좀 더 넓게 타설될 수도 있다.
강재 상부플랜지(10)는 인장영역에서는 개구부(11)가 없는 폐합된 형상 그대로이지만 압축영역에서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이는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강재 상부플랜지(10)의 개구부(11)가 없는 폐합면은 인장영역에 설치하나, 안전측으로 압축부까지 더 연장하는 것도 좋다. 강재 하부플랜지(2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강재 복부(30)는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2경간 강재 박스 거더를 구성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는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이며,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의 단면 형상을 강재 복부(30)가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세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에 사용되는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거더 내부에 설치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보강재를 줄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에서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압축영역에는 상부 콘크리트(51)가 타설되고,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는 하부 콘크리트(55)가 타설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51)의 하측에는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가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가 설치된다. 강재 상부 리브(7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한 쌍의 강재 상부 리브(71)가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강재 상부 리브(71)의 하측에는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결합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하측에 타설된 하부 콘크리트(55)의 상측에는 강재 하부 리브(75)가 구비되어 하부 콘크리트(55)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에는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80)이 설치되는데,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 타설된 하부 콘크리트(55)가 강재 복부(30) 또는 중앙지점의 다이아프램(80)과 맞닿는 하부 콘크리트(55) 상면의 가장자리에 강재 하부 리브(75)가 테두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강재 하부 리브(75)는 하부 콘크리트(55)를 하측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하부 콘크리트(55)의 균열을 억제하고, 또한 하부 콘크리트(55)가 강재 복부(30)와 다이아프램(80)으로부터 벌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며, 아울러 물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합성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한편, 중앙지점의 다이아프램(80)에는 하부 콘크리트(55) 타설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81)이 형성되어 보강철근(83)이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하부 콘크리트(55)에 매설된다. 이는 다이아프램(80) 양측에 보강철근(83)을 용접으로 결합하는 방법에 비해 작업이 신속하고, 또한 용접력에 의한 것이 아닌 보강철근(83) 자체에 의해 양측 하부 콘크리트(55)가 강력하게 합성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를 합성함으로써 압축부재인 콘크리트가 압축응력을 증대시켜 거더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강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강재 상부 리브(71)가 서로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나 수평 브레이싱(40)이 없이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은 강재의 사용량은 증가하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나 수평 브레이싱(40)을 설치하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6a 내지 16f는 도 15의 A-A, B-B, C-C, D-D, E-E, F-F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와 아치 콘크리트(53)가 타설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내에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를 타설한 것에 양 단부지점과 하부 콘크리트(55) 사이에 아치 형상으로 아치 콘크리트(53)를 추가로 타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치 콘크리트(53)는 양 단부지점에서는 강재 박스 거더 하측에 강재 하부플랜지(20)와 수평하게 타설된 후,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으로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상측에서 상부 콘크리트(51)와 겹치면서 타설된다. 양 단부지점에서 아치 콘크리트(53)를 수평하게 타설하는 것은 단부지점의 반력을 고려하고, 또한 거더 전체에서 아치형상이 대칭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양 단부지점에서 수평 부분이 없이 바로 아치 형상으로 되거나, 또는 수평 부분을 짧게할 수도 있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는 수평 브레이싱(40)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51)의 하측에는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가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가 설치된다. 강재 상부 리브(7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한 쌍의 강재 상부 리브(71)가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 아치 형상으로 타설된 아치 콘크리트(53)의 하측에는 아치 콘크리트(53)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가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73)가 설치된다. 강재 아치 리브(73)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한 쌍의 강재 아치 리브(73)가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하측에 타설된 하부 콘크리트(55)의 상측에는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강재 하부 리브(75)가 구비되어 하부 콘크리트(55)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강재 하부 리브(75)는 아치 콘크리트(53)의 상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에는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80)이 설치되는데,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 타설된 하부 콘크리트(55)가 강재 복부(30) 또는 중앙지점의 다이아프램(80)과 맞닿는 하부 콘크리트(55) 상면의 가장자리에 강재 하부 리브(75)가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합성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중앙지점의 다이아프램(80)에서 하부 콘크리트(55) 타설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81)이 형성되어 보강철근(83)이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하부 콘크리트(55)에 매설된다.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증대시키고,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내에 아치 콘크리트(53)에 의한 아칭효과를 부가하여 거더의 경간장을 더욱 길게 하거나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강재 복부(30)에 유지관리용 개구부를 다수 형성하여 평소에는 유지관리용 개구부에 강재판을 덧대어 볼트로 막고, 사용중 필요시 볼트를 풀고 유지관리용 개구부를 통해 거더 내부 구조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종단면도이며, 도 19a 내지 19d는 도 18의 A-A, B-B, C-C, D-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강재 상부플랜지(10), 강재 하부플랜지(20), 강재 복부(30)로 구성된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에서 강재 상부플랜지(10)와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 상, 하부 콘크리트(51, 55)를 타설하고, 유압잭(91)을 이용하여 상부 콘크리트(51)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다. 즉,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51)에 블럭아웃부(90)를 형성하고, 블럭아웃부(90)에 유압잭(91)을 삽입하여 상부 콘크리트(5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에 블럭아웃부(90)에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이며, 도 22a 내지 22c는 도 21의 A-A, B-B,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는, 상부 콘크리트(51)가 타설되는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상부의 강재 복부(30)의 폭이 하부의 강재 복부(30)의 폭보다 넓은 T형상일 수 있다.
강재 상부 리브(71)는 폭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경계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강재 복부(30)의 폭을 T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상부의 압축강도가 증대되어 거더 전체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거더의 효율이 증대된다.
전술한 강합성 박스 거더의 실시예들은 아치 콘크리트(53)의 정상부 또는 상부 콘크리트(51)에 매립된 전단철근(110)과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상측에 설치된 전단연결재(100)에 의해 바닥판 슬래브와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강재 상부플랜지
11 : 개구부
20 : 강재 하부플랜지
30 : 강재 복부
40 : 수평 브레이싱
51 : 상부 콘크리트
53 : 아치 콘크리트
55 : 하부 콘크리트
6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63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
71 : 강재 상부 리브
73 : 강재 아치 리브
75 : 강재 하부 리브
80 : 다이아프램
81 : 관통공
83 : 보강철근
90 : 블럭아웃부
91 : 유압잭
100 : 전단연결재
110 : 전단철근
11 : 개구부
20 : 강재 하부플랜지
30 : 강재 복부
40 : 수평 브레이싱
51 : 상부 콘크리트
53 : 아치 콘크리트
55 : 하부 콘크리트
6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
63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
71 : 강재 상부 리브
73 : 강재 아치 리브
75 : 강재 하부 리브
80 : 다이아프램
81 : 관통공
83 : 보강철근
90 : 블럭아웃부
91 : 유압잭
100 : 전단연결재
110 : 전단철근
Claims (1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압축영역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10),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20),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30)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51); 및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하측에 타설되는 하부 콘크리트(5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상기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 및
상기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콘크리트(55)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는 강재 하부 리브(75)를 더 포함하는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재 상부 리브(71)의 하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40), 및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80),
중앙지점의 상기 다이아프램(80)에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55) 타설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81),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55)에 매설되는 보강철근(83)을 더 포함하는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 삭제
- 압축영역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된 강재 상부플랜지(10),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하측에 이격 구비된 강재 하부플랜지(20), 및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 양측과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20) 양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강재 상, 하부플랜지(10, 20)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강재 복부(30)를 포함하는 세폭 형상의 2경간 강재 박스 거더;
상기 강재 상부플랜지(10)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51); 및
상기 강재 하부플랜지(20)의 압축영역에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하측에 타설되는 하부 콘크리트(55)를 포함하며,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에서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상기 하부 콘크리트(55) 사이에 아치 형상으로 타설되고 상측에서 상기 상부 콘크리트(51)와 겹치는 아치 콘크리트(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51)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
상기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부 데크(61)를 지지하는 강재 상부 리브(71),
상기 아치 콘크리트(53)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 및
상기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데크(63)를 지지하는 강재 아치 리브(73),
상기 강재 복부(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콘크리트(55)를 하측방향으로 지지하는 강재 하부 리브(75)를 더 포함하는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내부 상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어 양측 강재 복부(30)에 결합되는 수평 브레이싱(40),
상기 2경간 강재 박스 거더의 양 단부지점과 중앙지점의 단면을 폐합하는 다이아프램(80),
중앙지점의 상기 다이아프램(80)에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55) 타설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81),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55)에 매설되는 보강철근(83)을 더 포함하는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 청구항 7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크리트(51)에 블럭아웃부(90)를 형성하고, 상기 블럭아웃부(90)에 유압잭(91)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콘크리트(5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블럭아웃부(90)에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 청구항 7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강재 복부(30)는 상부 콘크리트(51)가 타설되는 부분이 하부보다 폭이 넓은 T형상인 2경간 강합성 박스 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426A KR101668295B1 (ko) | 2014-08-07 | 2014-08-07 | 강합성 박스 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426A KR101668295B1 (ko) | 2014-08-07 | 2014-08-07 | 강합성 박스 거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7881A KR20160017881A (ko) | 2016-02-17 |
KR101668295B1 true KR101668295B1 (ko) | 2016-10-21 |
Family
ID=5545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426A KR101668295B1 (ko) | 2014-08-07 | 2014-08-07 | 강합성 박스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82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44949A (zh) * | 2016-12-07 | 2017-03-29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无独立风嘴的铁路桥梁分离式双箱钢主梁结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9004B1 (ko) * | 2018-03-13 | 2019-09-24 | 원용석 | 교량용 이중합성거더 |
KR102033571B1 (ko) * | 2019-01-17 | 2019-10-17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콘크리트 충전강관 플랜지 합성거더 및 합성거더를 구비하는 교량 |
KR102462234B1 (ko) * | 2021-07-26 | 2022-11-03 | 이노스텍 주식회사 | 압축영역 콘크리트 보강복부를 구비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823B1 (ko) * | 2009-10-09 | 2010-02-25 | 한우물중공업(주) |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더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041Y1 (ko) | 2000-10-11 | 2001-03-15 | 주식회사경성엔지니어링 | 박스형 거더교의 하부구조 |
KR100906400B1 (ko) | 2008-12-02 | 2009-07-07 | 노윤근 | 강합성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48358B1 (ko) | 2009-07-16 | 2010-03-22 | 노윤근 |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2014
- 2014-08-07 KR KR1020140101426A patent/KR101668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823B1 (ko) * | 2009-10-09 | 2010-02-25 | 한우물중공업(주) |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44949A (zh) * | 2016-12-07 | 2017-03-29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无独立风嘴的铁路桥梁分离式双箱钢主梁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7881A (ko) | 2016-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677049B (zh) | 装配式钢-混凝土组合结构桥梁及施工方法 | |
CN105839510B (zh) | 一种钢‑超高性能混凝土组合连续梁桥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533324B1 (ko) | 베드없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작방법 | |
CN106149540A (zh) | 基于钢混组合桥面板的装配式钢板组合梁桥及其施工方法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101668295B1 (ko) | 강합성 박스 거더 | |
KR101310039B1 (ko) | 내하력이 향상된 파형강판 웨브 피에스씨 박스거더교의 연속지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파형강판 피에스씨 박스거더교 | |
KR101885634B1 (ko) | 자립형 지지수단에 의한 복부파형강판 피에스씨 박스거더 교량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08231B1 (ko) |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 |
CN105821750B (zh) | 一种预制预应力双t板及其使用方法 | |
CN109972511B (zh) | 一种型钢-uhpc组合板及桥面板 | |
CN209686708U (zh) | 先张法预应力焊接箍筋网片叠合框架梁及框架连接节点 | |
CN107130715A (zh) | 一种后浇齿槽连接装配式楼屋盖的施工方法 | |
CN106869317B (zh) | 梁柱翼缘为矩形钢管混凝土的组合框架体系及施工方法 | |
CN109555252B (zh) | 外伸矩形筋的楼板和剪力墙结构及连接方法 | |
CN205531016U (zh) | 一种预制混凝土柱构件及连接节点 | |
CN110117931A (zh) | 装配式预应力组合箱梁 | |
KR101228642B1 (ko) |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 |
CN109267698A (zh) | 先张法预应力焊接箍筋网片叠合框架梁及其施工方法 | |
CN109914665A (zh) | 楼承板与装配式混凝土梁的连接结构 | |
CN113356370A (zh) | 剪力墙及框架柱与混凝土梁牛腿互锚连接施工方法 | |
KR102131498B1 (ko) | 합성보, 바닥구조체 및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접합구조 | |
CN105952044A (zh) | 一种全预制预应力混凝土楼板结构及预应力装配方法 | |
KR102059463B1 (ko) | 프리텐션 콘크리트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