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962B1 -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962B1
KR101667962B1 KR1020140193095A KR20140193095A KR101667962B1 KR 101667962 B1 KR101667962 B1 KR 101667962B1 KR 1020140193095 A KR1020140193095 A KR 1020140193095A KR 20140193095 A KR20140193095 A KR 20140193095A KR 101667962 B1 KR101667962 B1 KR 10166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radle
unit
opening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2429A (en
Inventor
박호성
박정환
장태일
노영보
Original Assignee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962B1/en
Publication of KR2016008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4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6Auxiliary devices rigidly or detachably arranged on sheet piles for facilitating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가 개시되며, 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는, 굴착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몸체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거치대; 및 상기 콘크리트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슬라임을 흡입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흡입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A device for removing a slime floating on a concrete upper side of a concrete excavation unit, comprising: a body frame; A cradle connected to the body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uction mechanism that sucks the slime in a state where the concrete is uncured and is connected to the cradl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escription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a building,

본원은 말뚝, 지중연속벽 등과 같이 굴착부에 현장타설되는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slime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structure pierced in a drilled section such as a pile, a continuous wall in the earth, and the lik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0439호에는 현장타설말뚝 천공기의 슬라임 제거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굴착부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을 소정 이상 제거하였다고 하더라도, 굴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나면, 잔류하거나 추가 생성된 슬라임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부유하면서, 현장타설구조물의 상부(두부)에는 불량한 콘크리트가 조성되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80439 disclos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moving a slime of a drilled hole drilling machine. However, even if the slime exis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portion is remov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nc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excavation portion, the upper (head) portion of the site- Poor concrete was formed.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굴착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다음에 브레이커(breaker) 등으로 콘크리트 상부의 슬라임이 혼합된 부분에 대한 두부 정리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브레이커 작업은 큰 소음과 많은 분진을 발생시켜 민원이 빈번하였으며, 상부 철근을 손상시켜 현장타설구조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concrete laid on the excavation part is cured and then the tofu part is cleaned with a slicer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y using a breaker or the like. However, such a breaker operation generates a large noise and a large amount of dust, complaints are frequent,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damaged,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piling structur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커 작업을 생략하면서도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어, 소음 및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부 철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slime floating on an upper surface of concrete, And a slime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slime of the structur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는, 굴착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몸체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거치대; 및 상기 콘크리트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슬라임을 흡입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흡입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moving a slime floating on a concrete placed on a drilling unit, comprising: a body frame; A cradle connected to the body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uction mechanism that sucks the slime in a state where the concrete is uncured and is connected to the cradl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흡입기구를 통해 굴착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아직 굳지 않은 미경화 상태의 슬라임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브레이커 작업을 생략하면서도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어, 소음 및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부 철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rry in an uncured state, which has not yet been hardened, is sucked and removed before the concrete laid on the excavating portion through the suction mechanism is cured. Thus, while the breaker operation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noise and dust and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from deteriorating.

또한, 슬라임을 흡입하는 흡입기구가 거치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거치대가 몸체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전에 현장타설구조물의 두부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계획된 바에 맞추어 보다 규칙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 이동과 좌우 방향 이동의 규칙적인 조합을 통해, 슬라임을 원하는 레벨(깊이)까지 보다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mechanism for sucking the slime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cradle, and the cradle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ody frame, a slime floating on the head of the padded structure befor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lime more regularly according to the planned schedule and more uniformly remove the slime to a desired level (depth) through a regular combination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lateral movement.

예를 들어, 흡입기구를 전후 방향을 따라 계획된 영역만큼 이동시키며 슬라임을 흡입한 다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흡입기구를 이동시키고 다시 전후 방향을 따라 계획된 영역만큼 이동시키며 슬라임을 흡입하는 것과 같이, 슬라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공정이 보다 규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슬라임을 일정한 레벨(깊이)에 맞추어 보다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by moving the suction devi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planned area, sucking the slime, moving the suction device to the left or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oving the slider again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Likewise, the process of sucking and removing the slime may be performed more regularly, so that the slime to be removed can be uniformly removed at a certain level (depth).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서 흡입기구가 거치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체결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b에서 거치대가 세로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체결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에서 흡입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스토퍼에 의해 제1 롤러 유닛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흡입기구가 승하강되는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a는 흡입기구의 흡입유닛을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저면도이고, 도 7b는 흡입기구의 흡입유닛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situ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of FIG. 2A where the suction mechanism is engaged with the cradl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FIG. 3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cradle in FIG. 2B which is engaged with the longitudinal member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mechanism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device for removing slime in the pierc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is limited by the stopper.
FIGS. 6A and 6B are schematic side views of a slurry removal apparatus for a field-cas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ction mechanism is moved up and down.
FIG. 7A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uction unit of the suction device viewed from below, and FIG. 7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uction unit of the suction device viewed from abov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이하 '본 슬라임 제거 장치'라 함)(1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slime removal of a site-pierc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lurry remova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evice for slurry removal of a pi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는 굴착부(700)에 타설된 콘크리트(600)의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굴착부(700)는 말뚝(pile), 지중연속벽 등과 같은 지하구조물(현장타설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소정의 깊이만큼 굴착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굴착부(700)는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을 위한 굴착공일 수 있다. 또한, 굴착부(700)는 말뚝이나 지중연속벽 상부의 주변에 조성되는 트렌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resent slime removing apparatus (100)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slime (500) suspended above a concrete (600) laid on a digging unit (700). Here, the excavation unit 700 may be a part excavated by a predetermined depth for the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a pile, a continuous wall underground, or the like. Illustratively, the excavator 700 may be a drill for constructing a field drilled pile. Also, the excavating portion 700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ile or a trench form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inuous wall of the earth.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는 몸체 프레임(1), 거치대(2), 및 흡입기구(3)를 포함한다.The slime removing device 100 includes a body frame 1, a cradle 2, and a suction device 3.

몸체 프레임(1)은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의 뼈대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몸체 프레임(1)은 세로부재(11), 가로부재(12) 및 지주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지주부재(13)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그 각각의 지주부재(13)가 세로부재(11)와 가로부재(1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몸체 프레임(1)이 구축될 수 있다. 다만, 몸체 프레임(1)의 구조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frame 1 may be a skeleton structure of the present slime removing apparatus 100. Referring to Figs. 1, 2A and 2B, the body frame 1 may include a longitudinal member 11, a transverse member 12 and a strut member 13. For example, the four strut members 13 are arranged to support the ground, and the respective strut members 13 are connected by the longitudinal members 11 and the transverse members 12, .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ody frame 1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거치대(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 프레임(1)에 연결된다.Further, the cradle 2 is connected to the body frame 1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전후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12시-6시 방향을 의미하고, 도 2a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9시-3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12:00 to 6:00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G. 1, and can refer to the direction from 9:00 to 3:00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G.

거치대(2)는 작업자가 전후 방향을 따라 가하는 힘과 같은 외부의 작용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2)를 이동시키는 작용력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적인 작용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 액추에이터와 같은 기계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작용력일 수도 있다.The cradle 2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acting force such as a force applied by the operato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owever, the acting force for moving the cradle 2 is not limited to the manual acting force by the operator, but may be an acting force generated by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linear actuator.

또한, 거치대(2)에 가해지는 작용력은 거치대(2)에 간접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예를 들어 작업자가 흡입기구(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흡입기구(3)에 가해진 작용력이 거치대(2)에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거치대(2) 또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Further, the acting force applied to the cradle 2 can be indirectly applied to the cradle 2. As described later, when the operator moves the suction mechanism 3 forward, for example, the work force applied to the suction mechanism 3 is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 holder 2, and the holder 2 can also be moved forward.

또한, 흡입기구(3)는 굴착부(700)에 타설된 콘크리트(600)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그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을 흡입하는 구성이다.The suction mechanism 3 is configured to suck the slime 500 suspended above the concrete 600 laid on the excavating portion 700 in an uncured state.

여기서, 콘크리트(600)의 미경화 상태라 함은, 콘크리트(600)가 양생을 통해 굳어지기 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600) 미경화 상태는 굴착부(700)에 타설된 콘크리트(600)의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을 흡입기구(3)의 흡입을 통해 빨아 들여 제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uncured state of the concrete 600 may mean a state before the concrete 600 hardens through curing. In other words, in the uncured state of the concrete 600, the slime 500 floating on the concrete 600 placed on the excavation part 700 can be sucked and removed through the suction of the suction device 3 It can mean.

또한, 슬라임(500) 중 적어도 일부는 타설된 콘크리트(600)와 혼합된 상태로 그 상측에 부유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슬라임(500)이라 함은, 콘크리트(600)와 혼합된 상태의 슬라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lso, at least a part of the slim 500 may float above the concrete 600 mixed with the concret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me 500 is preferably understood to include a slime mixed with the concrete 600.

또한, 흡입기구(3)는 진공펌프기(vaccum pump) 등과 같은 진공흡입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흡입기구(3)는 슬라임(500)이나 콘크리트(600)에 포함된 작은 돌까지 흡입하게 되므로, 대략 골프공 정도의 크기를 갖는 물체를 막힘 없이 흡입할 수 있는 흡입/토출력 및 관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입기구(3)는 15마력 내지 20마력의 동력을 가지고, 흡입호스(31)가 4인치 가량의 관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ction mechanism 3 may be a vacuum suction device such as a vacuum pump. Since the suction mechanism 3 sucks the small stones included in the slime 500 or the concrete 600, the suction / discharge and the diameter of the suction / . For example, the suction mechanism 3 may have a power of 15 to 20 horsepower, and the suction hose 31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4 inches.

또한, 흡입기구(3)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대(2)에 연결된다.Further, the suction mechanism 3 is connected to the cradle 2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9시-3시 방향을 의미하고, 도 2b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9시-3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left-and-right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9: 3 o'clock when viewed from the view of Fig. 1, and the 9: 3 o'clock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view of Fig. 2b.

흡입기구(3)는 작업자가 좌우 방향을 따라 가하는 힘과 같은 외부의 작용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흡입기구(3)를 이동시키는 작용력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적인 작용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 액추에이터와 같은 기계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작용력일 수도 있다.The suction mechanism 3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acting force such as a force applied by the operator in the lateral direction. However, the acting force for moving the suction mechanism 3 is not limited to the manual acting force by the operator, but may be an acting force generated by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linear actuator.

이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흡입기구(3)를 통해 굴착부(700)에 타설된 콘크리트(600)가 양생되기 전에 아직 굳지 않은 미경화 상태의 슬라임(500)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브레이커(breaker)에 의한 슬라임(500)(또는 슬라임과 콘크리트의 혼합물) 깨기 작업을 생략하면서도 타설된 콘크리트(600)의 상부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소음 및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 철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굴착부(700)는 굴착공 및 굴착공의 상부에 형성되는 트렌치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crete 600 placed in the excavating portion 700 is cured through the suction mechanism 3, the unhardened slime 500 in an uncured state is sucked and removed to remove the conventional break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move the slime 500 flo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600 while omitting the slurry 500 (or the mixture of the slime and the concrete) by the breaker, Can be minimized and the quality of the upper reinforcing bars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For reference, the excavation part 700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drill hole and a trench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ll hole.

아울러, 본원에 의하면, 슬라임(500)을 흡입하는 흡입기구(3)가 거치대(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거치대(2)가 몸체 프레임(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후 방향 이동과 좌우 방향 이동의 규칙적인 조합을 통해, 타설된 콘크리트(600)의 양생 전에 현장타설구조물(타설된 콘크리트)의 두부(상부)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을 계획된 바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원하는 레벨(깊이)까지 보다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echanism 3 for sucking the slime 500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mount table 2, and the mount table 2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ody frame 1 A slime 500 floating on the head (upper portion) of the spotting structure (poured concrete) befor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600 can be adjusted to the planned bar by a regular combination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lateral movement Can be removed regularly, and can be removed more uniformly to a desired level (depth).

예를 들어, 흡입기구(3)를 전후 방향을 따라 계획된 영역만큼 이동시키며 슬라임(500)을 흡입한 다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흡입기구(3)를 이동시키고 다시 전후 방향을 따라 계획된 영역만큼 이동시키며 슬라임(500)을 흡입하는 방식과 같이, 슬라임(500)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공정이 규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슬라임(500)을 일정한 레벨(깊이)에 맞추어 보다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ction mechanism 3 is mov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slime 500 is sucked, the suction mechanism 3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 of sucking and removing the slime 500 can be performed regularly in such a manner that the slime 500 to be removed is moved to a predetermined level It can be removed more uniformly.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펌프기와 같은 흡입기구(3)를 이용하는 경우, 슬라임(500)이 부유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골고루 흡입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골프공 정도 크기의 작은 돌멩이까지 흡입하는 강한 흡입력으로 인해 일부 스팟(spot)에만 깊게 홈이 파이게 되는 불균일한 흡입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흡입기구(3)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며 슬라임(500) 흡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흡입 불균일성 문제는 작업자의 경험적 노하우를 통해 해소하는 수밖에 없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using the suction device 3 such as the vacuum pump, although the suction of the slime 500 should be uniformly performed on the area where the slime 500 is floated, due to the strong suction force sucking the small- Uneven suction may be a problem, with deep grooves only in the spot. Particularly, when the operator manually moves the suction device 3 and performs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slime 500, this suction non-uniformity problem can not be solved through the experiential know-how of the operator.

이에 반해, 본원에 의하면, 흡입기구(3)를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며 슬라임(500) 흡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깊은 홈이 파이게 되는 문제를 쉽게 해소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을 따른 흡입이 완료되면 흡입기구(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아직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영역에 대하여 흡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동일한 영역에 대한 중복적인 흡입 역시 크게 줄이면서 규칙적인 슬라임(500) 흡입 공정을 일정 레벨(깊이)까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echanism 3 can be moved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slime 500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problem of deep groove can be easily solv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suction device 3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to perform a suction operation on a new area that has not yet been sucked, (500) suction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to a certain level (depth).

이하에서는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slime remov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a는 도 2a에서 흡입기구가 거치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체결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b에서 거치대가 세로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체결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FIG.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suction mechanism is movably coupled to the cradl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2A,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of the cradle in FIG. Fig.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거치대(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거치대(2)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도 2b 기준 9시-3시 방향)을 따라 중공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2)의 중공부(21)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롤러 유닛(51)이 배치될 수 있다. 2B and 3A, the holder 2 may be a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hollow portion 21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lder 2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9: 3-o'clock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B). The first roller unit 51 may be disposed on the hollow portion 21 of the holder 2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롤러 유닛(51)은 아령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롤러 유닛(51)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롤러(51b) 및 2개의 롤러(51b)를 연결하는 중심축(51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first roller unit 51 may be provided in a dumbbell shape.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unit 51 may include a center shaft 51a connecting two rollers 51b and two rollers 51b disposed at intervals.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1b)는 구름 이동시 거치대(2) 내부 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저감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51b)는 구름 이동시 거치대(2) 내부 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저감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이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51b)의 외주면과 외측면은 호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roller 51b may be convex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fri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2 can be reduced when the rolling stock is moved. In addition, the roller 51b may be convex on its outer side so that fri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lder 2 can be reduced when the roller is moved. Illustrative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51b may be convexly formed.

즉, 롤러(51b)가 거치대(2) 내부 측면에 가급적 점 접촉되도록 하여 마찰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제1 롤러 유닛(51)의 좌우 방향 구름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슬라임 제거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ller 51b is brought into point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radle 2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riction, whereby the lateral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51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흡입기구(3)는 제1 롤러 유닛(51)의 중심축(51a)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3A, the suction mechanism 3 may be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51a of the first roller unit 51. [0054]

여기서, 걸림 체결이라 함은, 중심축(51a)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매다는 방식을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이러한 걸림 체결은 제1 걸림 부재(6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걸림 부재(61)는 상단에 갈고리(hook)가 마련된 와이어(wire) 또는 로프(rope)이고, 갈고리(hook)를 중심축(51a)에 거는 방식으로 걸림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걸림 부재(61)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고, 와이어 또는 로프의 일부가 중심축(51a)을 감는 형태로 걸림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engagement may be meant to include a method of wrapp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shaft 51a. Referring to FIG. 2B and FIG. 3A, this engag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Illustratively,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is a wire or a rope provided with a hook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latching can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hook is hooked to the central axis 51a hav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may be a wire or a rope, and a wire or a part of the rope may be engaged in a manner of winding the central axis 51a.

이와 같이 제1 걸림 부재(61)가 중심축(51a)에 걸림 체결되면, 중심축(51a)이 회전되더라도 제1 걸림 부재(61)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심축(51a)이 회전되더라도, 제1 걸림 부재(61)가 붙들고 있는 흡입기구(3)의 자중으로 인한 미끄럼 작용력이 제1 걸림 부재(61)와 중심축(51a)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면, 제1 걸림 부재(61)는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is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51a,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may not rotate even if the center shaft 51a is rotat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center shaft 51a is rotated, the sliding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suction mechanism 3 held by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is equal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and the center shaft 51a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may not be wound up.

이에 따라, 중심축(51a)과 제1 걸림 부재(61)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심축(51a) 및 제1 걸림 부재(61) 중 하나 이상에 윤활유 부가, 코팅 등의 마찰 저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us,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riction between the center shaft 51a and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lubricating oil is add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shaft 51a and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또한, 제1 롤러 유닛(51)에 있어서, 2개의 롤러(51b) 각각은 중심축(5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51a)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the first roller unit 51, each of the two rollers 51b can be hinged to the center shaft 51a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er shaft 51a.

다시 말해, 2개의 롤러(51b)가 회전될 때, 중심축(51a)은 2개의 롤러(51b)의 회전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 유닛(51)이 거치대(2)의 중공부(21) 내에서 구름 운동하며 이동하였을 때, 2개의 롤러(51b)는 회전하며 굴러가지만, 중심축(51a)은 롤러(51b)가 굴러가는 방향을 따라 회전없이 이동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two rollers 51b are rotated, the center shaft 51a can have independent movement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two rollers 51b. For example, when the first roller unit 51 rolls and moves in the hollow portion 21 of the mount 2, the two rollers 51b roll and roll, (51b) can be moved without rotating along the rolling direction.

이처럼 중심축(51a)이 롤러(51b)에 대해 힌지 연결됨으로써, 롤러(51b)의 회전과는 독립적으로 중심축(51a)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어, 제1 롤러 유닛(51)의 구름 이동시 롤러(51b)와 함께 회전되는 중심축(51a)의 회전에 따라 제1 걸림 부재(61)가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구성의 곤란성)이 해소될 수 있다.Since the center shaft 51a is hinged to the roller 51b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shaft 51a may not be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rotation of the roller 51b, (Difficulty in construction) such that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is lifted up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51a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51b can be solved.

제1 걸림 부재(61)의 하단은 흡입기구(3)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제1 걸림 부재(61)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고, 와이어 또는 로프의 일부가 흡입호스(31)를 둘러 감는 형태로 흡입기구(3)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걸림 부재(61)와 흡입기구(3)의 연결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연결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mechanism (3). 3A,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is a wire or a rope, and a wire or a part of the rope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mechanism 3 in the form of wrapping the suction hose 31 around the suction hose 3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irst latching member 61 and the suction mechanism 3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nection methods that are commonly used can be utilized.

도 3a를 참조하면, 이러한 걸림 체결을 위해, 거치대(2)의 하면의 중간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개구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는 중공부(21)를 갖는 사각형 단면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각형 단면의 하면의 중간은 개구부(23)를 통해 개구될 수 있다. 3A, an opening 23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or the engagement. 3A, the holder 2 may be a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hollow portion 2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can be opened through the opening 23.

또한, 흡입기구(3)는 거치대(2)의 개구부(23)를 통해 제1 롤러 유닛(51)의 중심축(51a)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롤러 유닛(51)은 거치대(2)의 개구부(23)의 양측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롤러 유닛(51)의 2개의 롤러(51b)는 개구부(23)를 사이에 두고 거치대(2) 내부의 저면 상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The suction mechanism 3 can be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51a of the first roller unit 51 through the opening 23 of the cradle 2. [ The first roller unit 51 can be moved in a rolling manner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pening 23 of the table 2. In other words, the two rollers 51b of the first roller unit 5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holder 2 via the openings 23, respectively.

예시적으로, 개구부(23)가 형성되는 거치대(2)의 하면의 중간 부분은 하면의 정중앙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구부(23)는 제1 걸림 부재(6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적정한 폭 및 2개의 롤러(51b)가 거치대(2) 내부의 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정한 폭을 함께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llustratively,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2 on which the opening 23 is formed may be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pening 23 has a proper widt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61 and a proper width for allowing the two rollers 51b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2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프레임(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body frame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세로부재(11)는 전후 방향(도 1 기준 12시-6시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세로부재(11)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로부재(11)의 중공부(111)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롤러 유닛(52)이 배치될 수 있다.1 and 2B, a plurality of the longitudinal members 11 may extend horizontall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12 o'clock-6 o'clock direction in Fig. 1), and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2A and 3B, a hollow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member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roller unit 52 may be disposed on the hollow portion 111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3b를 참조하면, 제2롤러 유닛(52)은 아령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롤러 유닛(52)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롤러(52b) 및 2개의 롤러(52b)를 연결하는 중심축(52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second roller unit 52 may be provided in a dumbbell shape. Specifically, the second roller unit 52 may include a center shaft 52a connecting two rollers 52b and two rollers 52b disposed at intervals.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2b)는 구름 이동시 세로부재(11) 내부 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저감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52b)는 구름 이동시 세로부재(11) 내부 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저감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이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52b)의 외주면과 외측면은 호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3B,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52b may be convex so as to reduce fri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when rolling. The roller 52b may be convex on its outer surface so that fri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during rolling can be reduced. Illustrative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52b may be convexly formed.

즉, 롤러(52b)가 세로부재(11) 내부 측면에 가급적 점 접촉되도록 하여 마찰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제2 롤러 유닛(52)의 전후 방향 구름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슬라임 제거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roller 52b is brought into point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riction, the rolling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unit 5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거치대(2)는 제2 롤러 유닛(52)의 중심축(52a)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3B, the cradle 2 can be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52a of the second roller unit 52. As shown in Fig.

여기서, 걸림 체결이라 함은, 중심축(52a)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매다는 방식을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이러한 걸림 체결은 제2 걸림 부재(6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걸림 부재(62)는 상단에 갈고리(hook)가 마련된 와이어(wire) 또는 로프(rope)이고, 갈고리(hook)를 중심축(51a)에 거는 방식으로 걸림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걸림 부재(62)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고, 와이어 또는 로프의 일부가 중심축(52a)을 감는 형태로 걸림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engagement may be meant to include a method of wrapp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shaft 52a. Referring to FIG. 2B and FIG. 3A, this engag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Illustratively,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is a wire or rope provided with a hook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latching can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hook is hooked on the central axis 51a have.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may be a wire or a rope, and a part of the wire or rope may be hooked in the form of winding the central axis 52a.

이와 같이 제2 걸림 부재(62)가 중심축(52a)에 걸림 체결되면, 중심축(52a)이 회전되더라도 제2 걸림 부재(62)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심축(52a)이 회전되더라도, 제2 걸림 부재(62)가 붙들고 있는 거치대(2)의 자중으로 인한 미끄럼 작용력이 제2 걸림 부재(62)와 중심축(52a)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면, 제2 걸림 부재(62)는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is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52a,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may not rotate even if the center shaft 52a is rotat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center shaft 52a is rotated, the sliding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cradle 2 held by the second cradling member 62 is small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econd cradling member 62 and the center shaft 52a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may not be wound up.

이에 따라, 중심축(52a)과 제2 걸림 부재(62)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심축(52a) 및 제2 걸림 부재(62) 중 하나 이상에 윤활유 부가, 코팅 등의 마찰 저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us,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riction between the center shaft 52a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lubricating oil is add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shaft 52a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또한, 제2 롤러 유닛(52)에 있어서, 2개의 롤러(52b) 각각은 중심축(52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52a)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econd roller unit 52, each of the two rollers 52b may be hinged to the center shaft 52a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shaft 52a.

다시 말해, 2개의 롤러(52b)가 회전될 때, 중심축(52a)은 2개의 롤러(52b)의 회전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롤러 유닛(52)이 세로부재(11)의 중공부(111) 내에서 구름 운동하며 이동하였을 때, 2개의 롤러(52b)는 회전하며 굴러가지만, 중심축(52a)은 롤러(52b)가 굴러가는 방향을 따라 회전없이 이동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two rollers 52b are rotated, the central axis 52a can have independent movement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two rollers 52b. For example, when the second roller unit 52 rolls and moves in the hollow portion 111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the two rollers 52b rotate and roll, while the central axis 52a The roller 52b can be moved without rotating along the rolling direction.

이처럼 중심축(52a)이 롤러(52b)에 대해 힌지 연결됨으로써, 롤러(52b)의 회전과는 독립적으로 중심축(52a)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어, 제2 롤러 유닛(52)의 구름 이동시 롤러(52b)와 함께 회전되는 중심축(52a)의 회전에 따라 제2 걸림 부재(62)가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구성의 곤란성)이 해소될 수 있다.Since the center shaft 52a is hinged to the roller 52b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shaft 52a may not be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rotation of the roller 52b, (Difficulty in construction) such that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is lifted upward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52a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b.

제2 걸림 부재(62)의 하단은 거치대(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제2 걸림 부재(62)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고, 와이어 또는 로프의 일부가 거치대(2)를 둘러 감는 형태로 거치대(2)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 걸림 부재(62)와 거치대(2)의 연결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연결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can be connected to the cradle (2). 3B, the second locking member 62 is a wire or a rope, and a wire or a part of the rope may be connected to the cradle 2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cradle 2. As shown in Fig. However,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second latching member 62 and the cradle 2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nection methods that are commonly used can be utilized.

도 3b를 참조하면, 세로부재(11)의 하면의 중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부재(11)는 중공부(111)를 갖는 사각형 단면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각형 단면의 하면의 중간은 개구부(113)를 통해 개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n opening 113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3b, the longitudinal member 11 may be a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 hollow portion 111. Fig. In additio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can be opened through the opening 113.

또한, 거치대(2)는 세로부재(11)의 개구부(113)를 통해 제2 롤러 유닛(52)의 중심축(52a)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롤러 유닛(52)은 세로부재(11)의 개구부(113)의 양측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롤러 유닛(52)의 2개의 롤러(52b)는 개구부(113)를 사이에 두고 세로부재(11) 내부의 저면 상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The holder 2 can be engaged with the central axis 52a of the second roller unit 52 through the opening 113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 The second roller unit 52 can be moved in contact with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113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and roll. In other words, the two rollers 52b of the second roller unit 52 can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via the opening 113, respectively.

예시적으로, 개구부(113)가 형성되는 세로부재(11)의 하면의 중간 부분은 하면의 정중앙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구부(113)는 제2 걸림 부재(6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적정한 폭 및 2개의 롤러(52b)가 세로부재(11) 내부의 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정한 폭을 함께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llustratively,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in which the opening 113 is formed may be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pening 113 has an appropriate widt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62 and a proper width for allowing the two rollers 52b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It is preferable to form it by considering it.

또한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지주부재(13)는 박스형 단면(중공형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다만, 지주부재(13)의 단면 형태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주부재(13)는 H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1, 2A, and 2B, the strut member 13 may be a member having a box-shaped cross section (a hollow rectangular cross-section).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rut member 13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trut member 13 may have an H-shaped cross sec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에서 흡입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mechanism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device for removing slime in the pierc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세로부재(11)의 중공부(111)에 배치된 제2 롤러 유닛(52)이 후방(도 4a 기준 우측)에서 전방(도 4c 기준 좌측)으로 수평하게 구름 이동되면서, 이와 연동하여 제2 롤러 유닛(52)과 연결된 거치대(2) 또한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된다. 아울러, 거치대(2)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되면서, 이와 연동하여 거치대(2)와 연결된 흡입기구(3) 또한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된다.4A to 4C, the second roller unit 52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111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is moved forward (right side in FIG. 4A) to the front (left side in FIG. 4C) The holder 2 connected to the second roller unit 52 is also moved horizontally forward from the rear side in conjunction with this movement. Further, while the cradle 2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suction mechanism 3 connected to the cradle 2 is moved horizontally from the rear to the front in conjunction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즉, 전후 방향으로의 외부의 물리적인 작용력에 의해 제2 롤러 유닛(52)이 세로부재(11) 내부를 구름 이동할 때마다, 거치대(2) 뿐만 아니라 거치대(2)에 걸림 체결된 흡입기구(3) 또한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입기구(3)는 콘크리트(600) 상측에 부유하고 있는 슬라임(500)을 흡입할 수 있다.That is, every time the second roller unit 52 rolls in the longitudinal member 11 due to the external physical for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not only the cradle 2 but also the suction mechanism (not shown) engaged with the cradle 2 3) In addition, the suction mechanism 3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it, so that the slime 500 floating on the concrete 600 can be sucked.

이러한 전후 방향으로의 흡입기구(3)의 수평 이동을 통해, 굴착부(700)에 타설된 콘크리트(600) 상부에 부유하는 슬라임(500)이 후방에서 전방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흡입되어 소정의 레벨(깊이)만큼 보다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다.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ction mechanism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me 500 floated on the concrete 600 laid on the excavating portion 700 is sequentially suck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Depth).

또한, 흡입기구(3)는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거치대(2)의 중공부(21)에 배치된 제1 롤러 유닛(51)이 좌측(도 2b 기준 좌측)에서 우측(도 2b 기준 우측)으로 수평하게 구름 이동되면서, 이와 연동하여 제1 롤러 유닛(51)과 연결된 흡입기구(3) 또한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하게 이동된다.Further, the suction mechanism 3 can also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2B, the first roller unit 51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21 of the mount 2 horizontally moves from the left side (left side in FIG. 2B) to the right side (right side in FIG. 2B) The suction mechanism 3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unit 51 is also horizontally mov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즉, 좌우 방향으로의 외부의 물리적인 작용력에 의해 제1 롤러 유닛(51)이 거치대(2) 내부를 구름 이동할 때마다, 거치대(2)에 걸림 체결된 흡입기구(3) 또한 연동되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That is, every time the first roller unit 51 rolls in the cradle 2 due to the external physical a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uction mechanism 3 fastened to the cradle 2 is interlocked with the left- As shown in FIG.

이러한 좌우 방향으로의 흡입기구(3)의 수평 이동을 통해, 소정의 영역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임(500) 흡입 고정이 종료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웃하는 소정의 영역으로 흡입기구(3)를 이동시킨 다음, 다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임(500) 흡입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이러한 규칙적이고 순차적인 흡입 공정 수행을 통해 흡입 대상 영역이 중복되어 소정의 영역만 과도하게 흡입되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슬라임(500)을 흡입을 소정의 레벨(깊이)만큼 보다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sucking of the slime 5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ction mechanism 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uction mechanism 3 is moved to a predetermined region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sid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sucking process of the slime 5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gain.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which only the predetermined area is sucked excessively by overlapping the area to be sucked through the regular and sequential sucking process And the slime 500 can more uniformly remove the suction by a predetermined level (depth).

한편, 도 5는 스토퍼에 의해 제1 롤러 유닛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대(2)의 개구부(23)에는 제1 롤러 유닛(51)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8)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5, one or more stoppers 8, which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51,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opening 23 of the holder 2.

예시적으로, 스토퍼(8)는 두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말단부(81a)가 거치대(2)의 개구부(23)를 통해 거치대(2)의 중공부(21)로 삽입되는 말단 확장형 핀(81)과, 말단 확장형 핀(81)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말단 확장형 핀(81)은 말단부(81a)의 종단면의 높이(h)가 거치대(2)의 개구부(23)의 폭보다 크도록 확장되어 있다. 반면에, 말단 확장현 핀(81)의 말단부의 종단면의 폭(w)은 거치대(2)의 개구부(23)의 개구된 폭 이하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topper 8 is provided with a threaded end portion 81a and a distal expanding pin 81 (see FIG. 2), into which the hollow portion 21 of the base 2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23 of the base 2 And a nut 82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distal expanding pin 81. 5, the distal expanding pin 81 is extended such that the height h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81a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23 of the cradle 2. [ On the other hand, the width w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xpanding pin 81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open width of the opening 23 of the holder 2. [

구체적으로, 도 5의 우측 하단에 입체 개념도를 참조하면, 말단확장형 핀(81)을 개구부(23)를 통해 중공부(21)에 삽입할 때에는 말단부(81a)의 단면의 폭(w) 방향이 개구부(23)의 개구된 폭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말단부(81a)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말단확장형 핀(81)을 도 5의 기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도 가량)만큼 회전시키면, 말단 확장형 핀(81)의 말단의 단면 높이(h)가 거치대(2)의 개구부(23)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말단확장형 핀(81)의 말단부(81a)는 중공부(21)에서 그 하측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이탈 불가능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이탈 불가능 상태에서, 말단확장형 핀(81)의 두부에 너트(82)를 체결함으로써, 스토퍼(8)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말단확장형 핀(81)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각도는, 말단확장형 핀(81)의 말단부(81a)가 개구부(23)를 통해 하측으로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각도 범위 내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5, when the distal expanding pin 8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 through the opening 23,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nd 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81a is It can be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it coincides with the opening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23. When the distal expanding pin 81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90 degrees) as shown in the basic sectional view of FIG. 5 after the insertion of the distal end 81a is completed, The distal end portion 81a of the distal expanding pin 81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hollow portion 21 because the distal end section height h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23 of the cradle 2. [ State. In this unreproducible state, by fastening the nut 82 to the head of the distal expanding pin 81, the stopper 8 can be fix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predetermined angle at which the distal expanding pin 81 is rotated may be set to an angle within an angular range such that the distal end 81a of the expanding pin 81 does not escape backward through the opening 23 .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롤러 유닛(51)의 양측에 스토퍼(8)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 롤러 유닛(51)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영역에 대하여 흡입기구(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만을 수차례 반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토퍼(8)가 활용될 수 있다.5, by fixing the stopper 8 to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unit 51, the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51 can be restricted. Such a stopper 8 can be utilized in a situation where it is desired to limit th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repeat the movement of the suction mechanism 3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certain area several times, the stopper 8 can be utilized.

한편,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는 거치대(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me remov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unit 4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2.

도 6a 및 도 6b는 흡입기구가 승하강되는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S. 6A and 6B are schematic side views of a slurry removal apparatus for a field-cas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ction mechanism is moved up and dow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몸체 프레임(1)의 복수의 지주부재(13)는, 복수의 세로부재(11) 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복수의 세로부재(11)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주부재(13)에 대하여 하나의 세로부재(11)가 수평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세로부재(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4)는 지주부재(13)에 대하여 세로부재(1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거치대(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6A and 6B, a plurality of strut members 13 of the body frame 1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11 so tha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11 can be adjusted.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6A, one longitudinal member 11 can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state to two strut members 13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2 can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11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height adjuster 4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older 2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11 with respect to the strut member 13. [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4)는 승하강 가이드부(41) 및 높이 고정 유닛(42)를 포함할 수 있다.6A and 6B, the height adjusting unit 4 may include a lifting / lowering guide unit 41 and a height fixing unit 42. As shown in FIG.

승하강 가이드부(41)는 세로부재(1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지주부재(13)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승하강 가이드부(41)는 가이드 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세로부재(11)에는 이러한 가이드 홈과 맞물리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and-down guide portion 41 is formed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on the support member 13 so as to guide up and down the vertical member 11. Illustratively, the lifting / lowering guide portion 4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uide groove, and the longitudinal member 11 may be formed with a guide rail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또한, 높이 고정 유닛(42)은 세로부재(11)를 지주부재(13)에 대하여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높이 고정 유닛(42)은 세로부재(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 블록을 세로부재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fixing unit 42 can fix or unfix the longitudinal member 11 with respect to the strut member 13. Illustratively, the height fixing unit 42 may include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block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ngitudinal member, and the like.

다만, 높이 조절부(4)는 상술한 구현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높이 조절부(4)는 상술한 구현예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height adjuster 4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height adjuster 4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a known mann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한편, 흡입기구(3)는 흡입력 발생기(도면 미도시), 흡입호스(31) 및 흡입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mechanism 3 may include a suction force generator (not shown), a suction hose 31 and a suction unit 32.

도 7a는 흡입기구의 흡입유닛을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저면도이고, 도 7b는 흡입기구의 흡입유닛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 7A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uction unit of the suction device viewed from below, and FIG. 7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uction unit of the suction device viewed from above.

예시적으로, 흡입력 발생기는 진공펌프기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기의 본체일 수 있다. 다만, 흡입력 발생기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장치들이 흡입력 발생기로 활용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uction force generator may be the body of a vacuum pump uni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in the vacuum pump unit. However, the suction force generat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a strong suction force can be utilized as a suction force generator.

또한, 흡입호스(31)는 흡입력 발생기와 연결되어 흡입유닛(32)으로 흡입력을 전달한다. 또한, 흡입유닛(32)을 통해 흡입된 슬라임(500)은 흡입호스(31)를 통해 이동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hose 31 is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or to transmit the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unit 32. In addition, the slime 500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32 can be moved through the suction hose 3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흡입유닛(32)은 흡입호스(31)와 연결된다. 아울러 도 7a를 참조하면, 흡입유닛(32)의 저면에는 외부 흡입대상에 대하여 흡입력을 작용하도록 개구된 흡입부(321)가 형성된다. 본원에 있어서, 외부 흡입대상은 슬라임(500)일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unit 32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31. 7A, a suction portion 32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32, the suction portion 321 being opened to exert a suction force on the external suction object. In this application, the external suction object may be a slime 500.

또한 도 7a를 참조하면, 흡입부(321)는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좌우 방향의 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슬라임 제거 장치(100)는 흡입기구(3)가 전후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되면서 슬라임(500)을 흡입한 다음,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후, 다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되면서 슬라임(500)을 흡입하는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7A, the suction portion 321 may have a longer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a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lime removing apparatus 100 sucks the slime 500 while the suction mechanism 3 is constant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n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after, It can be used in a form of sucking the slime 500 while being constantly moved.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흡입부(321)가 전후 방향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기구(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슬라임(500)을 직접 흡입하는 흡입부(321)의 흡입력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어, 흡입기구(3)의 전후 방향 이동시에 흡입 작용이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321 which directly sucks the slime 500 when the suction mechanism 3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be disper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uction action can be made more uniform at the time of moving the suction mechanism 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흡입유닛(32)은 흡입부(321)로 흡입된 외부 흡입대상을 흡입호스(31)로 전달하도록 흡입부(321)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흡입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기흡입구(322)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7A and 7B, the suction unit 32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inlets (not shown)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321 to transmit the external suction object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321 to the suction hose 31 322 < / RTI >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plurality of branch inlets 322 may be arrange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입부(321)를 통해 1차적인 슬라임(500) 흡입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복수의 분기흡입구(322)가 1차 흡입된 슬라임(500)을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영역만큼 분담하여 흡입하여 흡입호스(31)로 전달함으로써, 슬라임(500) 흡입이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lime 50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321 formed in the long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n the slime 500, in which the plurality of branch suction inlets 322 are sucked first, So that the suction of the slime 500 can be more uniformly performed.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흡입유닛(32)의 저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유닛(32)의 저면이 편평하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기구(3)가 보다 일정한 레벨(깊이)을 유지하면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2A,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32 may be formed flat. Thu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32 is formed flat, so that the suction mechanism 3 can be moved horizontally while maintaining a more constant level (depth).

또한, 흡입유닛(32)은 흡입호스(31)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힌지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힌지 회동이라 함은, 흡입호스(32)가 통상적으로 놓여지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다.Further, the suction unit 32 can be hinged about the suction hose 31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reference, the hinge rotation about the left-right direction is set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hose 32 is normally placed.

구체적으로, 흡입유닛(32)에는 각도 조절 힌지(33)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흡입유닛(32)을 흡입부(321)가 형성된 유닛 및 흡입호스(31)와 연결되는 유닛으로 분할하고, 그 중간에 각도 조절 힌지(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유닛(32)이 힌지 회동될 때 분할된 2개의 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갭을 벨로우즈와 같이 주름 잡힌 테두리의 구성이 커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ction unit 32 may be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hinge 33. [ 7A and 7B, the suction unit 32 is divided into a unit formed with the suction unit 321 and a unit connected with the suction hose 31, and an angle adjusting hinge 33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a gap formed between the two divided units when the suction unit 32 is hinged can be covered by a corrugated frame like a bellows.

흡입기구(3)의 전후진에 있어서, 흡입유닛(32)의 힌지 회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전후진 이동 및 보다 자연스러운 전후진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ction mechanism 3, the hinge rotation of the suction unit 32 is organically coupled, so that a wider range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more natural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an be realized.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러 유닛(52)이 세로부재(11) 내에서 최대한 후방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도, 흡입유닛(32) 중 흡입부(321)가 형성된 유닛 부분을 도 4a 기준 시계 방향으로 힌지 회동시킴으로써, 흡입유닛(32)을 후방으로 조금 더 이동시키거나, 흡입유닛(32)의 저면을 슬라임(500)에 보다 자연스럽게 수평 밀착시킬 수 있다.4A, even when the second roller unit 52 is moved as far rearward as possible in the longitudinal member 11, the suction unit 32, which is formed with the suction unit 321, By rotating the hinge in the reference clockwise direction 4a, the suction unit 32 can be further moved rearward,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32 can be brought into a more natural horizontal contact with the slime 500. [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러 유닛(52)이 세로부재(11) 내에서 최대한 전방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도, 흡입유닛(32) 중 흡입부(321)가 형성된 유닛 부분을 도 4c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힌지 회동시킴으로써, 흡입유닛(32)을 전방으로 조금 더 이동시키거나, 슬라임(500)에 보다 자연스럽게 수평 밀착시킬 수 있다.4C, even when the second roller unit 52 is moved as far as possible forward in the longitudinal member 11, the suction unit 32, which is formed with the suction unit 321, By rotating the hing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4c, the suction unit 32 can be slightly moved forward or horizontally brought closer to the slime 500 more naturally.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흡입기구(3)를 앞뒤로 이동시킬 때, 흡입유닛(32)의 힌지 회동이 제2 롤러 유닛(32)의 구름 이동과 조화되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전후진 모션이 구현될 수 있다.4B, when the suction mechanism 3 is moved back and forth, the hinge rotation of the suction unit 32 is matched with the rolling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unit 32, so that a more natural forward and backward motion is realized .

또한, 흡입유닛(32)에 있어서, 흡입부(321)의 전방 및 후방 중 하나 이상에는 저면이 편평한 형태의 고무판(323)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편평한 형태의 고무판(323)이 구비됨으로써, 흡입부(321)가 슬라임(500)을 흡입하기에 앞서, 고무판(323)이 슬라임(500)을 편평하고 고른 상태로 세팅하게 되므로, 흡입부(321)가 슬라임(500)을 보다 균등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부(321)가 슬라임(500)을 훑고 지나갔을 때 예기치 못하게 발생되는 움푹 파여진 홈을 뒤따라 오는 고무판(323)이 반듯하게 정리할 수 있어, 슬라임(500) 흡입 후의 상태가 보다 균일한 레벨(깊이)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uction unit 32, a rubber plate 323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uction unit 321. [ 4A-4C, the flat-shaped rubber plate 323 is provided to allow the rubber plate 323 to move the slim 500 in a flat and leveled state before the suction portion 321 sucks the slime 500 So that the suction unit 321 can suck the slime 500 more evenly. In addition, the rubber plate 323 that follows the recessed grooves, which are unexpectedly generated when the suction unit 321 sweeps the slime 500, can be straightened and the state after the suction of the slime 500 is more uniform (Depth).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You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슬라임 제거 장치
1 : 몸체 프레임 11 : 세로부재
111 : 세로부재의 중공부 113 : 세로부재의 개구부
12 : 가로부재 13 : 지주부재
2 : 거치대 21 :거치대의 중공부
23 : 거치대의 개구부
3 : 흡입기구 31 : 흡입호스
32 : 흡입유닛 321 : 흡입부
322 : 분기흡입구 323: 고무판
33 : 각도조절 힌지
4 : 높이 조절부 41: 승하강 가이드부
42: 높이 고정 유닛
51: 제1 롤러 유닛 51a: 제1 롤러 유닛의 중심축
51b: 제1 롤러 유닛의 롤러 52: 제2 롤러 유닛
52a: 제2 롤러 유닛의 중심축 52b: 제2 롤러 유닛의 롤러
61: 제1 걸림 부재 62: 제2 걸림 부재
7: 바퀴부 8: 스토퍼
81: 말단 확장형 핀 82: 너트
500: 슬라임 600: 콘크리트
700: 굴착부 800: 지면
100: Slime removal device
1: body frame 11: longitudinal member
111: hollow part of the longitudinal member 113: opening of the longitudinal member
12: transverse member 13: strut member
2: cradle 21: hollow of the cradle
23: opening of the holder
3: Suction device 31: Suction hose
32: Suction unit 321: Suction unit
322: branch inlet 323: rubber plate
33: Angle adjustment hinge
4: height adjusting portion 41: up / down guide portion
42: height fixing unit
51: first roller unit 51a: center axis of the first roller unit
51b: roller of the first roller unit 52: second roller unit
52a: central axis of the second roller unit 52b: roller of the second roller unit
61: first engaging member 62: second engaging member
7: Wheel portion 8: Stopper
81: Extensible end pin 82: Nut
500: Slime 600: Concrete
700: excavation part 800: ground

Claims (16)

굴착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측에 부유하는 슬라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몸체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프레임에 연결되며, 내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의 중간에 좌우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중공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의 양측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제1 롤러 유닛; 및
상기 콘크리트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슬라임을 흡입하며,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롤러 유닛의 중심축에 걸림 체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흡입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에는 상기 제1 롤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두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말단부가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거치대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말단 확장형 핀 및 상기 말단 확장형 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의 종단면은, 그 높이가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그 폭이 상기 거치대의 개구부의 폭 이하인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An apparatus for removing slimes floated above concrete placed in a drilling section,
Body frame;
A cradle connected to the body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cradle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inside thereof and an opening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A first roller unit dispose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cradle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hollow portion of the cradle; And
And a suction mechanism which sucks the slime in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is uncured and is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of the first roller unit through the opening of the cradle and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stopp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roller uni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cradle,
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 nut that is threaded on a head portion and has a distal end extended into a hollow portion of the cradle via an opening of the cradle and a nut fastened to a thread of the distal expanding pin,
Where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has a height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cradle and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crad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유닛은 2개의 롤러 및 상기 2개의 롤러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롤러 각각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축과 힌지 연결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ller unit includes two rollers and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two rollers,
Wherein each of the two rollers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재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로부재의 중공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롤러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2 롤러 유닛의 중심축에 걸림 체결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roller unit is disposed on the hollow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cradle is engag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roller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의 하면의 중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세로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 롤러 유닛의 중심축에 걸림 체결되며,
상기 제2 롤러 유닛은 상기 세로부재의 개구부의 양측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 가능한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ing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radle is engag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roller unit through the opening of the longitudinal member,
Wherein the second roller unit is capable of rolling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longitudinal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 유닛은 2개의 롤러 및 상기 2개의 롤러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롤러 각각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축과 힌지 연결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roller unit includes two rollers and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two rollers,
Wherein each of the two rollers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crad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부재 및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와 연결되는 복수의 지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지주부재에 대하여 상기 세로부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ody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trut membe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Wherein the cradle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members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height adjuster adjusts the height of the cradl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ngitudin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strut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주부재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승하강 가이드부; 및
상기 세로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에 대하여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높이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ight adjuster includes:
A lifting / lowering guide formed on the strut memb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to guide up / down movement of the vertical member; And
And a height fixing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vertic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stru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구는,
흡입력 발생기;
상기 흡입력 발생기와 연결되는 흡입호스; 및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고, 외부 흡입대상에 대하여 흡입력을 작용하도록 개구된 흡입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좌우 방향의 폭이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닛의 저면은 편평하게 구비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mechanism
A suction force generator;
A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or; And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the suction unit be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opened to exert a su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uction object,
The suc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onger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a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is fl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외부 흡입대상을 상기 흡입호스로 전달하도록 상기 흡입부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흡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기흡입구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inlets each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to transfer the external suction object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to the suction hose,
Wherein the plurality of branch inlets are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호스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힌지 회동이 가능한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uction unit is capable of a hinge pivot about the suction hose about a horizontal axi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전방 및 후방 중 하나 이상에는 저면이 편평한 형태의 고무판이 배치되는 것인, 현장타설구조물 슬라임 제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t least one of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su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rubber plate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KR1020140193095A 2014-12-30 2014-12-30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KR101667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95A KR101667962B1 (en) 2014-12-30 2014-12-30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95A KR101667962B1 (en) 2014-12-30 2014-12-30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29A KR20160082429A (en) 2016-07-08
KR101667962B1 true KR101667962B1 (en) 2016-10-28

Family

ID=5650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095A KR101667962B1 (en) 2014-12-30 2014-12-30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9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57B1 (en) * 1998-08-14 2000-12-15 강흥묵 A concrete plastering device
KR101024412B1 (en)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Worker safety help apparatus of bridge inspection road
KR101140745B1 (en) * 2011-04-11 2012-05-03 이경섭 Supporting apparatus for chipp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999A (en) * 1991-11-28 1993-06-1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Laitance remov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57B1 (en) * 1998-08-14 2000-12-15 강흥묵 A concrete plastering device
KR101024412B1 (en)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Worker safety help apparatus of bridge inspection road
KR101140745B1 (en) * 2011-04-11 2012-05-03 이경섭 Supporting apparatus for chipp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29A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2644A1 (en) Soil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9161950A (en) Free sliding drill
KR100664399B1 (en) The guide equipment of support shaft of ascent and descent road for depth agitating equipment the use of underwater ground type
JP604300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JP5621026B1 (en) Low-head excavator
US6789336B2 (en) Laterally adjustable, low profile trench-digging machine
KR10166796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cast in place structure
KR20120109437A (en) Excavating apparatus with guide roller for sheetfile
US60301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walls comprised of granular material
KR101568167B1 (en) Earths wall for groundprotection
CN215169715U (en) Device for pulling protective cylinder by using rotary drilling rig
JP382330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KR101756778B1 (en) The ground reinforcement mixing apparatus with the function of angle adjustment
KR20220000803A (en) File construction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 achievement of hole-boring and vibrating
CN113062329A (en)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pit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JP3946992B2 (en) Rock drilling system in caisson method.
KR102586201B1 (en) File construction apparatus
JP4182387B2 (en) Underground replacement method
JP7320410B2 (en) guide instrument
JP2002038518A (en) Method of executing v-shaped concrete drain ditch and bucket for execution
JP2017223069A (en) Low overhead clearance excavator, and height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horizontal frame of the same
JPH0223669Y2 (en)
JP2016223130A (en) Mechanical agitation device for soil improvement work
JPH1082065A (en) Differential settlement prevention method of house in soft soil by making use of soil pile consolidation method, unevenness adjusting method of differential settlement house, and device used therefor
JP6116619B2 (en) Pile head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