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903B1 -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903B1
KR101667903B1 KR1020160092679A KR20160092679A KR101667903B1 KR 101667903 B1 KR101667903 B1 KR 101667903B1 KR 1020160092679 A KR1020160092679 A KR 1020160092679A KR 20160092679 A KR20160092679 A KR 20160092679A KR 101667903 B1 KR101667903 B1 KR 10166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underground facility
underground
fixing
magnetic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주)대동지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지앤에스 filed Critical (주)대동지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09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에 고정된 후 자기장의 방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자기마커가 열수공급관과 같은 고온의 지하시설물에도 적용될 수 있고, 복토 후에도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 및 자기장의 방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TO MEASURE LOCATIONS OF MEGNETIC MARKER BASED ON DGP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관리 기술 분야 중 디지피에스(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시설물에 설치된 자기마커의 자기장을 탐지하고, 탐지된 결과를 디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방향을 높은 정확도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가스 공급관, 상하수도관, 전력선로 및 통신선로 등의 설치 또한 증가된다. 현재 이러한 설비들의 보호, 지상 공간의 활용도 증대 및 도시 미관의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해 상기 설비들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설비들이 지중에 매설되어 형성된 지하시설물들은 지상에서 그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기존의 건축물을 해체하고 신축하거나 지하시설물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도면에 표시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참조하면서 굴착작업을 진행하여, 굴착장비에 의해 지하시설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32127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와 같은 기술이 제공되었다.
즉, 지하시설물에 자기마커를 부착하고, 자기마커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탐지하여 그 측량된 위치를 GPS 정보에 의해 정확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이를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연계하여 정확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GPS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반경 15m 정도의 오차가 발생되어 지하시설물의 위치 파악이 부정확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08832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에는 DGPS를 이용하여 자기마커의 자기장을 탐지하는 탐지기의 위치를 GPS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는 지하시설물에 설치된 자기마커가 복토 후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임을 상정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017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고 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자기마커의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즉, 선행문헌 3에는 원통형의 지하시설물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부착 후 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마커의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지하시설물은 원통형 관로 외에 다각형 단면을 갖는 관 또는 주름관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선행문헌 3에 제안된 구성만으로는 모든 지하시설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어렵다.
아울러, 선행문헌 3의 자기마커는 하나의 축 방향만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기마커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된 지하시설물에 적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선행문헌 3의 자기마커는 조절된 자기장의 방향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멘트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자기마커를 지하시설물에 부착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복토를 하여야 자기마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자기마커는, 다양한 형상의 지하시설물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자기장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설치 후 즉시 복토를 행하더라도 장기간 그 위치 및 자기장의 방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32127호(발명의 명칭: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등록일: 2007년 6월 19일)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08832호(발명의 명칭: DGPS 기반 자기마커 정밀위치 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등록일: 2009년 7월 15일)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017호(발명의 명칭: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등록일: 2015년 1월 2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의 표면 형상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자기마커가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하시설물에 결합된 후 즉시 복토를 하여도 자기마커의 설치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자기마커와 자기마커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자기마커의 위치를 측정하는 지하시설물탐지기와, 저면은 지하시설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자기마커가 상대적으로 틸팅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베이스와, 고정베이스를 지하시설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베이스는, 일단에 형성된 첨단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압침과, 저면이 첨단부의 상측에 배치된 경화제튜브와, 경화제튜브 내부에 봉입된 액상의 경화제와, 압침의 타단은 저면으로 노출되고 경화제튜브의 상측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압침과 경화제튜브를 감싸며 오픈 셀 구조(open-cell structure)를 갖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변형부 및 저면이 변형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마커는, 상면이 N극을 띄고 하면이 S극을 띄도록 착자된 원통형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표면을 감싸며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보호피복과,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계를 갖는 자성헤드 및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및 자성헤드의 하측을 연결하는 볼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조인트는, 자성헤드의 저면에 결합된 원통형 목부와, 목부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구형상을 가지며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부를 갖는 볼스터드, 구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구부의 하측 절반 이상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볼시트를 갖는 볼소켓 및 일측에는 원추형상의 고정침부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상의 회전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갖고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이때 볼소켓에는 내외면을 관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나사공의 내주면에는 수나사에 상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고정나사는 고정침부가 구부를 향하도록 나사공에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다.
보조고정수단은, 일면에 고정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일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일단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점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점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하시설물탐지기(10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자기센서가 일렬로 배치된 탐촉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시설물의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베이스가 지하시설물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여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헤드가 고정베이스에 대하여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자기장의 방향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진 지하시설물에도 자기마커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마커가 지하시설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 및 보조고정수단이 단열성, 내열성 및 내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수공급관과 같은 고온의 지하시설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기마커, 고정베이스 및 보조고정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베이스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고정베이스가 지하시설물에 고정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자기마커(200), 고정베이스(300) 및 보조고정수단(4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1)에는 지하시설물탐지기(100), 자기마커(200), 고정베이스(300) 및 보조고정수단(40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1)는 지표면(20)보다 하측의 지중(21)에 매설된 지하시설물(30)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1)는 지하시설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설치된 복수의 자기마커(200)가 형성하는 자기장(201)을 감지하고, 복수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자기장(201)이 감지된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지표면 상에서 지하시설물(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지하시설물탐지기(100)에는 탐지기본체(110) 및 탐촉자(130)가 포함된다.
탐촉자(130)에는 제1 자기센서(131) 및 제2 자기센서(132)가 포함되는데, 제1 자기센서(131) 및 제2 자기센서(132)는 일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센서(131) 및 제2 자기센서(132)는 봉 형상의 탐촉로드(13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탐촉자(130)를 이동시켜 자기마커(20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201)에 탐촉자(130)가 근접하게 되면 지구 자장의 방향과 상이한 자기장(201)에 의해 왜곡자계가 감지된다. 탐촉자(130)를 이동시키면서 이 왜곡자계의 방향 및 크기를 측정하면 복수의 자기마커(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지하시설물(30)의 배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지하시설물(30)에 설치된 자기마커(20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201)의 방향은 지구 자장의 방향과 상이하여야 하며, 자기장(201) 내의 자기력선의 방향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할수록 자기장(201)의 측정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지표면(20) 상에서 측정되는 자기장(201)의 강도가 높을수록 탐촉자(130)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되므로, 자기마커(200)는 지하시설물(30)의 표면 중 지표면(2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자기마커(200)는 지표면(20)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자기장(201)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자기마커(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볼조인트(도 2의 220)에 의해 자기장(201)의 중심축의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구성을 갖게 된다.
탐지기본체(110)에는 제어부(111), 입력부(112), 출력부(113), 저장부(114) 및 수신부(115)가 포함된다.
참고로, 디지피에스는 기존의 GPS 신호가 전파의 대기굴절, 위성(10)과 수신부(115)의 시간 불일치 등의 이유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즉, 디지피에서는 사전에 정밀하게 측정되어 좌표를 알고 있는 기준점(도시되지 않음)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성(10)의 오차보정값을 계산한 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있는 수신부(115)로 계산한 값을 전달하여 오차를 보정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수신부(115)는 위성(10)이 송신하는 GPS 신호(201) 및 기준점(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신하는 오차보정값을 수신한다.
제어부(111)는 수신부(115)에 의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오차보정값을 비교하여 측정 위치 오차를 보정하며, 보정된 데이터가 저장부(114)에 저장되도록 하여 지하시설물(30)의 배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113)는 영상 또는 음향 등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탐지기(100)로 탐지를 하는 작업자가 위성(10), 자기마커(200) 및 기준점(도시되지 않음) 등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한다.
입력부(112)는 지하시설물탐지기(100)의 작동여부, 탐촉자(130)의 탐촉감도 조절 등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지하시설물탐지기(100)의 각종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보 또는 명령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1)의 지하시설물탐지기(100)의 구성 및 작동은 앞에서 언급했던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을 기반으로 하므로, 지하시설물탐지기(100) 구성 및 작동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기마커(200)에는 자성헤드(210) 및 볼조인트(220)가 포함된다.
자성헤드(210)에는 영구자석(211), 보호피복(212) 및 수평계(213)가 포함된다.
영구자석(211)은 앞에서 설명한 자기장(20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N극을 띄고 하면이 S극을 띄도록 착자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구자석(211)의 소재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다량의 자기마커(200)가 필요할 경우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필요에 따라서는 영구자석(211)의 하면이 N극을 띄고 상면이 S극을 띄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보호피복(212)은 자기마커(200)가 지중(21)에 매설되었을 때 자갈이나 모래 등과의 충돌에 의해 영구자석(211)이 손상되거나, 지중(21)의 수분 등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보호피복(212)은 내충격성, 내후성, 내수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지하시설물(30)이 송유관일 경우 유류가 유출되었을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피복(212)은 위와 같은 특성 외에 내유성이 우수한 불소수지와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수평계(213)는 자성헤드(2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볼조인트(220)를 이용하여 자성헤드(210)의 각도를 조절할 때 자성헤드(210)의 기울어진 방향과 그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자성헤드(21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수평계(213)를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자성헤드(210)의 상면에는 수평계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거나, 수평계(213)의 저면에 강자성체를 결합시켜 수평계(213)가 자기력에 의해 자성헤드(210)에 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볼조인트(220)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및 자성헤드(210)의 하측을 연결한다. 볼조인트(22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두 물체 사이에 3자유도의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1)에 포함된 볼조인트(220)에는 볼스터드(230), 볼소켓(240) 및 고정나사(250)가 포함된다.
볼스터드(230)는 자성헤드(210)의 저면에 결합된 원통형의 목부(231)와, 목부(232)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구형상을 갖는 구부(2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볼스터드(230)는 내후성 및 내열성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소켓(240)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에 결합된다.
볼소켓(240)은 구부(232)가 볼소켓(240)에 대하여 3자유도의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부(232)의 하측 절반 이상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부(23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볼소켓(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시트(241, 243)로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된 후 이들(241, 243)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편의상 한 쌍의 볼시트(241, 243)를 제1 볼시트(241)와 제2 볼시트(243)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1 볼시트(241)의 일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2)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구부(232)의 외주면 일부가 안착된다. 그리고 제1 볼시트(241)의 하측에는 결합돌기(242)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볼시트(243)의 일면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2)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볼시트(243)의 하측에도 결합돌기(244)가 형성된다.
제1 볼시트(241)의 일면 및 제2 볼시트(243)의 일면 사이에 구부(232)가 배치되도록 한 다음, 제1 볼시트(241) 및 제2 볼시트(243)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도록 하면 볼소켓(240)이 형성된다.
볼소켓(240)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프레임(310)에 형성된 결합공(311)에 결합돌기(242, 244)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볼스터드(230) 및 볼소켓(240)은 기계적 강도가 높은 동시에 단열성, 내열성 및 내후성 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볼조인트(220)가 지중(21)에 매설된 후 토압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볼조인트(220)를 통한 열전도가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소재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칭해지는 합성수지 또는 앞에서 언급했던 불소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2 볼시트(243)에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나사공(245)이 형성되는데, 나사공(24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나사공(245)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나사(250)가 체결된다.
고정나사(250)의 일측에는 원추형상의 고정침부(25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상의 회전손잡이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나사(250)의 중간부분에는 나사부(251)가 형성되는데, 나사부(2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나사공(245)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고정나사(250)는 고정침부(253)가 구부(232)를 향하도록 나사공(245)에 체결된다.
고정나사(250)는 지중(21)에 장기간 매립된 상태이더라도 부식이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베이스(30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고정베이스(300) 및 보조고정수단(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고정베이스(300)에는 베이스프레임(310)과 변형부(320)가 포함된다.
베이스프레임(310)은 내식성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부재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중간부분에는 앞에서 설명한 결합공(3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고정돌기(312)가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310)의 저면에 결합된 변형부(320)에는 내부에 액상의 경화제(322)가 봉입된 경화제튜브(321) 및 복수의 압침(325)이 포함된다.
압침(325)은 일단에 첨단부(326)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압침(3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326)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변형부(320)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압침(325)은 내식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경화제튜브(321)는 변형부(320)의 상측에 배치되며, 경화제튜브(321)의 상면이 변형부(3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베이스프레임(310)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제튜브(321)의 저면은 복수의 압침(325)의 첨단부(326)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경화제(322)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와 같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신속히 경화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점도가 낮아 유동성이 높게 제조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튜브(321)는 경화제(322)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가져서 경화제(32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에 봉입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경화제튜브(321)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침(325)의 타단 및 경화제튜브(321)의 상면을 제외한 부분을 감싸며, 외각은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변형부(320)는 오픈 셀 구조를 갖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오픈 셀 구조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체에서 대부분의 공극들의 경계면이 상통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다공체가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갖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
그러므로 변형부(320)는 우레탄 폼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에 의해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며, 우레탄 폼 자체의 특성에 의해 탄성을 갖는다.
보조고정수단(400)에는 하우징(410) 및 점착부재(420)가 포함된다.
하우징(410)의 일측면에는 고정돌기(312)에 상응하는 형상의 고정홈(411)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410)은 고정돌기(312) 및 고정홈(411)에 의해 베이스프레임(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에는 롤 형상으로 말리거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철된 점착부재(420)가 수용된다.
점착부재(420)는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 형상의 부재로, 점착부재(420)의 일단부는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일측, 즉 도면에 접합부(313)로 표시된 부분에 결합된다.
점착부재(420)는 인장강도가 높으면서도 내후성, 내식성, 내열성, 내화학성 등이 높은 불소수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타측에는 박리지(430)가 점착되어 있으며, 박리지(430)의 일단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4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박리지(43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고정베이스(300)가 지하시설물(30)에 고정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고정베이스(300)에는 자성헤드(210) 및 볼조인트(2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편의상 도 3 내지 도 5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베이스(300)의 하측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변형부(32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압침(325)의 위치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베이스(300)의 저면이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접촉되게 한 후 베이스프레임(310)에 힘을 가하여 변형부(320)가 변형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320)의 저면이 지하시설물(30)의 표면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형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압침(325)은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 경화제튜브(321)는 베이스프레임(310)에 의해 상면이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하방향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첨단부(326)에 의해 경화제튜브(321)가 관통된다.
압침(325)의 첨단부(326)에 의해 경화제튜브(321)의 표면이 관통되면, 관통된 부분을 통하여 경화제(322)가 경화제튜브(321)의 외부로 유출되며, 유출된 액상의 경화제(322)는 변형부(320)를 따라 확산된다.
여기서, 변형부(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며, 다수의 공극에 의해 모세관현상이 발생되므로, 액상의 경화제(322)는 변형부(320) 전반으로 확산된다.
이때, 경화제(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수분과 접하면 급속히 경화되므로, 변형부(320)는 그 저면이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경화된다.
아울러, 경화제(322)가 변형부(320)를 통하여 확산되는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까지 이르게 되므로, 경화제(322)에 의해 변형부(320)의 저면과 지하시설물(30)의 표면 또한 접착된다.
이와 같이, 고정베이스(300)는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가압하는 작업만으로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베이스(300)가 경화제(322)에 의해 지하시설물(30)에 고정된 후에는 보조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고정베이스(300)가 지하시설물(3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있던 하우징(410)을 분리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점착부재(420)가 인출되도록 하여 점착부재(420)의 일면이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점착되도록 한 후 점착부재(420)의 타단부가 베이스프레임(310)의 타단부에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431)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310)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있던 박리지(430)를 베이스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위치에 점착부재(420)의 타단부 일면이 점착되도록 한다.
이는 고정베이스(300)를 지하시설물(3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타측과 점착부재(420)의 타단부 일면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베이스(300)는 지하시설물(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고정수단(40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시설물(30)에 고정베이스(300)가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수평계(213)를 참조하면서 볼조인트(220)를 조작하여 자성헤드(21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볼조인트(220)에 의해 자성헤드(210)가 고정베이스(300)에 대하여 3자유도의 가동이 가능하므로, 자성헤드(21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도 1의 201)의 방향이 추후 지하시설물탐지기(100)에 의해 용이하게 탐지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자성헤드(21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고정나사(250)의 회전손잡이부(252)를 회전시켜 고정침부(253)가 구부(232)의 일부분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볼조인트(220)가 더 이상 가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나사(250)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구부(232)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회전손잡이부(252)에 적절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고정침부(253)가 구부(232)의 표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적절한 깊이로 압입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자기마커(200)는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성헤드(210)의 위치 또한 용이하게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한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하시설물(30)이 도시된 바와 달리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로이거나 주름관과 같이 불균일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변형부(320)는 지하시설물(30)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게 변형된 후 경화되는 동시에 접착된다.
즉, 본 실시예(1)에 포함된 고정베이스(300)는 지하시설물(30)의 표면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지하시설물(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시설물(30)이 지중(21)에 경사를 형성하며 매설된 경우에도 볼조인트(220)에 의해 자성헤드(210)의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동시에, 수평계(213)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경사진 지하시설물(30)에도 본 실시예(1)가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베이스(300) 및 볼조인트(220)를 이루는 소재가 내열성을 가지면서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지하시설물(30)이 열배관망을 이용한 지역난방에 사용되는 열수공급관일 경우에도 자성헤드(210)로 열이 전달되어 영구자석(211)의 자기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베이스(300)가 보조고정수단(400)에 의해 지하시설물(3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지하시설물(30)을 복토하는 과정이나 복토 후 토압의 증가 등에 의한 영향에 의해 고정베이스(300)가 지하시설물(30)로부터 분리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히시설물 관리 장치
10: 위성 11: GPS 신호
20: 지표면 21: 지중
30: 지하시설물 100: 지하시설물탐지기
110: 탐지기 본체 111: 제어부
112: 입력부 113: 출력부
114: 저장부 115: 수신부
130: 탐촉자 131: 제1 센서
132: 제2 센서 133: 탐촉로드
200: 자기마커 210: 자성헤드
211: 영구자석 212: 보호피복
213: 수평계 220: 볼조인트
230: 볼스터드 231: 목부
232: 구부 240: 볼소켓
241: 제1 볼시트 242: 결합돌기
243: 제2 볼시트 244: 결합돌기
245: 나사공 250: 고정나사
251: 나사부 252: 회전손잡이부
253: 고정침부 300: 고정베이스
310: 베이스프레임 311: 결합공
312: 고정돌기 313: 접합부
320: 변형부 321: 경화제튜브
322: 경화제 325: 압침
326: 첨단부 400: 보조고정수단
410: 하우징 411: 고정홈
420: 점착부재 430: 박리지
431: 손잡이부

Claims (1)

  1. 지중(21)에 매설된 지하시설물(3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자기마커(200);
    상기 자기마커(200)가 형성하는 자기장(201)에 의해 상기 자기마커(2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지하시설물탐지기(100);
    저면은 상기 지하시설물(30)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자기마커(200)가 상대적으로 틸팅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베이스(300); 및
    상기 고정베이스(300)를 상기 지하시설물(30)에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베이스(300)는
    일단에 형성된 첨단부(326)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압침(325)과, 저면이 상기 첨단부(326)의 상측에 배치된 경화제튜브(321)와, 상기 경화제튜브(321) 내부에 봉입된 액상의 경화제(322)와, 상기 압침(325)의 타단은 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경화제튜브(321)의 상측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상기 압침(325)과 상기 경화제튜브(321)를 감싸며 오픈 셀 구조를 갖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변형부(320); 및
    저면이 상기 변형부(3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고정돌기(312)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310); 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마커(200)는
    상면이 N극을 띄고 하면이 S극을 띄도록 착자된 원통형 영구자석(211)과, 상기 영구자석(211)의 표면을 감싸며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보호피복(212)과,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계(213)를 갖는 자성헤드(2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및 상기 자성헤드(210)의 하측을 연결하는 볼조인트(220); 를 포함하며,
    상기 볼조인트(220)는
    상기 자성헤드(210)의 저면에 결합된 원통형 목부(231)와, 목부(232)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구형상을 가지며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부(232)를 갖는 볼스터드(230);
    상기 구부(232)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부(232)의 하측 절반 이상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볼시트(241, 243)를 갖는 볼소켓(240); 및
    일측에는 원추형상의 고정침부(253)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상의 회전손잡이부(252)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251)를 갖고,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진 고정나사(250); 를 포함하고,
    상기 볼소켓(240)에는 내외면을 관통하는 나사공(245)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45)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에 상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250)는 상기 고정침부(253)가 상기 구부(232)를 향하도록 상기 나사공(245)에 상기 나사부(251)가 체결되며,
    상기 보조고정수단(400)은
    일면에 상기 고정돌기(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홈(4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410); 및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 일측에 점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하우징(410) 내에 수용되고,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점착부재(420); 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탐지기(100)는
    위성(10)으로부터 수신되는 GPS신호(201)를 수신하는 수신부(115); 및
    복수의 자기센서(131, 132)가 일렬로 배치된 탐촉자(130); 를 포함하는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KR1020160092679A 2016-07-21 2016-07-21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KR10166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79A KR101667903B1 (ko) 2016-07-21 2016-07-21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79A KR101667903B1 (ko) 2016-07-21 2016-07-21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903B1 true KR101667903B1 (ko) 2016-10-19

Family

ID=5725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79A KR101667903B1 (ko) 2016-07-21 2016-07-21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812B1 (ko) * 2020-08-25 2020-11-11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하이브리드 멀티 탐사를 실시하여 탐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시설물 탐사시스템
KR102189112B1 (ko) * 2020-06-22 2020-12-09 주식회사 제이시스 지피알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탐지시스템
KR102203524B1 (ko) * 2020-10-19 2021-01-15 (주)라이브라컨설턴트 디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 계산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203525B1 (ko) * 2020-10-19 2021-01-15 (주)라이브라컨설턴트 고정밀 지피에스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57Y1 (ko) * 2003-06-17 2003-11-19 (주) 이우티이씨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0732127B1 (ko) 2005-12-15 2007-06-27 (주) 이우티이씨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0908832B1 (ko) 2008-10-23 2009-07-21 (주) 이우티이씨 Dgps 기반 자기마커 정밀위치 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KR20140074083A (ko) * 2012-12-07 2014-06-17 박두현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20150072671A (ko) * 2013-12-20 2015-06-30 김평 지하 매설물 자기마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5420A (ko) * 2013-12-17 2015-07-06 김평 자기 마커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57Y1 (ko) * 2003-06-17 2003-11-19 (주) 이우티이씨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0732127B1 (ko) 2005-12-15 2007-06-27 (주) 이우티이씨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0908832B1 (ko) 2008-10-23 2009-07-21 (주) 이우티이씨 Dgps 기반 자기마커 정밀위치 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KR20140074083A (ko) * 2012-12-07 2014-06-17 박두현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87017B1 (ko) 2012-12-07 2015-02-02 박두현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20150075420A (ko) * 2013-12-17 2015-07-06 김평 자기 마커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50072671A (ko) * 2013-12-20 2015-06-30 김평 지하 매설물 자기마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112B1 (ko) * 2020-06-22 2020-12-09 주식회사 제이시스 지피알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탐지시스템
KR102177812B1 (ko) * 2020-08-25 2020-11-11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하이브리드 멀티 탐사를 실시하여 탐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시설물 탐사시스템
KR102203524B1 (ko) * 2020-10-19 2021-01-15 (주)라이브라컨설턴트 디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 계산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203525B1 (ko) * 2020-10-19 2021-01-15 (주)라이브라컨설턴트 고정밀 지피에스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903B1 (ko) 디지피에스를 기초로 한 자기마커 위치확인용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
US100229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upling joints
KR100732127B1 (ko)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1306882B1 (ko)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2435140A (zh) 一种激光跟踪仪构建地理坐标系的方法
KR101766663B1 (ko) 디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JP2011169705A (ja) 傾斜計装置
KR20160120459A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388131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지하매설 상하수도관의 위치 측정 장치
US20170184430A1 (en) Flow measuring instrument comprising a wind velocity sensor
US20200241161A1 (en) Removable buried asset locator assembly
CA2893361C (en) Determination of initial tool orientation
KR20220159579A (ko) 누수위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598760B1 (ko) 위치 탐지 수단을 내장한 지중관로 스페이서
KR101591342B1 (ko) 하수관로용 수위측정장치
KR101487017B1 (ko)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0877073B1 (ko)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JP2008076907A (ja) パイプラインの3次元プロファイルを求める方法、パイプラインの埋設位置特定方法、パイプラインの欠陥位置特定方法
KR102108794B1 (ko) 매설된 강 배관의 탐지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JP4331883B2 (ja) 電子杭
CN108917720B (zh) 一种管道俯仰角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6441228B (zh) 一种天线姿态角的测量方法
CN106483566B (zh) 地下电子标签的定位系统、方法及地下电子标签探测仪
KR101653484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