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644B1 -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644B1
KR101667644B1 KR1020140136842A KR20140136842A KR101667644B1 KR 101667644 B1 KR101667644 B1 KR 101667644B1 KR 1020140136842 A KR1020140136842 A KR 1020140136842A KR 20140136842 A KR20140136842 A KR 20140136842A KR 101667644 B1 KR101667644 B1 KR 10166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verification result
module
authen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648A (ko
Inventor
이준정
김다윗
조현장
이호제
Original Assignee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6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통신 서비스를 시행하는 통신업체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판독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등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고객 측에서 제공한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가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The system which supports a verification process about the truth of a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고객정보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 고객이 제공한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의 진위여부를 조회/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가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활동인구, 사회활동인구 등이 급증하면서,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에 각종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예컨대, 대출 서비스, 보험 서비스, 계좌개설 서비스, 공공서류 처리서비스 등)를 이용하는 고객의 숫자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 측에서 제공한 UI를 좀더 효과적으로 수신/취급/처리해줄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전산 시스템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2-63349호(명칭: 민원서류 발급대행 서비스 방법)(2002.8.3.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982294호(명칭: 금융거래 신청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2010.9.15.자 공고)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UI 수신/취급/처리 전산 시스템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고객 측에서 제공하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가 진실인가, 또는, 거짓인가 하는 문제는 UI 접수기관에 의한 서비스 시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의 경우, 고객이 제공하는 UI가 모두 진실이라는 가정 하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각종 서비스(예컨대, 대출 서비스, 보험 서비스, 계좌개설 서비스, 공공서류 처리서비스 등)를 전적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종래의 여건 하에서, 만약, 고객 측에서 제공하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에 거짓이 있고, UI 접수기관 측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해당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고객 측에서 제공하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빠르고, 신뢰성 있게 검증해줄 수 있는 별도의 부가 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고가의 비용, 다수의 인력을 들여,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직접 현장 조사하지 아니하는 한, 거짓 UI에 기인한 피해를 전혀 회피할 수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2-63349호(명칭: 민원서류 발급대행 서비스 방법)(2002.8.3.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982294호(명칭: 금융거래 신청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2010.9.15.자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통신 서비스를 시행하는 통신업체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판독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등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고객 측에서 제공한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가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표준주거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여, 고객의 주소지 변경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주소지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주소지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여, 고객의 직장 변경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직장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직장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직장 변경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고객 정보기기의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판독하여, 고객의 신상상태 이상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신상상태 이상발생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통신 서비스를 시행하는 통신업체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UI 접수기관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판독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등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고객 측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는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의 통신 환경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고객으로부터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를 접수/수신한 후, 이를 토대로, 각종 서비스(예컨대, 대출 서비스, 보험 서비스, 계좌개설 서비스, 공공서류 처리서비스 등)를 시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고객 측에서 제공하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가 진실인가, 또는, 거짓인가 하는 문제는 UI 접수기관에 의한 서비스 시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의 경우, 고객이 제공하는 UI가 모두 진실이라는 가정 하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각종 서비스(예컨대, 대출 서비스, 보험 서비스, 계좌개설 서비스, 공공서류 처리서비스 등)를 전적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여건 하에서, 만약, 고객 측에서 제공하는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에 거짓이 있고, UI 접수기관 측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해당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UI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고객이 보유한 고객 정보기기(10), 통신 서비스를 시행하는 통신업체가 보유한 통신업체 서버(40), 고객과 거래관계에 있는 고객 거래관계주체(예컨대, 고객과 기 거래중인 사업자, 고객과 기 거래중인 금융기관, 고객과 기 거래중인 공공기관 등)가 보유한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고객 측에서 제공한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고객 정보기기(10)가 소정의 기준기간 동안 나타낸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10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을 매개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통신업체 서버(40), 고객 정보기기(10),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 등과 통신을 취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 접수모듈(103),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105),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109), 직장변경 외부 통지모듈(110),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등과 함께, 예컨대, 통신업체 서버(40)에 설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주소지 실 거주여부 검증모듈(106),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측에서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절차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를 들어,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의 등록정보, 통신업체 서버(40)의 등록정보, 고객 정보기기(10)의 등록정보,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의 등록정보, 메시지 형성을 위한 컨텐츠 정보, 통신세션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 접수모듈(1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고객 정보기기(10)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고객 정보기기(10) 등으로부터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참고로, 상기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부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는, 고객이 UI 접수기관 측에게 자가 제공 UI의 진위여부를 스스로 검증시켜주기 위하여, 자신의 UI를 고객 정보기기(10)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됨).
이때,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고객 정보기기(10) 등으로부터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 접수모듈(1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해당 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수신/접수 완료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가 수신/접수된 상황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 접수모듈(103)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수신/접수 완료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UI에 기재된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가입자번호(예컨대, 고객 정보기기의 번호정보 등)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UI에 기재된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가입자번호(예컨대, 고객 정보기기의 번호정보 등) 등이 확인 완료되면,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통신업체 서버(40)와 통신을 취하여, UI에 기재된 <고객 정보기기(10)에 상응하는 명의자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통신업체 서버(40)와의 후속 통신을 통해, 이를 수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고객 정보기기(10)에 상응하는 명의자 정보>가 수신/접수 완료되면,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UI에 기재되어 있던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가입자번호(예컨대, 고객 정보기기의 번호정보 등)>와 <고객 정보기기(10)에 상응하는 명의자 정보>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상기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가입자번호(예컨대, 고객 정보기기의 번호정보 등) 등과 명의자 정보가 일치 또는 불일치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UI에 기재되어 있던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가입자번호(예컨대, 고객 정보기기의 번호정보 등)>와 <고객 정보기기(10)에 상응하는 명의자 정보>가 불일치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 경우, 고객은 명의자 측 정보기기를 빌려 이를 실제 점유/사용하고 있는 지인, 가족, 친지, 친구 등일 수 있다),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고객 정보기기(10)와 통신을 취하여, 이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 생성 완료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가 전송된 상황 하에서,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고객 정보기기(10)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부터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가 입력/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고객 정보기기(10)를 사용하는 고객(이 경우, 고객은 명의자 측 정보기기를 빌려 이를 실제 점유/사용하고 있는 지인, 가족, 친지, 친구 등일 수 있다) 측에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여,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부터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가 입력/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입력/전송 완료된 비밀번호와 기 전송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즉, 고객에 의해 입력/전송된 비밀번호의 정당성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확인절차 하에서,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부터 입력/전송된 비밀번호와 기 전송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고객(이 경우, 고객은 명의자 측 정보기기를 빌려 이를 실제 점유/사용하고 있는 지인, 가족, 친지, 친구 등일 수 있다) 측에서 고객 정보기기(10)를 실제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후속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절차 하에서, 고객 정보기기(10) 측으로부터 입력/전송된 비밀번호와 기 전송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가 불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112) 측에서는 고객 측에서 고객 정보기기(10)를 실제 점유하고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하고,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와 통신을 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후속절차(즉,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절차)를 중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절차를 통해, UI 진위여부 검증요청메시지가 접수/처리됨과 아울러, 고객 측에서, 고객 정보기기(10)를 실제 점유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는 상황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처리모듈(103)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의해 수신/접수 완료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해당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확인 완료되면,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통신업체 서버(40)와 통신을 취하여, 이 통신업체 서버(40) 측으로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다른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수신/접수 완료되는 상황 하에서, 통신업체 서버(40) 측에 설치되어 있던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판독하고, 이를 통해, 해당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확인 완료되면,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통신업체 D/B(4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누적/저장되어 있던 <각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 중에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가 추출 완료되면,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진행시켜,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A)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표준주거시간 대는 고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밤에 근무하고, 낮에 주로 집에 주거하는 생활패턴을 가지는 고객(예컨대, 호프집을 운영하는 고객)의 경우, 상기 표준주거시간 대는 10시~15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이상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주소지(A)>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고객이 제시한 주소지 정보가 진실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A)에 실제 거주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다른 예로,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위치하고 있던 지역을 최다 위치 1군집, 차 순위 위치 2군집, 차 차 순위 위치 3군집 등으로 나눈 후,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주소지(A)>가 1군집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고객이 제시한 주소지 정보가 진실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A)에 실제 거주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이 경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에는 각 군집 내역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확인절차 하에서,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미만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주소지(A)>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측에서는 고객이 제시한 주소지 정보가 거짓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A)에 실제 거주하고 있지 않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군집을 기준으로 하는 내역은 편의 상 생략하기로 함).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수신/접수 완료되는 상황 하에서, 통신업체 서버(40) 측에 설치되어 있던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판독하고, 이를 통해, 해당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확인 완료되면,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통신업체 D/B(4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누적/저장되어 있던 <각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 중에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가 추출 완료되면,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진행시켜,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에도, 상기 표준근무시간 대는 고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밤에 근무하고, 낮에 주로 집에 주거하는 생활패턴을 가지는 고객(예컨대, 호프집을 운영하는 고객)의 경우, 상기 표준근무시간 대는 18시~24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이상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직장(J)>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고객이 제시한 직장 정보가 진실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J)에 실제 근무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다른 예로,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위치하고 있던 지역을 최다 위치 1군집, 차 순위 위치 2군집, 차 차 순위 위치 3군집 등으로 나눈 후, <UI에 기재되어 있는 직장(J)>이 1군집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고객이 제시한 직장 정보가 진실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J)에 실제 근무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이 경우에도,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에는 각 군집 내역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확인절차 하에서,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미만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직장(J)>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측에서는 고객이 제시한 직장 정보가 거짓인 것으로 판단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J)에 실제 근무하고 있지 않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군집을 기준으로 하는 내역은 편의 상 생략하기로 함).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수신/접수 완료되는 상황 하에서, 통신업체 서버(40) 측에 설치되어 있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판독하고, 이를 통해, 해당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던 UI(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 고객 주소지 정보, 고객 직장 정보, 고객 정보기기 정보 등)가 확인 완료되면,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통신업체 D/B(4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누적/저장되어 있던 <각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통신내역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 중에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통신내역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 동안의 통신내역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데이터통신정보>가 추출 완료되면,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진행시켜, 고객 정보기기(10)의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UI에 기재된 고객 정보기기(10)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러한 확인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건수가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100 건)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다른 예로,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시간이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20시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고 있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그러나, 상기 확인절차 하에서,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건수가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100 건)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다른 예로, 고객 성명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시간이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20시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내역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상술한 각 절차를 통해,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생성 완료되면, 주소지 실 거주여부 저장모듈(106), 직장 실 근무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측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과 통신을 취하면서, 생성 완료된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을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전송되면,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이를 수신/접수한 후,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와 통신을 취하여, 수신/접수 완료된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을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를 통해, <고객이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전송되면,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측에서는 이를 수신/접수한 후, 수신/접수 완료된 각 정보들을 UI 접수기관 측에 신속하게 열람시키게 되며, 결국,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고객 측이 제공한 UI의 진위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통신 서비스를 시행하는 통신업체 서버(40)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와 통신하여,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판독한 후, 통신업체 서버(40)와 통신하여,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등이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고객 측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UI 접수기관 정보기기(20) 측으로 전송/제공되는 국면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UI 진위여부 조회사실을 고객 측에게 알리기 위한 UI 진위여부 조회사실 통지메시지를 생성한 후, 유/무선 온라인망(3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고객 정보기기(10)와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UI 진위여부 조회사실 통지메시지를 고객 정보기기(10)로 전송함으로써, 고객 측에서 자가 제공한 UI에 대한 진위여부가 조회되었음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다른 한편,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0) 내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105),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109), 직장변경 외부 통지모듈(110),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등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105) 측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온라인망(3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주소지 실 거주여부 저장모듈(106), 직장 실 근무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등과 통신을 하면서, 각 전산모듈들로부터 <특정 고객(예컨대, UI 접수기관에 의해 UI 진위여부 검증이 사전 의뢰된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상황에서, 주소지 실 거주여부 저장모듈(106), 직장 실 근무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등으로부터 <특정 고객(예컨대, UI 접수기관에 의해 UI 진위여부 검증이 사전 의뢰된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105) 측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이를 수신/접수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수신/접수 완료된 각 정보들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처럼, <특정 고객(예컨대, UI 접수기관에 의해 UI 진위여부 검증이 사전 의뢰된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이 저장/관리되는 상황 하에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UI 접수기관에 의해 UI 진위여부 검증이 사전 의뢰된 특정 고객>에 대한 각종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좀더 신속하게 UI 접수기관 측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연계 동작하는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109) 측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또는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주소지 변경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점검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주거시간 대(예컨대, 22시~06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미만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주소지(A)>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109) 측에서는 고객의 주소지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군집을 기준으로 하는 내역은 편의 상 생략하기로 함).
이렇게 하여, 고객의 주소지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판단 완료되면,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109)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 주소지변경 통지메시지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와 통신을 취하여, 이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로 생성 완료된 고객 주소지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결국, 고객과 거래관계에 있는 고객 거래관계주체(예컨대, 고객과 기 거래중인 사업자, 고객과 기 거래중인 금융기관, 고객과 기 거래중인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고객의 주소지 변경사실을 신속하게 인지한 후,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적절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절차는 고객의 사전 동의 하에 진행된다).
한편,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연계 동작하는 직장 변경 외부 통지모듈(110) 측에서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또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10)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직장 변경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점검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정보기기(10)가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표준근무시간 대(예컨대, 09시~18시)에,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80%) 미만으로 <UI에 기재되어 있는 고객 직장(J)>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직장 변경 외부 통지모듈(110) 측에서는 고객의 직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군집을 기준으로 하는 내역은 편의 상 생략하기로 함).
이렇게 하여, 고객의 직장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판단 완료되면, 직장 변경 외부 통지모듈(110)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 직장변경 통지메시지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와 통신을 취하여, 이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로 생성 완료된 고객 직장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결국, 고객과 거래관계에 있는 고객 거래관계주체(예컨대, 고객과 기 거래중인 사업자, 고객과 기 거래중인 금융기관, 고객과 기 거래중인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고객의 직장 변경사실을 신속하게 인지한 후,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적절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물론, 이러한 각 절차 역시, 고객의 사전 동의 하에 진행된다).
한편,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연계 동작하는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측에서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또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과 통신을 취하여, 고객 정보기기(10)의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고객 신상상태 이상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점검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건수가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100 건)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측에서는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도 4 참조).
다른 예로,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예컨대, 현재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6개월 전까지의 기간, 현재로부터 1년 전까지의 기간 등)에 상응하는 통신시간이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값(예컨대, 20시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측에서는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판단 완료되면,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111)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고객 신상상태 이상발생 통지메시지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와 통신을 취하여, 이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50)로 생성 완료된 고객 신상상태 이상발생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결국, 고객과 거래관계에 있는 고객 거래관계주체(예컨대, 고객과 기 거래중인 사업자, 고객과 기 거래중인 금융기관, 고객과 기 거래중인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인지한 후,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적절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물론, 이러한 각 절차 역시, 고객의 사전 동의 하에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등은 통신업체 서버(40)가 아닌 다른 정보처리 플랫폼에 별개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도,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106),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107),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108) 등은 유/무선 온라인망(30)을 매개로 하는 통신업체 서버(40)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업체 D/B(41)에 접근한 후,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 등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등을 정상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생성 완료된 각 정보들을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104), 또는, 통신업체 서버(40) 측으로 정상 전송/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고객 측 UI(예를 들어, 주소지 정보, 직장 정보, 정보기기 정보 등)의 진위여부는 고객 정보기기(10)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분포내역, 통신건수, 통신시간 등에 따라, 빠르고, 신뢰성 있게 분석/판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UI 접수기관(예컨대,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측에서는 별도의 직접적인 현장조사절차 없이도, 거짓 UI에 기인한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부실대출이 이루어지는 피해, 불법적인 대포 통장이 개설되는 피해, 공공서류의 부실/불법 유통이 이루어지는 피해, 부실한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는 피해 등)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고객정보의 진위여부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고객 정보기기 20: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30: 유/무선 온라인망 40: 통신업체 서버 41: 통신업체 D/B
50: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 100: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101: 인터페이스 모듈 102: 운영정보 저장모듈
103: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
104: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105: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
106: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 107: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
108: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 109: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
110: 직장변경 외부 통지모듈 111: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
112: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

Claims (8)

  1.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또는 고객이 보유한 고객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주소지 실 거주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또는, 데이터통신정보를 토대로, 표준주거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표준주거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여, 고객의 주소지 변경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주소지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주소지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주소지 변경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2. 삭제
  3.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또는 고객이 보유한 고객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직장 실 근무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위치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또는, 데이터통신정보를 토대로,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표준근무시간 대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기기의 위치분포내역을 판독하여, 고객의 직장 변경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직장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직장변경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직장 변경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4. 삭제
  5. 고객정보(UI: User Information) 접수기관이 보유한 UI 접수기관 정보기기 또는 고객이 보유한 고객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UI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를 확인한 후,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UI가 기재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 측으로부터 고객의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접수기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고객 정보기기의 기준기간 동안의 통신내역정보, 무선통화정보, 문자 수/발신정보, 또는, 데이터통신정보를 토대로,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분석하여,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확인결과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과;
    상기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에 의해,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처리모듈 또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고객 정보기기의 통신건수 또는 통신시간을 판독하여, 고객의 신상상태 이상여부를 점검하고, 해당 점검결과, 고객의 신상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고객 거래관계주체 정보기기로 고객 신상상태 이상발생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신상상태 이상발생 외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 접수모듈에 의해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는 국면에서, 상기 UI 진위여부 검증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UI에 기재된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또는, 가입자번호를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고객 정보기기에 상응하는 명의자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또는, 가입자번호와 명의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고객의 성명정보, 생년월일정보, 성별정보, 또는, 가입자번호와 상기 명의자 정보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고객 정보기기로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고객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정보기기 점유 확인용 비밀번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비밀번호의 정당성을 확인하여, 고객이 상기 고객 정보기기를 실제 점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정보기기 점유여부 체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8.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소지 실 거주 여부 검증모듈, 직장 실 근무 여부 검증모듈, 또는, 정보기기 실 사용여부 검증모듈과 통신하면서,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직장에 실제 근무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특정 고객이 상기 UI에 기재된 정보기기를 실제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반영된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각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를 저장하는 UI 진위여부 검증결과정보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KR1020140136842A 2014-10-10 2014-10-10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KR10166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42A KR101667644B1 (ko) 2014-10-10 2014-10-10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42A KR101667644B1 (ko) 2014-10-10 2014-10-10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48A KR20160042648A (ko) 2016-04-20
KR101667644B1 true KR101667644B1 (ko) 2016-10-19

Family

ID=5591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42A KR101667644B1 (ko) 2014-10-10 2014-10-10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6478B (zh) * 2016-12-14 2020-06-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虚假地址信息识别的方法及装置
KR102185360B1 (ko) * 2018-05-04 2020-12-02 주식회사 우리은행 사용자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08748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KR102592815B1 (ko) * 2023-01-13 2023-10-23 제이비 주식회사 홈네트워크기기를 활용한 실거주 확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54B1 (ko) * 2012-06-27 2012-12-07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KR101350342B1 (ko) * 2013-06-14 2014-01-10 이현철 사이트 방문자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49A (ko) 2001-01-27 2002-08-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민원서류발급대행 서비스방법
KR20060012105A (ko) * 2004-08-02 2006-02-07 한국신용정보 주식회사 고객정보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39151A (ko) * 2006-10-31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 활동 지역 기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82294B1 (ko) 2007-10-09 2010-09-15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거래 신청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54B1 (ko) * 2012-06-27 2012-12-07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KR101350342B1 (ko) * 2013-06-14 2014-01-10 이현철 사이트 방문자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48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532B1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a digital math-based asset exchange
US11928732B1 (en) Computer-gene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00294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isk based decisioning service to a merchant
KR101780636B1 (ko) 인증 정보의 발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블록체인기반 인증 정보 관리 서버
US8880435B1 (en) Detection and tracking of unauthorized computer access attempts
US20160300231A1 (en) Push notification authentication platform for secured form filling
US20210117970A1 (en) Corroborating data to verify transactions
UA118854C2 (uk) Спосіб та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вірки фінансових операцій щодо електронних грошових переказів
RU2769946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ых удаленных транзакц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WO2012094205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signed digital certificate in real time
CN102099822A (zh) 公司移动银行中的可动作的提醒
US20160203527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rust in public reviews
KR101667644B1 (ko)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US202101925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identity verification during a transaction
EP3910582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early merchant breach fraud detection
CN110838067A (zh) 一种房产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140708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240086917A1 (en) Fraud mitigation using pre-authorization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US20240086918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for payment transactions
SK288511B6 (sk) Systém na automatizovanú kontrolu dát dokumentov, autenticity dokumentov a ich elektronickú archiváciu
KR101586643B1 (ko) 해외체류자를 위한 전자금융 인증 방법 및 서버
CN115760446A (zh) 风险分析方法、装置及设备
TWM612569U (zh) 利用通訊平台的交易系統
CN117333282A (zh) 上门服务业务办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8250364A (ja) 法人用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及び画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