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054B1 -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054B1
KR101210054B1 KR1020120069336A KR20120069336A KR101210054B1 KR 101210054 B1 KR101210054 B1 KR 101210054B1 KR 1020120069336 A KR1020120069336 A KR 1020120069336A KR 20120069336 A KR20120069336 A KR 20120069336A KR 101210054 B1 KR101210054 B1 KR 10121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nfs
identity authentication
us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장
김건일
주유종
양세훈
Original Assignee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 NFS 제공시스템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BCI를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애초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키, NFS 이용자의 고유 패스워드가 반영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데이터를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가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 NFS 이용자 측에서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The system which supports a authentication process of a user who using a non-facing service}
본 발명은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하, "NFS"라 함)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인증절차를 지원해주는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가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 NFS 이용자 측에서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룸과 아울러, 이동통신기기의 보급 또한 폭 넓게 이루어지면서, 이동통신기기 및 각종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일회용비밀번호(OTP: One Time Password) 등>를 활용하여,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 여부를 인증/식별해주는 다양한 형태의 본인인증 지원시스템들이 광범위하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9150호(명칭: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2010.01.27자 공개)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일례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NFS를 시행하고 있던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 인증/식별이 필요한 국면이 도래하게 되는 경우,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으로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본인인증 지원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본인인증 지원요청메시지가 전송/접수되면,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NFS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측으로 일련의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예컨대,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그리고, NFS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의 이동통신사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요청에 상응하여, NFS 이용자가 자가 정보처리기기(2)를 전산조작하고, 이를 통해,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측으로부터 BCI가 전송되게 되면,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이를 접수한 후, BCI에 기재된 이동통신사정보를 토대로, 이동통신사 시스템(4)과 통신을 취하여, 해당 이동통신사 시스템(4) 측으로 접수 완료된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을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전송 완료되면, 이동통신사 시스템(4) 측에서는 자가 보유하고 있던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에 기 저장되어 있는가의 여부>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인증/식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만약,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 사실을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 통지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에 기 저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에 통지되는 경우,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각종 본인인증 매개체, 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을 생성한 후, BCI에 기재되어 있던 이동통신기기번호를 토대로, 생성 완료된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을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이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로 전송된 상황에서, 이를 수신한 NFS 이용자가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등을 전산 조작하여,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등으로부터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가 전송되는 경우,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이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를 최초 생성되었었던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만약,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등으로부터 전송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가 최초 생성되었었던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정상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NFS 제공시스템(1)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결국,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NF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NFS를 정상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해당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 인증을 위한 주요 실마리 정보로 활용하게 되는 바, 그러나, 이러한 NFS 이용자 측 주민등록번호는 국가에서 국민에게 부여한 공적인 고유번호로써, 만약, 이 주민등록번호가 부당하게 유출/도용될 경우, 해당 이용자 측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 측에서는 이동통신사 시스템(4)이 보유한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 절차에 주요 근거로 활용하기 때문에, NFS 이용자에 대한 본인인증 절차가 진행될 때마다 이동통신사 시스템(4)과의 잦은 통신교환을 피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이동통신사가 보유한 전산/통신자원을 과도하게 소비할 수밖에 없게 됨으로써, 자사의 의지와 무관하게 전체적인 NFS 이용자 본인인증 비용이 고가로 상정될 수밖에 없는 심각한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과 통신하는 이동통신사 시스템(4) 측에서는 별도의 보조 대책 없이, 오로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만을 토대로 하여,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인증하기 때문에, 비록 정식 가입자는 아니지만 이동통신기기(3)를 자신이 실제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NFS 이용자(예컨대, 가족 명의로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NFS 이용자, 타인 명의로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NFS 이용자, 법인 명의로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NFS 이용자 등) 측에서는 단순히 정식 이동통신 가입자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본인인증 지원시스템(5)을 활용한 일련의 본인인증 절차를 전혀 지원 받을 수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각종 크고 작은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여러 가지 악 조건 하에서, NFS 이용자 측에서는 NFS의 여러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NFS의 이용에 지극히 소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전체적인 NFS의 시장규모가 대폭 축소되는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9150호(명칭: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2010.01.27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 NFS 제공시스템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BCI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BCI를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애초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키, NFS 이용자의 고유 패스워드가 반영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데이터를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가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 NFS 이용자 측에서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 인증키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취득한 후, 취득된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상기 BCI와 결합하여,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 NFS 제공시스템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BCI를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애초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키, NFS 이용자의 고유 패스워드가 반영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데이터를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는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될 수 있게 되며, 결국, NFS 제공시스템,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에 의한 NFS 이용자 본인인증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NFS 시행체제 하에서, NFS 서비스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10)(유/무선 인터넷망, 유/무선 전화통신망 등)을 매개로 하여,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NFS를 시행하면서, 일련의 본인인증절차를 추가로 진행하여, NFS 이용자 측이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이용권한을 안정적으로 취득/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로는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이 비 NFS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폭 넓게 선택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이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는 NFS 이용자가 보유한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와 동일 기기일 수도 있다.
물론, 이 상황에서,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할 경우, NFS 제공시스템(1),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제공시스템(1)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본 발명 고유의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10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이 경우, 본 발명의 본인인증 지원시스템(100)은 상황에 따라, NFS 제공시스템(1)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하여,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제공시스템(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제공시스템(1)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NFS 이용자 측 입력정보에 따라, 해당 NFS 이용자에 대한 본인인증 절차를 전체적으로 총괄 관리하는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과, 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본인인증용 신용정보 저장모듈(104), BCI 취득모듈(105),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108),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110),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111)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본 발명의 본인인증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NFS 제공시스템(1)의 등록정보, 시스템(100)의 자원현황 정보, 시스템(100) 내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컴포넌트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문자정보/그래픽정보/설정정보, OTP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소스정보, 인터넷 콜-백 주소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소스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위에 열거된 각 운영정보들은 시스템(100) 측 상황에 따라, 그 종목 또는 범위가 탄력적으로 추가/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 저장모듈(104) 측에서는 본 발명의 본인인증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본인인증용 신용정보, 예컨대, 각 개인의 기본정보(예컨대, 성명정보, 주소정보, 성별정보, 이동통신기기 번호정보, 국적정보, 전자우편 주소정보 등), 각 개인의 신용거래정보(예컨대, 대출정보, 보증정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이용정보, 담보제공정보, 신용카드 개설정보, 당좌 거래정보, 시설 대여 정보, 할부금융 거래정보 등)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는 NFS 이용자를 포함한 각 개인 측에서 일련의 신용거래과정(예컨대, 신용카드 발급과정, 할부 금융과정, 보험 가입과정, 증권 거래과정 등)을 진행할 때에, 그에 상응하여 집중 수집/누적되는 정보로써, 통상, 각 개인이 일련의 신용거래를 개시~종료할 때에, 해당 개인의 본인일치여부는 대면 절차, 공인인증서 확인절차 등을 통해 매우 엄격하게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본인인증용 신용정보는 다른 여타의 소스정보에 비해 매우 우수한 신뢰도를 자연스럽게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예컨대, 본 발명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 번호정보에 상응하는 이동통신기기를 소지한 NFS 이용자가 해당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여 본인여부를 입증할 경우, 그 NFS 이용자는 이동통신기기의 실제 명의 여부와 무관하게 본인 자신일 개연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인증 국면에 처한 NFS 이용자의 정보처리기기(2)에는 NFS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맞추어,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 절차를 보조하기 위한 일련의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이 게시되며, 이 상황에서, NFS 이용자 측에서는 이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에 포함된 각종 메뉴를 선택/입력하는 전산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시스템(100) 측으로 BCI,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이하, 같음).
이 경우, 상기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은 <NF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NFS를 제공하는 NFS 제공시스템(1)>에 의해 생성/게시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각 전산모듈, 예를 들어, BCI 취득모듈(105),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 등에 의해 생성/게시될 수도 있다(이하, 같음)(물론, 상기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은 후술하는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에 의해 생성/게시될 수도 있음).
물론, 이에 따라서,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가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을 매개로 입력/전송한 BCI,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등은 NFS 제공시스템(1)을 중간 경유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0) 측으로 전달/전송될 수도 있게 되며, 상황에 따라,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100) 측으로 직접 전달/전송될 수도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BCI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으로부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BCI>가 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게 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BCI에는 본 발명의 경우와 달리,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기기번호, 그리고, NFS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의 이동통신사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때, 본인인증 국면에 처한 NFS 이용자 측에서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에 포함된 입력메뉴에 자신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를 입력하여,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으로부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BCI>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BCI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이를 취득/접수한 후, 취득/접수 완료된 NFS 이용자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본인인증 지원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본인인증 국면에 처한 NFS 이용자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안정적으로 취득/접수된 상황에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본 본인인증 지원모듈(106) 측에서는 BCI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NFS 이용자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를 판독한 다음, 본인인증용 신용정보 저장모듈(104)과 통신을 취하여, 판독 완료된 내용을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고, 이를 통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예컨대, 각 개인의 기본정보, 각 개인의 신용거래정보 등)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게 된다(도 3 참조)(물론,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인증절차 내에서 종래와 달리,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이동통신사 시스템과의 불필요한 통신교환을 전혀 진행하지 않게 되며, 결국, 이동통신사가 보유한 전산/통신자원도 전혀 소비하지 않게 된다)(또한, 상기 인증절차 내에서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을 경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또는 NFS 제공시스템(1) 측으로 BCI의 재 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인증절차 하에서, 만약,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예컨대, 각 개인의 기본정보, 각 개인의 신용거래정보 등)에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BCI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고 기본 판정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기본 판정이 별 문제점 없이 가능한 이유는 해당 기본 판정에 기반이 되는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가 <각 개인 측의 신용거래과정에 따라 집중 수집 및 누적되는 고 신뢰도의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를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NFS 제공시스템(1),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하여, <BCI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고 하는 기본 판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기본인증 처리모듈(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등과 통신을 취하여, 상기 인증결과 및 운영정보를 확인한 후,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 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을 생성하고, BCI에 기재되어 있던 이동통신기기번호를 토대로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와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을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즉,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의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가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로 전송된 상황에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108)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를 수신한 NFS 이용자가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등을 전산 조작하여,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3),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으로부터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취득하고, 수신/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후속절차(예컨대, 심층 본인인증 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3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가 전송 완료되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108)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를 판독함과 아울러,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 등이 판독 완료되면,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이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 및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를 상호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하는지를 인증하고(예를 들어, NFS 이용자가 시스템(100) 측에서 발송한 인터넷 콜-백 주소와 동일한 주소로 접속하였는지를 인증하거나, NFS 이용자가 시스템(100) 측에서 발송한 OTP와 동일한 OTP를 입력하였는지를 인증), 만약, 본인인증 회신메시지(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접속메시지, OTP 입력메시지 등) 및 본인인증 매개체(예컨대, 인터넷 콜-백 주소, OTP 등)가 일치하는 경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고 심층 판정하게 된다(도 3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는 심층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과 통신을 취하여, 상기 인증 사실을 확인한 다음, 일련의 메시지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제공시스템(1)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NFS 제공시스템(1)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제공/수신 받은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가 아닌 이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활용하여, 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NFS 이용자를 손쉽게 식별/인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절차의 진행상황 하에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상술한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만약,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일련의 메시지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NFS 제공시스템(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본인인증 지원시스템(100a) 하에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내에는 앞의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110) 대신에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112)이 추가 배치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를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NFS 제공시스템(1),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108),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등의 기능수행에 의해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는 심층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112) 측에서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과 통신을 취하여, 상기 인증사실을 확인한 다음,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일련의 본인 인증키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112)에 의해 생성되는 본인 인증키는 예컨대,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알파벳, 숫자 등이 혼합된 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NFS 이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NFS 제공시스템(1)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일련의 본인 인증키가 생성 완료되면,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11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제공시스템(1)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본인 인증키를 NFS 제공시스템(1)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본인 인증키를 제공받은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가 아닌 이 본인 인증키를 활용하여, 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NFS 이용자를 손쉽게 식별/인증할 수 있게 되며, 결국, NFS 제공시스템(1), NFS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상술한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만약,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일련의 메시지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NFS 제공시스템(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5 참조).
다른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본인인증 지원시스템(100b) 하에서,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내에는 앞의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110),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112) 대신에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이 추가 배치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NFS의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본인인증절차를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등과 무관하게(즉, 주민등록번호의 활용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의 불필요한 중간 개입 없이), <NFS 이용자가 직접 입력/제시한 본인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기 등록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만으로 손쉽게 완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NFS 제공시스템(1),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은 물론, 이동통신사의 중간 개입에 기인한 본인인증 비용의 상승 문제점, 본인인증 가능 대상자가 이동통신 가입자로 대폭 제한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107),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108),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등의 기능수행에 의해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입력한 NFS 이용자가 본인 자신과 일치한다>는 심층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들로부터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가 입력/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게 된다(이러한 본인인증 패스워드와 상기 본인 인증키와의 차이점은 뒤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에 게시되는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에는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설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뉴항목>,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항목> 등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NFS 이용자 측에서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200)에 배치되어 있던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설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뉴항목>,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항목> 등을 전산 조작하여,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2), NFS 제공시스템(1) 등으로부터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가 입력/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이를 접수/취득함과 아울러, BCI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NFS 이용자가 입력/제시하였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7 참조).
이렇게 하여,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 <NFS 이용자가 입력/제시하였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취득/판독 완료되면,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 <NFS 이용자가 입력/제시하였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 경우,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에 의해 생성되는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는 앞의 본인 인증키가 NFS 이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NFS 제공시스템(1)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을 가졌던 것에 비해, 모든 NFS 제공시스템(1)에 대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 <NFS 이용자가 입력/제시하였던 BCI(예컨대,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 등이 결합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가 생성 완료되면,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11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NFS 제공시스템(1)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NFS 제공시스템(1)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제공받은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는 차후, <NFS 이용자에게 자신의 생년월일 및 성별과 성명, 이동통신기기번호, 그리고,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절차>,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생년월일 및 성별과 성명, 이동통신기기번호, 그리고,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NFS 이용자를 개인 식별하는 절차> 등을 진행시키면서, 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를 손쉽게 식별/인증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 경우에도, NFS 제공시스템(1), NFS 이용자 측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과도한 유통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손쉽게 탈피하면서, 일련의 NFS를 좀더 효율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도,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상술한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만약,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106)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109)의 기능수행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일련의 메시지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NFS 제공시스템(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NFS 제공시스템(1) 측에서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7 참조).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용자의 본인인증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NFS 제공시스템 2: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3: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 4: 이동통신사 시스템
5,100(100a,100b): NFS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10: 유/무선 온라인망 101: 본인인증 지원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본인인증용 신용정보 저장모듈 105: BCI 취득모듈
106: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 107: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
108: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 109: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
110: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 111: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
112: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 113: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
200: 본인인증 가이드 프레임

Claims (4)

  1.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성공메시지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성공메시지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2.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 인증키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 인증키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3.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비 대면 서비스(NFS: Non-Facing Service)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포함된 본인인증 기본실마리정보(BCI: the Base Clue Information for a authentication process)를 취득하는 BCI 취득모듈과;
    상기 BCI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BCI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기 저장되어 있던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일치여부를 심층 인증하기 위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를 상기 BCI에 포함된 이동통신기기번호를 가지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과;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NFS 제공시스템, 또는, NFS 이용자 이동통신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에 상응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취득하는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과;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취득모듈에 의해 취득된 본인인증 회신메시지를 상기 본인인증 매개체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본인인증 매개체와 비교하여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과;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 정보처리기기, 또는, NFS 제공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NFS 이용자가 설정한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취득한 후, 취득된 본인인증 패스워드를 상기 BCI와 결합하여,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패스워드 패키지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용 신용정보에 상기 NFS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와 일치하는 생년월일, 성별, 성명 및 이동통신기기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심층 본인인증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본인인증 회신메시지 및 본인인증 매개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NFS 이용자의 본인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본인인증 실패메시지를 상기 NFS 제공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본인인증 실패메시지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S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KR1020120069336A 2012-06-27 2012-06-27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KR10121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36A KR101210054B1 (ko) 2012-06-27 2012-06-27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36A KR101210054B1 (ko) 2012-06-27 2012-06-27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054B1 true KR101210054B1 (ko) 2012-12-07

Family

ID=4790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336A KR101210054B1 (ko) 2012-06-27 2012-06-27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0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921B1 (ko) 2013-07-16 2013-11-26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비 대면 서비스를 위한 개인식별 관리시스템
KR101463932B1 (ko) 2013-04-29 2014-11-21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융합형 본인 인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2648A (ko) * 2014-10-10 2016-04-20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KR20190100509A (ko) 2018-02-07 2019-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을 통한 대리시험 방지 시스템
WO2023146259A1 (ko) * 2021-01-27 2023-08-0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38A (ja) 2001-01-09 2002-07-26 Advance Design Corp 携帯電話を利用した個人認証サービス方法
KR100657577B1 (ko) 2005-08-19 2006-12-14 손영석 사용자정보집합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7280154A (ja) 2006-04-10 2007-10-25 Hitachi Ltd 認証機能付き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38A (ja) 2001-01-09 2002-07-26 Advance Design Corp 携帯電話を利用した個人認証サービス方法
KR100657577B1 (ko) 2005-08-19 2006-12-14 손영석 사용자정보집합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7280154A (ja) 2006-04-10 2007-10-25 Hitachi Ltd 認証機能付き情報処理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32B1 (ko) 2013-04-29 2014-11-21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융합형 본인 인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32921B1 (ko) 2013-07-16 2013-11-26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비 대면 서비스를 위한 개인식별 관리시스템
KR20160042648A (ko) * 2014-10-10 2016-04-20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KR101667644B1 (ko) * 2014-10-10 2016-10-19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정보 진위여부검증 지원시스템
KR20190100509A (ko) 2018-02-07 2019-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을 통한 대리시험 방지 시스템
WO2023146259A1 (ko) * 2021-01-27 2023-08-0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4678A1 (en) System for accessing data from multiple devices
US9741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 of sale payment data credentials management using out-of-band authentication
CN204948095U (zh) 认证装置和确保应用程序和用户之间的交互的系统
EP2701416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Use Thereof For Electronic Transactions
JP5601729B2 (ja) 移動無線機の移動無線網へのログイン方法
US105528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US87136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personal devices for authentication and service access at service outlets
CN101414909B (zh) 网络应用用户身份验证系统、方法和移动通信终端
US20070022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reliable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2018515011A (ja) ユーザを認証する方法及び装置、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登録する方法及び装置
US10050791B2 (en) Method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 user of a communicating terminal and associated system
BRPI0802251A2 (pt) sistema, método e dispositivo para autenticação em relacionamentos por meios eletrÈnicos
JP2009510644A (ja) 安全な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構成
KR101210054B1 (ko)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CN106416336A (zh) 识别和/或认证系统和方法
US10867326B2 (en) Reputation system and method
JP2015082140A (ja) 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方法
US9832649B1 (en) Secure ID authentication
CN101931530B (zh) 动态口令生成方法、认证方法和装置及网络系统
KR101487357B1 (ko) 비 대면 서비스를 위한 개인식별 관리시스템
JP6714551B2 (ja) 認証鍵共有システム及び端末間鍵コピー方法
KR101253009B1 (ko) 비 대면 서비스를 위한 개인식별 관리시스템
KR101354887B1 (ko)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KR20120019916A (ko) 그래픽 otp 인증을 위한 인증처리서버 및 그 방법
JP2015148940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