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605B1 -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605B1
KR101667605B1 KR1020150029991A KR20150029991A KR101667605B1 KR 101667605 B1 KR101667605 B1 KR 101667605B1 KR 1020150029991 A KR1020150029991 A KR 1020150029991A KR 20150029991 A KR20150029991 A KR 20150029991A KR 101667605 B1 KR101667605 B1 KR 10166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tube
tube
jig
isotop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051A (ko
Inventor
손광재
홍진태
최강혁
이준식
홍순복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6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06Lase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203/0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튜브의 고정을 위한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공에 고정된 밀봉 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지그,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부를 용접한 후 상기 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봉 튜브가 회전되면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부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용접유닛,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LASER WELDING SYSTEM FOR FABRICATING RADIATION SOURCES SEALED BY TUBES AND WELDING METHOD OF USING THE SAME}
동위원소 선원 밀봉용 튜브를 용접하는 레이저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선이 의료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사선 치료는 크게 체외 방사선 치료와 체내 방사선 치료의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체외 방사선 치료는 환자의 외부에서 인체를 향하여 여러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고, 체내 방사선 치료는 환자의 인체 내부 조직에 매우 작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심거나 삽입하는 것으로 전립선암 등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이렇게 치료를 위해 환자의 내부 조직에 삽입되는 초소형 밀봉선원은 환자에게 영구적으로 삽입되어 암세포를 제거하거나, 암세포의 전이 및 확대를 방지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 등의 발생 확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초소형 밀봉선원은 통상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인체 내부에 50 내지 100개 정도 삽입되며, 고가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에게 적용 시 고가의 비용이 부담된다.
여기서, 초소형 밀봉선원은 그 내부에 I-125 방사선원이 적용되기 때문에 통상 I-125 시드라 지칭되며, 이러한 I-125 시드는 티타늄 튜브(Titanium tube)의 내부에 I-125 방사선원이 삽입 설치된 후 그 상방향에 설치된 레이저 용접장치의 초점 거리(111) 내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B)에 의하여 그 양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때, 소정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I-125 시드 밀봉 튜브(100)를 회전시켜 I-125 시드 밀봉 튜브(100)의 상단의 용융 길이(101)만큼 용접됨으로써 밀봉된다.
I-125, Ir 등의 의료용 동위원소의 취급을 위해서는 은에 동위원소를 흡착시킨 후 이를 직경 0.8 mm 두께 0.05 mm의 밀봉 튜브 내에 넣어 양쪽을 밀봉함으로써 밀봉 선원을 제작해야한다. 그러나, 동위원소는 방사능을 띄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대기 상에서 취급이 불가하여 핫셀 내에 설치된 글로브 상자 내에서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글로브상자의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자동화 장치 크기 역시 소형화 해야 하며, 모터 등의 전자식 부품은 방사능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종래 개발되었던 I-125 시드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그에 따른 용접방법(출원번호 10-2007-0037539)는 티타늄튜브의 고정 및 용접위치 확보방법, 용접변수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자동화 장치 구현에 대한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의 이송장애 가능성을 방지하고, 부품 투입 및 레이저 헤드의 위치정렬에 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신뢰성 있는 밀봉선원 제조 자동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방사선원을 취급하는 장치이므로 핫셀내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핫셀 내부의 글로브박스에서 모든 제조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소형의 집적화된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부품의 이송장애 가능성이 낮은 신뢰성있는 밀봉선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부품 투입 및 레이저 헤드의 위치 정렬에 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핫셀 내부의 글로브박스에서 모든 제조 공정이 루어져질 수 있는 소형의 집적화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는 밀봉 튜브의 고정을 위한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공에 고정된 밀봉 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지그;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부를 용접한 후 상기 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봉 튜브가 회전되면,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부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용접유닛;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는, 상기 설치공을 구비하는 회전지그; 상기 용접유닛이 상기 밀봉 튜브의 양 단부를 순차적으로 용접하기 위해, 상기 회전지그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지그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지그; 및 상기 회전지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고정시킬때,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의 내부의 일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회전지그의 하부에 접촉되는 지그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는, 상기 회전지그를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지그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설치공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그 받침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튜브 공급부는, 상기 밀봉 튜브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더; 상기 제1피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더로부터 밀봉 튜브를 제공받고, 상기 제1피더로부터 제공받은 밀봉 튜브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는 제1바인더; 상기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밀봉 튜브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가 상기 설치공과 동축 상에 위치되도록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밀핀은 상기 제1바인더에 제공된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1이송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이송헤드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밀핀은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된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상기 설치공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밀핀은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와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인더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상기 수용공은 선택적으로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더; 상기 제2피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2피더로부터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2피더로부터 제공받은 동위원소 선원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바인더; 상기 동위원소 선원이 삽입되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구비하고,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제2이송헤드; 및 상기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밀핀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2이송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이송헤드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헤드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된 밀봉 튜브와 동축으로 밀봉 튜브의 타 단부와 맞닿게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된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밀핀은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밀봉 선원 저장부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클램핑(clamping)시켜서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홀더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밀봉 튜브 양 단부의 밀봉 용접이 된 상태를 확인하도록 상기 밀봉 튜브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밀봉 용접이 된 밀봉 튜브의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밀봉 용접이 된 밀봉 튜브를 상기 밀봉 선원 저장부에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은 제1바인더에 제공된 밀봉 튜브를 제1밀핀이 가압, 이동시켜서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가 구비되는 제1이송헤드를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를 이동시켜서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된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켜 설치공에 삽입하는 단계; 용접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밀봉 튜브가 삽입된 회전지그를 고정지그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 단계; 및 용접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동위원소 선원 공급 단계는, 제2바인더에 제공된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2밀핀에 의해 가압, 이동시켜서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하는 단계; 제2이송헤드를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제2밀핀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위원소 선원의 외주는 상기 밀봉 튜브의 내주에 접촉되고, 상기 동위원소 선원은 상기 밀봉 튜브의 양 단부 사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를 밀봉 선원 저장부로 이송하는 밀봉 튜브 이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 튜브 이송 단계는,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의 외관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의 합격 또는 불합격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를 상기 밀봉 선원 저장부에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하면,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 등을 구비하여 밀봉 튜브 및 동위원소 선원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등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하면, 이송 유닛을 구비하여, 이송장애 가능성이 낮은 신뢰성 있는 밀봉선원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하면, 부품의 제공, 용접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하여 글로브박스에서 모든 제조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그 및 용접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밀봉 튜브 공급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이송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 및 도 8a는 밀봉 튜브 안착부에 밀봉 튜브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b는 도 8a의 A 부분의 단면도.
도 9a는 지그에 밀봉 튜브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b는 도 8a의 B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밀봉 튜브의 일 단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a은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동위원소 선원을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b는 도 11a의 C 부분의 단면도.
도 12a는 밀봉 튜브 내부에 동위원소 선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b는 도 12a의 D 부분의 단면도.
도 13a는 밀봉 튜브의 타 단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b는 도 13a의 E 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양 단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선원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용접 장치(100)는 지그(10), 용접유닛(20), 밀봉 튜브 공급부(30),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 및 이송 유닛(5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지그(10) 및 용접유닛(20)의 사시도이다.
지그(10)는 밀봉 튜브의 양 단이 용접유닛(20)에 의해 용접될 수 있도록 밀봉 튜브를 고정한다. 지그(10)는 설치공(13b)을 구비하는 회전지그(13), 회전지그(13)를 수용하는 고정지그(17) 및 회전지그(13)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그 받침대(1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그(13)는 원통형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회전지그(13)에는 설치공(13b)이 구비되는데, 설치공(13b)은 회전지그(13)의 양 단부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설치공(13b)에는 후술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밀봉 튜브가 고정된다.
회전지그(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오목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3a)는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지그(13)의 상단 및 하단의 외경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서 중심 방향으로 단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오목부(13a)에는 밀봉 튜브 및 동위원소 선원의 공급 시에 각각 밀봉 튜브 안착부(34) 및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가 접촉되어 밀봉 튜브 및 동위원소 선원의 공급을 좀 더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밀봉 튜브는 양 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밀봉 튜브의 양 단이 용접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동위원소 선원이 밀봉된다. 밀봉 튜브의 재질은 일례로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 튜브의 외경은 Ø0.8 mm, 내경은 Ø0.5 mm이고, 밀봉 튜브의 길이는 4.5 mm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밀봉 튜브의 재질 및 치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위원소 선원을 밀봉할 수 있는 다른 재질 또는 치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정지그(17)와 회전지그(13)의 사이에는 회전축(14)이 구비되는데, 일례로 회전축(14)은 설치공(13b)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4)은 회전지그(13)를 고정지그(17)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한다. 밀봉 튜브의 일 단부가 용접된 후, 회전지그(13)는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밀봉 튜브의 타 단부가 용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유닛(20)은 일 위치에서 밀봉 튜브의 양 단부를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동위원소 선원의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이룬다.
회전축(1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을 지지할 수 있는 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며,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전달할 수 있는 부재 역시 연결될 수 있다.
밀봉 튜브는 양 단부를 구비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밀봉 튜브 공급부(30)에 의해 밀봉 튜브가 설치공(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지그(13)가 회전하기 전에 상부로 향하는 단부를 '일 단부'라고 칭하며, 회전지그(13)가 회전한 후에 상부로 배치되는 단부를 '타 단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지그(13)의 하부에는 지그 받침대(18)가 배치될 수 있다. 지그 받침대(18)는 밀봉 튜브가 설치공(13b)에 고정될 때에, 회전지그(13)의 하부에 접촉하여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서 밀봉 튜브가 설치공(13b)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그 받침대(18)는 원판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일례가 도시된다.
지그 받침대(18)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구조는 회전지그(13)의 회전 시에 지그 받침대(18)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지그(13)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 튜브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지그 받침대(18)의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지그(1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일례로, 밀봉 튜브는 회전지그(13)의 설치공(13b)을 관통하여 회전지그(1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밀봉 튜브는 회전지그(13)의 상, 하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설치공(13b)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밀봉 튜브는 양 단부가 회전지그(13)의 상, 하부에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공(13b)에 삽입되어 용접유닛(20)에 의해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이룬다.
지그(10)의 하부에는 지그 베이스 부재(19)가 설치되어, 회전지그(13), 회전축(14), 고정지그(17) 및 지그 받침대(18) 등을 지탱할 수 있다. 지그 베이스 부재(19)는 봉 형상의 기둥(19a), 판부재(19b) 및 사각 기둥(19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하는 용접유닛(20), 밀봉 튜브 공급부(30),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 및 이송유닛(50) 도 각각 하부에 베이스 부재(29, 39, 49, 59)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 부재(29, 39, 49, 59)들은 지그 베이스 부재(19)와 마찬가지로 봉 형상의 기둥(29a, 39a, 49a, 59a), 판부재(29b, 39b, 49b, 59b) 및 사각 기둥(29c, 39c, 49c, 59c)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유닛(20)은 상기 지그(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용접유닛(20)은 밀봉 튜브의 양 단부를 순차적으로 용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용접유닛(20)은 광원을 투사하는 용접헤드(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용접헤드(25)에서 광원을 투사하어 밀봉 튜브의 단부를 용접할 수 있다.
용접헤드(2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질 수 있다. 회전지그(13)의 상단부로부터 밀봉 튜브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높이조절을 통하여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
용접유닛(20)의 하부에는 용접유닛 베이스 부재(29)가 설치되어, 용접헤드(25) 등을 구비하는 용접유닛(20)을 지탱할 수 있다. 용접유닛 베이스 부재(29)는 봉 형상의 기둥(29a)과 판부재(29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밀봉 튜브 공급부(3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밀봉 튜브 공급부(30)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밀봉 튜브 공급부(30)는 설치공(13b)에 밀봉 튜브를 공급한다. 밀봉 튜브 공급부(30)는 제1피더(31), 제1바인더(33), 제1이송헤드(35) 및 제1 가이드 로드(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더(31)는 다량의 밀봉 튜브를 저장하여 일렬로 정렬한 후, 제1바인더(33)로 각각의 밀봉 튜브를 제공하도록 제1바인더(33)에 연결된다. 제1피더(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다량의 밀봉 튜브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제1바인더(33)는 제1피더(31)에 연결되어 제1피더(31)로부터 밀봉 튜브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1바인더(33)는 상기 제공받은 밀봉 튜브를 수용하는 수용공(33a)을 구비하는데, 제1바인더(33)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수용공(33a)이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밀봉 튜브 안착부(34)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제1이송헤드(35)는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밀봉 튜브 안착부(34)를 구비한다. 밀봉 튜브 안착부(34)는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심에는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밀봉 튜브 안착홀(34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이송헤드(35)는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34)가 설치공(13b)과 동축 상에 위치되도록 제1이송축(3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이송헤드(35)는 밀봉 튜브 안착홀(34a)이 설치공(13b)과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로드(37)는 제1이송헤드(35)에 연결되어 밀봉 튜브 안착부(34)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로드(37)는 봉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면적이 다양한 봉의 형상이 삽입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 로드(37)는 제1바인더(33)의 수용공(33a)에 수용된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밀봉 튜브 안착부(34)에 삽입시킨다. 또한, 제1 가이드 로드(37)는 제1이송헤드(35)가 제1이송축(3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이송헤드(35)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이송헤드(35)에 연결된다.
제1 가이드 로드(37)의 일 단에는 밀봉 튜브의 일 단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밀핀(38)이 밀봉 튜브 안착부(34)와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밀핀(38)의 외경은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밀봉 튜브의 외경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밀핀(38) 없이, 제1 가이드 로드(37)의 일 단부가 밀봉 튜브의 외경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같게 형성되어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에 대하여 서술한다.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는 동위원소 선원을 설치공(13b)에 고정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한다.
동위원소 선원은 I-125(iodine 125), Ir 192(Iridium 192) 또는 Pd 103(Palladium 103)의 방사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동위원소 선원은 외경 Ø0.5 mm, 길이 3 mm의 치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위원소 선원은 은(Ag) 등의 물질을 상기 방사성 물질이 감싸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는 제2피더(41), 제2바인더(43), 제2이송헤드(45) 및 제2 가이드 로드(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피더(41)는 다량의 동위원소 선원을 저장하여 일렬로 정렬한 후, 제2바인더(43)로 각각의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피더(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다량의 동위원소 선원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제2바인더(43)는 제2피더(41)에 연결되어 제2피더(41)로부터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받는다. 또한, 제2바인더(43)는 상기 제공받은 동위원소 선원을 수용하는 수용부(43a)를 구비한다. 제2바인더(43)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수용부(43a)가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2 가이드 로드(47)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을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2이송헤드(45)는 동위원소 선원이 삽입되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를 구비한다.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는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심에는 동위원소 선원이 삽입되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홀(44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이송헤드(45)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가 설치공(13b)과 동축 상에 위치되도록 제2이송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이송헤드(45)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홀(44a)이 설치공(13b)과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로드(47)는 제2이송헤드(45)에 연결되어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로드(37)는 봉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면적이 다양한 봉의 형상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로드(47)는 제2바인더(43)의 수용부(43a)에 수용된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삽입시킨다. 또한, 제2 가이드 로드(47)는 제2이송헤드(45)가 제2이송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이송헤드(45)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2이송헤드(45)에 연결된다.
제2이송헤드(45)의 회전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는 설치공(13b)과 동축 상에 위치되며, 설치공(13b)에 고정된 밀봉 튜브 타 단에 닿거나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가이드 로드(47)의 일 단에는 동위원소 선원의 일 단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2밀핀(48)이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와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밀핀(48)의 외경은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동위원소 선원의 외경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밀핀(48) 없이, 제2 가이드 로드(47)의 일 단부가 동위원소 선원의 외경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같게 형성되어 동위원소 선원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이송유닛(5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송유닛(50)에 대하여 서술한다.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는 이송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50)은 지그(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밀봉 선원 저장부(58)로 이송시킨다.
이송유닛(50)은 이동부재(51) 및 봉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51)는 홀더(53)를 구비하는데, 홀더(53)는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고정시켜서, 설치공(13b)으로부터 상기 밀봉 튜브를 이탈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홀더(53)는 일례로, 밀봉 튜브를 잡을 수 있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봉부(55)는 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봉부(55)는 이동부재(51)를 수용할 수 있는 레일(57)을 구비하여, 이동부재(51)를 레일(57)에서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유닛(50)은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촬영부는 밀봉 튜브의 양 단부의 밀봉 용접이 된 상태를 확인하도록 밀봉 튜브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일례로, 이송유닛(50)의 홀더의 끝단이나 이동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유닛(50)은 촬영부에서 촬영된 밀봉 용접이 된 밀봉 튜브의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밀봉 선원 저장부(58)에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저장시킨다.
도 6에는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방법(S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7 및 도 8a은 밀봉 튜브 안착부(34)에 밀봉 튜브(6)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9a는 지그에 밀봉 튜브(6)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한편, 도 8b는 도 8a의 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a를 참조하여 밀봉 튜브(6)를 밀봉 튜브 안착부(34) 및 지그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서술한다. 작업자는 제1피더(31)에 밀봉 튜브(6)를 다수 투입하고, 제1피더(31) 내부에서 다수의 밀봉 튜브(6)는 정렬되어 한개씩 제1바인더(33)의 수용공(33a)에 제공한다.
밀봉 튜브(6)가 수용된 제1바인더(33)는 수용공(33a)이 밀봉 튜브 안착부(34)와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이동한 후, 제1 가이드 로드(37)의 가압, 이동에 의해 밀봉 튜브(6)는 밀봉 튜브 안착부(34)에 삽입된다(S10). 도 8b을 참조하면, 수용공(33a)과 상기 안착홀(34a)이 동축 상에 배치되고, 밀봉 튜브(6)가 밀봉 튜브 안착홀(34a)에 삽입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제1이송헤드(35)를 제1이송축(3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밀봉 튜브(6)가 삽입된 밀봉 튜브 안착부(34)는 설치공(13b)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그 후, 제1 가이드 로드(37)는 밀봉 튜브 안착부(34)에 삽입된 밀봉 튜브(6)를 가압하여 이동시켜서 설치공(13b)에 삽입시킨다(S20). 도 9b를 참조하면, 동위원소 선원 안착홀(34a)이 설치공(13b)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34)가 회전지그(34)의 오목부(13a)에 안착되며, 밀봉 튜브(6)가 제1밀핀(38)에 의해 설치공(13b)에 삽입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도 10은 밀봉 튜브(6)의 일 단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공(13b)에 밀봉 튜브(6)가 삽입된 후, 도 10을 참조하면, 용접유닛(20)의 용접헤드(25)는 밀봉 튜브(6)의 일 단에 근접 위치하게 되어 밀봉 튜브(6) 일 단의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S30).
이제, 밀봉 튜브(6)의 내부로 동위원소 선원을 공급하고, 밀봉 튜브(6)의 타 단부를 용접하기 위해, 밀봉 튜브(6)의 일 단은 아래로 향하고, 밀봉 튜브(6)의 타 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지그(17)에 의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지그(13)는 회전된다(S40). 이때, 지그 받침대(18)는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지그 받침대(18)와 회전지그(13) 사이에 간섭되지 않으며, 회전지그(1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지그(13)의 회전에 의해 밀봉 튜브(6)의 타 단은 상부를 향하게 된다.
도 11a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동위원소 선원(8)을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2a는 밀봉 튜브(6) 내부에 동위원소 선원(8)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한편, 도 11b는 도 11a의 C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D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40)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8)은 밀봉 튜브(6)의 내부에 공급된다(S50).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피더(41)에 저장된 동위원소 선원(8)은 제2바인더(43)의 수용부(43a)에 제공된다. 제2바인더(43)는 수용부(43a)가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와 동축으로 된 후에, 제2 가이드 로드(47)에 의해 가압, 이동되어서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삽입된다(S53). 도 11의 단면을 참조하면, 제2바인더(43)의 수용부(43a)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홀(44a)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제2밀핀(48)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8)이 동위원소 선원 안착홀(44a)에 삽입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제2이송헤드(45)는 제2이송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는 밀봉 튜브(6)와 동축으로 밀봉 튜브(6)의 타 단부와 맞닿게 배치된다. 제2이송헤드(45)의 회전 시에 제2 가이드 로드(47)도 함께 회전하고, 제2 가이드 로드(47)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44)에 삽입된 동위원소 선원(8)을 가압, 이동시켜서 밀봉 튜브(6)의 내부에 동위원소 선원(8)을 삽입시킨다(S57). 도 12b를 참조하면, 동위원소 선원(8)의 외주는 상기 밀봉 튜브(6)의 내주에 접촉되고, 동위원소 선원(8)은 밀봉 튜브(6)의 양 단부 사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도 13a는 밀봉 튜브(6)의 타 단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13b는 도 13a의 E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이송헤드(45)는 원 위치로 복귀하고, 도 13을 참조하면, 용접유닛(20)의 용접헤드(25)는 밀봉 튜브(6)의 타 단에 근접 위치하게 되어 밀봉 튜브(6)의 타 단의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S60).
도 14는 양 단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선원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6)는 이송유닛(50)에 의해 밀봉 선원 저장부(58)로 이송된다(S70). 촬영부는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6)의 외관을 촬영하고(S73), 촬영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된다. 작업자는 합격 또는 불합격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송유닛(50)은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6)를 분리되도록 저장시키도록 한다(S77).
이상에서 설명한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이고, 출원인의 권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원인의 권리는 이하에서 서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100 :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0 : 지그 13 : 회전지그
14 : 회전축 17 : 고정지그
20 : 용접유닛 25 : 용접헤드
30 : 밀봉 튜브 공급부 31 : 제1피더
33 : 제1바인더 40 :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
41 : 제2피더 43 : 제2바인더

Claims (21)

  1. 밀봉 튜브의 고정을 위한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공에 고정된 밀봉 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지그;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부를 용접한 후 상기 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봉 튜브가 회전되면,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부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용접유닛;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튜브 공급부는,
    상기 밀봉 튜브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더;
    상기 제1피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더로부터 밀봉 튜브를 제공받고, 상기 제1피더로부터 제공받은 밀봉 튜브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는 제1바인더;
    상기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밀봉 튜브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가 상기 설치공과 동축 상에 위치되도록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이송헤드; 및
    상기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핀은 상기 제1바인더에 제공된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1이송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이송헤드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밀핀은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된 밀봉 튜브를 가압하여 상기 설치공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설치공을 구비하는 회전지그;
    상기 용접유닛이 상기 밀봉 튜브의 양 단부를 순차적으로 용접하기 위해,
    상기 회전지그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지그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지그; 및
    상기 회전지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고정시킬때,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의 내부의 일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회전지그의 하부에 접촉되는 지그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회전지그를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지그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설치공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받침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핀은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와 동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9. 밀봉 튜브의 고정을 위한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공에 고정된 밀봉 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지그;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부를 용접한 후 상기 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봉 튜브가 회전되면,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부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용접유닛;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튜브 공급부는,
    상기 밀봉 튜브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더;
    상기 제1피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더로부터 밀봉 튜브를 제공받고, 상기 제1피더로부터 제공받은 밀봉 튜브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는 제1바인더;
    상기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밀봉 튜브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가 상기 설치공과 동축 상에 위치되도록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이송헤드; 및
    상기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인더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상기 수용공은 선택적으로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0. 밀봉 튜브의 고정을 위한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공에 고정된 밀봉 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지그;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부를 용접한 후 상기 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봉 튜브가 회전되면,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부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용접유닛;
    상기 밀봉 튜브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하는 밀봉 튜브 공급부; 및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위원소 선원 공급부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더;
    상기 제2피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2피더로부터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2피더로부터 제공받은 동위원소 선원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바인더;
    상기 동위원소 선원이 삽입되는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구비하고,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제2이송헤드; 및
    상기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밀핀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2이송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이송헤드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헤드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를 상기 설치공에 공급된 밀봉 튜브와 동축으로 밀봉 튜브의 타 단부와 맞닿게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된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핀은 상기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5. 제1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밀봉 선원 저장부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양 단부의 용접이 완료된 밀봉 튜브를 클램핑(clamping)시켜서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홀더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밀봉 튜브 양 단부의 밀봉 용접이 된 상태를 확인하도록 상기 밀봉 튜브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밀봉 용접이 된 밀봉 튜브의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밀봉 용접이 된 밀봉 튜브를 상기 밀봉 선원 저장부에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17. 제1바인더에 제공된 밀봉 튜브를 제1밀핀이 가압, 이동시켜서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가 구비되는 제1이송헤드를 제1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제1 가이드 로드를 이동시켜서 상기 밀봉 튜브 안착부에 삽입된 밀봉 튜브를 가압, 이동시켜 설치공에 삽입하는 단계;
    용접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일 단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밀봉 튜브가 삽입된 회전지그를 고정지그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
    동위원소 선원을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공급하는 동위원소 선원 공급 단계; 및
    용접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 튜브의 타 단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위원소 선원 공급 단계는,
    제2바인더에 제공된 상기 동위원소 선원을 제2밀핀에 의해 가압, 이동시켜서 동위원소 선원 안착부에 삽입하는 단계;
    제2이송헤드를 제2이송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제2밀핀에 의해 동위원소 선원을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위원소 선원의 외주는 상기 밀봉 튜브의 내주에 접촉되고, 상기 동위원소 선원은 상기 밀봉 튜브의 양 단부 사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를 밀봉 선원 저장부로 이송하는 밀봉 튜브 이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튜브 이송 단계는,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의 외관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의 합격 또는 불합격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밀봉 용접된 밀봉 튜브를 상기 밀봉 선원 저장부에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따른 용접방법.
KR1020150029991A 2015-03-03 2015-03-03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KR10166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91A KR101667605B1 (ko) 2015-03-03 2015-03-03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91A KR101667605B1 (ko) 2015-03-03 2015-03-03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051A KR20160107051A (ko) 2016-09-13
KR101667605B1 true KR101667605B1 (ko) 2016-10-19

Family

ID=5694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991A KR101667605B1 (ko) 2015-03-03 2015-03-03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885B1 (ko) 2016-08-23 2018-05-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배기 2단 vvl 시스템 진단 및 제어 방법 및 그 진단 및 제어 방법이 적용된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7B1 (ko) * 2004-09-01 2006-03-03 한국원자력연구소 시드캡슐 레이저 밀봉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24B1 (ko) * 1999-10-27 2003-06-18 한국전력공사 소형 밀봉선원 어셈블리용 선원투입 및 선원캡슐 용접장치
KR100493815B1 (ko) * 2002-12-03 2005-06-08 한국원자력연구소 Ir­192 치료용 방사선원 튜브 어셈블리 조립장치
KR101525289B1 (ko) * 2012-11-09 2015-06-03 문희정 플레이트 본체 및 튜브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용액 튜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7B1 (ko) * 2004-09-01 2006-03-03 한국원자력연구소 시드캡슐 레이저 밀봉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051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3916B1 (en) System and automated method for producing welded end closures in thin-walled metal tubes
CN106255531B (zh) 用于校准的方法和系统
WO2019116678A1 (ja) 中性子捕捉療法システム、中性子捕捉療法用患者載置台、患者姿勢確認システム、および患者姿勢確認方法
JP6654102B2 (ja) 粒子線治療システム
US20140066755A1 (en) Simultaneous Imaging and Particle Therapy Treatment system and Method
EP1907054B1 (en) Radiation therapy system for planning a radiation therapy
KR101667605B1 (ko) 동위원소 선원 밀봉 튜브의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접방법
JP2008173299A (ja) 荷電粒子線照射装置、及び荷電粒子線照射方法
JP2007061482A (ja) 放射線治療装置
WO2012026160A1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制御方法
US20100138997A1 (en) Patient transport uni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patient
US20110007865A1 (en) Radiation therapy device
CN111836665B (zh) 放射治疗系统及其验证装置、验证方法
JP2004510977A (ja) 溶接継手の試験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5441096B2 (ja) ラジオアイソトープ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132501A (ja) 中性子線照射用患者治療台及び中性子線照射装置
KR100387924B1 (ko) 소형 밀봉선원 어셈블리용 선원투입 및 선원캡슐 용접장치
TWI786624B (zh) 輻射線治療系統及照射參數驗證裝置之工作步驟
CN212880642U (zh) 辐射线治疗系统
US7302037B1 (en) Rotating gamma system visual inspection camera
KR102283451B1 (ko) 방사선 시편 검사 장치
JP7082366B2 (ja) 放射線治療装置及びベッド位置決め装置並びにベッドの位置決め方法
CN115068844A (zh) 验证模体及放射治疗系统的验证装置
JP2011224030A (ja) 密封小線源配置画像記録装置
US11654514B2 (en) Laser we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