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322B1 -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 Google Patents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322B1
KR101667322B1 KR1020140149819A KR20140149819A KR101667322B1 KR 101667322 B1 KR101667322 B1 KR 101667322B1 KR 1020140149819 A KR1020140149819 A KR 1020140149819A KR 20140149819 A KR20140149819 A KR 20140149819A KR 101667322 B1 KR101667322 B1 KR 10166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ight emitting
injection device
fragrance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798A (ko
Inventor
김영빈
Original Assignee
김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빈 filed Critical 김영빈
Priority to KR102014014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3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으로, 향기를 발산시키면서 작동표시부가 형성되는 향기분사장치와,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향기분사장치에 결합되며 유동홈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유동홈에 결합되는 구형태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구로 구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사람의 접근 또는 주변의 불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와 전원스위치가 포함되면서 불빛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되는 발광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분사장치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고정부 및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실과 같은 장소를 사용자들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발광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Scent injection type LED lamp}
본 발명은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이디램프에 향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장치 및 센서 등을 부착하여 화장실과 같은 곳에서 향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음악과 같은 음성이 출력되면서 엘이디램프가 켜지고 향기가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이 후각적으로 편리하게 화장실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엘이디램프를 분리시킨 후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향기를 분사시키면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는 것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4685호와 같이 방향제에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센서와 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사람들이 화장실 사용시 방향장치에서 향기가 분사되고 발광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빛을 발산시켜 사람들이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람들의 화장실 사용시 향기와 불빛이 발산되어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발광수단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정전시 사람들이 발광수단 이나 방향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이 방향제 등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어 위급시 사람들이 발광수단을 휴대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는 향기를 발산시키면서 작동표시부가 형성되는 향기분사장치와,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향기분사장치에 결합되며 유동홈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유동홈에 결합되는 구형태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구로 구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사람의 접근 또는 주변의 불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와 전원스위치가 포함되면서 불빛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되는 발광부로 이루어져,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분사장치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고정부 및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실과 같은 장소를 사용자들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발광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사람들의 화장실 이용시 발광부에 형성된 센서를 통해 인체접근을 감지하게 되면 향기분사장치 및 음성부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장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가 결합부에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만을 따로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서 주변의 빛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어 빛이 어두운 야간에만 발광부의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센서가 향기분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센서의 신호를 향기분사장치가 전송받아 센서의 감지작동에 따라 향기분사장치가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분사장치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고정부 및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실과 같은 장소를 사용자들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발광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람들의 화장실 이용시 발광부에 형성된 센서를 통해 인체접근을 감지하게 되면 향기분사장치 및 음성부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장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가 결합부에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만을 따로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서 주변의 빛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어 빛이 어두운 야간에만 발광부의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센서가 향기분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센서의 신호를 향기분사장치가 전송받아 센서의 감지작동에 따라 향기분사장치가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향기분사장치에 형성된 작동표시부를 통해 향기분사장치의 작동상태 및 고장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표시부를 통해 향기분사장치가 일정시간마다 향기를 제대로 분사하는 지와 제대로 작동되는 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의 고정부와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7은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의 발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의 고정부, 결합부, 발광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분사장치(10), 고정부(20), 결합부(30), 발광부(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향기분사장치(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 또는 내부 배터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사용자가 향기분사장치(10)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엘이디 또는 세그먼트와 같은 작동표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향기분사장치(10)는 현재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화장실 등에서 향기를 분사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향기가 배출될 수 있는 노즐(도면에 미도시), 벽면에 고정시키거나 탁자 등에 거치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 손잡이(도면에 미도시), 잠금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향기분사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장치도 설치되어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향기분사장치(10)의 작동 방법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향기분사장치(10)에서 다양한 향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표시부(11)는 향기분사장치(10)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전원표시부(11a)와 일정시간마다 향기를 분사시킬 때 작동되는 타이머표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향기분사장치(1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마다 향기를 배출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발광부(40)에 형성된 센서(41)의 작동에 의해 사람이 접근할 때만 향기분사장치(10)에서 향기를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향기분사장치(10)의 상, 하, 측면 또는 전면 등 임의의 지점 테이프형태 또는 볼트형태,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상기 향기분사장치(10)에 용이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의 임의의 지점에 다양한 형태의 유동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향기분사장치(10)와 고정부(20)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3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에 형성된 유동홈(21)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와, 상기 결합부재(31)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결합홈(32a)이 형성된 결합구(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20)의 유동홈(21)에 결합되어 전, 후, 좌, 우, 상, 하의 모든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형태의 결합부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형태의 결합부재(31)의 일측으로 결합부재(31)와 연결되며 발광부(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2a)이 포함된 결합구(3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2)는 있는 'c'자 또는 'ㄷ'자 또는 상술한 형상 외에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0)가 고정부(20)에 결합되어 360°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0)에 형성된 결합구(32)의 결합홈(32a)에 결합되며 사람의 접근이나 주변의 빛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41)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적외선 또는 조도를 감지하는 장치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센서(41)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41)의 감지작동에 의해 작동되거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42)가 포함되는 램프(4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41)는 램프(43)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향기분사장치(10) 및 고정부(20) 또는 결합부(30) 중 어느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43)가 결합부(30)의 결합홈(32a)에 결합될 때, 결합구(32)에 접점(k)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43)에도 접점(k)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점(k)을 통해 향기분사장치(10)와 램프(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별도로 작동하거나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향기분사장치(10)가 일정시간마다 향기를 배출하도록 하거나 센서(41)의 작동에 의해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향기분사장치(10)와 램프(43)가 동시에 작동하여 향기가 배출되면서 빛이 밝혀지게 되거나 램프(43)만이 따로 작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접점(k)을 통해 제어신호가 서로 전송되면서 향기분사장치(10) 및 램프(4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센서(41)의 감지작동에 의해 램프(43) 주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야간과 같이 빛의 세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세기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램프(43)가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41)의 작동에 상관없이 램프(43)가 일정시간이 되면 작동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전원스위치(42)를 눌러 램프(43)가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전원스위치(42)를 누를 때마다 램프(43)가 작동되는 상황을 사용자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2)를 한번 누르게 되면 램프(42)가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두번 누르게 되면 램프(42)가 꺼지게 되며, 다수번 또는 살짝 누르게 될 경우 램프(43)가 연속적으로 깜빡이게 작동하는 것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2)를 눌러 램프(43)가 켜지게 한 다음 결합부(30)에서 발광부(40)를 분리시켜 발광부(40)만을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43)도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되거나 내부에 배터리(도면에 미도시)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서(41)의 감지작동에 의해 향기발산장치(10) 및 램프(43)가 켜지게 될 때, 다양한 음악이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부(5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왔을 때, 향기분사장치(10) 및 램프(43)가 켜지면서 음성부(50)에서 음악소리가 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부(5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향기분사장치(10) 또는 고정부(20) 또는 결합부(30) 또는 발광부(4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음성부(50)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작동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부(50)는 칩형태로 형성되거나 이동식 디스크, 이동식 메모리 형태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부(50)에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장치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향기분사장치(10), 고정부(20), 결합부(30), 발광부(40), 음성부(5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향기분사장치(10)를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이나 바닥 등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 후, 상기 향기분사장치(10)의 임의의 지점에 고정부(20)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20)에 형성된 유동홈(21)에 구형태로 형성된 결합부(30)의 결합부재(31)를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1)와 연결된 결합구(32)의 결합홈(32a)에 램프(43)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향기분사장치(10) 및 고정부(20), 결합부(30), 발광부(40) 중 어느 한 곳에 음성부(5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향기분사장치(10) 및 고정부(20), 결합부(30), 발광부(40), 음성부(50)가 설치되면 향기분사장치(10), 결합부(30), 발광부(40)가 접점(k)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 의해 작동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설정한 대로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100)가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발광부(40)에 형성된 센서(41)가 지속적으로 화장실 내부를 감지하게 되면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센서(41)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게 되면 향기분사장치(10) 및 발광부(40)에 형성된 램프(43)를 작동시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면서 빛이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향기분사장치(10) 및 램프(43)의 작동시간은 사용자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41)가 사람의 접근을 확인하는 순간 향기분사장치(10)와 램프(43)를 바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램프(43)를 먼저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후에 향기분사장치(10)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와 다르게, 센서(41)의 작동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마다 향기분사장치(10)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센서(41)에서 램프(43) 주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빛의 세기가 낮을 경우에 사람의 접근의 상관없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향기분사장치(10) 및 발광부(40)의 작동과 같이 음성부(50)를 작동시키거나 향기분사장치(10) 및 발광부(40)의 작동에 상관없이 음성부(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기분사장치(10)에 형성된 작동표시부(11)의 전원표시부(11a)에 의해 향기분사장치(1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향기분사장치(10)의 파손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교체,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작동표시부(11)의 타이머표시부(11b)를 통해 향기분사장치(10)에서 향기가 제대로 분사되는지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마다 제대로 향기를 분사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의 출입여부에 따라 향기분사장치(10) 및 발광부(40), 음성부(50)가 작동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실내 또는 화장실 등을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0)에 형성된 구형태의 결합부재(31)를 통해 발광부(4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발광부(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40)가 결합부(30)에서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어, 정전시와 같은 상황에서 발광부(40)만을 별도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40)에 형성된 전원스위치(42)를 제어하여 램프(43)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전원스위치(42)를 통해 램프(43)를 손전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향기분사장치
11 : 작동표시부
20 : 고정부
21 : 유동홈
30 : 결합부
31 : 결합부재 32 : 결합부
32a : 결합홈
40 : 발광부
41 : 센서 42 : 전원스위치
43 : 램프
100 :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Claims (5)

  1. 향기를 발산시키면서 전원표시부(11a), 타이머표시부(11b)로 형성된 작동표시부(11)가 형성되는 향기분사장치(10);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향기분사장치(10)에 결합되며 유동홈(21)을 가지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에 형성된 유동홈(21)에 결합되는 구형태의 결합부재(31), 상기 결합부재(31)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결합홈(32a)이 형성된 결합구(32)로 구성되는 결합부(30);
    상기 결합부(30)에 형성된 결합구(32)의 결합홈(32a)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0)에 결합되거나 탈락되도록 하며, 사람의 접근 또는 주변의 불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41)와 전원스위치(42)가 포함되면서 불빛을 발생시키는 램프(43)로 구성되는 발광부(40);
    상기 발광부(40)의 센서(41)의 작동에 의해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부(50);
    상기 결합부(30)에 형성된 결합구(32)와 발광부(40)는 접점(k)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9819A 2014-10-31 2014-10-31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KR10166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19A KR101667322B1 (ko) 2014-10-31 2014-10-31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19A KR101667322B1 (ko) 2014-10-31 2014-10-31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98A KR20160050798A (ko) 2016-05-11
KR101667322B1 true KR101667322B1 (ko) 2016-10-21

Family

ID=5602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19A KR101667322B1 (ko) 2014-10-31 2014-10-31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86Y1 (ko) * 2018-12-05 2020-09-11 이흥수 광고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26618B1 (ko) * 2018-12-05 2020-06-25 이흥수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KR200491884Y1 (ko) * 2018-12-05 2020-06-24 이흥수 주차 차단기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
KR200491883Y1 (ko) * 2018-12-05 2020-06-24 이흥수 엘이디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KR102581463B1 (ko) * 2022-12-22 2023-09-21 위너스타레벡 주식회사 탈취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천연향 발생 디퓨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25Y1 (ko) 2003-09-16 2003-12-11 이월심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장치
KR100412074B1 (ko) 2001-05-10 2003-12-18 전광숙 향 자동 분사장치
KR200412315Y1 (ko) * 2005-12-14 2006-03-27 전이식 탈착 가능한 후레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148B1 (ko) * 2002-08-16 2005-06-16 전광숙 침입 감지 기능을 구비한 향 자동 분사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074B1 (ko) 2001-05-10 2003-12-18 전광숙 향 자동 분사장치
KR200335725Y1 (ko) 2003-09-16 2003-12-11 이월심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장치
KR200412315Y1 (ko) * 2005-12-14 2006-03-27 전이식 탈착 가능한 후레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98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322B1 (ko)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US7636049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US9345110B2 (en) Motion actuated fixture illuminator
US9204622B2 (en) Animal deterrent device
US20070285262A1 (en) Self-powered rechargeable smoke/carbon monoxide detector
WO2008045567A3 (en) Structures for color-changing light devices
WO2005077074A3 (en) Sensor-activated audible story lamp
WO2008045531A3 (en) Color-changing outdoor light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US9702132B2 (en) Toilet night light
US7942555B2 (en) Multi-action, battery-powered, trigger-activated lighting system
WO2021096894A1 (en) Germicidal modular motion-detecting lighting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sible light illumination and optical disinfection
KR100908073B1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TWM451469U (zh) 節能之浴廁照明及警報裝置
US9693611B2 (en) Safety baton
US20080001743A1 (en) Flashlight With Attached Audible Alarm
KR102278554B1 (ko)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JP6532036B2 (ja) 照明システム
KR20170071863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ITRE20060143A1 (it) Letto con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KR200405228Y1 (ko) 센서를 겸비한 조명 제어장치
WO2019052280A1 (zh) 地震报警装置及地震报警灯
AU2020101243A4 (en) Warning and guidance system
US20220325881A1 (en) Circular Motion Detection System Having A Light Source
CN207074498U (zh) 一种多功能端子箱防误声光报警器
CN206329257U (zh) 门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