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920B1 -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920B1
KR101666920B1 KR1020107021163A KR20107021163A KR101666920B1 KR 101666920 B1 KR101666920 B1 KR 101666920B1 KR 1020107021163 A KR1020107021163 A KR 1020107021163A KR 20107021163 A KR20107021163 A KR 20107021163A KR 101666920 B1 KR101666920 B1 KR 10166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bility product
ionic strength
calcium sulfate
calculating
calcul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9518A (en
Inventor
요시오 다니구치
다카지 아키야
시게루 아라키
오스만 아메드 하마드
라드완 에이 알-라쉬드
도루 간나리
가즈토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잇판자이단호진 조스이 소꾸신센타
사라인 워터 컨버전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판자이단호진 조스이 소꾸신센타, 사라인 워터 컨버전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filed Critical 잇판자이단호진 조스이 소꾸신센타
Publication of KR2011011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2Prevention of depos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82Regul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4Evaporators with horizon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01D1/305Demister (vapour-liquid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운전 관리 장치(6)로서,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와,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과,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수단(63)과,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과,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이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수단(65)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황산칼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하면서 효율 좋게 담수를 생성할 수 있는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6)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device (4)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for calculating the ionic strength in the water to be treated,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 63),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on means 64 for calcul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device 4 in which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to chang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vaporator (4) such that in one operating condition and means (6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n evaporation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fresh water while preventing calcium sulfate scale precipitation.

Description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장치,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한 조수 장치,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방법 및 조수 방법{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n evaporation apparatus, a fresh water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a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for an evaporation apparatus, and a fresh water generating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본 발명은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장치,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한 조수(造水 ) 장치,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방법 및 조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n evaporation device, a fresh water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for an evaporation device, and a fresh water generating method.

근래 해수 담수화 장치에서 해수를 농축하는 과정에서 석출되는 황산칼슘의 스케일 방지법으로서, 원해수(原海水)를 미리 나노 여과막(NF막)으로 여과하여 해수 중의 스케일 성분, 특히 황산 이온(SO4 2-)의 대부분을 제거한 해수를 담수화 장치, 예를 들면, 증발식의 MSF(다단 플래시형 해수 담수화 장치) 또는 MED(다중 효용형 해수 담수화 장치)에 급수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 방법의 일례로서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1이 있고, 그 효과적 운전예가 나타내어져 있다.Recently a scale seawater Act of calcium sulfate precipitated in the course of concentration of sea water in desalination apparatus may want (原海水) a pre-scale nanofiltration membrane component in the filtered (NF membrane) water, in particular sulfate ions (SO 4 2- A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which seawater from which most of the seawater desalinated is supplied to a desalination apparatus, for example, an evaporative MSF (multistage flash type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or MED (multiple utility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See Document 1). Examples of such methods include Patent Document 1 and Non-Patent Document 1, and effective operation examples thereof are shown.

여기에서, 해수를 NF막으로 처리하면 대폭으로 조성이 바뀌게 된다. 이 일례를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데이터를 인용하여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의 횡축은 해수의 성분, 왼쪽의 종축은 TDS(Total Dissolved Solids: 전체 용해 고형분)와 염소이온(Cl)의 농도(ppm), 오른쪽의 종축은 전체 경도 성분의 농도(ppm)를 나타내고 있다. 해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해수이며, NF막 처리에 의해 TDS는 45, 460ppm에서 28, 260ppm으로, 염소이온(Cl)은 21, 587ppm에서 16, 438ppm으로, 황산이온(SO4 2-)은 3, 100ppm에서 2ppm 이하로, 전체 경도(Total Hardness)는 7, 500ppm에서 220ppm으로 저감하여 원해수와는 대폭으로 조성 비율이 바뀌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Here, when the sea water is treated with the NF membrane, the composition is greatly changed. This example is shown in Fig. 8 with reference to data in Non-Patent Document 1. Fig. In FIG. 8, the abscissa represents the component of seawater, the ordinate on the left represents the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on (Cl - ) in ppm, and the ordinate on the right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ppm) have. Sea water is seawater, Saudi Arabia, by the NF membrane treatment are in the TDS 45, 28 460ppm, 260ppm to, chloride ions (Cl -) at 21, 16 587ppm, 438ppm to, sulfate ion (SO 4 2-) is 3 , The total hardness is reduced from 100 ppm to 2 ppm and the total hardness is reduced from 7,500 ppm to 220 ppm, and the composition ratio is greatly changed from that of the raw water.

또한, 종래 해수 담수화 장치의 운전 관리의 지침으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가 채용되어 왔다. 이 그래프는 비특허 문헌 2에 소개되어 있는 것으로, 해수 농축수 중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에 대하여, 가열 온도와 표준 해수의 농축 배수의 관계에 따라서 정리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X축은 가열 온도를 나타내고, 일례로서 150°F(65℃)의 운전 온도의 경우, 해수가 2배 이상 농축되면 황산칼슘무수염(anhydrite)이 석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MSF나 MED 등의 증발 장치에 의해 담수를 생성하는 경우, 황산칼슘의 스케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수 농축수 중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 이하로 되도록 증발 장치의 가열 온도나 농축 배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as a guide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conventional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a graph as shown in Fig. 9 has been adopted. This graph is introduced in Non-Patent Document 2, and summarizes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in seawater-concentrated wate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multiple of standard seawater. The X-axis of the graph in Fig. 9 represents the he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150 [deg.] F (65 [deg.] C), when the seawater is concentrated twice or more, calcium sulfate anhydrite is precipitated.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generating fresh water by an evaporator such as MSF or MED, in order to prevent the scale of calcium sulfate from being precipitated, it is necessary to heat the evaporation apparatus so that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in the seawat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emperature or the condensate drainage.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표2003―50718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507183

비특허 문헌 1: The New NF-SWRO Ope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UmmLujjSWRO Plant Output and Recovery, A. M. Hassan, et al. Proceeding of IDA Conference, March 2002, at Manama, BahrainNon-Patent Document 1: The New NF-SWRO Ope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UmmLujj SWRO Plant Output and Recovery, A. M. Hassan, et al. Proceeding of IDA Conference, March 2002, at Manama, Bahrain 비특허 문헌 2: Stop Scale in Sea Water Evaporators, F. C. Standiford and J. R. Sinek,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57, 58(1961)Non-Patent Document 2: Stop Scale in Sea Water Evaporators, F. C. Standiford and J. R. Sinek,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57, 58 (1961)

그러나 해수 그대로를 농축해 가는 경우에는 황산칼슘이 석출되는 농도 한계를 예측하는 데 도 9의 그래프가 도움이 되지만, NF막 등으로 해수 중의 황산이온, 칼슘 등의 이온을 제거한 해수를 농축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지표로는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NF막 등으로 해수 중의 황산이온, 칼슘 등의 이온을 제거한 경우, 해수에 녹아 있는 각종 이온 비율은 대폭으로 변화되게 되기 때문에 도 9의 그래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수 담수화 장치의 운전 관리를 실시했다고 해도 황산칼슘의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sea water is concentrated, the graph of FIG. 9 is helpful in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limit at which calcium sulfate is precipitated. However, in the case of concentrating the seawater from which ions such as sulfate ions and calcium ions have been removed by the NF membra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an effective index. That is, when ions such as sulfate ions and calcium ions in the seawater are removed by the NF membrane or the like, the various ion ratios dissolved in the seawater are greatly changed. Therefore,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is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in the graph of Fi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the scale of calcium sulfate from occurr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황산칼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하면서 효율 좋게 담수를 생성할 수 있는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장치,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한 조수 장치,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방법 및 조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f an evaporation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fresh water while preventing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scale, a fresh water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fresh water genera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운전 관리 장치로서,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와,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과,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수단과,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운전 관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driving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an evaporation apparatus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a for-treatment water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aturation solubility An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a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treatment water;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for-treatment water is compared with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An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that does not exceed a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Such that the operation condition is calculated by calculation means former condition is achieved by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the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vaporator.

이 운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은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total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and the ionic strength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based on a predetermined ionic strength approximation formula.

또한,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은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기초하여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tal solids solidifying means may include a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total solids solidifying means calculates the total solids solidifying means based on the total solids solids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dissolved solid content (TDS).

또한,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은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으로 되도록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may compare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to determine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The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changes the ionic strength value which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or the solubility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so as to be a product valu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가열함으로써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와 상기 어느 쪽인가의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chieved by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water by he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and a fresh water generator equipped with any one of the above operation management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운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단계와,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단계와,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단계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단계가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운전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a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condition of an evaporation apparatus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a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A step of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treatment water; a step of calculating an ionic strength value and a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step;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for-treatment water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by comparing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of the ionic strength at the temperatur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An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or; Such that the operating conditions is achieved by th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a driving condition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vaporator.

이 운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는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단계는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기초하여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is performed, and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is a step of calculating a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based on a predetermined ionic strength approximation formula.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onductivity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wherei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step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fraction based on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dissolved solid content (TDS).

또는 상기 운전 관리 방법은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는 도전율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제 2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r th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es a conductivity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and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is a step of calculating an ionic strength of ions to be treated based on a second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a relation between conductivity and ionic strength,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strength.

또한, 상기 운전 조건 산출 단계는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으로 되도록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with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o as to saturate the calcium sulfate Wherein the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changes the ionic strength value which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or the ionic strength value which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so as to be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운전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함으로써 담수를 생성하는 조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a fresh water generating method for generating fresh water by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와,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로서,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복수의 온도 하에서 미리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과,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과,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수단과,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선정하는 것과 함께, 상기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도를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온도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가열 온도를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조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chieved by a fresh water generator having an evaporation device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and a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vaporation device,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 which is obtained by predicting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at a plurality of temperatures, An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ionic strength value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and a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 By comparing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 Value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with respect to the value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is not more than the product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with respect to the value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And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so that the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황산칼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하면서 효율 좋게 담수를 생성할 수 있는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장치,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한 조수 장치, 증발 장치의 운전 관리 방법 및 조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n evaporation device, a fresh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 method for managing operation of an evaporation device, and a fresh water generating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fresh water while preventing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scale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이온 강도와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구한 이온 강도 근사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구한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복수의 온도 하에서 미리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해수를 NF막으로 처리한 경우의 해수의 조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해수 농축수 중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에 대하여 가열 온도와 농축 배수의 관계에 따라서 정리한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resh wat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of calcium sulfate against ionic strength.
FIG. 3 is a graph showing an ionic strength approximation formula obta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4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dissolved solids approximation formula obta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resh wat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s in which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of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ionic strength was calculated in advance at a plurality of temperatures. FIG.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resh wat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mpositional change of seawater when the sea water is treated with the NF membrane.
Fig. 9 is a graph summarizing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in seawater-concentrated wate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multiple.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증발 장치(4)의 운전 관리 장치(6) 및 이를 구비한 조수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of the evaporation devic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esh water generator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resh wat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수 장치(1)는 해수 등의 원수가 저장되는 탱크(2)와, 원수에 포함되는 스케일 성분을 제거하는 나노 여과막 장치(3a)와, 나노 여과 투과수(NFP)를 농축하는 RO막 장치(역침투막 장치)(3b)와, 증발 장치(4)와, 응축 장치(5)와,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관리하는 운전 관리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1, the fresh water generator 1 includes a tank 2 for storing raw water such as seawater, a nanofiltration membrane device 3a for removing scale components contained in raw water, a nanofiltration permeable water (NFP) An evaporator 4, a condenser 5 and a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for managing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evaporator 4, as shown in Fig. 1 .

나노 여과막 장치(3a)는 탱크(2)에 저장되는 해수 등의 원수에 포함되는 스케일 성분, 특히 황산이온(SO4 2-)의 대부분을 제거한다. RO막 장치(3b)는 나노 여과 투과수(NFP)를 농축하고, 증발 장치(4)에 의해 증발하는 피처리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나노 여과막 장치(3a) 및 RO막 장치(3b)는 탱크(2)와 증발 장치(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nanofiltration membrane device 3a removes most of the scale components, especially sulfuric acid ions (SO 4 2- ), contained in the raw water such as seawater stored in the tank 2. The RO membrane device 3b is a device for concentrating the nanofiltration permeated water (NFP) and producing water to be treated which is evaporated by the evaporation device 4. [ The nanofiltration membrane device 3a and the RO membrane device 3b are disposed between the tank 2 and the evaporation device 4.

증발 장치(4)는 가열함으로써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장치이고, 밀폐형의 증발실(41), 간접식 가열기(42) 및 피처리수를 살포하는 살포 노즐(43)을 구비하고 있다. 증발실(41) 내의 저부는 살포 노즐(43)로부터 전열관(421)에 살포된 피처리수의 일부가 전열관(421)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수증기로 되어 증발한 후의 농축수가 저장되는 농축수 저장부(4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증발실(41)의 저부에는 생성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농축수 배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실(41)의 상부에는 전열관(421)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전열관(421)의 외표면에서 생성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부(46)가 설치되어 있다.The evaporation device 4 is an apparatus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by heating and includes a closed evaporation chamber 41, an indirect heating device 42 and a spray nozzle 43 for spraying the water to be treated. A bottom por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41 is a concentrated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water to be treated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43 to the heat transfer pipe 421 is condensed as water vapor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421, (44).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ing portion 45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concentrated water to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vaporating chamber 41. A steam discharging portion 46 for discharging water vapo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ipe 421 to the outside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4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41.

간접식 가열기(42)는 증발실(41)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열관(421)과, 이들 복수의 전열관(421)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제 1 헤더(422), 제 2 헤더(42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헤더(422)는 전열관(421) 내에 증기를 유도하는 증기 도입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증기 도입부(47)에는 보일러 등의 증기 발생 수단(7)에서 생성되는 구동 증기를 유도하는 구동 증기 관로(90)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헤더(423)는 전열관(421)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전열관(421) 내에서 생성한 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담수 배출부(48)를 구비하고 있다.The indirect heating heater 42 has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421 provid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41 and a first header 422 and a second header 423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eat transfer tubes 421, . The first header 422 has a steam inlet 47 for introducing steam into the heat transfer tube 421. A drive steam pipe 90 for introducing the driv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means 7 such as a boiler is connected to the steam introduction portion 47. The second header 423 is provided with a fresh water discharge portion 48 for discharging the fresh water generated in the heat transfer pipe 421 to the outside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421.

살포 노즐(43)은 증발실(41)의 내부에서 간접식 가열기(4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피처리수 공급 관로(91)를 통하여 RO막 장치(3b)와 접속되어 있다. 이 살포 노즐(43)은 피처리수를 전열관(421)의 외표면을 향하여 살포하는 살포 수단이다.The spray nozzle 43 is dispos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41 above the indirect type heater 42 and is connected to the RO membrane apparatus 3b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91. This spraying nozzle 43 is spraying means for spraying the water to be treat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421.

증발실(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증기 배출부(46)에는 응축 장치(5)에 증기를 유도하는 증기 인출 관로(92)가 접속되어 있다. 응축 장치(5)는 도시하지 않는 냉각수 공급 관로로부터 유도된 냉각수에 의하여 증기 인출 관로(92)를 통하여 유도된 수증기를 간접적으로 냉각해서 응축수(담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냉각수로서는, 도시하지 않는 냉각탑 등에서 냉각된 공업용수나 냉동 장치에서 냉각된 냉수(칠러(chiller)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A vapor discharge pipe 92 for guiding steam to the condensing unit 5 is connected to the vapor discharge unit 46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41. The condensing device 5 is a device for indirectly cooling water vapor induced through the steam take-out duct 92 by cooling water derived from a cooling water supply pipe (not shown) to generate condensed water (fresh water). As the cooling water, there can be used industrial water cooled in a cooling tower or the like (not shown) or cold water (chiller water) cooled in a refrigerator.

운전 관리 장치(6)는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관리하는 장치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 기억부(61),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용해도곱 산출 수단(63),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 및 운전 조건 변경 수단(65)을 구비하고 있다.1,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is a device for managing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evaporation device 4.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includes a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storage device 61, an ion intensity calculation device 62, (63) for calculat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4), and an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65) for calculat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4).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 기억부(61)는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 매체이다.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는 예를 들면,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2, April, 1964”에 보고되어 있는 황산칼슘의 용해도에 관한 문헌값(표 1)을 채용하고, 이 값을 이온 강도와 용해도곱으로 환산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즉, 표 1에 나타내어진 NaCl용액 중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의 데이터(온도 범위 25∼200℃, NaCl농도 범위 0. 0∼6. 0Mol)를 모두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 포화 용해도곱으로 환산하여 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환산값의 일례로서, 125℃에 있어서의 무수 황산칼슘의 이온 강도와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X축은 이온 강도를, Y축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Ksp)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운전 온도가 125℃인 경우의 그래프인데, 운전 온도별로 동일한 그래프를 작성하여 운전 지침으로 할 수 있다.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torage unit 61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of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to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tored.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is described, for example, in "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Table 1) concerning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reported in " Calcium Sulfate, " 2, April, 1964 ", and converting this value into an ionic strength and a solubility product. That is, the data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in the NaCl solution shown in Table 1 (temperature range 25 to 200 ° C and NaCl concentration range 0. 0 to 6.0 mole) were all converted into ionic strength and calcium sulfat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s . Table 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anhydrous calcium sulfate at 125 캜 as an example of a specific conversion value. Fig. 2 shows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prepared based on the data shown in Table 2. Fig. The X axis of the graph in Fig. 2 represents ionic strength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Ksp) of calcium sulfate.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operation temperature at 125.degree.

Figure 112010061298843-pct00001
Figure 112010061298843-pct00001

무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Ksp)…온도 125℃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anhydrous calcium sulfate (K sp ) ... Temperature 125 ° C NaCla)
Molal
NaCl a)
Molal
CaSO4 b)
Molal
CaSO 4 b)
Molal
이온 강도
ionic strength
[mole/kgㆍH2O]
Ionic strength
ionic 강도
[mole / kg H 2 O]
포화 용해도곱(Ksp)
[Ca]*[SO4]
[㏖2/L2]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K sp )
[Ca] * [SO4]
[Mol 2 / L 2 ]
00 0.00250.0025 0.009900.00990 6.10E-066.10E-06 0.010.01 0.00310.0031 0.022490.02249 9.67E-069.67E-06 0.030.03 0.00390.0039 0.045770.04577 1.53E-051.53E-05 0.060.06 0.00480.0048 0.079550.07955 2.32E-052.32E-05 0.10.1 0.00590.0059 0.123960.12396 3.43E-053.43E-05 0.30.3 0.00950.0095 0.340830.34083 9.03E-059.03E-05 0.60.6 0.01300.0130 0.661490.66149 1.69E-041.69E-04 1One 0.01660.0166 1.090761.09076 2.76E-042.76E-04 22 0.02250.0225 2.182042.18204 5.06E-045.06E-04 33 0.02650.0265 3.311093.31109 7.02E-047.02E-04 44 0.02940.0294 4.483704.48370 8.64E-048.64E-04 66 0.03400.0340 6.980786.98078 1.16E-031.16E-03 1010 0.03940.0394 12.6902012.69020 1.55E-031.55E-03

주) a), b)의 값은 문헌(W.L.Marshall et al.Journal of Chemical andNOTE The values of a) and b) are described in W. L. Marshall et al.

Engineering Data Vol.9,No.2,(1964))으로부터 인용.
Engineering Data Vol. 9, No. 2, (1964)).

또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 기억부(61)가 저장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2, April, 1964”에 보고되어 있는 황산칼슘의 용해도에 관한 문헌값(표 1)을 채용하고, 이 값을 이온 강도와 용해도곱으로 환산함으로써 작성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이온 강도가 다른 해수를 복수 준비하고, 각각에 대하여 가열 온도를 바꾸어서 증발시켜서 황산칼슘이 석출되는 농도를 확인함으로써도 작성할 수 있다.Further,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tored in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torage unit 61 is referred to as "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Table 1) concerning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reported in " Calcium Sulfate Calcium Sulfate ", " It is also possible to prepare a plurality of seawater and to evaporate them by varying the heating temperature for each of them to confirm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calcium sulfate is precipitated.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은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면, 피처리수가 나노 여과막 장치(3a) 및 RO막 장치(3b)에 의해 해수로부터 생성되는 것이면,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주요 이온 성분(Na이온, Ca이온, Mg이온, K이온, Cl이온, SO4이온 등)의 농도를 이온 분석계(621)에 의해 측정하고, 하기의 식 1에 기초하여 산출한다.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is means for calculat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For example, if the water to be treated is generated from seawater by the nanofiltration membrane device 3a and the RO membrane device 3b, the main ion components (Na ion, Ca ion, Mg ion, K ion, Cl ion, SO 4 ion, etc.) is measured by an ion analyzer 621 and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Equation 1)

IC: 1/2Σ(mi×Zi2)IC: 1/2? (M i x Z i 2 )

IC: 용액의 이온 강도[㏖/kgㆍH2O]IC: ionic strength of solution [mol / kg H 2 O]

mi: 각 이온의 몰농도[㏖/kgㆍH2O]m i : the molar concentration of each ion [mol / kg H 2 O]

Zi: 각 이온의 전하Zi: charge of each ion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은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수단이다. 이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은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Ca이온 및 SO4이온의 농도를 황산칼슘 농도계(631)에 의해 측정하고, 하기의 식 2에 기초하여 산출한다.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is a means for calculating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contained in the for-treatment water.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Ca ions and SO 4 ions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by the calcium sulfate concentration meter 631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Equation 2)

IPC: [Ca]×[SO4]IPC: [Ca] x [SO 4 ]

IPC: 황산칼슘의 용해도곱[㏖2/L2]IPC: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mol 2 / L 2 ]

[Ca]: Ca이온의 몰농도[㏖/L][Ca]: molar concentration of Ca ion [mol / L]

[SO4]: SO4이온의 몰농도[㏖/L][SO 4 ]: molar concentration of SO 4 ion [mol / L]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은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의 관계와,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 기억부(61)가 기억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를 넘지 않는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한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 용해도곱값의 관계가 도 2의 A점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넘는 것인 경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 용해도곱값의 관계가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보다도 아래의 영역에 위치하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 또는 이온 강도의 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saturated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torage unit 61,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and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device 4 is calcul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water to be treated and the product of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is saturated When the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is exceeded, the solubility product of the calcium sulfate located in the region below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water to be treated and the product of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s calculated .

또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 또는 이온 강도의 값은 증발 장치(4)의 담수 회수율과, 증발 장치(4)에서 생성되는 농축수의 농도인 최고 브라인 농도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도 있다.The value of the solubility product or ionic strength of calcium sulfate can be determined by inversely calculating the fresh water recovery rate of the evaporation device 4 and the highest brine 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ated water produced in the evaporation device 4.

일반적으로 증발 장치의 담수 회수율(a)과 급수 농도(Cf)가 설정되면, 최고 브라인 농도(Cb)는 Cb=Cf×(1/(1-a))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Generally, when the fresh water recovery rate (a) and the water supply concentration (Cf) of the evaporation apparatus are set, the maximum brine concentration Cb can be calculated from Cb = Cf x (1 / (1-a)).

또한, 증발 장치의 최고 브라인 농도가 높아지면 비점 상승도 높아져서 증발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증발 장치에 허용되는 최고 브라인 농도의 상한에는 당연히 제약이 있다. 최고 브라인 농도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상정되는 최고 브라인 농도 및 운전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설정된 회수율로부터 구한 급수 농도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소정의 운전 온도에서의 급수 농도로부터 산출한 이온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Further, when the maximum brine concentration of the evaporator is increased, the boiling point of the boiling point is also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e maximum brine concentration allowed in the evaporator is naturally limit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so that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at the highest brine concentration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determined by the supposed maximum brine concentration and the operation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roduct of the solubility of the calcium sulfate in the feed water concentration obtained from the re-set recovery rate so as not to exceed the product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the calcium sulfate determin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ed from the feed water concentration a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emperature.

운전 조건 변경 수단(65)은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이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이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넘지 않는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으로 되도록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RO막 장치(3b) 및 증발 장치(4)를 접속하는 피처리수 공급 관로(91)와 탱크(2)를 접속하는 관로(93)의 도중에 배치되는 밸브(931)에 개폐 지령을 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피처리수에 해수를 혼입함으로써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역침투막 농축수 등을 혼합함으로써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The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65 is means for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4 so that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is changed. Specifically,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so that the ionic strength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 The valve 931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93 connecting the RO membrane apparatus 3b and the evaporator 4 to the water treatment pipe 91 and the tank 2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or the product of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by introducing seawater into the for-treatment water. Further, for example, the ion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may be controlled by mixing reverse osmosis membrane-concentrated water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운전 관리 장치(6)는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기초하여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곱을 넘지 않도록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증발 장치(4) 내부에 황산칼슘의 스케일이 석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us,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device 4 so that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scale of calcium sulfate from being precipitated in the evaporation device 4. [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이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Na이온, Ca이온, Mg이온 등의 주요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식 1에 기초해서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이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을 피처리수 공급 관로(91)에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데는, 피처리수의 일정량을 증발 건조 응고하여 녹아 있는 전체 고형물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on intensity calculating means 62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main ion components such as Na ions, Ca ions, Mg ions, etc.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may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based on the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and the ionic strength . 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otal dissolved solids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is provided in the for-treatment water supply line 91. Further,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n be calculated by evaporating a certain amount of the water to be treated by dry solidification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total solid dissolved therein.

이온 강도 근사식은 해수의 조성, NF막 처리 해수의 조성, NF막 처리 해수를 RO막으로 농축한 해수의 조성, 각각을 혼합한 MED급수, MED농축 브라인 등, 각종 시료의 조성(Na이온, Ca이온, Mg이온, K이온, Cl이온, SO4이온, TDS, 도전율)을 각각 분석하여 얻은 데이터를 상기의 식 1에 준하여 해석해서 구한 이온 강도를 기준으로 하고, 하기와 같이, 이 이온 강도와 TDS의 관계식(식 3) 및 TDS와 도전율의 관계식(식 4)이 성립되는 것을 발견했다. 도 3에 이온 강도와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구한 이온 강도 근사식의 그래프를 나타낸다.The ionic strength approximation is based on the compositions of various sampl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sea water, the composition of NF membrane treated seawater, the composition of NF membrane treated seawater, (I), Mg ion, K ion, Cl ion, SO 4 ion, TDS, conductiv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ion intensity obtained by analyzing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1) A relation of TDS (Equation 3) and a relation of TDS and conductivity (Equation 4) are established. Fig. 3 shows a graph of an ionic strength approximation formula obta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식 3)(Equation 3)

Y=a1X2+a2X+a3 Y = a 1 X 2 + a 2 X + a 3

다만,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계수(a1, a2, a3)는 피처리액의 농도 레벨과, 그 농축률에 의해 변동되는데, 하기 범위에서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다.However, the coefficients (a 1 , a 2 , a 3 ) in the formula ( 3 )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level of the liquid to be treated and the concentration ratio thereof.

―2. 2×10―12<a1<―1. 8×10-12 -2. 2 x 10 < 12 < a 1 < -1. 8 × 10 -12

1. 8×10-5<a2<2. 2×10―5 1. 8 x 10 -5 < a 2 < 2. 2 x 10 -5

-0. 00393<a3<-0. 0321-0. <A 3 <-0. 0321

여기에서, Y는 근사식에 의해 산출되는 피처리수의 이온강도[㏖/㎏ㆍH2O]이며, X는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L]이다.Here, Y is the ionic strength [mol / kg · H 2 O]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lculated by the approximate formula, and X is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mg / L] of the water to be treated.

이와 같이,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대입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함으로써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Na이온, Ca이온, Mg이온 등의 주요 이온 성분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지 않고, 매우 간편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황산칼슘의 스케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율 좋게 담수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lculated by the total solid content calculation means is substituted into the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very easily and accurately without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ion components such as Na ion, Ca ion and Mg ion contained in the for-treatment water by calculating the intensity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duce fresh water while preventing scale of calcium sulfate from being precipitated.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은 피처리수의 일정량을 증발 건조 응고하여 녹아 있는 전체 고형물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것은 비교적 수고가 들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이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기초하여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수단을 피처리수 공급 관로(91)에 구비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means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olid matter dissolved by evaporating and dr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water to be treated,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alculate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water to be treated, which results in poor efficiency. Thus, for example,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means may calculate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on the basis of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When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91 for the water to be treated.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도 상기 이온 강도 근사식과 마찬가지로 해수의 조성, NF막 처리 해수의 조성, NF막 처리 해수를 RO막으로 농축한 해수의 조성, 각각을 혼합한 MED급수, MED농축부 라인 등, 각종 시료의 조성을 분석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식이 하기의 식 4로 나타내는 2차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도 4에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구한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의 그래프를 나타낸다.As in the above ion intensity approximation formula, the composition of the sea water, the composition of the NF membrane-treated seawater, the composition of the NF membrane-treated seawater, the composition of the sea water concentrated by the RO membrane,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can be represented by a quadratic expression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 4 shows a graph of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ion formula obta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식 4)(Equation 4)

Y=b1X2+b2X+b3 Y = b 1 X 2 + b 2 X + b 3

다만,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계수(b1, b2, b3)는 피처리액의 농도 레벨과 그 농축률에 의해 변동되는데, 하기 범위에서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다.However, the coefficients (b 1 , b 2 , b 3 ) in the formula (4)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level of the liquid to be treated and the concentration ratio thereof.

1. 8×10-6<b1<2. 2×10-6 1. 8 x 10 -6 <b 1 <2. 2 x 10 -6

0. 4798<b2<0. 58540. 4798 <b 2 <0. 5854

944<b3<1154944 <b 3 <1154

여기에서, Y는 근사식에 의해 산출되는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L]이며, X는 도전율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피처리수의 도전율[μS/㎝]이다.Here, Y is the total solids solid content (TDS) [mg / L]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lculated by the approximate equation and X is the conductivity [占 / / cm] of the water to be treated detected by the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이와 같이,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도전율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대입하여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함으로써 단순히 피처리수의 도전율과 Ca이온 및 SO4이온의 농도를 계측하는 것만으로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 용해도곱을 지표로 한 증발 장치(4)의 운전 관리를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Thus,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detected by the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is substituted for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ion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solid content of solids (TDS),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evaporation device 4 whose product is the product of the ionic strength and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solely by measur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and the concentration of Ca ions and SO 4 ions.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이용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2), 나노 여과막 장치(3a), RO막 장치(3b), 증발 장치(4)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가 구비하는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tank 2, a nanofiltration membrane unit 3a, an RO membrane unit 3b and an evaporator 4 as shown in Fig. 5, Is the same as the apparatus provided in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에 있어서의 운전 관리 장치(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 기억부(66),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용해도곱 산출 수단(63), 증발 장치(4)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 및 운전 조건 변경 수단(6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in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group storage unit 66, an ionic strength calculating unit 62, A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and an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or 4 and an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65. [ Since the ion intensity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 기억부(66)는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복수의 온도 하에서 미리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 매체이다. 복수의 온도화에 있어서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2, April, 1964”에 보고되어 있는 황산칼슘의 용해도에 관한 문헌값(표 1)을 채용하고, 이 값을 이온 강도와 용해도곱으로 환산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즉, 표 1에 나타내어진 NaCl용액 중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의 데이터(온도 범위 25∼200℃, NaCl농도 범위 0. 0∼6. 0Mol)를 모두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으로 환산하여 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소정 온도 범위의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그래프화한 것(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X축은 이온 강도를, Y축은 포화 용해도곱(Ksp)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는 T1℃, 125℃, T2℃, T3℃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T1℃, 125℃, T2℃, T3℃의 각 온도는 T1<125℃<T2℃<T3℃로 되는 온도 관계를 갖고 있다. 또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동일 이온 강도에 대한 포화 용해도곱(Ksp)의 값이 낮아져서 CaSO4가 석출될 위험성이 높아진다.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 storage section 66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obtained by previously calculating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of the ionic strength and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s stored at a plurality of temperatures .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at a plurality of temperatures can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quot;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ring Data Vol. 13 No. (Table 1) concerning the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reported in &quot; Calcium Sulfate, &quot; 2, April, 1964 &quot;, and converting this value into an ionic strength and a solubility product. That is, the saturation solubility data (temperature range of 25 to 200 ° C and NaCl concentration range of from 0 to 6.0 mol) of calcium sulfate in the NaCl solution shown in Table 1 were all converted into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s of ionic strength and calcium sulfate Can be obtained by organizing. Fig. 6 shows a graph (a group of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s data)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 intensity at the obtained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The X axis of the graph in Fig. 6 represents the ionic strength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Ksp). Fig. 6 shows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s at temperatures of T1 ° C, 125 ° C, T2 ° C and T3 ° C. T1, 125 deg. C, T2 deg., And T3 deg. C have a temperature relationship of T1 &lt; 125 deg. &Lt; T2 deg. In addition, the lowered value of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Ksp) of the same ionic strength,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e higher the risk of a CaSO 4 precipitation.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은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을 비교함으로써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선정하는 것과 함께, 선정한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한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도 6에 있어서의 B점인 경우, 이 B점은 T1℃, 125℃ 및 T2℃에 있어서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보다도 아래쪽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은 T1℃, 125℃ 및 T2℃의 온도 중의 최고 온도인 T2℃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compares the ion intensity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with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in which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valu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is selected and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selected is calculated. For example, when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3 is the point B in Fig. 6, Is lower than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at T1 占 폚, 125 占 폚 and T2 占 폚,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calculates T2 占 폚, which is the highest temperature among the temperatures of T1 占 폚, 125 占 폚 and T2 占.

운전 조건 변경 수단(65)은 증발 장치(4)에 있어서의 구동 온도가 운전 조건 산출 수단(64)이 산출한 온도(예를 들면, T2℃)로 되도록 보일러 등의 증기 발생 수단(7)으로부터 증발 장치(4)에 보내어지는 증기의 양을 제어한다.The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65 changes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4 from the steam generating means 7 such as a boiler so that the driving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4 becomes the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4 And controls the amount of steam sent to the evaporator 4. [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에 따르면, 운전 관리 장치(6)가 황산칼슘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 장치(4)의 구동 온도 조건을 산출하고, 그 온도 하에서 증발 장치(4)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스케일 석출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효율 좋게 담수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calculates the driving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device 4 capable of preventing scale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precipitation of scale and to produce fresh water efficiently.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1)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이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식 3)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Also in the fresh wat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2 calculates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adv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And the ion intensity may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ion intensity approximation formula (Eq. 3).

또한,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이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식 4)에 기초하여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Further,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water to be treated i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e expression (Formula 4)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water may be calculated.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일한 증발 장치(4)를 구비하도록 조수 장치(1)를 구성하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증발 장치(4)를 직렬적으로 접속하는 다중 효용형의 증발 장치(4)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중 효용형의 증발 장치(4)를 구비하도록 한 경우, 각 증발 장치(4)가 운전 관리 장치(6)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각 운전 관리 장치(6)가 갖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62) 및 용해도곱 산출 수단(63)이 각 증발 장치(4)에 있어서의 살포 수단이 살포하는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각각 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증발 장치(4)에 황산칼슘의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음료용 등의 담수를 제조할 수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resh water generator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ngle evaporator 4, but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evaporators 4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a multi-effusion evaporator 4 connected to the evaporator 4 through a pipe. In the case where the multiple effect type evaporation device 4 is provided, each evaporation device 4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The ion intensity calculation means 62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on means 63 of each operation management device 6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of the water to be treated sprayed by the spraying means in each evaporator 4 and the ionic strength of the calcium sulfate Solubility products are calculated.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duce fresh water such as beverage while preventing the scale of calcium sulfate from being generated in each evaporator 4.

또한,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X에 상기 식 4의 Y를 대입함으로써 구해지는, 도전율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제 2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도전율 검지 수단에 의하여 검지되는 도전율로부터 직접적으로 이온 강도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온 강도의 산출을 보다 신속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urther, from the conductivity detected by the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on the basis of the second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ionic strength, which is obtained by substituting Y in the formula (4) into X in the above formula The ionic strength may be directly calculated. With this configu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more quickly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1: 조수 장치 2: 탱크
3a: 나노 여과막 장치 3b: RO막 장치
4: 증발 장치 5: 응축 장치
6: 운전 관리 장치 61: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 기억부
62: 이온 강도 산출 수단 63: 용해도곱 산출 수단
64: 운전 조건 산출 수단 65: 운전 조건 변경 수단
7: 증기 발생 수단
1: fresh water generator 2: tank
3a: Nanofiltration membrane device 3b: RO membrane device
4: evaporator 5: condenser
6: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61: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storage unit
62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63: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64: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65: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7: steam generating means

Claims (12)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관리하고, 상기 증발 장치를 황산칼슘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 조건으로 자동으로 제어하는 운전 관리 장치로서,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와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와,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과,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수단과,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하고, 산출한 상기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산출한 상기 이온 강도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는 경우,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운전 관리 장치.
The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conditions of an evaporation apparatus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vaporation apparatus to an operation condition capable of preventing scale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determined in advance by a product of the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A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is compared with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of the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Of the water to be treated supplied to the evaporation apparatus exceeds the saturation solubility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in the evaporation apparatus, the product value of the solubility of the calcium sulfate to the ion intensity value of the water to be treated supplied to the evaporation apparatus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ondition calculating means,
And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such that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is 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은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운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ionic strength on the basis of the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and the ionic strength
Operation managemen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수단은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기초하여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운전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conductiv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based on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total solid content of solids (TDS)
Operation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은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으로 되도록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변경하는
운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calcium concentration of calcium sulfate to ionic strength based on the ion intensity value calculated by the ion intensity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The solubility product of the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or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is calculated,
The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changes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so that the ionic strength value or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on means
Operation management device.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가열함으로써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와 청구항 1에 기재된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
Comprising an evaporation device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for-treatment water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ssistant device.
이온 강도 산출 수단, 용해도곱 산출 수단, 운전 조건 산출 수단 및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관리하고, 상기 증발 장치를 황산칼슘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 조건으로 자동으로 제어하는 운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이,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단계와,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이,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단계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하고, 산출한 상기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산출한 상기 이온 강도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는 경우,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단계와,
상기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이, 상기 운전 조건 산출 단계가 산출한 운전 조건으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운전 관리 방법.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evaporation apparatus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is managed by heating using the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ion intensity calculating means,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and the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 A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vaporator to an operation condition capable of preventing scale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Wherein the ion intensity calculating means includes an ion intensity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ion intensity in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vaporizer while the evaporator is in operation,
Wherein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comprises a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step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And when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ulated calcium sulfate exceeds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at the calculated ionic strength, the saturated water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which is supplied to the evaporation apparatus,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evaporation apparatus in which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the calcium sulfate with respect to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evaporation apparatus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Wherein the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includes an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vaporator so that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step is chang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는 전체 용해 고형분(TDS)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운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total dissolved solid fraction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ionic strength on the basis of the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and the ionic strength
Driving management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체 용해 고형분 산출 단계는 도전율과 전체 용해 고형분(TDS)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전체 용해 고형분 근사식에 기초하여 전체 용해 고형분(TDS)을 산출하는
운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ductivity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on the basis of the total dissolved solid matter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 (TDS)
Driving management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의 도전율을 검지하는 도전율 검지 단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 강도 산출 단계는 도전율과 이온 강도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제 2 이온 강도 근사식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운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conductivity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conductivity of the for-treatment water,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ionic strength based on a second ionic strength approximate formula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uctivity and the ionic strength
Driving management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건 산출 단계는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온 강도에 대한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은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이온 강도값,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으로 되도록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 또는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변경하는
운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an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of the solubility product of the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or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is calculated,
The operation condition changing means changes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or the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so that the ionic strength value or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condition calculation means
Driving management method.
청구항 6에 기재된 운전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함으로써 담수를 생성하는
조수 방법.
The water for treatment including calcium sulfate i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th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described in claim 6 to generate fresh water
Assistant method.
가열함으로써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피처리수를 증발 농축하는 증발 장치와,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조건을 관리하고, 상기 증발 장치를 황산칼슘의 스케일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 조건으로 자동으로 제어하는 운전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로서,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 및 황산칼슘의 포화 용해도곱의 관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복수의 온도 하에서 미리 산출한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군과,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이온 강도를 산출하는 이온 강도 산출 수단과,
상기 증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에 있어서의 황산칼슘의 용해도곱을 산출하는 용해도곱 산출 수단과,
상기 이온 강도 산출 수단 및 상기 용해도곱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온 강도값 및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과 상기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증발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피처리수의 이온 강도값에 대한 황산칼슘의 용해도곱값이 포화 용해도곱값을 넘지 않는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를 선정하는 것과 함께, 상기 소정의 포화 용해도곱 곡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도를 산출하는 운전 조건 산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산출 수단이 산출한 온도로 되도록 상기 증발 장치의 가열 온도를 변경하는 운전 조건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조수 장치.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ing calcium sulfate by heating and a contro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evaporator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vaporator to an operation condition capable of preventing the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A fresh water generator having a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includes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groups obtained by predicting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predetermined in advance by a relationship of a product of ionic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aturation solubility of calcium sulfate at a plurality of temperatures,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A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solubility product of calcium sulfate in the for-treatment 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And comparing the ionic strength value and the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calculated by the ionic strength calculating means and the solubility product calculating means with the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to calculate the ionic strength value of the water to be treated supplied to the evaporation apparatus Calculating a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in which a solubility product value of calcium sulfate does not exceed a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value and calculating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aturation solubility product curve data;
And operating cond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so that the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operating condition calculating means.
KR1020107021163A 2009-02-06 2010-02-04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KR1016669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5641 2009-02-06
JP2009025641 2009-02-06
JP2009123051 2009-05-21
JPJP-P-2009-123051 2009-05-21
PCT/JP2010/051640 WO2010090273A1 (en) 2009-02-06 2010-02-04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518A KR20110119518A (en) 2011-11-02
KR101666920B1 true KR101666920B1 (en) 2016-10-17

Family

ID=4254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163A KR101666920B1 (en) 2009-02-06 2010-02-04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43727B2 (en)
KR (1) KR101666920B1 (en)
CN (1) CN102066264B (en)
WO (1) WO201009027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967A (en) * 2011-05-18 2012-12-10 Ihi Corp System and method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CN104436731B (en) * 2014-11-25 2016-05-11 上海试四赫维化工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division box of ethyl acetate backflow reaction
CN113758978B (en) * 2021-08-31 2024-03-2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Method for calculating liquid phase sulfur (IV) substance content of wet desulfurization slurry based on ORP val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668A (en) * 2007-04-27 2008-11-13 Saline Water Conversion Corp Water producing apparatus and water produc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84A (en) * 1982-07-20 1984-01-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ontrol device for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 in desalting device for sea water
JPH01104399A (en) * 1987-10-15 1989-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Prevention of scale deposition
EP1206414B1 (en) 1999-08-20 2003-06-25 L.E.T. Leading Edge Technologies Limited A salt water desalination process using ion selective membranes
CN100506717C (en) * 2006-06-21 2009-07-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of dilute thiam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668A (en) * 2007-04-27 2008-11-13 Saline Water Conversion Corp Water producing apparatus and water produc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alination, 72, 275-292 (1989)*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ering Data, 13, 83-93 (1968)*
Physicochemical Treatment Processes, Vol 3, Chemical Precipitation Chapter (page 149)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518A (en) 2011-11-02
JPWO2010090273A1 (en) 2012-08-09
WO2010090273A1 (en) 2010-08-12
JP4743727B2 (en) 2011-08-10
CN102066264B (en) 2013-07-10
CN102066264A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44B1 (en) Desal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salination
JP5089236B2 (en) Fresh water generator and fresh water generation method
Zhang et al. Review of thermal efficiency and heat recycling in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es
US6998053B2 (en) Water desalination process using ion selective membranes
ES2197114T3 (en) SALT WATER DESALINATION PROCEDURE USING ION SELECTIVE MEBRANES.
JP6333573B2 (en) Fresh water generator and fresh water generation method
US11192802B2 (en) Desaliniz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GB2101578A (en) Alkaline scale abatement
KR101666920B1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vaporization device, fresh water generato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fresh water-generating method for vaporization devices
Gryta Water desalination using membrane distillation with acidic stabilization of scaling layer thickness
CN106605042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erating steam turbine plant in combination with thermal water treatment
JP6194054B2 (en) Multi-effect desalination apparatus in which acid is partially added to some effect machines and desal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Dayanandan et al. Studies on membrane distillation towards mitigating thermal pollution
WO2002073099A1 (en) Solar thermal system with solar pond and method of maintaining solar pond
İnce et al.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n membrane distillation of cooling tower blowdown water
KR101853451B1 (en) Multi-effect distillator with partial acid dosing and desal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2239968A (en) Seawater-desalin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Tzen Desalination technologies
JP2004132664A (en) Utility wat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vapor compression refrigerator
WO2006048933A1 (en) Method of preventing alkali scale deposition in brine circulation typ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Boglovskii et al. Setting up the water chemistry for thermal water treatment
Marcovecchio et al. Hybrid Desalination Systems: Alternative Designs of Thermal and Membrane Processes.
JPS5824398A (en) Reduction of alkaline scale
JPS5920361B2 (en) How to evaporate liquids
KR20150079197A (en) MED with Brine Recirc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