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25B1 - 연속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25B1
KR101666125B1 KR1020160104881A KR20160104881A KR101666125B1 KR 101666125 B1 KR101666125 B1 KR 101666125B1 KR 1020160104881 A KR1020160104881 A KR 1020160104881A KR 20160104881 A KR20160104881 A KR 20160104881A KR 101666125 B1 KR101666125 B1 KR 10166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rucible
crucible
hole
outflow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김사선
김장순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대근
김사선
김장순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김사선, 김장순, 김희수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16010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진공챔버;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에 위치되는 내도가니; 그라파이트로 제작되어 상기 내도가니가 내부에 인입되되, 내측면과 상기 내도가니의 외측면이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외도가니; 상기 내도가니와 외도가니 사이에 채워지는 축로재; 상기 외도가니의 측벽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유도코일; 상하방향으로 유출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내도가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외도가니의 저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유출슬리브; 및 상측이 상기 유출슬리브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진공챔버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공과 일렬로 배열된 배출공을 구비하는 연주다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장치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비철금속 등을 연속적으로 주조하기 위한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불순물 발생률은 낮아지고 도가니의 수명은 길어질 수 있도록 도가니 및 연주다이스의 구조가 개선된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로 산업화된 금속주조 산업이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래식 공정의 고유 특성인 노동집약성으로 인한 인건비를 절감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다한 장치시설비, 에너지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공정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압연 혹은 정련에서 신공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용융금속으로부터 중간공정들을 생략하거나 혹은 직접 최종형상에 근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술은 생산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질의 향상을 기할수도 있기 때문에 동합금 등의 비철금속에 대한 이러한 연속주조 공정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에서의 구성장치별 요소기술을 분류하여 보면, 턴디쉬에 대한 기술, 주형에 대한 기술, 주편(stand)에 대한 기술로 분류된다. 이중, 주형에 대한 기술로 이루어진 연속주조 방식은 냉각주형 방식과 가열주형 방식 그리고 냉각주형 방식과 가열주형 방식이 겸비된 혼합형 주형 방식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는 금속 또는 합금이 수용되는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여 도가니 내의 금속 또는 합금을 용해시키는 가열코일과, 도가니 내에서 용해된 용탕을 배출하면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주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가니는 고주파에 의한 발열효율이 높은 그라파이트(흑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해된 금속물질에 그라파이트와 반응하는 원소가 있어 불순물이 생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가니를 알루미나 등과 같은 세라믹으로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세라믹은 그라파이트에 비해 발열효율이 낮고, 크랙 발생 시 도가니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56477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주파에 의한 발열 효율이 우수하고, 도가니 중 용해된 금속물질과 직접 접촉되는 부위가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불순물 발생률이 낮으며, 내도가니와 외도가니 사이에 축로재가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도가니의 수명이 긴 연속주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진공챔버;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에 위치되는 내도가니; 그라파이트로 제작되어 상기 내도가니가 내부에 인입되되, 내측면과 상기 내도가니의 외측면이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외도가니; 상기 내도가니와 외도가니 사이에 채워지는 축로재; 상기 외도가니의 측벽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유도코일; 상하방향으로 유출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내도가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외도가니의 저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유출슬리브; 및 상측이 상기 유출슬리브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진공챔버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공과 일렬로 배열된 배출공을 구비하는 연주다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유출슬리브는 질화붕소(Boron Nitride)로 제작된다.
상기 유출슬리브는 입방정계 질화붕소(c-BN)로 제작된다.
상기 내도가니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슬리브는, 상기 내도가니의 관통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내도가니의 저면이 안착되는 내도가니 안착턱이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의 상단은 상기 내도가니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의 내벽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공의 내벽 중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지점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주다이스의 상단은 상기 외도가니의 바닥판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연주다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유출슬리브의 하측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외도가니의 저면이 안착되는 외도가니 안착턱이 형성된다.
상기 연주다이스 중 상기 진공챔버 외부로 인출된 부위를 둘러싸는 냉각자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그라파이트로 제작되는 외도가니와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내도가니로 구성되어 고주파에 의한 발열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불순물 발생률이 낮고, 내도가니와 외도가니 사이에 축로재가 채워져 내도가니의 사용수명이 길어지며, 각 구성요소 간의 팽창률 차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연속주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에 포함되는 도가니와 연주다이스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에 포함되는 유출슬리브가 내도가니와 연주슬리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에 포함되는 도가니와 연주다이스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팔라듐이나 은 등과 같은 비철금속을 연속주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주파에 의해 쉽게 발열됨과 동시에 불순물 발생량을 감소될 수 있고, 내도가니(200) 내의 용융된 금속물질이 인출될 때 열팽창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진공챔버(100)와,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상기 진공챔버(100) 내에 위치되는 내도가니(200)와, 그라파이트로 제작되어 상기 내도가니(200)가 내부에 인입되는 외도가니(300)와, 상기 내도가니(200)의 외측면과 상기 외도가니(300)의 내측면 사이에 채워지는 축로재(400)와, 상기 외도가니(300)의 측벽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500)와, 상기 인슐레이터(500)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유도코일(600)과, 상하방향으로 유출공(710)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내도가니(2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외도가니(300)의 저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유출슬리브(700)와, 상기 유출슬리브(700)를 통해 인출되는 유동성 금속물질을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연주다이스(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도가니(200)는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등의 세라믹으로 제작되는바, 내부에서 금속물질이 용융되더라도 용융된 금속물질과의 반응에 의한 이물질 발생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도가니(300)는 고주파에 의한 발열효율이 높은 그라파이트로 제작되는바, 내도가니(200) 내로 제공된 금속물질을 효과적으로 용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내도가니(200)와 그라파이트로 제작되는 외도가니(300)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내도가니(200)와 외도가니(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세라믹은 일반적으로 장시간 고온으로 가열되었을 때 크랙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내도가니(200)에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내도가니(200) 내의 용융된 금속물질이 그라파이트 재질의 외도가니(300)와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내도가니(200)와 외도가니(300) 사이에 세라믹 입자 형태의 축로재(400)가 채워진다. 상기 축로재(400)는 세라믹 성분의 입자로 구성되어 고온으로 가열되었을 때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는바, 내도가니(200)의 크랙을 통해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유출되었을 때 고형으로 경화되어 용융된 금속물질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그라파이트로 제작된 외도가니(300)에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접촉되면 금속물질 내의 일부 원소가 외도가니(300)와 반응하여 불순물이 생성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내도가니(200)와 외도가니(300) 사이에 축로재(400)가 채워지면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내도가니(200)에서 유출되더라도 외도가니(300)와는 접촉되지 아니하는바 불순물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내도가니(200)에서 용융된 금속물질을 특정 형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연주다이스(800) 역시 외도가니(300)와 마찬가지로 그라파이트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곧바로 연주다이스(800)로 유입되면 용융된 금속물질이 외도가니(300)와 접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순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물론, 용융된 금속물질이 어느 정도 냉각된 이후에는 연주다이스(800)와 접촉하더라도 불순물이 발생되지 아니하지만, 도가니에서 유출되는 시점의 금속물질은 매우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이므로 연주다이스(800)와 접촉되는 경우 다량의 불순물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도가니의 출구 측에 장착된 유출슬리브(700)를 거친 후 연주다이스(8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유출슬리브(700)는 질화붕소(Boron Nitride) 등과 같이 고온의 금속물질과 접촉되더라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재료로 제작되는바, 도가니에서 인출된 고온의 용융 금속물질이 상기 유출슬리브(700)를 통과하더라도 불순물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유출슬리브(700)는, 질화붕소 중 용융된 금속물질과의 반응성이 낮으면서도 경도 및 강도가 우수한 입방정계 질화붕소(c-BN)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유출슬리브(700)는 도가니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금속물질과 접촉하였을 때 불순물을 생성시키지 아니한다면 어떠한 종류의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유출슬리브(700)를 통과한 금속물질은 그라파이트 재질의 연주다이스(800)와 접촉되지만,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유출슬리브(700)를 통과하는 동안 일정 수준 냉각되므로, 상기 연주다이스(800)와 접촉되는 금속물질은 그라파이트와 반응을 일으키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불순물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내도가니(200)에서 인출되는 금속물질이 그라파이트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슬리브(700)를 내도가니(200)와 동일한 재질 즉, 세라믹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제안될 수 있지만, 세라믹과 그라파이트는 열팽창률이 크게 차이나므로, 고온의 금속물질이 내부를 흐르는 동안 유출슬리브(700)와 연주다이스(8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내도가니(200) 내의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연주다이스(800)에 직접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내도가니(200)에서 인출되는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을 연속주조 방식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주다이스(800)의 배출공(810)과 유출슬리브(700)의 유출공(710)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세라믹은 이와 같은 정밀 제작에 한계가 있는바 세라믹으로 유출슬리브(700)를 제작하는 경우 정밀한 연속주조가 불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슬리브(700)는 열팽창률이 세라믹과 그라파이트 중간 정도의 값을 가지면서, 정밀 제작이 가능한 입방정계 질화붕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주다이스(800)는 상측이 유출슬리브(70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측이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금속물질을 특정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배출공(810)이 유출공(710)과 일렬로 배열된다. 따라서 유출슬리브(700)의 유출공(710)을 통해 유출된 금속물질은 연주다이스(800)의 배출공(810)을 통해 배출되면서 배출공(810)의 형상에 맞춰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또한, 금속물질을 용융시키기 위한 내도가니(200) 및 외도가니(300)와, 용융된 금속물질을 연주다이스(800)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슬리브(700)는, 고온의 환경에서 오랜 시간 노출되므로 산소와 접촉되었을 때 예상치 못한 반응이 발생되거나 산화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내도가니(200)와 외도가니(300), 인슐레이터(500), 유도코일(600), 유출슬리브(700) 등이 진공챔버(100)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주다이스(800)를 통해 배출되는 금속물질이 일정 수준 경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주다이스(800)의 하부에는 냉각자켓(900)이 장착된다. 이때, 냉각자켓(900)에 의해 둘러싸이는 연주다이스(800)의 하측부위는 진공상태보다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주다이스(800)는 하측 일부가 진공챔버(10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인출되고, 상기 냉각자켓(900)은 상기 연주다이스(800) 중 진공챔버(100) 외부로 인출된 하측부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상기 냉각자켓(900)은 연주다이스(800)의 하측 일부를 냉각시킬 수만 있다면, 수냉식 냉각장치나 공랭식 냉각장치 등 어떠한 종류의 냉각장치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에 포함되는 유출슬리브(700)가 내도가니(200)와 연주슬리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이다.
상기 유출슬리브(700)가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도가니(200)와 연주다이스(800)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면, 내도가니(200) 내의 금속물질이 유출슬리브(700)의 유출공(710)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유출슬리브(700)가 상하로 흔들리거나 내도가니(200)가 상하로 흔들려 내도가니(200) 내의 금속물질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내도가니(200)와 유출슬리브(7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내도가니(200)는 바닥면에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슬리브(700)는 상기 내도가니(200)의 관통공(2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720)를 구비하되, 상기 유출슬리브(7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내도가니(200)의 저면이 안착되는 니도가니 안착턱(7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유출슬리브(700)의 상측에 삽입부(720)와 니도가니 안착턱(740)이 형성되면, 내도가니(200)와 유출슬리브(700)의 상하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는바, 내도가니(200) 내의 금속물질이 모두 유출슬리브(700)의 유출공(710)을 통해 연주다이스(800)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출공(710)의 상측 입구가 직각으로 형성되면, 내도가니(200) 내에 존재하는 용융상태의 금속물질이 유출공(710) 상측입구로 유입되는 동안 와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금속물질의 유동이 정상상태(steady state)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금속물질이 비정상상태(unsteady state)로 유동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주조제품의 내부조직이 부위별로 불규칙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720)의 상단은 상기 내도가니(20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710)의 내벽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7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부(720)의 상단이 내도가니(20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내도가니(200) 내의 금속물질이 유출공(710) 입구를 향해 흐르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유출공(710) 상부에 경사부(730)가 형성되면 유출슬리브(700)의 상면을 타고 흐르던 금속물질이 유출공(710)으로 유입되도록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와류가 현저히 감소되는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주조제품은 각 부위별로 균일한 내부조직을 갖게 된다.
또한, 유출공(710)으로 유입된 금속물질은 경사부(730)를 지나는 동안 일정 수준 경화되어 배출되는데, 상기 유출공(710)의 내벽 중 경사부(730)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위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상기 경사부(730)를 지난 금속물질이 유출공(710) 내벽과 큰 마찰을 이루게 되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공(710)의 내벽 중 상기 경사부(730)가 형성된 지점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유출공(710)의 하부 내벽이 과도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면 유출공(710) 하부를 지나는 금속물질이 폭방향으로 흔들릴 우려가 있는바, 상기 유출공(710)의 하부 내벽은 미세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물질이 유출슬리브(700)와 연주다이스(800)를 통과하는 동안 외도가니(300)와 연주다이스(80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연주다이스(800)의 상단은 상기 외도가니(300)의 바닥판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연주다이스(800)의 상측에는 상기 유출슬리브(700)의 하측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홀(820)과 상기 외도가니(300)의 저면이 안착되는 외도가니 안착턱(8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주다이스(800)의 유출슬리브 안착턱(830)에 유출슬리브(700)가 안착되고, 연주다이스(800)의 외도가니 안착턱(840)에 외도가니(300)가 안착되도록 결합되면, 각 안착턱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유출슬리브(700)와 외도가니(300)가 연주다이스(8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외도가니(300) 및 연주슬리브의 상하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진공챔버 200 : 내도가니
210 : 관통공 300 : 외도가니
400 : 축로재 500 : 인슐레이터
600 : 유도코일 700 : 유출슬리브
710 : 유출공 720 : 삽입부
730 : 경사부 740 : 내도가니 안착턱
800 : 연주다이스 810 : 배출공
820 : 삽입홀 830 : 유출슬리브 안착턱
840 : 외도가니 안착턱 900 : 냉각자켓

Claims (8)

  1. 진공챔버;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에 위치되는 내도가니;
    그라파이트로 제작되어 상기 내도가니가 내부에 인입되되, 내측면과 상기 내도가니의 외측면이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외도가니;
    상기 내도가니와 외도가니 사이에 채워지는 축로재;
    상기 외도가니의 측벽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유도코일;
    상하방향으로 유출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내도가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외도가니의 저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유출슬리브; 및
    상측이 상기 유출슬리브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진공챔버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공과 일렬로 배열된 배출공을 구비하는 연주다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슬리브는 질화붕소(Boron Nitride)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슬리브는 입방정계 질화붕소(c-BN)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도가니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슬리브는, 상기 내도가니의 관통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내도가니의 저면이 안착되는 내도가니 안착턱이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단은 상기 내도가니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의 내벽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의 내벽 중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지점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주다이스의 상단은 상기 외도가니의 바닥판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연주다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유출슬리브의 하측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외도가니의 저면이 안착되는 외도가니 안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주다이스 중 상기 진공챔버 외부로 인출된 부위를 둘러싸는 냉각자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KR1020160104881A 2016-08-18 2016-08-18 연속주조장치 KR10166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81A KR101666125B1 (ko) 2016-08-18 2016-08-18 연속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81A KR101666125B1 (ko) 2016-08-18 2016-08-18 연속주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25B1 true KR101666125B1 (ko) 2016-10-13

Family

ID=5717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81A KR101666125B1 (ko) 2016-08-18 2016-08-18 연속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50A (ko) * 2002-06-24 2004-01-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우라늄봉의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KR100564770B1 (ko) 2004-08-18 2006-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 용해효율 전자기 연속주조장치
KR100759311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해체가 용이한 용해로
KR100759310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 구조의 내화물을 포함하는 용해로 및 용해로의 내화물형성 방법
KR20110026224A (ko) * 2009-09-07 2011-03-15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전착물을 이용한 잉곳 주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50A (ko) * 2002-06-24 2004-01-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우라늄봉의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KR100564770B1 (ko) 2004-08-18 2006-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 용해효율 전자기 연속주조장치
KR100759311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해체가 용이한 용해로
KR100759310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 구조의 내화물을 포함하는 용해로 및 용해로의 내화물형성 방법
KR20110026224A (ko) * 2009-09-07 2011-03-15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전착물을 이용한 잉곳 주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336B1 (ko) 연속 주조 주형에 선행 배치된 주입관
EP2921244A1 (en) Method of the 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the castings of gas turbine blades and a device for producing the castings of gas turbine blades of the directional solidified and monocrystalline structure
JP6465854B2 (ja) 金属流インパクトパッド及びタンディッシュ用ディフューザー
JP2006289382A (ja) 金型冷却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62172B2 (ja) 自溶炉の炉体水冷構造
EA00728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футеровки печи
JPH01170550A (ja) 鋼の連続鋳造用鋳型
JP4406753B2 (ja) 冷却素子製造用鋳型およびその鋳型を用いて製造される冷却素子
CN104128573A (zh) 用连续铸造模具减少金属铸锭内气泡或气袋的方法和设备
JP2006320945A (ja) 縦型連続鋳造用黒鉛鋳型
RU1340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RU2674053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66125B1 (ko) 연속주조장치
JP5788691B2 (ja) 金属溶製用溶解炉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の溶製方法
RU2729246C1 (ru) Способ литья для активного металла
CN100406161C (zh) 一种定向凝固铸造方法
CN105834386A (zh) 高温合金管材连铸设备及连续铸造方法
RU248794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хлаждающе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пиро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реактора и охлаждающий элемент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JPS62500844A (ja) 溶融金属用レ−ドルの改良
KR100738857B1 (ko) 용탕 주입 홈통을 목표의 온도로 조절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행하기 위한 용탕 주입 홈통
EP3198041B1 (en) Access port arrang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RU2293124C1 (ru) Цельнолитой наконечник кислородно-конверторной фур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5373890A (en)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its device
KR100805043B1 (ko) 연속 주조용 침지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