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37B1 -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 Google Patents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37B1
KR101664837B1 KR1020140143404A KR20140143404A KR101664837B1 KR 101664837 B1 KR101664837 B1 KR 101664837B1 KR 1020140143404 A KR1020140143404 A KR 1020140143404A KR 20140143404 A KR20140143404 A KR 20140143404A KR 101664837 B1 KR101664837 B1 KR 10166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rill
fingers
fixing
arm
abs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242A (ko
Inventor
한성규
Original Assignee
한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규 filed Critical 한성규
Priority to KR102014014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릴링작업을 수행하는 전기드릴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드릴을 고정한 상태로 팔에 안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며, 팔에 상기 고정대를 고정시켜 상기 전기드릴을 착용시키는 제1 고정수단; 손등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대의 부위에 설치되며,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주먹을 쥘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전기드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ELECTRIC DRILL APPARATUS ARM ATTACHED TO HUMAN ARM}
본 발명은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팔에 장착된 전기드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드릴은 구멍을 뚫고, 드릴과 비트를 구동하기 위해 다양한 속도의 회전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동공구이다. 전기드릴은 회전축의 선단에 드릴이나 비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척을 갖고 다양한 속도의 회전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거나 나사못 등을 박는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078호 등 다수가 있다.
이러한 전기드릴은 건설업계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기드릴은 건물 천장이나 벽체에 판재나 석고보드 등을 고정하거나 벽을 뚫어 건축자재를 고정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작업자들은 전기드릴의 사용으로 인해 손목, 팔꿈치 및 어깨와 같은 중요한 관절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나사못 등의 물건을 잡거나 판재 등의 물건을 지지시 전기드릴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다리 사이에 끼워 작업을 수행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0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팔에 장착된 전기드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손목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릴링작업을 수행하는 전기드릴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드릴을 고정한 상태로 팔에 안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며, 팔에 상기 고정대를 고정시켜 상기 전기드릴을 착용시키는 제1 고정수단; 손등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대의 부위에 설치되며,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주먹을 쥘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전기드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움켜쥐어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관절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절대에는 상기 보호관절대를 손가락들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절대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과 각각 대응하게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관절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관절대를 대응하는 손가락들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손등으로부터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되거나 손등으로부터 손목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전기드릴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충전가능한 베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관절대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을 따라 회전한다. 즉, 손가락들을 펴면 보호관절대는 고정대와 수평을 이루고, 손가락들을 굽히면 보호관절대는 고정대와 ㄱ자를 이룬다. 손가락들을 굽혀 손잡이부를 꽉 잡고 주먹을 쥐면 안전하게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관절대가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전기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나사못 등을 박을 때에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가 상처 입지 않는다.
손가락들은 폈다 굽히거나 그 움직임이 자유롭고 중간마디 및 끝마디의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전기드릴을 팔에 장착한 상태로 엄지손가락과 함께 물건을 잡거나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건을 잡거나 지지하기 위해 전기드릴을 내려놓거나 다리 사이에 끼우는 종래의 번거로운 드릴작업이 해소되어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부와 고정대가 전기드릴을 단단히 지지하기 때문에 드릴작업 중에 손목, 팔꿈치 및 어깨손목이 갑자기 돌아가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엄지손가락으로 신속하게 전원스위치를 눌러 전기드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급시 대처능력이 신속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호관절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보호관절대를 접은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보호관절대를 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손가락으로 물건을 잡는 모습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는 전기드릴(10), 고정대(20), 제1 고정수단(30), 손잡이부(40), 전원공급수단(50)을 포함한다.
전기드릴(10)은 회전축의 선단에 드릴이나 비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척을 갖고 다양한 속도의 회전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거나 나사못 등을 박는 등의 드릴링작업을 수행하는 잘 알려진 기술로서, 기존의 전기드릴에서 손잡이가 없는 구조로 보면 된다.
고정대(20)는 전기드릴(10)을 고정한 상태로 손등으로부터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된다. 고정대(20)는 상부에 장착대(21)를 마련하고 그 장착대(21)에 끼움방식, 나사조임방식, 클립고정방식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을 혼합한 방식을 적용하여 전기드릴(10)을 견고히 고정한다. 고정대(20)는 전기드릴(10)을 수리, 교체 등을 위해서 탈착되게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대(20)는 손등으로부터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어 안정되게 안착된다. 예를 들면, 손등과 대면하는 고정대(20)의 부위는 평평한 판형을 이루고, 손등과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와 대면하는 고정대(20)의 부위는 반원이나 반타원 모양의 곡선을 이루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반원이나 반타원 모양의 곡선을 이루는 고정대(20)의 부위는 손등과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의 상부를 감싸며 안착되기 때문에 팔에 걸려 좌우의 이동이 고정되어 고정대(20)를 안정되게 안착시킨다. 손등과 대면하는 고정대(20)의 부위는 손등의 모양을 따라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 고정수단(30)은 고정대(20)에 설치되어 팔에 고정대(20)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드릴(10)을 팔에 착용시킨다. 제1 고정수단(30)은 좌우 단부가 고정대(20)에 각각 고정되어 탄력으로 신축하며 고정대(20)를 팔에 고정시키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수단(30)은 고정대(20)에 각각 고정된 띠부재들(31)(33)과, 팔을 감은 띠부재들(31)(33)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하는 벨크로파스너, 똑딱단추(snap), 단추, 버클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팔에 고정대(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팔등과 대면하는 고정대(20)의 부위에 설치된다. 손잡이부(40)는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주먹을 쥘 수 있는 ㄴ자형이나 ㄷ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큰 악력으로 주먹을 쥐며 손잡이부(40)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고 고정대(20)의 단부를 작업 위치에 단단히 지탱해 전기드릴(10)의 작업을 실수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50)은 전기드릴(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수단(50)은 플러그를 갖는 전원케이블로 이루어져 유선으로 전기드릴(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수단(50)은 베터리로 이루어져 전기드릴(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베터리인 전원공급수단(50)은 충전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터리인 전원공급수단(50)은 몸에 착용되어 전기드릴(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베터리인 전원공급수단(50)은 축전용량이 큰 형태를 이루어 허리띠에 착용되거나 베낭 형태로 등에 착용되어 장시간 작업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터리인 전원공급수단(50)은 전기드릴에 장착되어 무선으로 전원공급하는 기존의 베터리 처럼 전기드릴(10)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고정대(20)의 단부에는 손잡이부(40)를 움켜쥐어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관절대(60)가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보호관절대(60)에는 보호관절대(60)를 손가락들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70)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관절대(60)의 크기는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충분히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면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절대(6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을 따라 회전한다. 즉, 손가락들을 펴면 보호관절대(60)는 고정대(20)와 수평을 이루고, 손가락들을 굽히면 보호관절대(60)는 고정대(20)와 ㄱ자를 이룬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들의 중간마디 및 끝마디는 그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전기드릴(10)을 팔에 장착한 상태로 엄지손가락과 함께 나사못 등과 같은 물건을 잡거나 천장이나 벽체 등에 덧댄 판재나 보드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수단(70)은 다수개의 고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고정수단(7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각각 끼울 수 있는 고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수단(70)은 손가락들을 각각 끼워 보호관절대(60)를 손가락들에 고정한다.
제2 고정수단(70)은 상술한 제1 고정수단(3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수단(70)은 좌우 단부가 보호관절대(60)에 각각 고정되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모두를 감싸며 탄력으로 신축하며 보호관절대(60)를 손가락들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수단(70)은 보호관절대(60)에 각각 고정된 띠부재들과,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모두를 감은 띠부재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하는 벨크로파스너, 똑딱단추(snap), 단추, 버클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40)에는 전원공급수단(50)으로부터 전기드릴(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90)는 엄지손가락이 작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40)의 부위에 설치된다. 이처럼 손잡이부(40)에 전원스위치(90)가 설치되면, 엄지손가락으로 신속하게 전원스위치(90)를 눌러 전기드릴(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급시 대처능력이 신속하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수단(50)의 전원이 손잡이부(40)의 전원스위치(90)를 경유하도록 전선이 고정대(20) 및 손잡이부(40)를 따라 배선되고, 그 전선에는 고정대(20)의 장착대(21)에 설치된 단자에 연결되고, 전기드릴(10)의 단자가 장착대(21)의 단자와 결합되며 고정대(20)에 고정되면, 엄지손가락으로 전원스위치(90)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전기드릴(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관절대(60)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을 따라 회전한다. 즉, 손가락들을 펴면 보호관절대(60)는 고정대(20)와 수평을 이루고, 손가락들을 굽히면 보호관절대(60)는 고정대(20)와 ㄱ자를 이룬다. 손가락들을 굽혀 손잡이부(40)를 꽉 잡고 주먹을 쥐면 안전하게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관절대(60)가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전기드릴(10)로 구멍을 뚫거나 나사못 등을 박을 때에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가 상처 입지 않는다.
손가락들은 폈다 굽히거나 그 움직임이 자유롭고 중간마디 및 끝마디의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전기드릴(10)을 팔에 장착한 상태로 엄지손가락과 함께 물건을 잡거나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건을 잡거나 지지하기 위해 전기드릴(10)을 내려놓거나 다리 사이에 끼우는 종래의 번거로운 드릴작업이 해소되어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부(40)와 고정대(20)가 전기드릴(10)을 단단히 지지하기 때문에 드릴작업 중에 손목, 팔꿈치 및 어깨손목이 갑자기 돌아가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엄지손가락으로 신속하게 전원스위치(90)를 눌러 전기드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급시 대처능력이 신속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대(20)는 손등으로부터 손목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전기드릴(10)이 소형인 경우 고정대(20)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등으로부터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호관절대(6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수와 각각 대응하게 고정대(20)에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보호관절대(6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들과 각각 대응하게 4개가 각각 회전되게 고정대(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과 각각 대응하게 보호관절대(60)가 설치되면, 각 손가락들의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물건을 잡는 등의 행위가 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고정수단(70)도 보호관절대(60) 각각에 설치되어 보호관절대(60)를 대응하는 손가락들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기드릴
20: 고정대
21: 장착대
30: 제1 고정수단
40: 손잡이부
50: 전원공급수단
60: 보호관절대
70: 제2 고정수단
90: 전원스위치

Claims (6)

  1. 드릴링작업을 수행하는 전기드릴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드릴을 고정한 상태로 팔에 안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며, 팔에 상기 고정대를 고정시켜 상기 전기드릴을 착용시키는 제1 고정수단;
    손등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대의 부위에 설치되며,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주먹을 쥘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전기드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를 움켜쥐어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관절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절대에는 상기 보호관절대를 손가락들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보호관절대는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 전부를 덮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들과 각각 대응하여 덮도록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절대가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주먹쥔 손가락들의 첫마디들과 각각 대응하여 덮도록 다수개로 설치되면,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관절대의 각각에 설치되는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손등으로부터 팔꿈관절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되거나 손등으로부터 손목 사이의 팔 부위에 안착되는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전기드릴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되는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충전가능한 베터리인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KR1020140143404A 2014-10-22 2014-10-22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KR10166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04A KR101664837B1 (ko) 2014-10-22 2014-10-22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04A KR101664837B1 (ko) 2014-10-22 2014-10-22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42A KR20160047242A (ko) 2016-05-02
KR101664837B1 true KR101664837B1 (ko) 2016-10-12

Family

ID=5602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404A KR101664837B1 (ko) 2014-10-22 2014-10-22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99B1 (ko) * 2020-08-10 2021-03-22 김석순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2029A (zh) * 2018-12-03 2019-02-19 永康市中马机电设备有限公司 防止钻头弯曲的电钻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78A (ko) 2008-11-05 2010-05-13 (주)우진이엔지 전기 핸드 드릴
KR20130014556A (ko) * 2010-03-24 2013-02-07 브라이언 씨. 쿡 인체공학적 휴대용 전동공구 및 사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99B1 (ko) * 2020-08-10 2021-03-22 김석순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42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5543B (zh) 輔助動力工具握把
JP5490960B2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手持ち動力工具並びにその使用法
US20110147429A1 (en) Tool Retention Device
US20130020105A1 (en) Ergonomic hand-held power tool and methods of use
KR101664837B1 (ko) 팔 장착용 전기드릴장치
WO2006055594A3 (en) Tool for holding a fastener
US20120260777A1 (en) Protective gripping sleeve on rotating tool extension arm
EP2177308A4 (en) ASSISTANCE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9592602B2 (en) Drill guides for right angle drills
US20170042314A1 (en) Cordless screwdriver assembly with arm stock having shoulder rest and sling
CN102806538A (zh) 螺丝刀
WO2005058554A1 (en) Power tool comprising human body attachment means
CN215467445U (zh) 一种用于管道保温皮的打孔工具
CN219852252U (zh) 一种新型手枪钻
KR200476199Y1 (ko) 전동공구
CN207593292U (zh) 一种可调式夹具
JP5772469B2 (ja) 締付工具
CN203031560U (zh) 带护指的锤子
BR0316121A (pt) Manìpulo
CN109895130A (zh) 一种冲压模具机械手
JP2014065135A (ja) ドリルビット付属工具
JP2012210693A (ja) ボール盤のドリルチャック用操作工具
CN112893611A (zh) 一种用于管道保温皮的打孔工具
CN105563436A (zh) 工作台
JP2016010825A (ja) 打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