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628B1 -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628B1
KR101664628B1 KR1020140194989A KR20140194989A KR101664628B1 KR 101664628 B1 KR101664628 B1 KR 101664628B1 KR 1020140194989 A KR1020140194989 A KR 1020140194989A KR 20140194989 A KR20140194989 A KR 20140194989A KR 101664628 B1 KR101664628 B1 KR 101664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data
received
store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329A (ko
Inventor
신용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패스나 약전계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손실이 있는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를 보상하여 재생해줄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지털 방송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와 함께 곡 정보가 수신될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뮤직 데이터로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비트 에러율이 정해진 기준값 이상일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에 대해 상기 보정된 음원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Audio system and playing digital broadcasting sou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의 음원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한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를 보정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음향 및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 편리한 자동차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차량 내에서 운전자 및 승객 모두에게 양질의 음향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은 현재 운전자 정보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음향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에 장착된 시스템의 이용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MP3 플레이어 USB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를 차량에 연결하여 음원, 영화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차량에서 운전자 및 승객에게 음향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의 이용은 필수적이며, 오디오 시스템(또는 AVN(Audio, Video & Navigation) 시스템)에서 음원 재생을 위한 주요 구성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CPU가 내장된 헤드유닛(Head Unit), 그리고 차량 내 각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이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CPU의 제어하에 음원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앰프(Amp.)를 통해 증폭된 후 차량 내 각 스피커로 출력된다.
한편, 최근 들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멀티패스(multipath)나 약전계에서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에는 노이즈와 함께 방송을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디지털 방송에서는 데이터 프레임이 깨질 경우 방송 청취가 불가능하다.
디지털 방송의 특성상 멀티패스와 약전계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음원 청취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멀티패스나 약전계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손실이 있는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를 보정하여 재생해줄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지털 방송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와 함께 곡 정보가 수신될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뮤직 데이터로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비트 에러율이 정해진 기준값 이상일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에 대해 상기 보정된 음원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안테나; 상기 차량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음원 데이터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로부터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실시간 체크하고, 상기 비트 에러율이 정해진 기준값 이상일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음원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에 의하면, 멀티패스나 약전계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손실이 있는 경우 사전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실된 부분의 음원 데이터를 보정해줌으로써, 수신되는 방송 음원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음원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에 가까운 음원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재생이 이루어지는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에서 음원 데이터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패스나 약전계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손실이 있는 경우(수신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를 보정하여 재생해줄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재생이 이루어지는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음원 재생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음원의 재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 또는 그로부터 후술하는 과정을 통해 보정된 디지털 음원의 신호를 최종 단계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원 재생은 토크(Talk)(예, 교통, 날씨, 뉴스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아나운서의 음성, 라디오 진행자의 음성 등) 부분과 노래나 연주곡 등의 뮤직(Music) 부분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방송의 내용 중에서 노래나 연주곡 등의 뮤직 부분을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원 재생은 디지털 방송을 통해 곡명과 아티스트, 앨범명, 장르 등의 곡 정보(메타(Meta) 데이터)가 함께 제공되는 음원의 재생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부(헤드 유닛이 될 수 있음)(20)는 이전에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어 재생되었던 음원 데이터를 미도시된 내부의 저장부(예, NAND 플래시 메모리 등)에 저장해둔다.
이와 더불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부(20)는 차량 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USB 메모리 등의 외부 저장매체(11)로부터 전달되어 재생되었던 음원 데이터를 저장부에 자동 저장해둔다.
그 밖에 저장부 내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로는 사용자가 외부 저장매체(11)를 연결한 뒤 직접 옮겨 저장한 음원 데이터(예, MP3 파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각 음원에 대한 곡명과 아티스트, 앨범명, 장르 등의 곡 정보(메타 데이터)를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DB)로 함께 저장해두며, 이와 함께 각 음원의 주파수 특성 또는 데이터 특성을 분석한 뒤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해둔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통해 음원 데이터가 수신될 때 해당 음원의 곡 정보(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비트 에러율(BER:Bit Error Rate, 이하 'BER'이라 칭함)을 실시간 체크하여 방송 수신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수신되는 음원의 곡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곡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음원이 저장부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동일한 음원이 존재할 경우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음원에 대해 타이밍 체크(Timing Check)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동일한 음원으로부터 주파수 특성 또는 데이터 특성을 예측한 뒤, BER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높을 경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의 주파수 또는 데이터를 복원하여 재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재생을 위한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으로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안테나(10)와, 상기 차량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음원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21a), CPU(21b) 및 저장부(26)를 포함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음원 신호를 차량 내 운전자 및 승객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2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21a)는 차량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CPU(21b)에서 사용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전달하고, 더불어 CPU(21b)에서 처리 후 출력되는 디지털 음원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8)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전달한다.
상기 CPU(21b)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BER을 체크하여 방송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의 곡 정보(메타 데이터)와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곡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음원이 저장부(26)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CPU(21b)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1a)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의 BER을 체크하는 BER 체크부(22)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21a)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음원의 곡 정보를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곡 정보와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21b)는 동일한 음원이 존재할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를 내부 버퍼(24)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버퍼 위치는 램(RAM)이 될 수 있음), 버퍼(24)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수신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기(이하 'DSP'라 칭함)(21a)를 통해 CPU(21b)에 입력될 때 CPU(21b)에서 타이머(25)에 의해 수신 타이밍이 체크되고, 버퍼(24)에 저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26)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비교되는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원 손실 부분의 보정을 위해 버퍼(24)에 저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타이밍에 맞춰 저장부(26)로부터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CPU(21b)로 전달된다.
결국, CPU(21b)에서는 상기 비교 과정을 통해 필요한 경우 손실 음원 보정을 위해 저장부(26)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피커(28)를 출력될 음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음원 데이터가 스피커(2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기까지 해당 곡의 재생이 종료되면 원래의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수신 데이터를 그대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음원 재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서 곡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뮤직(Music)이 나오는 타이밍에만 적용되며, 아나운서의 정보 전달 타이밍 등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즉, 제어부(26)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보정이 이루어지므로, 곡 정보 및 음원 데이터가 제어부(26)에 저장된 뮤직에 대해서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며, 아나운서의 정보 전달 등 토크 부분에 대해서는 상황마다 수신 데이터가 다르기 때문에 보정 자체가 불가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에서 음원 데이터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과정을 단계별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라디오의 음원 데이터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며(S11), 이때 함께 수신되는 곡 정보(메타 데이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뮤직(Music) 데이터인지, 아니면 토크(Talk) 데이터인지를 구분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뮤직 데이터임을 판단한 경우, 디지털 음원(이하 '방송 음원'이라 칭함) 데이터를 제어부(20)에서 DSP(21a)를 통해 수신할 때, 방송 음원 수신 즉시 CPU(21b)에서 음원 수신 타이밍을 체크하여(S12) ㎲ 단위로 상세 시간을 버퍼(24)에 저장하는데, 우선적으로 음원 재생 시작 타이밍(음원 수신 시작 타이밍)을 확인하여 음원 재생 시작시간(㎲ 단위)(T1)을 체크한다.
이어 CPU(21b)는 내부 타미머(25)로 음원 재생 시작 시점부터 음원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재생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CPU(21b)에서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재생 가능한 시간 값인 재생시간 추정값(T2)을 실시간으로 체크한다(S13).
다음으로,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된 메타 데이터의 곡 정보로부터 방송 음원이 제어부(20) 내 저장부(26)(예, NAND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이하 '저장 음원'이라 칭함)과 동일한지를 체크하게 된다(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곡 정보와 비교)(S14).
이어 동일 음원이 존재할 경우 CPU(21b)는 방송 음원, 및 그 방송 음원과 동일한 저장 음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진행하는데, 저장 음원 데이터와 방송으로 실시간 수신되어 CPU(21b)의 버퍼(24) 또는 램(RAM)에 저장되는 방송 음원 데이터를 비교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S15).
이후 CPU(21b) 내 타이머(25)에 의해 체크되고 있는 재생시간 추정값을 기준으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 음원의 데이터 프레임(frame)과 저장 음원의 데이터 프레임을 비교한다(S16).
이때, 재생시간 추정값을 통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의 시간 범위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프레임에서 방송 음원 데이터와 저장 음원 데이터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실제 음원 재생 시작시간(T1)과 CPU 재생시간 추정값(T2) 사이에는 시간 차이(T2-T1)가 발생한다.
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음원으로의 대체를 위해서는 적어도 음원 데이터의 특정 프레임에서 상기한 시간 차이(T2-T1)를 제거하여 비교되는 방송 음원 데이터와 저장 음원 데이터 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재생시간 동기화 조정 후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음원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저장 음원 데이터가 스피커(2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이즈 발생 전의 방송 음원 데이터 값을 저장 음원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동기화 조정을 수행한 뒤, 이후 BER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스피커 출력 음원(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방송 음원)을 저장 음원으로 대체하여 재생하는 방식으로 음원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동기화 과정의 예로, 방송 음원과 저장 음원의 비교 동안에 데이터 테이블을 구성하여 정해진 개수(예, 10개)의 프레임이 동일한 경우 그 다음 번째(11번째)의 음원 프레임이 시작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저장 음원의 프레임 타이밍을 제어하는데, 상기 시간 차이(T2-T1)만큼 저장 음원의 동일 프레임의 출력 타이밍을 이동시켜 시간 차이를 제거하는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재생시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나면, 동기화 이후에 BER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방송 음원의 손실된 프레임 부분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음원의 동일한 프레임 값으로 수정 및 복원하여 재생하는 음원 보정이 이루어진다(S17).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실된 프레임의 비트(bit) 부분을 저장 음원의 동일한 프레임 부분으로 대체하여 재생하는 음원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는 사전에 저장된 노이즈 발생 전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동기화 후 노이즈 발생 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실된 부분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손실된 부분이 보정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DSP(21a) 내 변환부(2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뒤 스피커(28)를 통해 출력되며, 이러한 음원 재생이 이루어지고 난 뒤 음원 데이터(뮤직 데이터)의 재생 종료(곡 재생 종료) 후에는 다시 원래의 라디오 데이터(토크 방송 데이터)로 전환하여 토크 방송의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8).
도 4를 참조하여 손실된 음원 부분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방송 음원이 처음 수신되었을 때 초기에 스피커 출력, 즉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원은 방송 음원이고, 수신되는 방송 음원의 주파수 특성 또는 데이터 특성이 제어부(20)의 저장부(26)에 저장된다.
또한, 음원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부분의 음원은 파트(Part)가 반복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제어부(20)가 방송 음원의 주파수 또는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여 주파수/데이터의 큰 변화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파트를 나눈 뒤 파트별 특성을 저장부(26)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음원이 A 파트와 B 파트로 나누어진다고 할 때 음원 전체는 각 파트가 반복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A 파트의 특성과 B 파트의 특성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예, A 파트: 011001100111, B 파트: 1111000111111).
도 4는 A 파트가 반복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방송 음원의 정상적인 A 파트의 음원 데이터가 '011001100111'이고, B 파트의 음원 데이터가 '1111000111111'라 할 때, 먼저 제어부(20)의 CPU(21b)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곡 정보(곡명, 아티스트, 앨범명, 장르 등)를 기준으로 수신되는 방송 음원이 저장 음원과 동일한 곡이라 판단되어지면 실시간 음원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이때, 수신된 방송 음원에서 CPU(21b)는 반복 전 초기의 정상 수신된 A 파트의 데이터 '011001100111'을 저장하고, 이후 음원에 대한 반복 특성을 판단하여 반복적인 음원 프레임이 발생하는 타이밍에 데이터의 비트를 수정한다.
이때, 반복되는 A 파트의 부분에서 BER이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CPU(21b) 내 타이머(25)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 곡의 보정이 필요한 부분을 먼저 동기화한다.
만약, 멀티패스나 약전계 지역과 같은 방송 음영 지역에서 반복되는 A 파트의 부분이 '011111100001'로 수신되었다할 때,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특성에 맞게 수신되어지는 음원의 각 프레임의 비트를 보정해주어 사전에 수신한 음원데이터를 DSP(21a)로 전달하고, 결국 DSP(21a)에서 변환부(2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28)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타이밍 체크하여 동기화한 후 다음의 반복되는 A 파트 구간에서 BER이 기준치 이상일 때 반복 전에 저장된 정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실된 프레임 부분의 비트 에러를 보정함으로써 정상의 '011001100111'의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전에 저장된 정상적인 방송 음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반복되는 손실 부분의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6)에 동일한 곡(저장 음원이 됨)이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한 뒤 동기화하고, A 파트에서 손실된 부분을 저장 음원의 동일 부분의 데이터로 대체하는 보정을 수행한 후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복되는 A 파트의 구간에서 특정 부분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손실된 부분을 저장 음원의 동일한 부분으로 대체하여 재생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B 파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반복 수신되는 B 파트에서 음원 손실이 발생한 경우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각 프레임의 비트를 보정해주어 사전에 수신한 음원과 동일한 음원으로 DSP(21a)에 전달하고, DSP(21a)에서 변환부(27)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8)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로, 수신된 방송 음원에서 CPU(21b)가 반복 전 초기의 정상 수신된 B 파트의 데이터 '1111000111111'을 저장하고, 이후 반복되는 B 파트의 부분에서 '1001000111001'의 데이터가 수신되어 BER이 기준치 이상이 되었다면, 반복 전에 저장된 정상의 데이터에 따라 손실된 부분의 비트를 보정하여 정상적인 '011001100111'의 데이터가 스피커(28)를 통해 출력되도록 재생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B 파트의 경우에도 손실된 부분을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음원의 동일한 부분의 데이터로 대체하는 보정을 수행한 후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안테나 11 : 외부 저장매체
20 : 제어부 21a :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21b : CPU 22 : BER 체크부
23 : 데이터 비교부 24 : 버퍼
25 : 타이머 26 : 저장부
27 : 변환부 28 : 스피커

Claims (16)

  1. 차량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지털 방송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와 함께 곡 정보가 수신될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뮤직 데이터로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실시간 체크하여 비트 에러율이 정해진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의 비교 단계에서 검출되는 디지털 방송의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에 대해 상기 보정된 음원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음원 파트의 반복이 있는 음원 데이터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가 음원 손실 발생 이전에 정상 수신된 파트의 음원 데이터이며, 저장 이후 반복되는 파트의 음원 손실이 발생한 경우 정상 수신된 파트의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원 손실 부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는 곡 정보와 함께 미리 저장된 음원 데이터이고,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곡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음원인지를 확인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 음원의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동일 음원 데이터 부분으로 대체하여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는 이전에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어 재생되었던 음원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는 차량 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전달되어 재생될 때 자동 저장되거나,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옮겨 저장된 음원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임을 판단한 경우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재생 시작시간을 체크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의 재생 가능한 시간 값인 재생시간 추정값을 실시간으로 체크한 뒤, 상기 재생 시작시간과 재생시간 추정값의 차이가 제거되도록 방송 수신된 음원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간을 동기화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비교 동안에 정해진 개수의 프레임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음원의 그 다음 번째 프레임이 시작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상기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동일 프레임의 타이밍을 이동시킴으로서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를 버퍼(buffer) 또는 램(RAM)에 저장하여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의 보정을 위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와 실시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10. 차량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안테나;
    상기 차량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음원 데이터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로부터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실시간 체크하고,
    상기 비트 에러율이 정해진 기준값 이상일 경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음원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음원 파트의 반복이 있는 음원 데이터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가 음원 손실 발생 이전에 정상 수신된 파트의 음원 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 이후 반복되는 파트의 음원 손실이 발생한 경우 정상 수신된 파트의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원 손실 부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원 데이터와 각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원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CPU; 및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CPU는,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체크하는 BER(Bit Error Rate) 체크부;
    상기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와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곡 정보 비교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와 동일한 음원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버퍼 및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 체크, 및 비교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음원 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된 곡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의 곡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음원인지를 확인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 음원의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손실된 음원 데이터 부분을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동일 음원 데이터 부분으로 대체하여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4. 삭제
  15.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가 뮤직 데이터임을 판단한 경우, 수신된 음원 데이터의 재생 시작시간을 체크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재생 가능한 시간 값인 재생시간 추정값을 실시간으로 체크한 뒤, 상기 재생 시작시간과 재생시간 추정값의 차이가 제거되도록 수신된 음원 데이터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 간을 동기화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음원과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비교 동안에 정해진 개수의 프레임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음원의 그 다음 번째 프레임이 시작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상기 저장된 음원의 동일 프레임의 타이밍을 이동시킴으로서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KR1020140194989A 2014-12-31 2014-12-31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KR101664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989A KR101664628B1 (ko) 2014-12-31 2014-12-31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989A KR101664628B1 (ko) 2014-12-31 2014-12-31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29A KR20160081329A (ko) 2016-07-08
KR101664628B1 true KR101664628B1 (ko) 2016-10-10

Family

ID=5650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989A KR101664628B1 (ko) 2014-12-31 2014-12-31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6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751A (ja) 2006-04-19 2007-11-01 Itny:Kk ラジオ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598B1 (ko) * 2006-08-22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101412325B1 (ko) * 2007-07-2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480474B1 (ko) * 2013-10-08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751A (ja) 2006-04-19 2007-11-01 Itny:Kk ラジ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29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1273A1 (en) Dynamic audio control circuit and method
RU2682422C2 (ru) Звуков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ы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строек эквалайзера приемника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101120019B1 (ko)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WO2005104360A1 (en) Radio receiver volume control system
US20070276524A1 (en)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60193477A1 (en) System for audio signal processing with sound spectrum selection
US9781454B2 (en) Playback of media data at reduced speed
EP3913821A1 (en) Audio signal blending with beat alignment
US20150271598A1 (en) Radio to Tune Multiple Stations Simultaneously and Select Programming Segments
KR101664628B1 (ko)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CN112073890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20070085924A (ko) 오디오 컨텐트를 분석하고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만을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6134645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7054751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20080019541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program
JP201115144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20110009950A (ko)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별 오디오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218792B2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mitting data for use in a vehicle
US1109600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hase filter for a system for generating vibrations
KR101082660B1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이퀄라이저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212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이퀄라이저 제어 방법
JP5155787B2 (ja) 移動体用放送受信装置
KR20100073650A (ko) 차량용 라디오/dmb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4204189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20200221226A1 (en) Vehicl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