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83B1 -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83B1
KR101664383B1 KR1020140036315A KR20140036315A KR101664383B1 KR 101664383 B1 KR101664383 B1 KR 101664383B1 KR 1020140036315 A KR1020140036315 A KR 1020140036315A KR 20140036315 A KR20140036315 A KR 20140036315A KR 101664383 B1 KR101664383 B1 KR 10166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ust collecting
dust
wat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3322A (en
Inventor
박종혁
김수철
정상재
박창신
Original Assignee
(주)대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산업 filed Critical (주)대호산업
Priority to KR102014003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83B1/en
Publication of KR2015011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46/3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the material moving during filtering
    • B01D46/3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the material moving during filtering 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layer, e.g. on rotary tables, drums, convey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집진장치에 연결되어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관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집진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인제어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를 집진관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소방수 분사노즐; 상기 복수개의 소방수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수의 소방수 분사노즐로 동시에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소화전에 연결된 급수관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 분배관;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소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분진의 퇴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분진퇴적감지센서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분진퇴적감지센서에 전달된 신호를 파악하여 분진퇴적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관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소방수 공급을 통해 퇴적된 분진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퇴적모니터링부와,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집진관의 내부 온도가 표시되고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경우 급수용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온도모니터링부와, 상기 온도모니터링부와 분진퇴적모니터링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소방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 grinding or cutting apparatus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transfer dust generated in a grinding or cutting apparatu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monit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 main controller installed outside the collector tube; A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duct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inject fire-extingui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ust collecting duct; A fire-fighting water distribu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supplied with fire-fight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so that fire-fighting wat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a switching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ip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regulate the supply of water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 main control unit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dust de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when a temperature high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is displayed on the dust collecting monitoring unit, And a temperatur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a signaling st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fire fighter firefighter supply.

Description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제조타이어 생산설비의 하나인 연삭장치에 연결되어 연삭장치에서 발생된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집진장치 및 집진관에 공장의 화재예방설비와 연결된 소방수라인이 구축되어 분진의 집진관 내부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소방수가 자동 살수되고, 필요에 따라 집진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dust collecting apparatu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nnected to an grinding apparatus, which is one of remanufacturing tire production facilities, for sucking and discharging dust generated in the grinding apparatus,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devic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fire wate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st collecting pipe of the dust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to clea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if necessary will be.

재제조 타이어는 재생이 이루어지는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 또는 재제조된 트레드 고무가 마모된 후 본래 타이어 본체(tire casing)를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재활용을 촉진하고,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remanufactured tire can be made of a tread rubber of original tire or a re-manufactured tread rubber to be recycled, and then the original tire casing can be used after it is worn, thereby promoting the recycling of resources and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of the consumer Provides advantages.

이러한 재생타이어의 생산을 위해서 본래 타이어의 본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본래 타이어 본체의 둘레 방향을 감싸고 있는 트레드 고무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트레드 고무층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삭장치가 사용되고, 이 연삭장치에는 연삭장치에 의해 연삭되는 트레드 고무층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장치가 연결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produce such a reclaimed ti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tread rubber layer originally surrounding the tire bod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without damaging the main body of the tire. A grinding apparatus is used as a means for removing the tread rubber layer, The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dust of the tread rubber layer ground by the grinding apparatus is connected.

즉, 종래의 재제조타이어 생산에 이용되는 설비를 살펴보면,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층을 연삭하도록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연삭장치와, 상기 연삭장치에 의해 연삭된 고무분진을 수거하기 위해 상기 연삭장치에 연결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연삭장치와 집진장치 사이를 연결하여 연삭장치에 의해 발생된 고무분진을 집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중공형의 집진관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equipment used for producing remanufactured tires includes an abrasive device that is originally rotated at a constant speed to grind the tread rubber layer of the tire, and a grinding device connected to the grinding device for collecting the rubber dusts grinded by the grinding device And a hollow collecting tube connected between the grinding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transfer the rubber dust generated by the grinding device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집진관은 집진장치에 의해 연삭장치에서 발생된 고무 분진을 고속으로 흡입, 여과하는 단순한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분진 이송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삭장치와 분진장치의 높이와 거리, 주변 장치와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수평 및 수직관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곡면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dust collecting tube serves as a dust transfer tube configured to have a simple function of sucking and filtering rubber dust generated in the grinding apparatus at a high speed by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 height and distance of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dust apparatu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or the like, or a curved tube shape connecting them.

또한, 상기 집진관은 복수개의 연삭장치에서 하나의 집진장치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집집관의 내부로 연삭장치에서 연삭된 고무분진이 통과하게 되는데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집진관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 등에 의해 집진관 내부를 통과하는 고무분진이 집진관의 내벽에 달라붙게 되어 퇴적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tube serves to connect a plurality of grinding apparatuses to 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Rubber dust ground in the grinding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when it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ubber dus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deposition is performed.

또한, 상기 집진관은 그 내부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고무분진이 퇴적되더라도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가 없게 되고, 집진관의 내부에서 고무분진이 퇴적되는 경우 집진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됨은 물론 집진효율이 떨어져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연삭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집진관의 내부로 빨려들어갈 경우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can not be confirmed, even if rubber dust is accumulated therein, the operator can not easily recognize it, and when rubber dust is deposi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 overload occurs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and the work environment may be deteriorated. If the spark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operation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there is a risk of fire.

즉,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는 고무재 뿐만 아니라 연화제, 가교제 등이 포함되어 있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장치가 본래 타이어 본체에서 튀어나온 스틸코드와 마찰이 발생되어 온도상승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강한 스파크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고온의 스파크가 고무분진이 모이는 집진관의 내부로 빨려들어가 그 내부에 퇴적되어 있는 고무분진에 달라붙어 발화될 경우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originally, the tread of the tire includes not only the rubber material but also a soften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etc., and a grinding device rotating at a high speed generates friction with a steel cord originally protruding from the tire main body, The high temperature spark generated at this time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pipe in which the rubber dust collects, and if it sticks to the rubber dust deposited in the inside thereof and is ignited, it may lead to a large fire.

따라서, 집진관의 내부에서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집진관의 내부에 퇴적된 고무분진은 집진장치까지 이어져 있어서 집진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집진장치까지 이어질 수 있고, 집진장치까지 화재가 이어진 경우 타이어 재제조공장의 주변 장치까지 2차 및 3차 화재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져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질 경우 상상할 수 없는 경제적 피해 뿐만 아니라 인명 손실까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fire occurs, the rubber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o that the fire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can be continu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condary and tertiary fires will occur to peripheral devices of a tire manufacturing plant, which may lead to not only unexpected economic damages but also loss of life if it leads to a large fire.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재제조타이어 생산을 위한 연삭장치 및 집진장치에는 집진관의 내부에서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이 전무한 상태여서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rinding apparatus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oducing re-manufactured tires, there is no apparatus or system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dust collecting tube.

물론, 종래의 일실시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2901호(등록번호 :20-0372901, 등록일 : 2005.01.04)의 "집진기"가 안출되어 연삭이나 절단 등의 작업시 발생하는 불꽃을 흡입하여 임펠러에 의해 발생된 수막을 통해 불꽃을 소화함으로써 불꽃이 작업장 주변의 인화물질과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를 깨끗하게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Of course, a "dust collector"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901 (registration number: 20-0372901, registered on Apr. 1, 2005.01)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flame is extinguished through the water film generated by the impeller to prevent fir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lammable material in the vicinity of the workplace and to clean the dust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진기는 집진기 자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주안점이 있는 반면에 집진기(장치)에 연결된 집진관 등에서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dust collecto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or itself,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ositively cope with fires generated in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device).

-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72901호(등록일: 2005.01.04, 고안의 명칭: 집진기)-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901 (Registered Date: Apr. 4, 2005, name of design: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종래 타이어 재제조생산설비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의 화재발생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를 연삭하는 연삭장치에서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관의 내부에 살수장치를 설치하여 집진관의 내부 세척은 물론 그 내부에서 발화시 신속하게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형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risk of fire i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used in a conventional tire material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facility. In the conventional grinding apparatus for grinding a tread of a tire, a sprinkl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a dust collecting tube provid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device which can prevent a large-sized fire from being generated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to be clean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은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집진장치에 연결되어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관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집진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인제어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를 집진관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소방수 분사노즐; 상기 복수개의 소방수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수의 소방수 분사노즐로 동시에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소화전에 연결된 급수관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 분배관;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소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분진의 퇴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분진퇴적감지센서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분진퇴적감지센서에 전달된 신호를 파악하여 분진퇴적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관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소방수 공급을 통해 퇴적된 분진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퇴적모니터링부와,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집진관의 내부 온도가 표시되고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경우 급수용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온도모니터링부와, 상기 온도모니터링부와 분진퇴적모니터링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소방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grinding or cutting apparatu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rue tub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monit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 main controller installed outside the collector tube; A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duct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inject fire-extingui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ust collecting duct; A fire-fighting water distribu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supplied with fire-fight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so that fire-fighting wat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a switching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ip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regulate the supply of water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 main control unit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dust de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when a temperature high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is displayed on the dust collecting monitoring unit, And a temperatur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docu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efighter fireman supply.

특히, 상기 집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는 집진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는 건물의 화재알람장치에 신호를 보내 공장내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람제어부가 구비된다.Particularly,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sensed above the reference value, the main controller sends a signal And an alarm control unit for informing a worker and a manager inside the factory of the occurrence of a fir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소방수의 살수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로 화재발생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집진관의 어느 일측 통로를 밀폐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집진관이 연결된 연삭장치 및 집진장치의 동작을 자동 정지시켜 추가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제어부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may include a timer for controlling the spray time of the fire water, a shutoff member that closes one of the passages of the dust collecting pipe when a fire gen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a device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prevent further damag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따르면, 고무분진이 이동되는 집진관의 내부 및 집진장치에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연삭장치측에서 발생된 불꽃등에 의해 집진관의 내부에서 발화가 일어날 경우, 발화 초기에 상승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의 신호가 메인제어부에 전달되고, 메인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공장의 소화전에 연결된 소방수 살수라인에서 소방수가 자동 분사되어 대형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경제적, 인적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installed in a dust collecting tube in which rubber dust is move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ire is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A signal of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an elevated temperature at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a fire is automatically sprayed from a fire water spray lin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of the factory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it early and to prevent economic and human loss as much as possible.

특히,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집진관의 내부에 분진퇴적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량 이상의 분진이 집진관 내부에 퇴적되면 자동으로 소방수가 살수되어 일정 주기별로 집진관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Particularly, a dust accumulation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side a dust collecting tube which is hard to be observed by the operator or an administrator, and when a dust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the fire water is automatically sprayed an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can be cleaned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and a fire effec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의 메인제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의 일부 발췌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eneral configuration schematic view of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 unit of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는 집진장치는 타이어를 재제조하는 생산설비에 이용되는 것으로,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를 연삭하는 연삭장치와, 상기 연삭장치에서 연삭되어 발생된 고무분진을 분진장치로 배출시키는 집진관 및 집진장치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roduction facility for manufacturing a tire and includes a grinding apparatus for grinding a tread of a tire and a rubber apparatus for discharging rubber dust generated by grinding in the grinding apparatus to a dust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tube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연삭장치와 집진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are generally widely used, will be omitted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예방시스템(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0)의 구성을 간단한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fire prevention system 100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fire preven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It has a simple block road vie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100)은 타이어 재제조시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를 연삭하는 연삭장치(10)와, 상기 연삭장치(10)에서 발생되는 고무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일정길이로 구성되는 집진관(30) 및 집진장치(20)에 걸쳐서 설치된다.1, the fire prevention system 100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brasive apparatus 10 for grinding a tread of a tire originally in manufacturing a tire material, Is installed ov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dust.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재생타이어의 생산과정에 대해서 다시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타이어의 최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트레드가 마모되어 일정기간 사용 후 새로운 타이어로 교체하게 되는데, 이렇게 한번 사용된 타이어(본원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래 타이어”라 칭함)를 재제조하기 위해서는 마모된 트레드를 벗겨내고 새롭게 성형된 트레드를 융착시켜 재제조타이어를 생산하게 된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reclaimed tire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general, when the tire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read constituting the outermost edge of the tire is worn, In order to remake such used tires (referred to as " original tires "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n tread is peeled off and the newly formed tread is fused to produce a remanufactured tire.

이와 같이, 재생타이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본래 타이어의 트레드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 벗겨내는 연삭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연삭장치에 의해 본래 타이어에서 연삭된 고무분진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집진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연삭장치의 일측에 집진관 및 집진장치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duce the reclaimed tire, the grinding operation of peeling off a certain thickness is carried out by using an abrasive apparatus which rotates the tread of the tire at high speed, and the rubber dust, which is originally ground in the tire by the grind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tub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rinding device so as to be discharg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그런데, 상기 집진관의 내부에는 집진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고무분진 뿐만 아니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에 의해 흡입된 고무분진이 집진관의 내벽에 달라붙어 퇴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not only the rubber dust but also the surrounding air are also introduc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rubber dust sucked by the steam contained in the inflow air sticks to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accumulates .

따라서, 집진관의 내부에 고무분진이 퇴적되면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삭장치와 본래 타이어의 접촉시 발생되는 불꽃이 고무분진과 함께 집진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고열상태인 고무분진에서 발화가 되어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ubber dust is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flame generated when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original tire contact each other flows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together with the rubber dust, There is a danger that a fire will be generated in the ign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연삭장치(10)와 집진장치(20)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관(30)의 내부 또는 집진관(30)과 집진장치(20)에 온도를 감시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31)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31)에서 감지된 온도정보는 집진관(30)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메인제어부(4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31)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in the dust collecting tube (30) installed between the grinding apparatus (10)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1 is transmitted to a main control unit 40 provided separately on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40)에서는 설정된 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31)에서 보내온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전달된 온도정보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화재발생 또는 화재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집진관(30)이나 집진장치(20)에 설치된 소방수 분사노즐(55)을 통해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된다.The main controller 40 compares the set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31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fire or fire if the delivered temperatur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e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fire pipe injection nozzle 55 provided in the dust pipe 30 or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 개 이상의 연삭장치(10) 및 집진장치(20)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관(30)의 내부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31)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온도감지센서(31)는 발화시 불꽃이 위로 향하는 점과 고무분진이 바닥면에 퇴적되어 온도감지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진관(30)의 내부 상부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31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ust collecting tube 30 provided between one or more grinding devices 10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The sensor 31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ame is upwardly pointed at the time of ignition and a plurality of rubber dust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o prevent the temperature sensing performance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accumulation of rubber dust on the bottom surface .

또한, 연삭장치(10)와 집진장치(2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집진관(30)의 외측으로 소방수 분배관(54)이 설치되되, 상기 소방수 분배관(54)은 공장이나 건물에 구비된 소화전(50)에 연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는 급수관(52)에 연결되어 소방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방수 분배관(54)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31)와 유사한 간격으로 소방수 분사노즐(55)이 복수개 설치되어 공급된 소방수가 집진관(30)의 내부에 분사되도록 구성된다.A fire water distribution pipe 54 is installed outside the dust collecting pipe 30 between the grinding device 10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and the fire water distribution pipe 54 is installed in a factory or building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54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52 at a distance similar to that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50, And the supplied water is sprayed into the dust collecting pipe 30. [0053]

그리고, 상기 급수관(52)에는 상기 메인제어부(4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조절되어 소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56)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제어부(40)에서 온도감지센서(31)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화재발생을 인식할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40)는 공장에 설치된 화재알람장치(60)로 신호를 보내 화재발생경보를 발생시켜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및 관리자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pipe 52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56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control unit 40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water discharge water. In the main control unit 40, When the fire signal is recognized by the transmitted signal, the main control unit 40 sends a signal to the fire alarm apparatus 60 installed at the factory to generate a fire alarm to notify workers and managers working in the factory of the occurrence of fire .

상술한 본 발명의 화재예방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0)의 구성 및 동작관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즉, 상기 메인제어부(40)에는 집진관(30)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온도모니터링부(42)와, 집집관(30)의 내부에 퇴적되는 고무분진의 퇴적량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분진퇴적모니터링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모니터링부(42)와 분진퇴적모니터링부(43)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소방수(消防水) 제어부(43)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4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2 for monito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30, a dust monitoring unit 42 for monitoring the accumulation amount of rubber dust deposi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pipe 30, And a fire fighting water control unit 43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fire fighting water according to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2 and the dust deposition monitoring unit 43 Lt; / RTI >

또한, 상기 소방수 제어부(43)의 동작에 따라 소방수가 공급되는 경우, 공장의 화재알람장치(60)에 화재발생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알람제어부(44)가 구비되고, 상기 소방수 제어부(43)와 알람제어부(44)의 동작시 주변장치, 즉 연삭장치(10)와 집진장치(2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제어부(45) 및 상기 소방수 제어부(43)에 의해 공급되는 소방수의 공급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62) 등이 더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n alarm control unit 44 is provided to send a fire occurrence signal to a factory fire alarm apparatus 60 when fire wat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e water control unit 43. The fire alarm control unit 43, A device control unit 45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peripheral devices, that is, the grinding device 10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and the supply time of the fire water supplied by the fire water control unit 43 in the operation of the alarm control unit 44 And a timer 6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상기 온도모니터링부(42)는 집진관(30) 및 집진장치(2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3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표시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온도감지센서(31)에서 전달되는 온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라도 기준치 이상의 온도데이터가 전달될 경우, 상기 온도모니터링부(42)에서는 이를 화재로 인식하여 소방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The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2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display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ing sensors 31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3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20, The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2 recognizes the temperature data as a fire and programs it so that the fire water can be supplied when any temperature data of the temperature data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1 is transmitted.

또한, 상기 분진퇴적 모니터링부(41)는 집진관(30)의 내부에 추가로 설치되는 분진퇴적감지센서(34)에 의해 감지된 분진퇴적량에 따라 소방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집진관(30)의 내부에 일정 주기별로 소방수가 분사되어 퇴적된 분진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될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ust deposition monitoring unit 4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praying of the fire wa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ust accumulation detected by the dust accumulation detecting sensor 34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pipe 30, It is possible to wash dust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genuine tube 30 by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reduce the risk of occurrence of fire.

또한, 상기 알람제어부(44)는 소방수 제어부(43)에 의해 소방수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공장의 화재알람장치(60)에 신호를 보내 공장의 근로자나 관리자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치제어부(45)는 소방수 제어부(43)와 알람제어부(44)의 동작신호 발생시 분진이 발생되는 연삭장치(10)와,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장치(20)의 동작을 모두 정지시켜 추가적인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e-fighting water supply is performed by the fire-fighting water control unit 43, the alarm control unit 44 sends a signal to the fire alarm system 60 of the factory so as to inform a worker or an administrator of the fire- The apparatus control unit 45 stops all operations of the grinding apparatus 10 in which dust is generated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 that collects dust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fire water control unit 43 and the alarm control unit 44 is generated, And the like.

즉, 상기 온도모니터링부(42)에 의해 감지된 온도정보가 화재 발생으로 인식되는 설정온도 이상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소방수 제어부(43)와 알람제어부(44) 및 장치제어부(45)의 동작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2 is recognized as being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recognized as a fire occurrence, th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water control unit 43, the alarm control unit 44, and the device control unit 45 Are configured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한편, 상기 집진관(30)의 입구 측 또는 말단 측에는 비상시 집진관(30)의 내부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차단부재(70)는 화재발생시 집진관(30)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집진관(30)의 내부에 퇴적된 분진을 따라 집진장치(20) 측으로 불길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집진관(30)의 말단부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부재(70)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40)의 장치제어부(45)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 blocking member 70 for blocking an internal passage of the dust collecting duct 30 in an emergency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r the distal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he blocking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duct 30, The dust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ng pipe 30 may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along the dust accumul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pipe 30,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member 70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by the device control unit 45 of the main control unit 40 as well.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100) 구성중 일부 구성에 대한 설치단면을 발췌 도시하고 있다.3 shows an installation cross section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fire prevention system 100 for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 타이어(T)가 설치된 일측으로 연삭장치(10)가 설치되어 본래 타이어(T)의 트레부를 연삭하도록 구성되는데, 연삭장치(10)에 의해 연삭된 고무분진은 집진장치(20)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관(30)의 입구로 유입된 후에, 집진관(30)을 따라 집진장치(20) 측으로 이동된다.3, the grinding apparatus 10 is installed on one side where the original tire T is installed, and is constructed so as to grind the trays of the original tire T. The rubber grinded by the grinding apparatus 10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 and then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 side along the dust collecting tube (30).

또한, 집진관(30)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온도감지센서(31) 및 분진퇴적감지센서(34)가 설치되어 집진관(30)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메인제어부(40)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A temperature sensing sensor 31 and a dust accumulation sensor 34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ust collecting pipe 30 to monitor the internal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30 in real time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40 .

이러한 상태에서 집진관(30)의 내부 어느 특정지점에서 발화가 일어날 경우, 발화된 불꽃은 집진관(30)의 내측 상부를 향하게 되고 발화지점의 주변 온도는 상승하게 되며, 발화지점 및 그 주변에 설치된 상기 온도감지센서(31)에서 집진관(30)의 내부 상승 온도를 감지하여 메인제어부(40)로 검출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gnition occurs at a specific point in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he ignited flame is direct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ignition point is raised, The installed temperature sensor 31 senses the rising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or 30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40.

상기 메인제어부(40)에서는 온도감지센서(31)에서 전달된 온도신호가 설정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 소방수 제어부(43)를 통해 급수관(52)에 설치된 개폐밸브(56)로 신호를 보내 개폐밸브(56)를 개방시키고, 개폐밸브(56)의 개방으로 급수관(52)으로 공급된 소방수가 소방수 분배관(54)으로 전달되며, 소방수 분배관(54)으로 공급된 소방수는 집진관(3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55)로 공급되어 집진관(30) 내부로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이루어진다.The main control unit 40 sends a signal to the on-off valve 56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52 through the water-heating water control unit 43 when the temperatur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31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fir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52 is delivered to the fire water distribution pipe 54 and the fire water supplied to the fire water distribution pipe 54 is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ng pipe 30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56, And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55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30 to spray the water.

이와 같이, 복수개의 분사노즐(55)로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노즐(55)을 통해 집진관(30)의 내부로 살수가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발화된 화염이 진화되는 것으로, 집진관(30)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55)에서 소방수가 분사되는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ire wat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55 is spray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55, the ignited flame evolves an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water i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55 provided in the spray nozzle.

또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도 집진관(30)의 내부에 고무분진이 어느정도 차게 되면, 집진관(30)의 내측 바닥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분진퇴적감지센서(34)가 집진관(30) 내부의 분진 퇴적량을 감지하여 메인제어부(40)측으로 실시간 송출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분진퇴적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진퇴적모니터링부(41)에서 인식될 경우, 소방수 제어부(43)를 통해 급수관(52)의 개폐밸브(56)를 개방하여 집진관(3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여 집진관(30)의 내부에 퇴적된 고무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무분진의 퇴적으로 인해 집진관(30)의 내부에서 발화될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Even when a fire is not generated, the dust accumulation detection sensor 34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30 by a certain amount of rubber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30,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of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2 is detected by the dust accumulation monitoring unit 41 when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s detected by the dust accumulation monitoring unit 41 and sent to the main control unit 4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rubber dust accumul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pipe 30 by opening the valve 56 to spray fire water into the dust collecting pipe 30 so that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30 To prevent the risk of fire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감지센서(31)는 집진관(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감지센서를 이용하고, 분진퇴적감지센서(34)는 빛 센서나 진동센서를 채택하여 분진이 쌓이는 양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차에 따라 분진퇴적량을 판단하거나 분진퇴적량에 따라 점차 진동이 줄어들어 일정 진동수 이하인 경우 분진퇴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소방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된 다른 감지센서 및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센서 및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Meanwhile, the temperature sensor 3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hermal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30, and the dust accumulation sensor 34 uses a light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e water by judging the minute advance / departure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accumulation or judging that the dust accumulation occurs when the vibration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minute advance / Any sensor and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ccomplish the same purpose using other sensing devices and devices.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소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56)가 급수관(52)에 설치된 실시예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급수관(52) 이외에도 소방수 분배관(54) 및 급수관(52)과 소방수 분배관(54) 모두에 설치되어 동시에 개폐되거나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valve 56 for regulating the supply of the fire water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52. However,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pipe 52, the water discharge pipe 54 and the water supply pipe 52 And the fire water distribution pipe 54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집진관(30)은 일정구간별로 분할 구성되어 연속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집진관(30) 및 집진관(30)에 설치된 구성품의 교체와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tub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tube 30 is divided and continuously assembled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repair of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30 and the dust collecting tube 30, .

10 : 연삭장치 20 : 집진장치
30 : 집진관 31 : 온도감지센서
32 : 분진퇴적 34 : 분진퇴적감지센서
40 : 메인제어부 41 : 분진퇴적모니터링부
42 : 온도모니터링부 43 : 소방수제어부
44 : 알람제어부 45 : 장치제어부
50 : 소화전 52 : 급수관
54 : 소방수분배관 55 : 분사노즐
56 : 개폐밸브 60 : 화재알람장치
62 : 타이머 70 : 차단부재
100 : 집진장치 화재예방시스템
10: Grinding device 20: Dust collector
30: Collector tube 31: Temperature sensor
32: Dust deposition 34: Dust deposition sensor
40: main control unit 41: dust deposition monitoring unit
42: temperature monitoring unit 43:
44: alarm control unit 45: device control unit
50: fire hydrant 52: water pipe
54: fire water piping 55: injection nozzle
56: opening / closing valve 60: fire alarm device
62: timer 70: blocking member
100: Dust collector fire prevention system

Claims (5)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집진장치에 연결되어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관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집진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인제어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를 집진관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소방수 분사노즐; 상기 복수개의 소방수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수의 소방수 분사노즐로 동시에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소화전에 연결된 급수관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 분배관;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소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분진의 퇴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분진퇴적감지센서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분진퇴적감지센서에 전달된 신호를 파악하여 분진퇴적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관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소방수 공급을 통해 퇴적된 분진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퇴적모니터링부와,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집진관의 내부 온도가 표시되고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경우 급수용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온도모니터링부와, 상기 온도모니터링부와 분진퇴적모니터링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소방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A dust collecting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nding or cutting devi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transfer the dust generated in the grinding or cutting device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monit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 main controller installed outside the collector tube; A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duct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inject fire-extingui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ust collecting duct; A fire-fighting water distribu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supplied with fire-fight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so that fire-fighting wat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e-fighting water spraying nozzles; And a switching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water discharge water,
Wherein a plurality of dust accumulation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ccumulation of dust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tube ar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The main control unit monitor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dust accumulation detection sensor and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lean the dust accumulated through the supply of the fire water when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temperature monitoring unit for sending out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s displayed and a temperature high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And a fire-wa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fire-fighting water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fighting water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는 집진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는 건물의 화재알람장치에 신호를 보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람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detect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main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fire alarm device of the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an alarm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fi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소방수의 살수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timer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time of the fire-fighting wa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의 일단에는 집진관 내부의 화재 발생시 화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차단부재의 폐쇄동작 및 상기 연삭장치와 집진장치의 동작 정지를 위한 장치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fire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dust collecting duct, and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device for closing the blocking membe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KR1020140036315A 2014-03-27 2014-03-27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KR101664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15A KR101664383B1 (en) 2014-03-27 2014-03-27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15A KR101664383B1 (en) 2014-03-27 2014-03-27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22A KR20150113322A (en) 2015-10-08
KR101664383B1 true KR101664383B1 (en) 2016-10-12

Family

ID=5434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315A KR101664383B1 (en) 2014-03-27 2014-03-27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81A (en) * 2017-12-06 2019-06-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portable dust collector with extinguishing function
KR20210106137A (en)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오무전기 Fire preven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KR20230167778A (en) 2022-06-02 2023-12-12 한국중부발전(주)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76U (en) 2016-10-26 2018-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ubber dust collector with fire suppression system
CN106390345A (en) * 2016-11-29 2017-02-15 安徽理工大学 Safe and efficient dedusting, cooling and fire extinguishing multifunctional system
CN108766907A (en) * 2018-05-08 2018-11-06 天津市孜睿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of automation equipment in factory
CN110370066A (en) * 2019-07-08 2019-10-25 苏州百仕顿工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ust-extraction unit of large size cutting equipment
CN112870872B (en) * 2021-01-27 2022-05-20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Improved blowing pipe applied to tobacco pulse dust coll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49Y1 (en) * 1999-09-14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Device for measuring height of dust in sil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01Y1 (en) 2004-10-21 2005-01-21 한정희 the dust collector
KR100716671B1 (en) * 2005-07-29 2007-05-09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 for Duct
KR20130123926A (en) * 2012-05-04 2013-11-13 주식회사 삼일기계 The fire preven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textile dry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49Y1 (en) * 1999-09-14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Device for measuring height of dust in sil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81A (en) * 2017-12-06 2019-06-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portable dust collector with extinguishing function
KR102021798B1 (en) * 2017-12-06 2019-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portable dust collector with extinguishing function
KR20210106137A (en)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오무전기 Fire preven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KR20230167778A (en) 2022-06-02 2023-12-12 한국중부발전(주)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22A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83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rubber dust collector
CA2489074C (en) Method and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CN205469912U (en) Print powdered ink partial shipment dust exposion prevention protection system
CN105538169B (en) System is protected in the dust explosion protection of ball blast abrasive blast equipment
CN203526142U (en) Train image collection system and camera dust removal device thereof
JP3686387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tunnel
CN104027922A (en) Storage tank fire hazard water curtain spraying protecting system for large-size tank area
TWI554326B (en) Semiconductor exhaust gas treatment equipment
CN208448470U (en) A kind of smoke discharging pip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N203778454U (en) Dust collecting system for floor production line
CN206748231U (en) A kind of wet dust separater for mechanical grinding station
CN110339521B (en) Spark detection and f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oodworking sanding process
CN205340384U (en) Dust collecting equipment fire extinction/protection automatic control device
CN205497236U (en) Throw ball sand blasting equipment dust exposion prevention ability of swimming dust pelletizing system
CN205497235U (en) Throw ball sand blasting equipment dust exposion prevention protection system
CN217961666U (en)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explosion-proof dust remover
CN210409319U (en) Spark detection and fire fighting system for woodworking sanding process
CN106139450A (en) Coal pulverizer inert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GB2530756A (en) Monitoring system
CN110064156A (en) A kind of multiple warehouse Automatic Fire Alarm extinguishment control systems and method
CN209876522U (en) Spark detection flameout system for dust conveying pipeline and container
KR102402164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CN109646847A (en) Fire detection and fire-fighting link device based on graphics process
CN219558568U (en) Storage tank fire control unit and storage tank fire control system
CN209612048U (en) The fire-fighting system of fire between a kind of fighting instrument control electronic control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