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450B1 - 침상체 - Google Patents

침상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450B1
KR101663450B1 KR1020167002840A KR20167002840A KR101663450B1 KR 101663450 B1 KR101663450 B1 KR 101663450B1 KR 1020167002840 A KR1020167002840 A KR 1020167002840A KR 20167002840 A KR20167002840 A KR 20167002840A KR 101663450 B1 KR101663450 B1 KR 10166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pport substrate
skin
concave plate
form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863A (ko
Inventor
히로유키 가토
다카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3/0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Abstract

본 발명의 침상체는, 명도가 5.0 이하인 지지 기판과, 피부에 천자하도록 구성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함과 함께 전광선 투과율이 20 % 이상인 광투과 영역을 갖고, 상기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침상체{NEEDLE-SHAPED BODY}
본 발명은 침상체,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첩부 (貼付) 함으로써 천자 (穿刺) 되는 미세한 침상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7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5179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피부로부터 약제 등의 송달물을 침투시켜 체내에 송달물을 투여하는 방법인 경피 흡수법은, 인체에 고통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송달물을 투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경피 흡수법을 이용한 경피 투여의 분야에 있어서, ㎛ 오더 사이즈의 바늘이 형성된 침상체를 사용하여 피부에 천자를 실시하여, 피부 내에 약제 등을 투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침상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원판을 제작하고, 그 원판으로부터 전사판을 형성하고, 그 전사판을 사용한 전사 가공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또, 침상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에칭법을 이용하여 원판을 제작하고, 그 원판으로부터 전사판을 형성하고, 그 전사판을 사용한 전사 가공 성형을 실시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침상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만일 파손된 침상체가 체내에 잔류한 경우에서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침상체 재료로서 키틴ㆍ키토산 등의 생체 적합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또, 침상체를 피부에 천자할 때에는, 침상체의 피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48-93192호 국제 공개 제2008/013282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08/00459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08/020632호 팜플렛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콜라겐 등의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생체 적합성 재료를 사용한 침상체는, 피부에 천자 후에 피부 내부에서 용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외에 피부 내로의 송달을 목적으로 한 송달물을 함유시켜 침상체를 제작함으로써, 침상체를 피부에 천자했을 때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에 의해 송달물을 피부 내에 송달할 수 있다.
또, 폴리카보네이트,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침상체의 표면에 송달물의 용액을 코팅하고, 피부에 천자함으로써 송달물을 피부 내부에 송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침상체를 피부에 천자하는 경우, 침상체의 면상에 점착재를 형성하여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천자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점착제로서 무색 투명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색 투명의 점착제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거의 무색 투명의 침상체를 조합하여 형성한 침상체를 피부에 천자하고, 침상체 용해 후에 피부로부터 떼어낸 후, 떼어낸 침상체에 잔류하는 바늘의 용해 정도를 의료 종사자나 환자 등이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워, 바늘이 피부 내에 충분히 용해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사정에 입각하여, 본 발명은, 바늘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침상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침상체는, 명도가 5.0 이하인 지지 기판과, 피부에 천자하도록 구성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함과 함께 전광선 투과율이 20 % 이상인 광투과 영역을 갖고, 상기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키토산 유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수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상기 지지 기판의 면과 대향하는 면을 갖는 기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투명의 점착층과 유색의 기재 테이프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유색의 기재 테이프와, 상기 기재 테이프 상에 형성된 투명 점착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바늘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1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1 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2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2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3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3 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4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4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5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의 변형예 5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7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7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8a 는 종래의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8b 는 종래의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8c 는 종래의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8d 는 종래의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침상체를 침부측으로부터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 은 비교예의 침상체를 침부측으로부터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되는 침상체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침상체 (1) 는, 지지 기판 (기판부) (10) 과, 지지 기판 (10) 상에 형성된 침부 (20) (광투과 영역 (20c))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기판 (10) 은, 침부 (20) 를 지지하며,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 기판 (10) 에 사용되는 필름상 부재의 재료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셀로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침부 (20) 는, 피부에 천자된 후에 용해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침부 (20) 의 재료로는, 수용성 고분자, 이당류 등을 들 수 있다. 침부에는 원하는 송달물이 혼합 또는 도포 등에 의해 함유되고, 침부가 피내에서 용해됨으로써 송달물이 피내를 경유하여 체내에 도입된다.
침부의 재료가 되는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메틸셀룰로오스 (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아크릴산계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PAM),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등을 들 수 있다. 침부 (20) 가 수용성 고분자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침상체를 사용한 다음에 침부가 소실된 모습을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당류로는, 수크로오스, 락툴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셀로비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당류로서 트레할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할로오스는, 이당 중에서도 특히 결정 구조가 물에 가깝기 때문에, 송달물이 단백질인 경우, 당해 단백질을 보호하고,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이 밖에, 전분, 키토산, 나아가서는 키토산숙신아미드 등의 키토산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이들 재료를 총칭하여 「침부 재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서술한 침부 재료 중에서도, 키토산, 키토산숙신아미드, HPC, CMC 는, 생물학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침부의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단, 본 실시형태의 침상체에 있어서, 침부의 재료는, 피부에 천자된 후에 용해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상기 구체적인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침부 (20) 의 형상은, 피부에 천자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원뿔, 각뿔, 원기둥, 각기둥, 연필 형상 (기둥상의 동체부 (胴體部) 와 뿔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형상) 등의 각종 형상에서 선택되면 된다.
침부 (20) 는 지지 기판 (10) 상에 1 개 존재해도 되고, 지지 기판 (10) 상에 복수 세워져 형성해도 되며, 어느 것이어도 된다. 침부 (20) 가 복수 세워져 형성되는 경우, 각 침부 (20) 는 어레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어레이상」이란 각 침부가 소정의 양태를 가지고 나란히 정렬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격자 배열, 최밀 충전 배열, 동심원상 배열, 랜덤 배열 등을 포함한다.
또, 도 1 은, 복수의 침부 (20) 와, 지지 기판 (10) 에 지지되는 기부 (20b) (침부)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변형예 1 과 같이, 기부 (20b) 와 침부 (20)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각 침부 (20) 가 독립되도록 지지 기판 (10) 상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변형예 2 와 같이, 침부와 기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침부 (20) 가 서로 이간되어 독립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기판이, 침부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 (10b)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침부 (20) 의 선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구멍은, 지지 기판 (10)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도 되고,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침부 (20) 는, 피부에 천자공을 형성하는 데에 적합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침부 (20) 의 높이 H 는 10 ㎛ 이상 100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 H 는, 지지 기판 (10) 의 면상에서부터 침부 (20) 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침부 (20) 의 높이 H 는, 상기 서술한 범위 내에서 침상체를 천자했을 때에 형성되는 천자공을 피부 내에서 어느 정도의 깊이로 형성할지를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침상체 (1) 를 천자했을 때에 형성되는 천자공을 「각질층 내」로 한정하는 경우, 높이 H 를 10 ㎛ 이상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200 ㎛ 이하,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자공을 「각질층을 관통하고, 또한 신경층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한정하는 경우, 높이 H 를 200 ㎛ 이상 7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5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3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자공을 「천자공이 진피에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경우, 높이 H 는 200 ㎛ 이상 5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자공을 「천자공이 표피에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경우, 높이 H 는 200 ㎛ 이상 3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부 (20) 의 폭 D 는, 1 ㎛ 이상 30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D 는, 상기 서술한 범위 내에서 침상체를 천자했을 때에 형성되는 천자공을 피부 내의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형성할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폭 D 는, 침부를 지지 기판 (10) 의 면과 평행하게 투영했을 때, 침부가 지지 기판과 접해 있는 부위의 최대 치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침부가 원뿔상 또는 원기둥상인 경우, 침부와 지지 기판이 접해 있는 면의 원의 직경이 폭 D 가 된다. 침부가 정사각뿔 또는 정사각기둥인 경우, 침부와 지지 기판이 접해 있는 면의 정방형의 대각선이 폭 D 가 된다.
침부 (20) 의 애스펙트비는, 1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애스펙트비 A 는, 침부의 높이 H 와 폭 D 를 사용하여 A = H/D 에 의해 정의된다.
침부 (20) 가 뿔 형상과 같이 선단각을 가지고, 각질층을 관통시키는 경우, 침부의 선단각 θ 는 5°이상 3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상 20°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각 θ 란, 침부 (20) 를 지지 기판 (10) 의 면과 평행하게 투영했을 때의 각도 (꼭지각) 중 최대의 각도를 의미한다.
침부 (20) 에 함유되는 송달물로는, 각종 단백질, 약리 활성 물질, 화장품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약리 활성 물질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등의 백신, 암환자용 진통약, 인슐린, 생물 제제, 유전자 치료약, 주사제, 경구제, 피부 적용 제제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침상체는 피부를 천자하기 위해, 종래의 경피 투여에 사용되는 약리 활성 물질 이외에도, 피하 주사가 필요한 약리 활성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주사제인 백신 등은, 침상체를 사용한 경우, 투여시에 고통이 없기 때문에, 소아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다. 또, 종래의 경구제의 투여에서는, 소아는 경구제를 마시는 것이 곤란하지만, 침상체를 사용한 경우, 투여시에 약제를 마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아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다.
화장품 조성물이란, 화장품 및 미용품으로서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예를 들어, 보습제, 색료, 향료, 미용 효과 (주름, 여드름, 임신선 등에 대한 개선 효과, 탈모에 대한 개선 효과 등) 를 나타내는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로서 방향 (芳香) 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 경우, 침상체의 사용시에 좋은 향기를 부여할 수 있어, 미용품으로서 사용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침부 (20) 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광선의 투과율이 20 %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침부 (20) 를 통하여 지지 기판 (10) 의 색채를 시인할 수 있다.
지지 기판 (10) 은, 명도 5.0 이하의 색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명도 5.0 이하이면, 색상, 채도에 제한은 없다.
본 실시형태의 침상체 (1) 는, 침부 (20) 의 전광선 투과율 및 지지 기판 (10) 의 명도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침부 (20) 측에서 침부 (20) 와 지지 기판 (10) 이 겹치도록 침부 (20) 를 보면, 침부 (20) 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는 지지 기판 (10) 의 색채에 의해, 침부 (20) 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침상체 (1) 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침부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판을 준비한다. 각 침부 (20) 의 형상을 결정하는 원판을 제작하고, 원판의 형상을 요철 반전시킨 오목판을 제작한다. 원판은, 침부의 형상에 따라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미세 가공 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어 리소그래피법, 웨트 에칭법, 드라이 에칭법, 샌드 블라스트법, 레이저 가공법, 정밀 기계 가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원판으로부터 오목판을 형성하려면, 공지된 형상 전사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i 전기 주조법에 의한 Ni 제 오목판의 형성이나, 용융된 수지를 사용한 전사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각 침부 (20) 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오목판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적절히 선택한 침부 재료를 함유하는 침부 형성 용액을 조정한다. 침부 형성 용액의 유동성은, 용질의 양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오목판의 오목부 내에 바람직하게 충전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겔상이어도 된다.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은, 침부 형성 용액 중의 침부 재료의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설정한다.
다음으로, 오목판 상에 침부 형성 용액을 공급한다. 공급 방법은, 오목판의 형상이나 치수 등을 고려하여 공지된 방법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방법, 캐스팅법, 잉크젯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오목판에 대한 침부 형성 용액의 공급은, 상압하에서 실시되면 되는데, 침부 형성 용액을 보다 바람직하게 오목부 내에 충전하기 위해, 감압하 또는 진공하에서 공급을 실시해도 된다. 오목판에 공급되는 침부 형성 용액의 양은, 모든 오목부를 덮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침부 형성 용액 중의 액성 성분을 제거하여 고화하고, 침부를 형성한다.
이 공정은, 침부 형성 용액을 상온에서 유지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오목판을 가열하거나 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가열 건조시키면,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열의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오목판을 재치 (載置) 하는 핫 플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침부 (20) 의 형성 후, 소정의 명도를 갖는 지지 기판 (10) 을 오목판 상에 배치한다. 지지 기판 (10) 의 표면에 점착층 등을 형성해 둠으로써, 침부 (20) 가 지지 기판 (10) 에 점착되고, 지지 기판 (10) 을 오목판 (30) 으로부터 떼어내면, 지지 기판 (10) 과 함께 침부 (20) 도 오목판 (30) 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 기판 (10) 및 침부 (20) 를 구비한 침상체 (1) 가 완성된다.
상기 서술한 박리 대신에, 화학적 용해 등에 의해 오목판만을 용해하여 침부 (20) 를 꺼내는 것도 가능하다.
침상체 (1) 는, 완성 후에 용도 등에 따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타발 (打拔) 되면 된다. 타발은 톰슨날 등의 펀칭날을 사용하여 실시하면 된다. 혹은, 지지 기판 (10) 을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오목판째로 타발할 수도 있다.
침부의 주위에 점착제를 첩부하면, 피부 등에 첩부 가능한 침상체가 된다. 점착재는 피부 첩부에 적합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멸균 공정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 기판으로서 유색의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침부 형성 용액에 안료를 첨가한 유색의 재료를 오목판 상에 층상으로 배치하고, 침부 (20) 와 마찬가지로 고화시킴으로써,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지 기판 (11) 을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부 (20) 의 일부, 예를 들어 기부 (20b) 가 유색으로 형성되어도 되는데, 적어도 피부에 천자되는 선단 (20a) 측 (선단 (20a) 을 포함하는 광투과 영역 (20c)) 은, 상기 서술한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침상체가 유색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지지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한편,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침부 및 투명 또는 반투명의 기부를 점착 테이프 등의 유색의 지지 기판 (40) 상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침부 및 투명 또는 반투명의 기부를, 투명의 점착층 (12) 및 유색의 기재 테이프 (50) 로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 등의 지지 기판 (60) 상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지지 기판 (60) 의 명도를 측정할 때에는, 기재 테이프 (50) 에 있어서의 투명한 점착층 (12) 측의 면의 명도를 측정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침상체 (1) 에 의하면, 침부 (20) 의 전광선 투과율 및 지지 기판 (10) 의 명도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지지 기판 (10) 상에 위치하는 침부 (20) 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침상체 (1) 를 피부에 첩부할 때, 침부 (20) 를 목표로 한 위치에 확실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침상체 (1) 를 피부로부터 떼어냈을 때, 침부 (20) 의 상태, 예를 들어, 침부가 소실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상체의 효과나 송달물의 몸으로의 송달 상황 등을 적확하게 이해하여, 효과 및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d 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 (1) 의 설명도이다. 도 7a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7b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7c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7d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7a ∼ 도 7d 에 있어서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침상체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지지 기판 (10) 대신에, 상기 서술한 지지 기판 (11, 40 및 60) 이 채용된 구성이라 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8a 내지 도 8d 는, 침부 (101) 및 지지 기판 (102) 을 갖는 종래의 침상체 (100) 의 설명도이다. 도 8a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8b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하기 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도 8c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측면도이다. 도 8d 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의 침상체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침상체 (1) 에 의하면,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부 (20) 의 선단 부근이 뚜렷하게 빛나 시인된다. 따라서, 사용자 등은 침상체 (1) 를 피부에 첩부할 때, 침부 (20) 를 목표로 한 위치에 확실하게 첩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침상체를 피부에 첩부한 후 다시 침상체를 피부로부터 떼어낸 경우에, 침상체를 관찰하면, 침부의 선단이 소실되었을 때에는, 도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부의 선단 부근이 뚜렷하게 빛나는 현상은 소실된다. 따라서, 사용자 등은, 도 7b 에 나타내는 사용 전의 상태와 도 7d 에 나타내는 피부로부터 떼어낸 후의 상태의 비교로부터 침부 선단이 용해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침상체에 있어서는,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부 (101) 의 선단 부근을 시인하는 것이 도 7b 와 비교하여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침상체에 있어서는, 사용자 등은, 도 8b 에 나타내는 사용 전의 상태와 도 8d 에 나타내는 피부로부터 떼어낸 후의 상태 사이의 차이를 알기 어려워, 침부 선단이 용해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침상체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용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오목판의 제작)
실리콘 기판에 정밀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정사각뿔 (높이 : 150 ㎛, 바닥면 : 60 ㎛ × 60 ㎛) 이, 1 ㎜ 간격으로 6 열 6 행의 격자상으로 합계 36 개 배열된 침상체 원판을 형성하였다. 이 침상체 원판에 도금법에 의해 니켈막을 500 ㎛ 의 두께로 형성하고, 90 ℃ 로 가열한 중량 퍼센트 농도 30 % 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에 의해 상기 실리콘 기판을 웨트 에칭하여 제거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니켈로 형성되고, 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36 개의 오목부를 갖는 오목판을 제작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물에 키토산 유도체인 키토산숙신아미드를 용해하여, 중량 퍼센트 농도 5 % (5 wt%) 의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을 조정하였다.
(침부의 제작)
스핀 코트법을 이용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오목판의 오목부 내에 충전하고, 또한 오목판 상에 층상이 될 정도로 공급하였다. 열원을 사용하여 오목판을 120 ℃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건조, 고화시켰다. 열원으로는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고화 후, 층상으로 고화된 침부 형성 용액을 지지하여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여 투명한 침부를 제작하였다.
JIS K 7105 (1981) 「플라스틱의 광학적 특성 시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흑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 (貼合) 하여 실시예 1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1.5 였다 (JIS K 5600-4-5 (1999) 「도료 일반 시험 방법-제 4 부 : 도막의 시각 특성-제 5 절 : 측색 (측정)」에 기초하여 측정, 이하, 동일).
(실시예 2)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침부 형성 용액으로서, 물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용해하여, 10 wt% 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조정하였다.
(침부의 제작)
스핀 코트법을 이용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오목판의 오목부 내에 충전하고, 또한 오목판 상에 층상이 될 정도로 공급하였다. 그 후, 오목판을 가열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건조, 고화시켰다.
고화 후, 층상으로 고화된 침부 형성 용액을 지지하여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여 반투명한 침부를 제작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3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흑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2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 면의 명도 L* 는 1.5 였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3)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침부 형성 용액으로서, 물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모델 항원 난백 알부민 (OVA) 을 용해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농도가 10 wt% 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조정하였다.
(침부의 제작)
스핀 코트법을 이용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오목판의 오목부 내에 충전하고, 또한 오목판 상에 층상이 될 정도로 공급하였다. 그 후, 오목판을 가열하여 침부 형성 용액을 건조, 고화시켰다.
고화 후, 층상으로 고화된 침부 형성 용액을 지지하여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여 반투명한 침부를 제작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2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청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3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3.5 였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4)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침부를 형성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짙은 갈색 (Dark Brown) 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4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2.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5)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침부를 형성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적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5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4.5 였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6)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실시예 2 와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침부를 형성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3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갈색 (Brown) 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6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4.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7)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실시예 2 와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침부를 형성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3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녹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실시예 7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3.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8, 9 및 10 에서는, 착색된 침부 형성 용액을 사용하여 침부의 기부 및 지지 기판을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8)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 (침부) 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침부 형성 용액 (침부)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침부를 제작하였다. 이 때, 침부 형성 용액을, 오목판의 오목부 내에 충전 후, 스퀴징을 실시하여, 침부 각각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공급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5 % 였다.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의 조정)
에탄올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식용 색소 (흑색) 를 용해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농도가 10 wt% 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용액을 조제하였다.
(지지 기판의 제작/침상체의 제작)
스핀 코트법을 이용하여,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을, 침부가 형성된 오목부 내의 스페이스에 공급하고, 또한 오목판 상에 층상이 될 정도로 공급하였다. 열원을 사용하여 오목판을 120 ℃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을 건조, 고화시켰다. 열원으로는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고화 후, 층상으로 고화된 지지 기판을 지지하여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침부 형성 용액으로 형성된 지지 기판 및 침부를 구비한 2 층 구성의 침상체를 제작하였다.
지지 기판의 명도 L* 는 1.5 였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9)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2 와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 (침부) 의 조제)
실시예 2 와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8 과 동일한 순서로 침부를 제작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40 % 였다.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의 조정)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으로서, 45 ℃ 의 뜨거운 물에 풀루란과 식용 색소 (흑색) 를 용해하여, 풀루란의 농도가 10 wt% 인 풀루란 용액을 조제하였다.
(지지 기판의 제작/침상체의 제작)
스핀 코트법을 이용하여,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을, 침부가 형성된 오목부 내의 스페이스에 공급하고, 또한 오목판 상에 층상이 될 정도로 공급하였다. 열원을 사용하여 오목판을 가열하여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을 건조, 고화시켰다. 열원으로는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고화 후, 층상으로 고화된 지지 기판을 지지하여 오목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침부 형성 용액으로 형성된 지지 기판 및 침부를 구비한 2 층 구성의 침상체를 제작하였다.
지지 기판의 명도 L* 는 1.5 였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실시예 10)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 (침부) 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8 과 동일한 순서로 침부를 제작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5 % 였다.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의 조정)
에탄올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메틸렌 블루 (청색 색소) 를 용해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농도가 10 wt% 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용액을 조제하였다.
(지지 기판의 제작/침상체의 제작)
실시예 8 과 마찬가지로,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으로 형성된 지지 기판 및 침부를 구비한 2 층 구성의 침상체를 제작하였다.
지지 기판의 명도 L* 는 4.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비교예 1)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침부를 형성하였다.
JIS K 7105 (1981) 에 의해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0 % 였다.
(침상체의 제작)
지지 기판으로서, 백색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제작된 침부와 지지 기판을 첩합하여 비교예 1 의 침상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측의 면의 명도 L* 는 9.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비교예 2)
(오목판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오목판을 사용하였다.
(침부 형성 용액 (침부) 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침부 형성 용액 (키토산숙신아미드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침부의 제작)
실시예 8 과 동일한 순서로 침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침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85 % 였다.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의 조정)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으로서, 에탄올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식용 색소 (흰색) 를 용해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농도가 10 wt% 인 용액을 조정하였다.
(지지 기판의 제작/침상체의 제작)
실시예 8 과 마찬가지로, 침부 형성 용액 (지지 기판) 으로 형성된 지지 기판 및 침부를 구비한 2 층 구성의 침상체를 제작하였다.
지지 기판의 명도 L* 는 9.0 이었다 (JIS K 5600-4-5 (1999) 에 기초하여 측정).
(평가 1)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침상체를, 침부측으로부터, 또한 침부와 지지 기판이 겹쳐 보이는 방향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1 ∼ 10 에서는 모두 침부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또, 침부의 선단부가 휘점상 (輝點狀) 으로 시인되었다. 비교예 1 및 2 에서는, 지지 기판의 가시광 반사에 의해 침부를 시인할 수 없었다.
(평가 2)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실시예의 침상체의 침부를, 인공 피부에 천자 후 10 분 경과 후에 박리하고, 평가 1 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1 ∼ 10 에서는, 평가 1 에서 시인된 휘점상의 부위가 시인되지 않게 되어, 침부의 선단부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및 2 에서는, 침부의 선단부가 용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없었다.
도 9 에 실시예 1 의 침상체를 침부측으로부터 촬영한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0 에, 비교예 2 의 침상체에 대하여 도 9 와 동일 조건에서 촬영한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 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D 내에 침부가 위치하고 있다. 도 9 에서는 침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지만, 도 10 에서는 침부를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조합을 바꾸거나, 각 구성 요소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침상체
10, 11, 40, 60 : 지지 기판
10b : 돌기부
20 : 침부
20a : 선단
20b : 기부 (침부)
20c : 광투과 영역
12 : 점착층
50 : 기재 테이프

Claims (6)

  1. 명도가 5.0 이하인 지지 기판과,
    피부에 천자하도록 구성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함과 함께 전광선 투과율이 20 % 이상인 광투과 영역을 갖고, 상기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침부를 구비하는, 침상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키토산 유도체로 형성되어 있는, 침상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수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침상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상기 지지 기판의 면과 대향하는 면을 갖는 기부를 포함하는, 침상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를 갖는, 침상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유색의 기재 테이프와, 상기 기재 테이프 상에 형성된 투명 점착층을 포함하는, 침상체.
KR1020167002840A 2013-07-22 2014-07-22 침상체 KR101663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1797 2013-07-22
JP2013151797 2013-07-22
PCT/JP2014/069290 WO2015012252A1 (ja) 2013-07-22 2014-07-22 針状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863A KR20160018863A (ko) 2016-02-17
KR101663450B1 true KR101663450B1 (ko) 2016-10-06

Family

ID=5239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840A KR101663450B1 (ko) 2013-07-22 2014-07-22 침상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6504B2 (ko)
EP (1) EP3025754B1 (ko)
JP (2) JP5928661B2 (ko)
KR (1) KR101663450B1 (ko)
CN (1) CN105392521B (ko)
WO (1) WO2015012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6958A1 (ja) * 2015-07-07 2017-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経皮投与デバイス
EP3466478B1 (en) * 2016-06-07 2020-08-26 FUJIFILM Corporation Microneedle array
WO2018220926A1 (ja) * 2017-05-30 2018-12-06 Nissha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とその梱包体
FR3097768B1 (fr) 2019-06-28 2022-11-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type patch à appliquer sur la peau d'un être vivant
JP7289601B2 (ja) * 2020-04-28 2023-06-12 Nissha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梱包体
JP1687031S (ko) * 2020-06-30 2021-06-07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465A (ja) 2007-12-14 2009-07-02 Fujikura Ltd 医薬物運搬用器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金型とその製造方法
JP2009273772A (ja) * 2008-05-16 2009-11-26 Kyokko Seiko Co Ltd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505164A (ja) * 2008-10-07 2012-03-01 ジン・トゥオ 相転移重合体マイクロニード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384A (fr) 1972-02-14 1973-08-13 Ici Ltd Pansements
AU2005314289A1 (en) * 2004-12-10 2006-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cal device
US8554317B2 (en) * 2005-11-30 2013-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needle array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036586B1 (en) 2006-07-04 2015-09-09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needle
EP2047882B1 (en) 2006-07-27 2014-09-10 Toppan Printing Co., Ltd. Microneedle and method for producing microneedle
EP2062612A4 (en) 2006-08-18 2010-01-06 Toppan Printing Co Ltd MICRO NEEDLE AND MICRO NEEDLE STAMP
JP4888018B2 (ja) * 2006-09-29 2012-02-29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の製造方法及び針状体
JP5023671B2 (ja) * 2006-11-22 2012-09-12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の製造方法
EP2146689B1 (en) * 2007-04-16 2020-08-12 Corium, Inc. Solvent-cast microneedle arrays containing active
JP2009297478A (ja) * 2008-06-11 2009-12-24 Yoshiichi Tobinaga 経皮投薬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輸送用コンテナ
JP2010075374A (ja) * 2008-09-25 2010-04-08 Toppan Printing Co Ltd 針状体デバイスおよび針状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EP2338557A1 (en) * 2009-12-23 2011-06-29 Debiotech S.A. Soluble microneedle
WO2011094476A1 (en) * 2010-01-29 2011-08-04 Icon Medical Corp. Biodegradable protrusions on inflatable device
US20120296280A1 (en) * 2010-01-29 2012-11-22 U-Biomed Inc Micro needle and micro needle device
EP2578264B1 (en) * 2010-05-28 2019-0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Device having array provided with fine protrusions
WO2012149155A1 (en) * 2011-04-29 2012-11-01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subject
GB201107642D0 (en) * 2011-05-09 2011-06-22 Univ Cork Method
CN110025881A (zh) * 2012-09-13 2019-07-19 亚夫拉罕·阿米尔 用于皮肤改善的递送装置和方法
US10668260B2 (en) * 2013-03-12 2020-06-0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icroneedle pa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465A (ja) 2007-12-14 2009-07-02 Fujikura Ltd 医薬物運搬用器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金型とその製造方法
JP2009273772A (ja) * 2008-05-16 2009-11-26 Kyokko Seiko Co Ltd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505164A (ja) * 2008-10-07 2012-03-01 ジン・トゥオ 相転移重合体マイクロニー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6504B2 (en) 2019-10-29
EP3025754B1 (en) 2020-09-30
JPWO2015012252A1 (ja) 2017-03-02
JP5928661B2 (ja) 2016-06-01
JP2016144695A (ja) 2016-08-12
US20160213819A1 (en) 2016-07-28
EP3025754A4 (en) 2017-04-12
WO2015012252A1 (ja) 2015-01-29
EP3025754A1 (en) 2016-06-01
CN105392521B (zh) 2018-09-18
KR20160018863A (ko) 2016-02-17
CN105392521A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50B1 (ko) 침상체
Sharma et al. Recent advances in microneedle composit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dvanced drug delivery technologies
US9919141B2 (en) Needle-shap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eedle-shaped body
US10918845B2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device
Akhtar Microneedles: An innovative approach to transdermal delivery-a review
US20120101457A1 (en) Needle device
TW200539907A (en) Delivery of polymer conjugates of therapeutic peptides and proteins via coated microprojections
JP2014004077A (ja) 針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針状体
CN108883262B (zh) 经皮给药装置
JP6003338B2 (ja) 針状体パッケージ
US20180200495A1 (en) Administration device
JP2019006798A (ja) 針状体
Moffatt et al. Microneedle technology
JP7459459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
JP2009178531A (ja) 微細糖質針、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Borey et al. A review Recent Advanced of Fabr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 of Micro-Needle
JP2018134195A (ja) 凹凸構造体、経皮投与デバイス、および、経皮投与デバイス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