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93B1 - 설비품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설비품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93B1
KR101662893B1 KR1020140101801A KR20140101801A KR101662893B1 KR 101662893 B1 KR101662893 B1 KR 101662893B1 KR 1020140101801 A KR1020140101801 A KR 1020140101801A KR 20140101801 A KR20140101801 A KR 20140101801A KR 101662893 B1 KR101662893 B1 KR 10166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pport member
equipment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929A (ko
Inventor
전민정
윤성태
강종진
박정훈
정상용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B66C23/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 B66C23/1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the paths being substantially horizontal; Level-luffing jib-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07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설비품 이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비품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를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을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중량체를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의 무게에 따라 제1,2 맞물림 기어가 이동된 후에 중량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2 맞물림 기어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언 록킹 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설비품 이동 장치{Plant products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부가 막힌 설치 대상물의 경우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용이하게 이동시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 또는 상부가 막힌 형태의 구조물에 설비품을 측면에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설비품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발전 형태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및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을 들 수 있으며, 화력발전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른 공해유발의 문제와 함께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원자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유리하지만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막대한 시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며, 나아가 폐기물처리도 쉽지 않으며, 사소한 사고라 할지라도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 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연결되는 허브(hub)를 구비한 로터(rotor)와, 로터와 연결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면서 보호하는 나셀 커버(nacelle cover)와, 블레이드, 로터, 나셀 및 나셀 커버를 지지하는 타워(tower)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함께 풍력발전기의 허브는 상무가 막힌 상태의 구조를 갖는데, 상기 허브에 설비품을 설치하기 위해 크레인에 상기 설비품을 매단 상태로 허브의 측면에서 이동시켜 작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지게차에 상기 설비품을 장착하여 허브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설비품을 정확하게 허브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009965호(공개일: 2014년01월06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부가 막힌 설치 대상물의 측면으로 설비품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장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비품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를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을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중량체를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의 무게에 따라 제1,2 맞물림 기어가 이동된 후에 중량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2 맞물림 기어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언 록킹 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설치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상태로 지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 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비품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를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을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중량체를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에 결합된 상태로 설비품과 동시에 기어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맞물림 기어; 상기 제1 맞물림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 형태로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에 결합된 상태로 중량체와 동시에 기어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맞물림 기어; 상기 제2 맞물림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의 무게에 따른 정보를 입력 받아 제1,2모터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과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런싱 유닛은 지지 부재의 경사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싱 유닛은 설비품의 무게 정보와 중량체의 무게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밸런싱 유닛이 설비품이 설치된 방향 또는 중량체가 설치된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을 향해 기울기가 급격히 변동될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품 이동 장치는 설비품이 장착된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비품 이동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설비품의 장착 상태를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 및 상기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지 부재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수평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런싱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 부재를 매개로 상기 설비품을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에 연결된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 상기 중량체를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에 연결된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 및 상기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지 부재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수평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는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풍력발전기의 허브와 같이 상부가 막힌 설치 대상물 또는 기타 상부가 막힌 구조물에 설비품을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설비품의 무게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지지부재의 수평 상태를 제어하여 설비품을 안정적으로 설치 대상물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의 제어기와 연계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품 이동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1)는 크레인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풍력발전기의 설비품인 허브(HUB)에 대한 설비품을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이동 장치로서 한정하여 설명하나,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는 다른 설치 대상물에도 적용하여 사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설치 대상물을 허브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변동 가능함을 밝혀둔다.
설비품 이동 장치(1)는 지지 부재(100)를 기준으로 일단에 설비품(3)이 장착되고, 타단에 중량체(2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설비품(3)과 중량체(200)는 서로 간에 무게가 상이한 경우에도 지지 부재(100)가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100)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10)의 단부에 연결된 부재로서, 일 예로 스틸 빔(steel beam)이 사용되나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와이어(10)는 설치 대상물(2)이 위치된 장소의 내부에 위치된 수평 구조물(미도시)에 상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100)에 연결되며, 지지 부재(100)의 무게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조적인 강성이 요구되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나 다른 구성으로 변동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와이어(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중앙 위치가 아닌 특정 위치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이유는 설비품(3)과 중량체(200)의 서로 다른 무게로 인한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설비품(3)의 무게에 비해 중량체(200)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태가 유지되어야 상기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면을 향해 이동되지 않고 지지 부재(100)에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중량체(200)가 지면에 위치될 경우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도 설비품(3)이 지면을 향해 순간적으로 이동되어 파손되거나 상기 설치 대상물(2)의 개구된 내측으로 진입되는 도중에 지면으로 낙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되므로 소수의 작업자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설비품을 설치 대상물(2)에 조립하는데 걸리는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된다.
상기 지지 부재(100)는 수평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 중량체(200)의 무게가 설비품(3)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태로 항시 지면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거나, 와이어(10)가 도면에서와 같이 중량체(200)의 근처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중량체(200)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설비품(3)의 무게보다 무겁게 하여 지면에 항시 위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설비품(3)과 중량체(200)는 모두 체인을 통해 지지 부재(100)와 연결되며 중량체(200)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 또는 Nkg단위로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단위 중량체가 수납되는 구성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중량체(200)는 하면에 지면과 구름 접촉되는 바퀴가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외측 상부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편리하게 이동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설치 대상물(2)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 수직 이동되지 않고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이동되는 방식으로 설비품이 이동되므로 상기 설치 대상물(2)의 상부가 상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측면을 통해 설비품(3)이 안정적으로 장착 또는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작업 속도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1)는 설비품(3)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200)를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300)을 포함한다.
밸런싱 유닛(300)은 전술한 중량체(200)를 통한 설비품(3)과의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거나 설비품(3)을 이동시키는 작업간에 지지 부재(100)를 통한 수평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밸런싱 유닛(300)은 상기 설비품(3)을 지지부재(100)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310)과, 상기 중량체(200)를 지지부재(100)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320)을 포함한다.
제1 이동유닛(310)과 제2 이동유닛(320)은 서로 간에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나, 설비품(3)의 이동에 따라 중량체(200)도 함께 상대 이동되면서 와이어(10)를 이동시키지 않고 설비품(3)을 설치 대상물(2)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에 대한 유지를 위해 항시 주의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과 안전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제1 이동유닛(310)은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311)에 결합된 상태로 설비품(3)과 동시에 기어 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맞물림 기어(312)와, 상기 제1 맞물림 기어(312)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유닛(31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이동유닛(320)은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 형태로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311a)에 결합된 상태로 중량체(200)와 동시에 기어 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맞물림 기어(316)와, 상기 제2 맞물림 기어(316)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 유닛(318)을 포함한다.
제1 이동유닛(310)과 제2 이동유닛(320)은 기어 바(311)에 결합된 제1 맞물림 기어(312)와 제2 맞물림 기어(316)에 의해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상기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 방식으로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의 다른 방식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이동유닛(310)은 기어 바(311)의 일면이 길이 방향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맞물림 기어(312)가 치형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 바(3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맞물림 기어(312)는 제1 모터 유닛(314)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1 모터 유닛(314)은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기어(312)에 독립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 맞물림 기어(312)는 설비품(3)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맞물림 기어(312)가 기어 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설비품(3) 또한 함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2 이동유닛(320)은 기어 바(311)의 일면이 길이 방향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맞물림 기어(316)가 치형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 바(3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맞물림 기어(316)는 제2 모터 유닛(318)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2 모터 유닛(318)은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맞물림 기어(316)에 독립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2 맞물림 기어(316)는 중량체(200)와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맞물림 기어(316)가 기어 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중량체(200) 또한 함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진다.
밸런싱 유닛(300)은 상기 설비품(3)의 무게에 따른 정보를 입력 받아 제1,2모터 유닛(314,318)을 서로 다른 방향과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기(33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이동유닛(310)과 제2 이동유닛(320)은 제어기(330)를 통해 통합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기(330)는 설비품(3)의 무게 정보에 따라 제1 모터 유닛(314)과 제2 모터 유닛(318)을 서로 다른 방향과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설비품(3)의 서로 다른 무게 변화에 따른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중량체(200)의 무게에 따라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설비품(3)의 무게가 500Kg이고 중량체(200)의 무게가 400Kg일 경우 설비품(3)과 중량체(200)의 무게는 서로 상이하므로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이동될 경우 제어기(330)는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비품(3)의 무게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330)는 설비품(3)의 무게 정보를 입력 받아 제1 모터 유닛(314) 또는 제2 모터 유닛(318)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설비품(3)의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설비품(3)은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1 모터 유닛(314)의 작동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2 모터 유닛(318)만 작동시켜 제2 맞물림 기어(316)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2 맞물림 기어(316)와 연결된 중량체(200)는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지지 부재(100)가 수평 상태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된 후에 제어기(330)에 의해 제2 모터 유닛(318)의 작동 상태가 오프되어 상기 중량체(200)의 최종 위치가 제어되어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밸런싱 유닛(300)은 지지 부재(100)의 경사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현재 지지 부재(100)의 기울기 상태가 제어기(330)에 입력되어 설비품(3)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밸런싱 유닛(300)은 설비품(3)의 무게 정보와 중량체(200)의 무게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350)와, 상기 밸런싱 유닛(300)이 설비품(3)이 설치된 방향 또는 중량체(200) 가 설치된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을 향해 기울기가 급격히 변동될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부(3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350)는 작업자가 현재 설비품(3)의 무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설치 위치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특별히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경고부(360)는 지지 부재(100)가 설비품(3) 또는 중량체(200)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급격하게 경사질 경우 작업자에게 현재의 지지 부재(100)의 상태를 경고하기 위해 구비되고 통상의 부저가 사용된다.
설비품 이동 장치(1)는 설비품(3)이 장착된 지지 부재(100)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2)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30)을 더 포함한다.
조명 유닛(30)은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작업자가 설비품(3)이 설치될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장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설비품(3)이 위치된 지지 부재(10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설비품 이동 장치(1)는 지지 부재(100)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되는 설비품(3)의 장착 상태를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 유닛(40)을 더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40)은 지면에 위치된 다른 작업자가 현재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되는지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간 작업자가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을 상기 카메라 유닛(40)을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기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에도 이동 상태 및 설비품(3)이 최종적으로 마운팅되는 동안에도 정확한 위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비품(3)의 정확한 장착이 이루어진다.
밸런싱 유닛(300)은 설비품(3)의 무게에 따라 제1,2 맞물림 기어(312,316)가 이동된 후에 중량체(2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2 맞물림 기어(312,316)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언 록킹 하기 위한 고정 유닛(50)을 더 포함한다.
고정 유닛(50)은 일종의 브레이크 유닛으로서 중량체(20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상해사고 및 설비품(3)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설비품(3)의 이동에 따른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 유닛(50)은 제1,2 맞물림 기어(312,316)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록킹하여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개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설비품(3) 또는 중량체(200)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제한시켜 고가의 설비품(3)에 대한 보호와 작업자의 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설비품 이동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설비품 이동 장치(1a)는 수직 하향된 와이어(10)의 단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100)와, 상기 지지 부재(100)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100)의 타단에 연결부재(20)를 매개로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가 유지 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200); 및 상기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지 부재(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수평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밸런싱 액추에이터(4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00)와 설비품(3) 및 중량체(200)와의 관계는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밸런싱 액추에이터(40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밸런싱 액추에이터(400)는 상기 지지 부재(100)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 부재(402)를 매개로 상기 설비품(3)을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402)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100)에 연결된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410)와, 상기 중량체(200)를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402)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100)에 연결된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한다.
밸런싱 액추에이터(400)는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기계적인 구성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연장 부재(40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비품(3)을 향해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410)와, 중량체(200)를 향해 연장된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420)가 배치된다.
상기 설비품 이동 장치(1a)는 상기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기울기 감지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410,420)는 기울기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기울기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서로 다르게 조절된다.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410)와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420)는 전술한 제어기(33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며, 기울기 감지부(340)에 의해 지지 부재(100)의 기울기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410) 또는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420)가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지지 부재(10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고가의 설비품(3)이 설치 대상물(2)의 측면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설비품(3)의 무게가 중량체(200)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거나 상기 중량체(200)가 설비품(3)의 무게에 따라 지지 부재(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부재()의 수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 밸런싱 액추에이터(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조절되어 설치 대상물(2)의 내측에 설비품(3)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설치 대상물
3 : 설비품
10 : 와이어
100 : 지지 부재
200 : 중량체
300 : 밸런싱 유닛
310 : 제1 이동유닛
312, 316 : 제1,2 맞물림 기어
314 : 제1 모터 유닛
320 : 제2 이동유닛
330 : 제어기
400 : 밸런싱 액추에이터
410, 420 :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

Claims (14)

  1.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비품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를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을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중량체를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의 무게에 따라 제1,2 맞물림 기어가 이동된 후에 중량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2 맞물림 기어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언 록킹 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설치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상태로 지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 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비품의 서로 다른 무게에 따른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체를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런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을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중량체를 지지부재의 외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에 결합된 상태로 설비품과 동시에 기어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맞물림 기어; 상기 제1 맞물림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 형태로 연장되고 치형이 형성된 기어 바에 결합된 상태로 중량체와 동시에 기어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맞물림 기어; 상기 제2 맞물림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 유닛을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설비품의 무게에 따른 정보를 입력 받아 제1,2모터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과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유닛은,
    지지 부재의 경사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유닛은,
    설비품의 무게 정보와 중량체의 무게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밸런싱 유닛이 설비품이 설치된 방향 또는 중량체가 설치된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을 향해 기울기가 급격히 변동될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품 이동 장치는,
    설비품이 장착된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품 이동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설비품의 장착 상태를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11. 삭제
  12.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 및
    상기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지 부재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수평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런싱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 부재를 매개로 상기 설비품을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에 연결된 제1 밸런싱 액추에이터;
    상기 중량체를 바라보고 일단이 연장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에 연결된 제2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13. 삭제
  14. 수직 하향된 와이어의 단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 부재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면에 위치된 중량체; 및
    상기 설비품이 설치 대상물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지지 부재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수평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특정 무게로 이루어진 스틸 구조물이거나 무게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밸런싱 액추에이터는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품 이동 장치.

KR1020140101801A 2014-08-07 2014-08-07 설비품 이동 장치 KR10166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1A KR101662893B1 (ko) 2014-08-07 2014-08-07 설비품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1A KR101662893B1 (ko) 2014-08-07 2014-08-07 설비품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29A KR20160018929A (ko) 2016-02-18
KR101662893B1 true KR101662893B1 (ko) 2016-10-06

Family

ID=5545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01A KR101662893B1 (ko) 2014-08-07 2014-08-07 설비품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72A (ja) * 2000-05-31 2001-12-11 Sumitomo Heavy Ind Ltd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吊具とその水平制御方法
JP2007099414A (ja) * 2005-09-30 2007-04-19 Ohbayashi Corp 吊り治具及び被吊り下げ体の傾き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411B2 (ja) * 1995-12-19 2004-03-08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ウエイト台車付クレーンの台車保持装置
JPH1192079A (ja) * 1997-09-19 1999-04-06 Hitachi Ltd クレー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03097286B (zh) 2011-04-28 2016-04-27 M技术株式会社 氧化物·氢氧化物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72A (ja) * 2000-05-31 2001-12-11 Sumitomo Heavy Ind Ltd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吊具とその水平制御方法
JP2007099414A (ja) * 2005-09-30 2007-04-19 Ohbayashi Corp 吊り治具及び被吊り下げ体の傾き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29A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5667B1 (en) Wind power generator with hinged wings
JP5878952B2 (ja) 増大した発電効率を有する可変ブレード型潮力及び風力発電機
EP3443221B1 (en) A multirotor wind turbine with a platform
CN105905813B (zh) 一种风力发电机用叶吊具
CA2666577A1 (en) Wind turbine generat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ind turbine generator
JP6968517B2 (ja) 水力発電装置
EP2067987A2 (en) Wind generator with movable sails
EP2368834B1 (en) Equipment for raising/lowering of wind generator turbines
JP2009530541A (ja) タービン部品に接近するための総合整備用クレーンを備えた風力タービン・ナセル
KR20210058685A (ko) 블레이드 폭 맞춤형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EP2786953A1 (en) Wind power generator
CN202625760U (zh) 用于风力机叶片的检修平台
CN102583198A (zh) 用于风力机叶片的检修平台
KR20140000965A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KR101662893B1 (ko) 설비품 이동 장치
KR101364436B1 (ko) 발전설비용 안전 작업대
KR20140100269A (ko)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의 운용방법
KR101853553B1 (ko) 요 브레이크 이동장치
US20230304470A1 (en) Multi-axial variable height wind turbine
CN204924196U (zh) 林区三维激光扫描仪搭载云台机构
JP2018141459A (ja) 水力発電装置
KR101704873B1 (ko)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KR101853552B1 (ko) 요 브레이크 이동장치
KR20110017036A (ko) 승강장치 및 수평이동장치가 구비된 송전철탑
KR101853554B1 (ko) 요 브레이크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