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750B1 -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750B1
KR101661750B1 KR1020150139603A KR20150139603A KR101661750B1 KR 101661750 B1 KR101661750 B1 KR 101661750B1 KR 1020150139603 A KR1020150139603 A KR 1020150139603A KR 20150139603 A KR20150139603 A KR 20150139603A KR 101661750 B1 KR101661750 B1 KR 10166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ight
deep
flexible tub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충
전정룡
차기욱
김봉재
손병용
김민규
신규언
Original Assignee
박재충
전정룡
신규언
차기욱
손병용
김봉재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충, 전정룡, 신규언, 차기욱, 손병용, 김봉재, 김민규 filed Critical 박재충
Priority to KR102015013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01F5/10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B01F2215/005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심층수를 일정 높이까지 강제 흡입되도록 하는 양수부(10); 상기 양수부(10)의 상단부측 디스차지 파이프(11)에 연결되어 신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면서 양수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심층수를 중층에서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20); 배출부 상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면에 띄운 부이(32)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도록 업다운 컨트롤러(3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30);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체(41)의 상부면에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양수부(10)의 하단부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터(420)가 지지되는 리프터 서포트(42)가 설치되고, 수심에 따라서 리프터(420)의 구동과 함께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1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다이나모(43)가 구비되는 선체부(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 circulating water of middle layer}
본 발명은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심층수를 끌어올려 비교적 산소 농도가 높은 중층에서 재공급되게 함으로써는 표층의 오염은 방지하면서 지속적인 심층수 순환에 의해 심층에서의 수질이 대폭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보, 저수지는 수심이 깊은데 반해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퇴적물이 많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와 같이 수온이 높아지는 조건에서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용존산소가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수면에서의 온도 상승은 유기물 발생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들 유기물들이 침강하여 바닥에 퇴적되면 바닥에 가까운 심층수의 혐기화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수심별 수온과 용존산소 및 영양염 등의 농도구배가 심화되는 성층현상은 수직적인 산소 전달력 감소와 바닥에 퇴적되는 유기물의 분해 시 미생물의 활성화에 의해 발생되는 용존산소량 감소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어류 및 패류의 대량 폐사를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조류(식물 플랑크톤)의 활성화에 의하여 녹조현상을 심화시키게 되므로 정수처리를 하는데 있어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과거에는 수중폭기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영양염이나 금속이온의 농도가 높은 심층수에 의해 표층의 수질을 악화시켜 취수 시설로 공급되는 물의 수질 문제가 발생되면서 수처리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81520호(2011.11.02.명칭:저수지 심층 혐기화방지 물순환장치)를 제안하여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저수지 바닥측의 심층수를 공기 공급부를 통해 호기상태로 변화되도록 한 후 흡입관의 흡입구보다 위쪽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심층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이러한 심층수의 순환을 통해 심층수도 호기상태로 변환되게 함으로써 자동 정화에 의해 수질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흡입관은 연결부재에 의해 앵커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하므로 한정된 범위에서만 수질 개선 효과가 있을 뿐이며, 심층수를 표층까지 끌어 올렸다 다시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중관 구조가 필요로 되며, 수위의 변동에 따라 흡입관이 경사지면서 수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81520호(2011.11.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심층수를 끌어올려 중층의 수위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 영역을 이동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에서의 연속적인 수질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심층수를 중층에서 순환되게 함으로써 표층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심에 따른 중층에서의 배출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심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심층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심층수를 일정 높이까지 강제 흡입되도록 하는 양수부; 상기 양수부의 상단부측 디스차지 파이프에 연결되어 신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면서 양수부를 통해 유입되는 심층수를 중층에서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배출부 상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면에 띄운 부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도록 업다운 컨트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체의 상부면에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양수부의 하단부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터가 지지되는 리프터 서포트가 설치되고, 수심에 따라서 리프터의 구동과 함께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다이나모가 구비되는 선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양수부는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를 연결하여 일정 높이로 구비하고, 상단부의 디스차지 파이프와 하단부의 디스차지 파이프에는 ㄴ자형으로 절곡된 제1 플렉서블 튜브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며, 제1 플렉서블 튜브의 수평의 단부에는 내부에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 지지관이 연결되고, 펌프 지지관의 단부에는 석션 스트레이너가 수평 연결되며, 펌프 지지관과 석션 스트레이너의 저면에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베이스가 연결되도록 하여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심층수가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배출부는 상단부의 디스차지 파이프에 하단부가 수직의 제2 플렉서블 튜브와 제2 플렉서블 튜브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플랜지 결합되어 제2 플렉서블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심층수를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디퓨저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출부에서 디퓨저는 하부 고정판과 일정 높이의 커버판간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결봉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이 연결봉의 중간 높이에는 중앙의 판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한 유도판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에 의해 바닥면의 일정 높이로부터 심층수를 강제 펌핑시켜 용존 산소량이 양호한 중층의 수심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중층수와의 혼합에 의해 심층수의 정화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심에 따른 심층수의 배출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토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심층수를 중층까지만 상승시켜 순환시키도록 함으로써 표층수의 수질 악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예시한 전체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스트레이너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디퓨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선체부를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심층수 순환에 의한 수질 정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에서 디퓨저를 통한 심층수 배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이동을 위한 리프터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예시한 전체적인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양수부(10)와 배출부(20)와 높이 조절부(30) 및 선체부(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양수부(10)는 실질적으로 심층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양수부(10)는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discharge pipe, 11)를 일정 높이로 직렬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수심에 따라 일정 높이로 성형되는 디스차지 파이프(11)의 연결 갯수를 증감시켜 심층수의 배출이 중층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들 디스차지 파이프(11)들은 체해결이 용이하도록 플랜지관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디스차지 파이프(11)의 외주면에는 부력을 갖는 부이 밴드(buoy band, 110)가 결합되도록 하여 디스차지 파이프(11)의 하중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부상이 용이토록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11)들 중 하단부측 디스차지 파이프(11)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는 제1 플렉서블 튜브(flexible tube,12)가 연결되고, 제1 플렉서블 튜브(12)의 수평의 단부에는 펌프 지지관(13)이 연결되며, 펌프 지지관(13)의 선단에는 석션 스트레이너(suction strainer, 14)가 일측단부간 플랜지 결합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플렉서블 튜브(12)와 석션 스트레이너(14) 사이에 연결되는 펌프 지지관(13)에는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13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석션 스트레이너(14)를 통해 일정 압력으로 펌칭되는 심층수가 중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펌프 지지관(13)의 선단에 연결되는 석션 스트레이너(14)는 도 2에서와 같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측면 3곳을 통해서 심층수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류 형성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석션 스트레이너(14)는 심층수와 함께 흡입되는 일정 사이즈 이상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석션 스트레이너(14)는 적어도 일단면이 플랜지관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펌프 지지관(13)과 플랜지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양수부(10)의 가장 하단부에 구비되는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는 수중 바닥면과 항상 일정 높이를 이격하도록 베이스(15)가 저면에 연결되도록 한다.
베이스(15)는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의 저면에 상부면이 일체로 고정되면서 외주연 단부는 일정 높이로 수직 절곡되게 함으로써 수직 절곡된 높이만큼 수중의 바닥면으로부터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15)는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이 수중에서 바닥면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높이에 구비되도록 하면서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를 수중 바닥면의 구조물들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동시에 하게 된다.
특히 이들 베이스(15)와 펌프 지지관9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는 수중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앵커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심층수를 흡입하여 일정한 높이로 공급토록 하는 양수부(10)의 상부에는 양수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심층수를 배출하게 되는 배출부(20)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출부(20)는 제2 플렉서블 튜브(21)와 디퓨저(2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배출부(20)에서의 제2 플렉서블 튜브(21)는 일정 높이를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2 플렉서블 튜브(21)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플랜지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단부는 양수부(10)의 상단부측 디스차지 파이프(11)에 플랜지 결합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런 제2 플렉서블 튜브(21)의 상단부에는 디퓨저(22)의 하단부가 플랜지 결합되도록 한다.
디퓨저(22)는 하단부가 제2 플렉서블 튜브(21)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제2 플렉서블 튜브(21)을 통해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디퓨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출부(20)에서 디퓨저(22)는 다시 하부 고정판(220)과 커버판(221)과 연결봉(222) 및 유도판(22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디퓨저(22)의 하부 고정판(220)은 판면의 중앙이 제2 플렉서블 튜브(21)와 연통되도록 하고, 하부 고정판(22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평판의 커버판(221)이 구비되도록 하며, 하부 고정판(220)과 커버판(221)의 외주연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연결봉(22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만 하부 고정판(220)과 커버판(221) 사이의 중간 높이에는 중앙의 판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2230)을 형성한 유도판(223)이 고정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도판(223)은 하부 고정판(220)과 커버판(221)의 외주연을 따라 연결한 연결봉(222)에 동시에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하부 고정판(220)을 통해 배출되는 심층수가 우선 유도판(223)에 충돌하면서 연결봉(222) 사이로 일차 심층수가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고, 유도판(223)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223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는 심층수는 그 상부의 커버판(221)에 충돌하면서 측방으로 재차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심층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20)의 상부에는 배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30)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부(30)는 업다운 컨트롤러(31)와 부이(buoy, 32)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업다운 컨트롤러(31)는 체인 또는 로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러한 업다운 컨트롤러(31)의 하단부는 커버판(221)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수면에 떠있는 부이(32)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부이(32)를 수면 위로 들어올려서 부이(32)에 연결되는 업다운 컨트롤러(31)의 고정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서 심층수를 배출하는 디퓨저(22)의 형성 높이가 조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업다운 컨트롤러(31)의 길이 조정은 최초 수심에 따른 양수부(10)의 높이 조정 시 미리 조정되도록 하며, 우천 시나 가뭄에 의해 수위 변화 시에도 조정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선체부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체부(4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체(41)와 이 선체(4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리프터 서포트(42) 및 다이나모(dynamo, 43)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선체(41)는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상장치(floating system)이다.
선체(41)에는 일정 높이에 리프터 서포트(lifter support, 42)가 구비되도록 하고, 리프터 서포트(42)에는 리프터(lifter, 420)가 고정되며, 리프터(420)에는 로프나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421)이 감겨지도록 하고, 이 견인 수단(421)의 하단부는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에 동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선체(41)에는 다이나모(43)가 구비되도록 하여 리프터(420)와 펌프 지지관(13)의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13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선체부(40)는 추진체(44)를 구비하여 수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선체부(40)는 추진체(44)가 설치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의 선체(41)가 일부 수직 관통되게 함으로써 이 부위를 통해 리프터(420)의 견인 수단(421)이 통과하도록 하며, 이 관통된 부위를 통하여 견인 수단(421)에 고정된 양수부(10) 하단의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 및 베이스(15)가 부상되도록 한다.
특히 선체부(40)의 수직 관통되도록 한 부위를 통해서는 견인 수단(421)에 의해서 양수부(10)의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를 일정 높이 승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선체(4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선체(41)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선체부(40)의 다이나모(43)에 의해서는 선체(41)의 이동 여부에 따라 리프터(4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펌프 지지관(13)에 구비되는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1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선체부(40)가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광범위한 범위에서 일정 거리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질을 정화할 위치에 선체부(40)가 도달하면 리프터(420)에 의해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들려진 양수부(10)의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 및 베이스(15)를 하강시켜 베이스(15)가 수중 바닥면에 안착되게 함으로써선체(41)가 더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베이스(15)를 수중 바닥면에 안착시키게 될 때 수중 바닥면에는 많은 수중 구조물들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으므로 양수부(10)의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가 이들 수중 구조물과 충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양수부(10)와 배출부(20) 및 높이 조절부(30)를 수중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수심을 체크해야 하므로 이러한 최초의 수심 체크는 별도의 수심 체크용 센서(미도시)를 이용하도록 한다.
수심이 체크되면 디스차지 파이프(11)의 연결 갯수를 결정할 수가 있고, 부이(32)에 연결된 높이 조절부(30)의 업다운 컨트롤러(31)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서 배출부(20)의 형성 위치를 수중의 중층에 위치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펌프 지지관(13)의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130)가 구동되도록 하면 베이스(15)에 지지되는 석션 스트레이너(14)를 통해서 비교적 큰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하면서 심층수가 수평 흡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석션 스트레이너(14)를 통해 심층수를 수평 방향에서만 흡입되도록 하면 심층수의 와류 현상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11)를 통해 심층수가 배출부(20)의 위치까지 상승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를 이용한 수질 정화 작용을 예시한 작동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석션 스트레이터(14)를 통해 흡입되는 심층수는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11)를 통과하여 용존 산소량이 양호한 수중의 중층에 위치되어 있는 디퓨저(2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디퓨저(22)의 하부 고정판(220)으로부터 유출되는 심층수는 도 6에서와 같이 일단 복수의 연결봉(222)으로 연결된 그 상부의 유도판(223)에 부딪치면서 일부는 연결봉(222)들 사이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유도판(223)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2230)을 통하여 상부로 유도되면 커버판(221)에 부딪쳐 유도판(223)과 커버판(221)간을 연결하는 연결봉(222)들 사이를 통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출되는 심층수는 중층의 물과 섞이면서 이미 중층의 물에 섞여있는 산소와 결합되고, 이렇게 산소와 결합된 물은 다시 하향 이동하는 순환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심층수의 순환에 의해 수중 바닥층의 심층수에는 점차 많은 산소가 공급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작용을 일정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정화 가능 범위를 감안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정화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리프터(420)의 구동에 의해 양수부(10)의 펌프 지지관(13)과 석션 스트레이너(14) 및 베이스(15)를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되게 한 후 선체부(40)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정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미세하게 위치가 이동하도록 하면서 정화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정화 위치를 이동하면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면 하나의 설비에 의해서 광범위한 지역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가 있으므로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심층수를 굳이 수면으로까지 상승시키지 않고 중층에서 배출되게 함으로서 표층수의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심에 따라 디스차지 파이프(11)의 연결 갯수를 조절하기만 하면 다양한 수심에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업다운 컨트롤러(31)의 길이 조절에 의해 제2 플렉서블 튜브(21)의 팽창 높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심층수를 배출하게 되는 중층 수심에 디퓨저(22)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심에서의 적용과 조작의 편의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서 보다 효율적인 심층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10 : 양수부 11 : 디스차지 파이프
12 : 제1 플렉서블 튜브 13 : 펌프 지지관
130 :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 14 : 석션 스트레이너
15 : 베이스 20 : 배출부
21 : 제2 플렉서블 튜브 22 : 디퓨저
220 : 하부 고정판 221 : 커버판
222 : 연결봉 223 : 유도판
30 : 높이 조절부 31 : 업다운 컨트롤러
40 : 선체부 41 : 선체
42 : 리프터 서포트 420 : 리프터
421 : 견인 수단 43 : 다이나모

Claims (8)

  1.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차지 파이프와, 하단부측 디스차지 파이프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ㄴ자형으로 절곡된 제1 플렉서블 튜브와, 상기 제1 플렉서블 튜브의 수평으로 절곡된 단부에 연결되면서 내부에는 물순환전용 저압축류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 지지관과, 상기 펌프 지지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석션 스트레이너와,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펌프 지지관과 상기 석션 스트레이너의 저면에 연결되는 베이스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심층수가 일정 높이까지 강제 흡입되도록 하는 양수부;
    상단부의 상기 디스차지 파이프에 하단부가 플랜지 결합되는 수직의 제2 플렉서블 튜브와, 상기 제2 플렉서블 튜브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제2 플렉서블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심층수를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디퓨저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렉서블 튜브의 신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면서 상기 양수부를 통해 유입되는 심층수를 중층에서 측방으로 분산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배출부 상단부의 디퓨저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면에 띄운 부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타단이 연결되도록 한 업다운 컨트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체의 상부면에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양수부의 하단부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터가 지지되는 리프터 서포트가 설치되고, 수심에 따라서 리프터의 구동과 함께 물순환전용 저압 축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다이나모가 구비되는 선체부;
    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층에서 흡입하는 심층수를 중층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 파이프에는 외주면으로 부상이 용이토록 부이 밴드가 결합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하부 고정판과 일정 높이의 커버판간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결봉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이 연결봉의 중간 높이에는 중앙의 판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한 유도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업다운 컨트롤러는 체인 또는 로프로서 이루어지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리프터에 감겨진 견인 수단의 하단부가 펌프 지지관과 석션 스트레이너에 동시 고정되도록 하여 리프터의 구동에 의해서 펌프 지지관과 석션 스트레이너에 고정된 베이스를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은 체인 또는 로프로 이루어지는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KR1020150139603A 2015-10-05 2015-10-05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KR10166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03A KR101661750B1 (ko) 2015-10-05 2015-10-05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03A KR101661750B1 (ko) 2015-10-05 2015-10-05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750B1 true KR101661750B1 (ko) 2016-10-04

Family

ID=5716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03A KR101661750B1 (ko) 2015-10-05 2015-10-05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051B1 (ko) * 2017-05-29 2018-04-11 전정룡 회전식 물순환장치
CN108820629A (zh) * 2018-07-23 2018-11-16 石弘祎 一种太阳能水环境保护垃圾回收装置
CN110384067A (zh) * 2018-04-18 2019-10-29 武祝保 一种多用途高效增氧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55A (en) * 1987-06-25 1989-01-09 Sumitomo Metal Ind Isotropic electromagnetic steel plate having high magnetic flux density
KR200437180Y1 (ko) * 2006-12-11 2007-11-08 코스맥 주식회사 솔라 수중폭기장치
KR101040771B1 (ko) * 2011-01-11 2011-06-10 장성호 호소용 물 순환장치
KR20120134651A (ko) * 2011-06-03 2012-12-12 오대민 태양에너지와 다중순환흐름을 이용한 물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55A (en) * 1987-06-25 1989-01-09 Sumitomo Metal Ind Isotropic electromagnetic steel plate having high magnetic flux density
KR200437180Y1 (ko) * 2006-12-11 2007-11-08 코스맥 주식회사 솔라 수중폭기장치
KR101040771B1 (ko) * 2011-01-11 2011-06-10 장성호 호소용 물 순환장치
KR20120134651A (ko) * 2011-06-03 2012-12-12 오대민 태양에너지와 다중순환흐름을 이용한 물순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051B1 (ko) * 2017-05-29 2018-04-11 전정룡 회전식 물순환장치
CN110384067A (zh) * 2018-04-18 2019-10-29 武祝保 一种多用途高效增氧机及其使用方法
CN108820629A (zh) * 2018-07-23 2018-11-16 石弘祎 一种太阳能水环境保护垃圾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50B1 (ko) 중층수 순환식 수질개선장치
KR102503991B1 (ko) 부유 플랜트
CN107245991B (zh) 水上可升降式蓝藻打捞装置
US8226292B1 (en) Submersible, circulation system for relatively small bodies of water such as a small pond
KR101850989B1 (ko) 부력변동형 가두리 양식장치
KR101544708B1 (ko) 부력기능을 구비한 양식장 프레임을 이용한 해저양식 시스템
KR100996454B1 (ko) 호소용 물순환장치
CN108892230B (zh) 一种智能螺旋潜流曝气系统和方法
US7892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removing sludge
KR101161853B1 (ko) 리프터가 구비된 수중 물 강제순환장치
KR20170071340A (ko) 부력변동형 가두리 양식장치
US6582612B1 (en) Plankton mitigation system
KR101353401B1 (ko)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고도처리가 가능한 침지식 막 생물반응장치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JP2016150273A (ja) 液循環装置
KR101566641B1 (ko) 낙차식 폭기교반장치
JP2008264660A (ja) 深層曝気循環施設
KR20150020374A (ko) 전복양식 설비 승강장치
CN107100858A (zh) 一种自动控制下潜深度的水泵机组
JP2018064511A (ja) ガス供給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CN105994113B (zh) 鱼苗孵化池无动力水循环装置
KR101240570B1 (ko) 호소용 물순환 시스템
KR101498659B1 (ko) 녹조제거장치
CN111134065A (zh) 网箱
JPH07136691A (ja) 湖沼等の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