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700B1 - 보행분석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보행분석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700B1
KR101661700B1 KR1020150163859A KR20150163859A KR101661700B1 KR 101661700 B1 KR101661700 B1 KR 101661700B1 KR 1020150163859 A KR1020150163859 A KR 1020150163859A KR 20150163859 A KR20150163859 A KR 20150163859A KR 101661700 B1 KR101661700 B1 KR 10166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frame
user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아이티
Priority to KR102015016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700B1/ko
Priority to CN201621214516.7U priority patent/CN206391429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63B22/022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on the frame supporting th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2Stride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습관에 따라 보폭, 걷는 발모양이 각각 다르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걷는 보행,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고, 측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보행습관을 교정시키는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분석 트레드밀{Gait analysis treadmill}
본 발명의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습관에 따라 보폭, 걷는 발모양이 각각 다르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걷는 보행,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고, 측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보행습관을 교정시키는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드밀(treadmill)은 운동부하장치의 하나로써, 피검사자가 회전무한궤도의 벨트(belt)의 위를 달리고, 그 운동량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전신운동의 능력, 특히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기에 가장 알맞은 장치로서 자주 이용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트레드밀은 러닝머신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트레드밀과 관련되어 여러 종류의 트레드밀이 발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속도조절, 경사조절 및 안전을 위해 자동 속도 감속 등의 기술을 첨가하여 발명된 제품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자동속도조절기구를 구비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속도조절기구에 의하여 트레드밀의 트랙의 이동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경우에 트랙 벨트 위에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균형을 잃어 다치게 되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트레드밀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은 일반적인 기술로, 이와 유사한 제품들은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트레드밀을 사용하는 이유는 피검사자 즉,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의 전신운동의 능력,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는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행능력, 보행습관, 보폭, 걷기 또는 러닝(running) 시, 사용자의 발모양 등을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4739호(2014.10.20)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써,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사용자의 보행능력 즉, 보행, 보폭, 걷기 또는 러닝 시, 사용자의 발모양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보행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보행분석 트레드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사용자의 보행을 분석할 수 있는 트레드밀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 상기 제1롤러의 롤러축과 상기 제2롤러의 롤러축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 상기 동력모터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런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질 시,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고,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사용자의 보행을 분석할 수 있는 트레드밀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 상기 제1롤러의 롤러축과 상기 제2롤러의 롤러축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 상기 동력모터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런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관절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벨트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질 시, 관절에 따라,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관절에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보행능력측정부,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질 시,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고,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 상기 제1롤러의 롤러축과 상기 제2롤러의 롤러축의 약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 상기 동력모터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런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질 시,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1레이어회로부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와 접할 시,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에서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2레이어회로부와, 고무, 실리콘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가 접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탄성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사용자의 보행능력 즉, 보행, 보폭, 걷기 또는 러닝 시, 사용자의 발모양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구조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구조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완충·보행능력측정부 구조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구조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결합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발감지부 구조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감지부의 발 측정 방식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구조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구조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110)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제2롤러(120)의 롤러축(121)의 약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150)임,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러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러닝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1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 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벨트(130)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 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190a)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과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에 충격을 가하고,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완충프레임(180)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러닝 시, 상기 보행능력측정부(190a)에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에 따라 상기 벨트(130)에 가해지는 압력점에 따라, 압력센서에 충격이 가해지고, 가해진 충격에 따라 압력센서에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전류가 발생된 지점, 발생된 전류의 양에 따라,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상기 모니터부(171)에 표시하게 된다.
일반적인 트레드밀의 방식은 일차적으로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에 동력을 가하여 회전하게 되고, 회전함에 따라 벨트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력을 가한 롤러를 제외한 나머지 롤러가 벨트의 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러닝속도, 러닝시간을 제어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다.
상기 서술한 일반적인 트레드밀의 기술은 본 발명에 포함되며, 이에 대한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완충·보행능력측정부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와 상기 제2롤러(120)의 롤러축(111)(121)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150),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러닝속도,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러닝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1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질 시,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관절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가 휘어지며, 관절형 프레임 구조에 따라,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관절에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과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에 충격을 가하고,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완충프레임(180)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러닝 시,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에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에 따라 상기 벨트(130)에 가해지는 압력점에 따라, 압력센서에 충격이 가해지고, 가해진 충격에 따라 압력센서에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전류가 발생된 지점, 발생된 전류의 양에 따라,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상기 모니터부(171)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는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하게 되는데, 즉 벨트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는 관절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벨트가 충격에 의해 휘어지게 된다.
이때, 벨트가 휘어짐에 따라, 휘어진 벨트 부위와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와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 시, 벨트에 가해진 충격이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에 전달된다.
이때, 전달된 충격에 의하여, 상기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의 관절형 프레임 구조에 따라, 벨트와 같이 휘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프레임(180)과 같이 추가적으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보행능력측정부 결합 구조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제2롤러(120) 롤러축(121)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140)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150),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러닝속도,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벨트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접할 시,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에서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가 접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194c)를 포함하는 탄성판(195c)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190c)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과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에 충격을 가하고,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완충프레임(180)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보행능력측정부(190c)는 제1레이어회로부(191c), 제2레이어회로부(193c), 누름부(194c)를 포함하는 탄성판(195c)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제2레이어회로부(193c) 및 누름부(194c)는 각각 일정 간격을 띄어 구성하게 된다.
각각의 간격에 따라, 원통형 막대 형태의 간격형성부재(192c)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선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에 전류가 흐르는 지점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판의 누름부(194c)는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130)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벨트(130)에 충격을 가할 시, 탄성판(195c)과 벨트(130)가 접하게 되고, 접함에 따라 탄성판(195c)에 충격이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판(195c)에 형성된 누름부(194c)가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접하게 되는데, 접하게 될 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가 고무 또는 실리콘의 플랙시블한(flexible) 재질로 구성되므로, 누름부(194c)에 압력에 따라, 휘어지게 된다.
이때, 제2레이어회로부(193c)의 휘어진 부위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접하게 되는데, 접하게 되는 지점에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제1레이어회로부(191c)각각에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면, 제1레이어회로부(191c)의 금속선에 흐르는 전류가 제2레이어회로부(193c)의 접점부를 통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에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에 전류가 흐르는 접점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러닝 시, 사용자의 보행, 보폭, 발모양에 따라 상기 탄성판(195c)에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가 한정되며, 한정된 위치에 구성되는 누름부(194c)가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를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가 접하는 지점이 발생되는데,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가 접하는 지점에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에 전류가 흐르는 지점을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 보폭, 발모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상기 모니터부(171)에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발감지부 구조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110)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제2롤러(120)의 롤러축(121)의 약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150)임,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러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러닝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1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 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벨트(130)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 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190a),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벨트(130)와 겹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보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이 감지된 지점과, 충격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요자의 발의 위치와, 충격이 발생된 지점의 발이 오른발인지 왼발인지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발감지부(141)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과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러닝 시, 벨트에 충격을 가하고,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완충프레임(180)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러닝 시, 상기 보행능력측정부(190a)에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에 따라 상기 벨트(130)에 가해지는 압력점에 따라, 압력센서에 충격이 가해지고, 가해진 충격에 따라 압력센서에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전류가 발생된 지점, 발생된 전류의 양에 따라,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한 사용자의 보폭, 발모양을 상기 모니터부(171)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발감지부(141)는 로드셀(load cell)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감지부(141)는 상기 서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벨트(130)와 겹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발감지부(141)가 상기 벨트(130)와 겹치도록 구성한다는 의미는, 상기 벨트(130)의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는 면(상부면)의 하측부위와 겹쳐짐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러닝 또는 보행 시, 상기 벨트(130)에 충격이 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벨트(130)의 상부면 하측 일부분과 겹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발감지부(141)에 상기 벨트(130)에 가해진 충격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발감지부(141)에 전달된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의 분포도를 통해, 사용자의 발의 위치 및 상기 벨트(130)에 충격을 가한 발이 왼발인지 오른발인지 측정 및 감지를 하게 된다.
이는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발감지부(141)가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른 효과를 만족하게 된다.
즉,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발감지부(14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감지부(141)가 일정간격을 형성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감지부의 발 측정 방식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감지부(141)가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양측 동일선상에 2개씩 구성하였을 때, 발의 충격 분포에 따른 도면이다.
상기 바닥프레임(140)의 양측 발감지부(141)와, 상기 벨트(130)의 중앙 지점에 사용자의 양 발이 위치하였을 시, 상기 발감지부(141)의 각각에 충격 분포도는 25%이다.
즉, 각각의 충격 분포도가 25%가 되면,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벨트(13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하나만 상기 벨트(130) 위에 위치하되, 상기 벨트(130)위의 위치한 부위가 좌측에 위치할 시, 우측 발감지부(141)의 충격 분포도보다 좌측 발감지부(141)의 충격 분포도가 더 높게 측정된다.
즉, 사용자의 발이 상기 벨트(130)의 좌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발이 왼발임을 감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벨트(130)의 우측 발감지부(141)의 충격 분포도가 좌측 발감지부(141)의 충격 분포도보다 높게 측정될 시, 사용자의 발이 상기 벨트(130)의 우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발이 오른발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측정된 발감지정보는 상기 모니터부(171)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행분석 트레드밀의 발감지부(141)는 상기 제4실시예에 구조에 포함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의 구조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구조에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4실시예의 서술한 구성에 따른 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구조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함은, 상기 제4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바닥프레임(140)의 구조에 상기 발감지부(141)를 추하가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사용자의 보행능력 즉, 보행, 보폭, 걷기 또는 러닝 시, 사용자의 발모양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완충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관절에 무리를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30 : 벨트
140 : 바닥프레임
150 : 동력모터프레임
160 : 지지프레임
170 : 상부프레임
180 : 완충프레임
190a : 보행능력측정부

Claims (4)

  1. 삭제
  2. 사용자의 보행을 분석할 수 있는 트레드밀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제2롤러(120)의 롤러축(121)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140)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150);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런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1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벨트(130)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간의 형성된 공간에 구성되되,
    관절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관절에 따라, 벨트(130)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관절에 압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보행능력측정부(19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분석 트레드밀.
  3. 사용자의 보행을 분석할 수 있는 트레드밀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롤러(110);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롤러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롤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롤러(120);
    상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를 포함하는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트(130);
    상기 제1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제2롤러(120)의 롤러축(121)의 양 끝단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
    상기 바닥프레임(140) 일측에 구성되되, 동력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모터프레임(150);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동력모터프레임(150) 및 상기 바닥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60);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 구성되되, 사용자의 상태 및 런닝속도,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부(171)와, 상기 모니터부(17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할 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프레임(1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70);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고, 상기 벨트(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되는 바닥프레임(140)의 일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벨트(130) 위에서 러닝 시, 벨트(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벨트(130)가 휘어질 시, 벨트(130)와 같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프레임(180);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되, 동력모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와 접할 시,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에서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선이 구비되는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고무, 실리콘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의 윗면과 마주보도록 직선상에 위치하고,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제2레이어회로부(193c)와 상기 제1레이어회로부(191c)가 접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194c)를 포함하는 탄성판(195c)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보행능력 및 보폭, 발모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보행능력측정부(19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분석 트레드밀.
  4. 삭제
KR1020150163859A 2015-11-23 2015-11-23 보행분석 트레드밀 KR10166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59A KR101661700B1 (ko) 2015-11-23 2015-11-23 보행분석 트레드밀
CN201621214516.7U CN206391429U (zh) 2015-11-23 2016-11-11 一种步行分析大型步行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59A KR101661700B1 (ko) 2015-11-23 2015-11-23 보행분석 트레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700B1 true KR101661700B1 (ko) 2016-10-04

Family

ID=5716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59A KR101661700B1 (ko) 2015-11-23 2015-11-23 보행분석 트레드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1700B1 (ko)
CN (1) CN20639142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139A (ko) * 2017-01-19 2019-09-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트레드밀의 걸음 카운팅 방법 및 장치
KR20190130761A (ko) 2018-05-15 2019-11-25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보행 동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행 동작 측정 방법
KR20210034289A (ko) * 2019-09-20 2021-03-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동물용 보행분석 장치
KR20220008976A (ko) 2020-07-14 2022-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양방향 보행교정 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행교정 훈련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892A (ja) * 1989-07-21 1991-03-08 Kitagawa Kogyo Kk 基板用エジェクタ
KR20060106907A (ko) * 2006-05-29 2006-10-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분석을 이용한 보행훈련 장치
JP2009542407A (ja) * 2006-07-11 2009-12-03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ーション ファンデーション,ヨンナム ユニバーシティー 圧力センサーアレイを用いた自動速度調節トレッドミルおよびファジー論理
KR101454739B1 (ko) 2008-03-04 2014-10-27 주식회사 두비원 안전성이 향상된 트레드밀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23479A (ja) * 2014-05-30 2015-12-14 雅彦 井桁 バーベルおよびこのバーベルを用いたベンチプレ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892A (ja) * 1989-07-21 1991-03-08 Kitagawa Kogyo Kk 基板用エジェクタ
KR20060106907A (ko) * 2006-05-29 2006-10-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분석을 이용한 보행훈련 장치
JP2009542407A (ja) * 2006-07-11 2009-12-03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ーション ファンデーション,ヨンナム ユニバーシティー 圧力センサーアレイを用いた自動速度調節トレッドミルおよびファジー論理
KR101454739B1 (ko) 2008-03-04 2014-10-27 주식회사 두비원 안전성이 향상된 트레드밀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23479A (ja) * 2014-05-30 2015-12-14 雅彦 井桁 バーベルおよびこのバーベルを用いたベンチプレス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139A (ko) * 2017-01-19 2019-09-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트레드밀의 걸음 카운팅 방법 및 장치
KR102266673B1 (ko) 2017-01-19 2021-06-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트레드밀의 걸음 카운팅 방법 및 장치
US11679301B2 (en) 2017-01-19 2023-06-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tep cou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dmill
KR20190130761A (ko) 2018-05-15 2019-11-25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보행 동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행 동작 측정 방법
KR20210034289A (ko) * 2019-09-20 2021-03-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동물용 보행분석 장치
KR102319487B1 (ko) * 2019-09-20 2021-10-28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동물용 보행분석 장치
KR20220008976A (ko) 2020-07-14 2022-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양방향 보행교정 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행교정 훈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391429U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00B1 (ko) 보행분석 트레드밀
US10085676B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US9854997B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KR101129556B1 (ko) 하지 재활 치료 장치 및 그것의 하지 재활 치료 방법
KR101463684B1 (ko) 비정상 보행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
KR101688016B1 (ko) 보행 분석기능을 갖춘 보행 재활기구
US20090036272A1 (en) Automatic Speed Control Apparatus for Treadmi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3185B1 (ko) 버그 균형 검사장치 및 방법
JP4696677B2 (ja) 筋力測定装置
JPWO2019035444A1 (ja) 足底圧測定器、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TW201836678A (zh) 具有功率測量設備的固定式運動機
US20170268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WO2012043621A1 (ja) 他動運動機器
EP3025645B1 (en) Load detection device and walk assisting device
KR101625591B1 (ko) 신발형 운동기구
Frame et al. The influence of lateral stabilization on walking performance and balance control in neurologically-intact and post-stroke individuals
KR101578609B1 (ko)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KR20110054275A (ko) 하지 근력 평가 및 훈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81476A (ko) 트레드밀의 자동속도조절장치 및 그 조절 방법
JP5992698B2 (ja) 荷重計測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80089110A (ko) 셋톱 박스 tv 연동 보행분석 트레드밀
KR102318085B1 (ko) 압력측정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불균형 교정용 운동기기
KR101540591B1 (ko) 근력측정유닛, 측정방법 및 근력측정유닛을 포함하는 하체운동장치
JP6877126B2 (ja) シューズおよびシューズを用いた浮き指の測定方法
KR101371336B1 (ko) 보행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