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91B1 - 신발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신발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91B1
KR101625591B1 KR1020150067513A KR20150067513A KR101625591B1 KR 101625591 B1 KR101625591 B1 KR 101625591B1 KR 1020150067513 A KR1020150067513 A KR 1020150067513A KR 20150067513 A KR20150067513 A KR 20150067513A KR 101625591 B1 KR101625591 B1 KR 10162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ulley
tread
ba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유진
Original Assignee
손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유진 filed Critical 손유진
Priority to KR102015006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신발형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는 신발형 운동기구로서, 베이스; 폐곡선을 이루는 트레드;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드에 접촉하여 트레드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풀리; 및 회전력을 가하여 이동 경로를 따라 트레드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트레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는 전방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1 구간, 중간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2 구간 및 후방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3 구간에서 모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형으로 구현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발형 운동기구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고,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형 운동기구{SHOE-TYP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신발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여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흔히 권해지는 것이 걷기운동인데, 걷기는 성인병과 비만을 예방하여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고 우울증을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정신적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의학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삶에서는 걷기운동이 그다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운동이 아닌데,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특히 그러하다. 현대인의 생활에서는 운동을 위한 시간을 따로 마련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더해 걷기운동의 경우 실외의 조건들이 적합한 운동 환경에 제약을 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자외선, 황사, 대기오염, 강우, 지나친 추위 등은 걷기운동을 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의 조건이 야외 운동에 제약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걷기 혹은 달리기 운동을 할 수 있는 트레드밀(러닝머신이라 불리기도 함)이 시중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트레드밀은 육중한 크기 및 무게로 인해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가정 내의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고, 미관을 해칠 수 있으며, 한 번 위치를 정하면 다른 장소로 그 위치를 바꾸기가 어렵다. 더욱이, 사용자가 트레드밀에서 운동하다가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트랙으로 인해 부상이 심각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형으로 구현되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고발생시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소형으로 구현되면서도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올바른 걸음자세를 익히도록 도울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는 신발형 운동기구로서, 베이스; 폐곡선을 이루는 트레드;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드에 접촉하여 트레드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풀리; 및 회전력을 가하여 이동 경로를 따라 트레드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트레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는 전방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1 구간, 중간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2 구간 및 후방 부분의 인접한 두 개의 풀리 사이의 제3 구간에서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트레드는 제1 구간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 트레드 및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트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또한 제1 트레드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1 모터 및 제2 트레드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가 회전시키는 풀리와 제2 모터가 회전시키는 풀리는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는 제1 트레드를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및 제2 트레드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를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갑피부가 더 포함된 경우, 갑피부에는 제2 베이스에 대한 제1 베이스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간 및 제3 구간에서의 트레드의 경로는 최후방의 풀리를 포함하는 3개의 풀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3개의 풀리 중 가운데의 풀리와 베이스 사이의 거리는 최후방의 풀리와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베이스를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갑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베이스를 신발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베이스 또는 지지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지지부에서 사용자의 발의 발날에 대응하는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에서 트레드와 지면 사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모듈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모터의 토크 변화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이거나 풀리 또는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으며, 이러한 토크 센서와 압력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 모두에서 트레드와 지면 사이의 접촉이 없는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모듈은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서 트레드와 지면 사이의 접촉이 있는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모듈은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는 트레드가 지면에 접촉할 때 신발형 운동기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트레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는 트레드가 지면에 접촉할 때 신발형 운동기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트레드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형으로 구현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발형 운동기구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고,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올바른 걸음자세를 익히도록 도울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신발형 운동기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신발형 운동기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의 제어모듈 및 모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신발형 운동기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크게 베이스(105, 205), 트레드(190, 290),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 및 모터(310, 3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5, 20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의 구성요소들이 장착될 수 있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5, 205)는 통상적인 신발(예컨대 운동화, 실내화 등)의 저면에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190, 290)는 베이스(105, 205) 하부에 배치되며 신발형 운동기구의 사용시 지면(1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트레드(190, 290)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들에 걸쳐진 상태로 모터(310, 320)에 의해 구동된다. 트레드(190, 290)는 예를 들어 캐터필러 혹은 무한궤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들은 베이스(105, 205)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115, 125, 235, 245, 25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드(190, 290)에 접촉하여 트레드(190, 290)의 이동 경로를 정의한다.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톱니가 형성된 코그(cog)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트레드(190, 290)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트레드(190, 290)는 풀리들과 치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모터(310, 320)는 회전력을 가하여 트레드(190, 290)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가 작동할 때, 모터(310, 320)는 트레드(190, 290)를 이동시키고 복수의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들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트레드(190, 290)는 지면(10)에 접촉하면서 지면(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베이스(105, 205)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10, 320)는 트레드(190, 290)가 지면에 접촉할 때 신발형 운동기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트레드(190, 29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트레드(190, 290)가 이동 경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트레드(190, 2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경우 도 3에서 좌측을 향하고 있는 신발형 운동기구가 도면의 우측으로, 즉 신발형 운동기구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이는 기존의 트레드밀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착용한 채로 걷기 운동을 할 때, 전술한 것과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구동으로 인해 사용자는 앞으로 나아가는 대신 제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실내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걷기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310, 320)는 트레드(190, 290)가 지면에 접촉할 때 신발형 운동기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트레드(190, 29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해당 신발형 운동기구를 착용하고 걸을 때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속도로 걷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도 3에는 트레드(190, 290)의 하측, 즉 지면(10)을 향하는 부분이, 신발형 운동기구의 전방 부분의 인접한 두 풀리(110, 120) 사이의 제1 구간(I), 중간 부분의 인접한 두 풀리(230, 240) 사이의 제2 구간(II) 및 후방 부분의 인접한 두 풀리(240, 250) 사이의 제3 구간(III)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190, 290)와 베이스(105, 205)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1 구간(I),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에서 모두 다르도록 풀리들의 위치 및 트레드(190, 290)의 이동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걷기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발은 뒤꿈치, 발바닥, 발볼의 순서로 지면에 닿게 된다. 이 때 트레드(190, 290)의 지면(10)을 향하는 부분이 하나의 평면 내에 위치하면, 즉 트레드(190, 290)가 신발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까지 이르는 직선 형태로 구현되면, 사용자가 걸을 때 발의 자세에 따라 트레드(190, 2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며 보통의 걸음걸이에서와 같이 지면과 접촉하는 뒤꿈치, 발바닥, 발볼의 부위가 자연스럽게 연속되지 않는다. 이는 자연스러운 걷기운동을 어렵게 하고, 특히 모터(310, 320)가 트레드(190, 290)를 구동하고 있을 때 균일한 속도의 움직임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걷기운동을 할 때 뒤꿈치 또는 발볼로 지면을 가압하는 자세에서 트레드(190, 290)가 작은 면적으로 지면(10)을 가압하게 되면 사용자가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뒤꿈치, 발바닥, 발볼의 순서로 지면(10)을 가압할 때에 대응하여 트레드(190, 290)를 상기 제1 구간(I),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으로 나누어지며, 각 구간에서 트레드(190, 290)와 베이스(105, 205) 사이의 각도를 각기 다르게 하여 모든 구간에서 트레드(190, 290)가 충분한 면적으로 지면(10)과 접촉하게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사용자가 뒤꿈치 및 발볼로 지면(10)을 가압할 때의 자세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표현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걷기운동과 연관되는 발의 자세 모두에 대하여 트레드(190, 290)가 충분한 면적으로 지면(10)을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구간(I)에서는 트레드(190)가 전방을 향하는 각도의 경사를 가져 사용자의 발볼 및 발가락 부위가 지면을 가압할 때 지면(10)에 충분히 접촉하도록 하고, 제3 구간(III)에서는 트레드(290)가 후방을 향하는 각도의 경사를 가져 사용자의 뒤꿈치 부위가 지면을 가압할 때 지면(10)에 충분히 접촉하도록 하며, 제2 구간(II)에서는 트레드(290)가 하측을 향하는 각도의 경사를 가져 사용자의 발바닥 부위가 지면을 가압할 때 지면(10)에 충분히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에서는 트레드가 제1 트레드(190) 및 제2 트레드(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드(190)는 사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트레드(290)는 사용자의 발바닥 및 뒤꿈치에 걸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터는 제1 모터(310) 및 제2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310)는 제1 트레드(190)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모터(320)는 제2 트레드(290)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두 개의 모터(310, 320)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트레드가 제1 트레드(190) 및 제2 트레드(290)로 나뉘어지는 경우라도 단 하나의 모터만이 예를 들어 제2 트레드(2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트레드(190)는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회전하게 될 수 있다.
트레드가 제1 트레드(190) 및 제2 트레드(290)를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는 제1 베이스(105) 및 제2 베이스(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05)는 사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베이스(205)는 사용자의 발바닥 및 뒤꿈치에 걸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신발형 운동기구에서는, 제1 베이스(105)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5) 및 제2 지지부(125)에 제1 풀리(110) 및 제2 풀리(120)가 결합되어 있고, 제1 트레드(190)는 제1 풀리(110)와 제2 풀리(120)에 걸쳐져 이동 경로가 정의된다. 또한, 제2 베이스(205)로부터 연장되는 제3 지지부(235), 제4 지지부(245) 및 제5 지지부(255)에는 제3 풀리(230), 제4 풀리(240), 제5 풀리(250) 및 제6 풀리(260)가 결합되어 있고, 제2 트레드(290)는 이들에 걸쳐져 이동 경로가 정의된다.
제1 트레드(19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310)는 제1 베이스(105)에 결합되거나 제1 지지부(115) 또는 제2 지지부(125) 등에 결합되어 제1 풀리(110)와 제2 풀리(1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모터(310)가 제1 지지부(115)와 제2 지지부(125)에 결합되어 제2 풀리(1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모터(310)는 제1 트레드(190)의 지면(10)을 향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지면(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모터(310)는 제2 풀리(120)를 회전시켜, 신발형 운동기구가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제1 트레드(19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모터(310)가 제2 풀리(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트레드(190) 역시 이동 경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115)와 제2 지지부(125)는 제1 구간(I)에서 제1 트레드(1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면적이 충분하고 사용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풀리(110)가 충분히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5)는 제1 베이스(105)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더해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제1 풀리(110)가 제1 베이스(105)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걸으면서 발볼 및 발가락으로 지면(10)을 가압할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제1 트레드(105)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2 트레드(29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320)는 제2 베이스(205)에 결합되거나 제3 내지 제5 지지부(235~255)에 결합되어 제3 내지 제6 풀리(230~25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모터(320)가 제4 지지부(245)와 제5 지지부(255)에 결합되어 제6 풀리(26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모터(320)는 제2 트레드(290)의 지면(10)을 향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지면(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지지부(235), 제4 지지부(245) 및 제5 지지부(255)는 각각 제3 풀리(230), 제4 풀리(240) 및 제5 풀리(250)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풀리(230)와 제4 풀리(240)는 제2 구간(II)에서 제2 트레드(290)의 위치를 결정하고, 제4 풀리(240)와 제5 풀리(250)는 제3 구간(III)에서 제2 트레드(290)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제1 구간(I)에서 제1 트레드(190)와 제1 베이스(105) 사이의 각도, 제2 구간(II)에서 제2 트레드(290)와 제2 베이스(205) 사이의 각도, 그리고 제3 구간(III)에서 제2 트레드(290)와 제2 베이스(205) 사이의 각도가 모두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 구간(I)에서 제1 트레드(1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면적이 충분하고 사용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풀리(110)가 충분히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5)는 제1 베이스(105)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더해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제1 풀리(110)가 사용자의 발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걸으면서 발볼 및 발가락으로 지면(10)을 가압할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제1 트레드(105)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125) 및 제3 내지 제5 지지부(235~255) 중 어느 하나 이상도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더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풀리들이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15, 125, 235, 245, 255)들은 또한 모터(310, 320), 제어모듈(400), 전원(500) 등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제4 지지부(245) 및 제5 지지부(255)는 제2 모터(320)를 양측에서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하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4 풀리(240) 및 제5 풀리(250)를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3 풀리(230)와 제4 풀리(240)는 제2 구간(II)에서 트레드(290)의 경로를 정의하고, 제4 풀리(240)와 제5 풀리(250)는 제3 구간(III)에서 트레드(290)의 경로를 정의한다. 제2 구간(II)과 제3 구간(III)에서 베이스(205)에 대한 트레드(290)의 각도가 달라지도록 제4 풀리(240)와 베이스(205)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풀리(250)와 베이스(205)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구간(III)에서 트레드(290)는 후방을 향하는 경사를 갖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205)로부터의 수직 거리라 함은 베이스(205)가 위치하는 평면으로부터의 법선 거리를 의미한다.
제2 트레드(290)와 연관된 부분에서, 제3 풀리(230), 제4 풀리(240) 및 제5 풀리(250)는 제2 구간(II)과 제3 구간(III)에서 제2 트레드(290)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제6 풀리(260)는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는 않으며 모터(320)에 의해 회전되어 제2 트레드(29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310)가 결합되어 구동하는 제2 풀리(120)와 제2 모터(320)가 결합되어 구동하는 제6 풀리(260)는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1 모터(310)와 제2 모터(320)가 동일한 출력을 제공하는 모터인 경우, 제1 트레드(190)와 제2 트레드(290)는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6 풀리(260)를 생략하고 모터(320)가 제3 내지 제5 풀리(230~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모터(320)가 결합된 풀리(230~250)는 제1 모터(310)가 결합된 풀리(12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320)가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풀리의 지름을 동일하게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갑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50)는 통상적인 신발의 갑피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베이스(105, 205)를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가 제1 베이스(105)와 제2 베이스(205)를 포함하는 경우, 갑피부(50)에는 슬릿(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05)와 제2 베이스(205)는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즉,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슬릿(52)은 제2 베이스(205)에 대한 제1 베이스(105)의 상대적 회전을 더 용이하게 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일반적인 신발 갑피의 비교적 경성 재질은 제1 베이스(105)가 제2 베이스(20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항할 수 있으나, 갑피부(50)의 일부분에 슬릿(52)을 형성하여 이러한 저항을 제거할 수 있고, 이는 제2 베이스(205)에 대한 제1 베이스(105)의 상대적 회전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릿(52)은 빈 공간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천 또는 직물과 같이 낮은 저항력을 가진 재질로 빈 공간이 덮어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갑피부(50)가 사용자의 발 전체를 감쌀 필요 없이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하여 샌들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갑피부(50) 대신 기존의 신발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착부(170, 2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착부(170, 270)는 베이스(105, 205)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의 형태 또는 기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의 신발을 베이스(105, 205)의 소정 위치에 안착한 후, 스테이플, 못, 스크류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기존의 신발의 밑창 부위에 장착부(170, 270)를 결합시켜 신발형 운동기구를 신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장착부(170, 270)는 신발 밑창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신발 밑창의 저면 또는 전후좌우의 다른 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제1 베이스(105)와 제2 베이스(205)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장착부(170)와 제2 장착부(270)가 서로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제1 베이스(105)와 제2 베이스(205)는 다른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채 신발의 밑창 또는 갑피부(5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05, 205)가 기존 신발의 밑창 자체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모터(310, 3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400) 및 전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400)은 모터(310, 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400)은 모터(310, 320)가 작동 및 정지하게 하고 모터(310, 320)가 트레드(190, 290)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모듈(400)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 6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500)는 모터(310, 320) 및 제어모듈(4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DC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모듈(400)과 전원부(500)는 베이스(105, 205) 또는 지지부(115, 125, 235, 245, 255)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어모듈(400)의 지지부(235, 245)에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모듈(400)을 외측에, 즉 사용자의 발의 발날에 대응하는 쪽에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한 쌍의 신발형 운동기구를 착용하고 운동할 때 서로 충돌하여 제어모듈(4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모듈(400)이 베이스(105, 205)의 저면 등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모터(310, 320), 제어모듈(400), 전원부(500) 등은 트레드(190, 290)와 지면(10)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트레드(190, 290) 각각이 사용자의 발의 가운데를 따라 배치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트레드(190, 290)는 풀리들에 치합되고, 지지부는 대응하는 각 풀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풀리를 고정할 수 있다. 하나의 풀리를 두 개의 지지부가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경우, 트레드는 두 지지부 사이로 지나갈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트레드(190, 290)가 사용자의 발의 양측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한쪽 발에 착용되는 신발형 운동기구 하나에 두 개의 제1 트레드(190)와 두 개의 제2 트레드(290)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풀리(110, 120, 230, 240, 250, 260) 또한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1 풀리(110)는 두 개의 제1 트레드(190)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지지부(115)에 결합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제1 풀리(110) 각각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115)에 결합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제1 트레드(190)와 두 개의 제2 트레드(290)가 사용되는 경우, 모터(310, 320), 제어모듈(400), 전원부(500) 등은 두 개의 제1 트레드(190) 사이에 또는 두 개의 제2 트레드(2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먼저 신발형 운동기구를 두 발에 착용한 후, 원격 제어기(미도시) 등을 이용하거나 모터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 모터(310, 320)를 구동시켜 트레드(190, 290)가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트레드(190, 290)의 저면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트레드(190, 290)의 저면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하여 걷기운동을 하면서 뒤꿈치 부분이 먼저 지면(10)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는 제3 구간(III)의 트레드(290)는 지면(10)에 접촉할 수 있는 각도로 경사져 있어 제3 구간(III)의 트레드(290), 즉 제4 풀리(240)와 제5 풀리(250) 사이의 트레드(290)는 지면(10)에 온전히 접촉하게 되고, 모터(320)의 구동력 및 트레드(290)와 지면(1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 및 이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제자리에 위치하게 되거나 증가된 속도로 전진하게 된다.
제5 풀리(250)는 사용자의 발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트레드(29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걸음을 걸으면서 뒤꿈치 부위에 이어 발바닥 전체가 지면(10)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도 4의 구도에서 도 3의 구도로 이어지는 것에 해당한다. 제2 구간(II)의 트레드(290)는 대체로 지면(10)과 비슷한 경사를 가진다.
트레드(2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3 구간(III)에서 제2 구간(II)으로 이어지더라도 트레드(290)의 접촉 면적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다.
사용자가 걸음걸이를 계속하면서 발바닥에 이어 발볼 부위가 지면(10)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의 구도에서 도 5의 구도로 이어지는 것에 해당한다. 제1 구간(I)의 트레드(190)는 해당 자세에서 지면(10)에 접촉할 수 있는 각도로 경사져 있어 제1 구간(I)의 트레드(190), 즉 제1 풀리(110)와 제2 풀리(120) 사이의 트레드(190)는 지면(10)에 온전히 접촉하게 되고, 모터(310)의 구동력 및 트레드(190)와 지면(1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 및 이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제자리에 위치하게 되거나 증가된 속도로 전진하게 된다.
트레드(190, 290)가 지면(10)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2 구간(II)에서 제1 구간(I)으로 이어지더라도 트레드(190, 290)의 접촉 면적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다.
제2 풀리(120)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어 있어 지면(10)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2 트레드(290)에서 제1 트레드(190)로 전이되는 과정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가 반드시 두 개의 트레드(190, 290)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한 개의 트레드 또는 세 개 이상의 트레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걸음거리와 관련되는 발의 자세에 무관하게 풀리(110, 120, 230, 240, 250)들을 지지하는 각 지지부(115, 125, 235, 245, 255)가 경직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트레드(190, 290)의 구동에 오작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낮추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발 중 하중이 실리는 부위에 따라 풀리(110, 120, 230, 240, 250)들을 지지하는 각 지지부(115, 125, 235, 245, 255)가 약간씩 변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제3 풀리(230)가 지지된 제3 지지부(230)의 베이스(205)에 대한 각도가 변하게 하여 트레드(190, 290)의 제2 구간(II)에서 제1 구간(I)으로의 전이를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290)의 이동 경로가 이루는 폐곡선의 총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추가적 마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의 앞부분으로 지면(10)을 가압할 때에는 사용자의 발의 모양에 대응하여 갑피부(50)의 앞부분이 뒤로 젖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부(50)에 형성된 슬릿(52)은 이러한 움직임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신발형 운동기구를 착용하여 운동하는 사용자는 도 5에서와 같이 발의 앞부분으로 지면(10)을 가압한 후 반대측 발의 뒤꿈치 부위로 지면(10)을 가압하며 다시 도 4의 구도부터 반복된다.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걷는 동작을 원하는 기간 동안 반복하면서 걷기운동을 즐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의 제어모듈 및 모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400)은 신호수신부(410), 신호처리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410)는 사용자가 입력을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신발형 운동기구 자체에 구비된 스위치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의 작동을 시작 또는 정지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이동 속도 등을 조절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420)는 입력된 신호를 해석 및 처리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43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모터(310, 3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모터(310, 3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는 모터(310, 320)가 제1 모터(310)와 제2 모터(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모터(31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센서부(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440)는 트레드(190, 290)의 일부가 지면(10)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구간(I),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 각각에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센서부(440)를 제어모듈(4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부(4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레드(190, 290)를 이동시키는 모터(310, 320)에 걸리는 저항 즉 토크 변화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풀리 또는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44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30)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430)는 이를 기초하여 모터(310, 3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구간(I),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 중 어디에서도 트레드(190, 290)와 지면(10) 사이의 접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접촉이 없는 시간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운동기구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제어모듈(400)은 모터(310, 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센서부(4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구간(I), 제2 구간(II) 및 제3 구간(III) 중 어느 한 구간에서 트레드(190, 290)와 지면(10) 사이의 접촉이 있는 시간이 다른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운동 중 걷는 것을 멈춘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어모듈(400)은 모터(310, 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운동 중 걷기를 멈추고 양쪽 발에서 트레드(290)의 제2 구간(II)이 지면(10)에 닿은 상태로 정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신발형 운동기구를 발에 착용하여 걷기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기존의 트레드밀에 비해 현저히 작은 크기로 구현되어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육중한 부품들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러 인한 부상이 심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는 뒤꿈치, 발바닥, 발볼의 순서로 이어지는 올바른 걸음자세에 대응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경사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불편하거나 어색한 느낌 없이 자연스러운 걷기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발형 운동기구는 걷기 자세가 올바르지 못한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익히도록 도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걸을 때 두 발의 각도가 비정상적으로 좁거나 넓은 경우(소위 '팔자 걸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운동기구를 편하게 이용할 수 없으므로 두 발의 각도를 올바르게 유지하도록 학습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0: 갑피부
105, 205: 베이스
110, 120, 230, 240, 250, 260: 풀리
115, 125, 235, 245, 255: 지지부
190, 290: 트레드
310, 320: 모터
400: 제어모듈
500: 전원부

Claims (18)

  1.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며 휴대용 트레드밀로 기능하는 신발형 운동기구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갑피부;
    폐곡선을 이루는 트레드;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드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드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풀리;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운동기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트레드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서로 인접한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상기 운동기구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의 영역인 제1 구간을 정의하며,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서로 인접한 제3 풀리 및 제4 풀리는 상기 운동기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풀리와 상기 제4 풀리 사이의 영역인 제2 구간을 정의하며,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상기 제4 풀리와 상기 제4 풀리에 인접한 제5 풀리는 상기 운동기구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풀리와 상기 제5 풀리 사이의 영역인 제3 구간을 정의하며,
    상기 트레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구간,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에서 모두 상이하고, 상기 트레드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서는 하측을 향하는 경사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3 구간에서는 상측을 향하는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트레드는 상기 제1 구간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 트레드 및 상기 제2 및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트레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트레드를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트레드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갑피부에는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1 베이스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에서의 상기 트레드의 경로는 상기 제3 풀리, 상기 제4 풀리 및 상기 제5 풀리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4 풀리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5 풀리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발날에 대응하는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트레드와 지면 사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모듈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토크 변화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 및 상기 풀리 또는 상기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 모두에서 상기 트레드와 상기 지면 사이의 접촉이 없는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서 상기 트레드와 상기 지면 사이의 접촉이 있는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형 운동기구.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067513A 2015-05-14 2015-05-14 신발형 운동기구 KR10162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13A KR101625591B1 (ko) 2015-05-14 2015-05-14 신발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13A KR101625591B1 (ko) 2015-05-14 2015-05-14 신발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91B1 true KR101625591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513A KR101625591B1 (ko) 2015-05-14 2015-05-14 신발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924A1 (en) * 2017-05-09 2018-11-15 Google Llc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footwear
KR20190065806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인터보이드 롤러 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을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걷기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212995A1 (en) 2018-04-29 2019-11-07 Nimbus Robotics, Inc. A gait controlled mobility device
GB2609647A (en) * 2021-08-12 2023-02-15 Freeaim Tech Limited Virtual reality footwear locomotion system
WO2023017091A1 (en) * 2021-08-12 2023-02-16 Freeaim Technologies Limited Virtual reality footwear locomo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17Y1 (ko) * 2002-12-09 2003-03-26 박상규 인라인 스케이트
JP2005137786A (ja) * 2003-11-10 2005-06-02 Furukawa:Kk 電動スケートボード
US20130025955A1 (en) * 2010-02-01 2013-01-31 Paul Chavand Wheeled shoes or undersoles enabling fast walking
JP2013123642A (ja) * 2011-12-14 2013-06-24 Hyundai Motor Co Ltd 電動式個人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17Y1 (ko) * 2002-12-09 2003-03-26 박상규 인라인 스케이트
JP2005137786A (ja) * 2003-11-10 2005-06-02 Furukawa:Kk 電動スケートボード
US20130025955A1 (en) * 2010-02-01 2013-01-31 Paul Chavand Wheeled shoes or undersoles enabling fast walking
JP2013123642A (ja) * 2011-12-14 2013-06-24 Hyundai Motor Co Ltd 電動式個人移動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924A1 (en) * 2017-05-09 2018-11-15 Google Llc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footwear
US10639540B2 (en) 2017-05-09 2020-05-05 Google Llc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footwear
KR20190065806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인터보이드 롤러 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을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걷기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3501B1 (ko) * 2017-12-04 2020-01-08 주식회사 인터보이드 롤러 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을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걷기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212995A1 (en) 2018-04-29 2019-11-07 Nimbus Robotics, Inc. A gait controlled mobility device
EP3787760A4 (en) * 2018-04-29 2022-07-20 Shift Robotics, Inc. PACE-CONTROLLED MOBILITY DEVICE
GB2609647A (en) * 2021-08-12 2023-02-15 Freeaim Tech Limited Virtual reality footwear locomotion system
WO2023017091A1 (en) * 2021-08-12 2023-02-16 Freeaim Technologies Limited Virtual reality footwear locomo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1351B2 (en) Exercise treadmill
KR101625591B1 (ko) 신발형 운동기구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Waddington et al. Football boot insoles and sensitivity to extent of ankle inversion movement
US8062185B2 (en) Exercise device for cross training
US20080176719A1 (en) Foot massaging treadmill
US9616277B2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BRPI0612798A2 (pt) sistemas de controle e produtos de dispositivo de recebimento de pé contendo tais sistemas
US20130303338A1 (en) Treadmill
KR100819205B1 (ko)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지능형 런닝 머신 및 이를동작시키는 방법
KR101774810B1 (ko)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529366A (ja) 機能性履物
CN104697925B (zh) 一种运动鞋鞋底摩擦检测装置
KR101686642B1 (ko)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1805B1 (ko) 하지 재활 훈련 장치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CN201019043Y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鞋底
US11738234B2 (en) Apparatus for physical activity comprising a revolving belt
CN202315112U (zh) 可赤脚跑步的跑步机传送带
JP2020114345A (ja) 一本歯下駄
CN111938256B (zh) 一种运动用鞋子
KR20140008583A (ko) 크로스컨트리 운동기구
KR200334403Y1 (ko) 다리운동기구
CN108853901A (zh) 一种多功能跑步机
CN102380181A (zh) 可赤脚跑步的跑步机传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