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810B1 -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810B1
KR101660810B1 KR1020140032752A KR20140032752A KR101660810B1 KR 101660810 B1 KR101660810 B1 KR 101660810B1 KR 1020140032752 A KR1020140032752 A KR 1020140032752A KR 20140032752 A KR20140032752 A KR 20140032752A KR 101660810 B1 KR101660810 B1 KR 10166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ensor unit
user
uni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678A (ko
Inventor
양승희
Original Assignee
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81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영상 또는 음향을 제공하는 출력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감싸는 밴드, 상기 밴드의 제1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양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INPUT BY USING BAND}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INPUT BY USING BAND}
종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물리적인 버튼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 물리적인 버튼은 사용자가 장치의 조작을 위해서 장치로 손을 가져다 대야 하고, 음성 인식은 소리를 내야 하므로, 조용하거나 소음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카메라가 구비되거나 가속도 센서등을 이용해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7682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관절 부위에 부탁된 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구현하고 이용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감싸는 밴드, 상기 밴드의 제1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양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또는 음향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 외부로 돌출된 제2 부분에 설치되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의 제1 부분 또는 제2부분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2센서부는, 사용자의 손, 발, 종아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돌출된 제2 부분을 누름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측정값을 생성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부의 전원, 볼륨, 기능선택, 재생모드변경, 통화모드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에서 상기 출력부는,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의 수축과 손의 움직임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에 대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새로운 사용자 입력방식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31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3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310)와 제2센서부(3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1)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유로운 모션을 통해 제1센서부(310) 또는 제2센서부(320)와 제3센서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감싸는 밴드(100) 및 사용자의 손목 내측에 부착되는 바디(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절 부위는 도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일 수 있으나, 발목, 허리, 무릅 등 다양한 부위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1000)는 후술할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가동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즉 임의의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으며,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의 카메라기능, 저장기능, 연산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기반의 단말기 등을 비롯한 핸드헬드(Handheld) 기반 무선 단말기를 전부 포함한다. 특히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등의 각종 센서, 진동모터, 소리 출력부, 통신모듈 등이 포함된 스마트 폰 또는 경우에 따라 소형의 스마트 패드일 수 있다. 또한,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프로세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갖춰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 체제간에 통신을 제공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의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다른 객체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유선/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가 갖는 각종 센서 정보, 소리 피드백 정보, 진동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는 외부 객체로 전송되거나, 또는 내부 구성요소에 수신될 수 있다.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의 운영체제로 Google사의 Android, RIM사의 Blackberry OS, Apple사의 iOS, Nokia사의 Symbian OS, Microsoft사의 Windows Mobile, 삼성전자의 bada, 리눅스 등 어떠한 운영체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서술한 운영체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밴드(100)는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임의의 대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100)는 시계 끈이거나 아데와 같은 스포츠 보조용품일 수 있다. 밴드(10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진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관절을 움직이는 경우 밴드의 적어도 일부분에 압력이 가해져 밴드의 형태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바디(1000)는 상기 밴드의 제1 부분(a)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양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31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센서부(310)는 사용자가 관절을 움직임에 따라서 변화하는 관절 부위의 두께변화를 측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2a를 참조하면 제1센서부(310)는 밴드(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밴드가 늘어남에 따라서 작용하는 장력(F)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센서부(310)는 이와 같은 장력(F)에 의해 도2a에서와 같이 밴드의 일부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밴드의 일 단부(101)는 다른 단부(102)와 맞물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맞물리는 부분은 각각 (101a), (102a)라 했을 때 상기 장력에 의해 부분(101a)와 부분(102a)가 서로 가까워 지게 되어(x방향) 제1센서부(301)의 피스톤부(31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제1센서부(310)는 피스톤부(311)가 눌러져서 축소된 정도 및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2a는 일 실시예로써 사용되는 스위치(311)는 자석 스위치, 택 스위치, 토글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제한 되지는 않는다. 또한 관절의 일 측부 또는 타측부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서 두꺼워지는 관절의 부위가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서 제1센서부(310)가 설치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손목 관절의 경우, 손이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젖혀진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310)는 밴드의 원주 중 임의의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위별로 상이한 측정값을 가지게 되므로 다양한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디(1000)는 제1센서부(310)에 의한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센서부 외에 제2 내지 제3센서부의 측정값을 모두 고려하여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는 영상 또는 음향을 제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에서는 표시된 출력부로서 소리 출력부(200)외에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출력부(2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이다. 도1을 참조하면 소리 출력부(200)는 사용자의 손바닥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소리의 출력은 음악, 기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된 소리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돌 후 반사되어 사용자의 귀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귀를 감싸고 있는 경우, 손바닥과 귀 사이 공간에서 소리의 반사와 공명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소리의 반사와 공명현상에 의해 소리 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소리가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다.
소리 출력부(200)는 밴드의 원주 중 임의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2에서와 같이 손등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소리 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소리가 중간 장애물 없이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직접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1000)는 상기 밴드 외부로 돌출된 제2 부분(b)에 설치되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부분(b)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3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2b를 참조하면 제2센서부(320)는 밴드(100) 외부로 돌출된 제2 부분(b)에 설치되어,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측 도면에서 팔과 손이 이루는 각이θ1인 경우 돌출된 부분(321)은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즉, 돌출된 부분은 다른 외력을 받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도2b 의 아래쪽 그림을 보면, 손이 이동하여 팔과 손이 이루는 각이 θ2가 되고, 사용자의 손이 돌출된 부분(321)을 누르게 된다. 이때 제2센서부(320)는 돌출된 부분(321)이 눌려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측정하는 변화량은 엔코더를 이용하거나 임의의 측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측정하는 변화량은 임계치의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스위치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 또는 제2센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을 아래로 굽힘으로써 밴드에 가해지는 힘(장력 또는 압력)이 변화되서 제1센서부(310)가 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손을 아래로 굽힘으로써 팔 등 반대편에 손바닥 방향으로 돌출된 제2센서부(320)의 일부분이 눌러져서 제2센서부(320)가 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100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해 손목의 움직임에 대한 측정값을 산출하는 제3 센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센서부(33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측정값을 생성하는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유로운 모션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3센서부(330)는 제1센서부(310) 또는 제2센서부(320)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센서부(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센서부(330) 3차원 공간상에서의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센서부, 제2센서부, 및 제3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어신호를 통해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 또는 원격에 존재하는 다른 출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부의 전원, 볼륨, 기능선택, 재생모드변경, 통화모드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또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사용자의 소리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의 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여러 개의 마이크가 어레이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중앙처리장치일 수 있으며,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간의 정보의 전달, 연산, 처리, 가공, 명령을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기반하여 소리 출력부의 전원,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 기능선택, 재생모드변경, 통화모드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생모드 변경은 다음 곡 또는 이전곡으로 넘어가는 기능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화모드는 전화 수신, 발신, 및 임의의 통화에 관련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바디(1000)와 동일한 면에 또는 반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통화 상태 및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프로젝터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방식,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등의 오토스테레오그래피(autostereography) 또는 홀로그램(hologram)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발광중합체(LEP; Light Emitting Polymer), 전자발광소자(EL Element; Electro-Luminescence Element), 전계방출소자(FED; Field Emission Display), 또는 중합체발광소자(PLED; Polymer Light EmittingDispla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과 통합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감싸는 밴드;
    상기 밴드의 하나 이상의 제1 부분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제1 부분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양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서로 대향하는 제1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와 제2 파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부분이 늘어난 길이에 반비례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파트와 제2 파트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또는 음향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외부로 돌출된 제2 부분에 설치되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제1 부분 또는 제2부분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부는,
    사용자의 손, 발, 종아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돌출된 제2 부분을 누름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측정값을 생성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부의 전원, 볼륨, 기능선택, 재생모드변경, 통화모드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KR1020140032752A 2014-03-20 2014-03-20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KR10166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752A KR101660810B1 (ko) 2014-03-20 2014-03-20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752A KR101660810B1 (ko) 2014-03-20 2014-03-20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678A KR20150109678A (ko) 2015-10-02
KR101660810B1 true KR101660810B1 (ko) 2016-09-28

Family

ID=5434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752A KR101660810B1 (ko) 2014-03-20 2014-03-20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69A (ja) * 2001-03-26 2002-10-04 System Lsi Kk 筋電位信号の識別方式および筋電位信号を用いた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035A (en) 1996-12-19 2000-03-07 Classicom, Llc Wrist mounted telephone device
KR100878754B1 (ko) * 2007-01-03 2009-01-14 한국과학기술원 손 지체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47474A (ko) * 2011-10-31 2013-05-08 대덕위즈주식회사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69A (ja) * 2001-03-26 2002-10-04 System Lsi Kk 筋電位信号の識別方式および筋電位信号を用いた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678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323B2 (en) Frequency hopping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0613742B2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action with a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thereof
US949684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ound generating unit with piezoelectric element configured for vibration and volume adjustment,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electronic device
US20120283896A1 (en) Gesture recognition via an ad-hoc proximity sensor mesh for remotely controlling objects
EP28695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rminal by using headset wire, and apparatus
CN108876739A (zh) 一种图像补偿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40009B2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0612918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KR20150080446A (ko)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방법, 장치, 이동단말기, 무선액세스설비,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210185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d determining transmission direction of transmission unit
US20170108933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4273810A (zh) 太阳能智能手表
CN109189360B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US9392085B2 (en) Charging a mobile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KR20170062853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60810B1 (ko)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CN108958631B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US20180300118A1 (en) App program run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20904B1 (ko) 소리의 반사와 공명현상을 이용한 통신 장치
KR20140112913A (ko) 동적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29911A (ko)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WO2016178445A1 (ko)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장치
KR2017008646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7212006A (ja) 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6159414A1 (ko) 소리의 반사와 공명현상을 이용한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