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807B1 - 해바라기 열풍기 - Google Patents

해바라기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807B1
KR101660807B1 KR1020140192898A KR20140192898A KR101660807B1 KR 101660807 B1 KR101660807 B1 KR 101660807B1 KR 1020140192898 A KR1020140192898 A KR 1020140192898A KR 20140192898 A KR20140192898 A KR 20140192898A KR 101660807 B1 KR101660807 B1 KR 10166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bustion cone
heat
blowing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554A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8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바라기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너의 화염을 이용하여 방열판을 가열시키는 해바라기 열풍기를 개선하여 방열판의 원주 모서리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추 형상의 판재로 성형되어 작은 직경의 입구 및 큰 직경의 출구가 형성된 연소콘(100)과; 상기 연소콘(100)의 입구에 조립되며 연료 및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연소콘(100)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200)와; 다수의 홀(310)이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에 다수의 송풍구(320)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콘(100)의 출구에 조립되는 방열판(300)과; 상기 연소콘(100)을 소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여 내측면과 상기 연소콘(100)의 외측면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410)을 형성하는 하우징(400)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500)과;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을 반경 방향으로 이분시키는 원추 형상의 단열 격벽(600)으로 구성되어, 열풍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는 한편, 석고 등의 인체에 유해한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또한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바라기 열풍기{Sun flower type heater}
본 발명은 해바라기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너의 화염을 이용하여 방열판을 가열시키는 해바라기 열풍기를 개선하여 방열판의 원주 모서리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전방 방열판의 원주 모서리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풍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는 한편, 석고 등의 인체에 유해한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또한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기(熱風機)란 버너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따뜻한 열풍을 송풍시키는 장치로써, 겨울철 산업용 또는 일반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열풍기 가운데 전면에 원형의 방열판이 마련된 열풍기를 해바라기 열풍기라 지칭하고 있다.
종래의 해바라기 열풍기 중 하나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0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013호에 개시된 종래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에 마련된 버너(7)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면 전면에 마련된 방열판(12)이 가열되어 난방을 실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방열판(12)의 열기는 원거리까지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상부에 별도의 팬(5)을 부가함으로써 방열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가 상승할 때 전방으로 송풍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개시된 종래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별도의 송풍팬(5)을 부가한다 하더라도 열기가 옆으로 퍼지면서 원거리까지 효과적으로 도달하지는 못한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해바라기 열풍기 내부의 연소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방열판(12) 이외의 기타 장치 외표면 전체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사용자의 화상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버너의 연소열이 전면의 방열판(12) 이외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석고 재질의 단열재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0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 방열판의 원주 모서리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풍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는 한편, 석고 등의 인체에 유해한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또한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바라기 열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추 형상의 판재로 성형되어 작은 직경의 입구 및 큰 직경의 출구가 형성된 연소콘과; 상기 연소콘의 입구에 조립되며 연료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소콘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다수의 홀이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에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콘의 출구에 조립되는 방열판과; 상기 연소콘을 소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여 내측면과 상기 연소콘의 외측면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단열 송풍 공간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단열 송풍 공간을 반경 방향으로 이분시키는 원추 형상의 단열 격벽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덕트가 일체로 추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상단에 상기 송풍팬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하단에는 상기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단열 송풍 공간 내부의 단열 격벽 내외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은 구름수단 및 연료탱크를 구비한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동 및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방 방열판의 원주 모서리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풍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는 한편, 석고 등의 인체에 유해한 단열재 없이도 장치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또한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있어서 요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대한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있어서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대한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콘(100)과 하우징(400) 사이에 단열 격벽(600)에 의해 이분되는 단열 송풍 공간(410)을 형성하고, 이 단열 송풍 공간(410)을 통해 송풍을 실시함으로써, 열풍이 원거리까지 원활하게 도달하는 한편, 연소콘(100) 내부의 화염 온도가 하우징(400)의 외표면에 작용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원추 형상의 판재로 성형되어 작은 직경의 입구 및 큰 직경의 출구가 형성된 연소콘(100)과; 상기 연소콘(100)의 입구에 조립되며 연료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소콘(100)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200)와; 다수의 홀(310)이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에 다수의 송풍구(320)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콘(100)의 출구에 조립되는 방열판(300)과; 상기 연소콘(100)을 소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여 내측면과 상기 연소콘(100)의 외측면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410)을 형성하는 하우징(400)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500)과;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을 반경 방향으로 이분시키는 원추 형상의 단열 격벽(600)으로 구성된다.
우선, 연소콘(1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깔때기 형태의 원추 형상으로 성형된 금속 판재로써 후방을 향해 위치하는 작은 직경의 입구와, 전방을 향해 위치하는 큰 직경의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200)는 상기 연소콘(100)의 입구에 조립되는 것으로, 연료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소콘(100)의 내부로 도 6과 같이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버너(200)의 배면에는 도 3과 같이 작동 여부 및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나 화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이 마련될 수 있으며, 미도시한 연료공급관로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고, 미도시한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버너(200)의 내부에는 점화장치 및 소용량의 팬이 마련되어 초기에 자체 점화는 물론 화염의 발생에 필요한 송풍을 자체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방열판(300)은 도 2와 같이 다수의 홀(310)이 형성된 원형의 금속 판재로써, 원주 방향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송풍구(320)가 관통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방열판(300)의 홀(310)은 대략 '11'자 형태로 나란하게 절취한 후 그 중앙을 구부려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홀(310)은 상기 방열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면 좋다.
이러한 방열판(300)은 도 6과 같이 상기 연소콘(100)의 출구에 조립되어,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의 운전 시 상기 연소콘(100) 내부의 화염에 의해 발갛게 달구어져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에 있어서 최외곽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연소콘(100)을 도 6과 같이 소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400)의 내측면과 상기 연소콘(100)의 외측면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41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열 송풍 공간(410)의 후방은 밀폐되어 있는 반면, 전방은 상술한 상기 방열판(300)의 송풍구(320)가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을 통과하면서 연소콘(100)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가열된 뜨거운 공기는 상기 방열판(300)의 송풍구(320)를 통해 전면을 향해 토출될 것이다.
이때, 도면부호 800은 마감파이프로써, 도 6과 같이 방열판(300), 하우징(400), 그리고 연소콘(100)의 출구측 외주연을 감싸서 조립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송풍팬(500)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로 송풍시키는 구성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송풍팬(500)은 상기 하우징(400)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로 송풍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마지막으로, 단열 격벽(600)은 도 5와 같이 대략 원추 형상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도 6과 같이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을 반경 방향으로 이분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열 격벽(600)은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을 두 겹의 공기층으로 구성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연소콘(100)의 높은 온도가 상기 하우징(400)의 외표면까지는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열 격벽(600)의 전방측 끝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단열 격벽(600)의 내외로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구(320) 이전에 합쳐진 후, 상기 송풍구(320)를 통해 송풍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덕트(420)가 일체로 추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420)의 상단에 상기 송풍팬(50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덕트(420)의 하단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단열 격벽(6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의 단열 격벽(600) 내외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400)에 덕트(420)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며 조립을 높이고, 덕트(420)를 통해 송풍팬(500)의 공기가 원활하게 단열 송풍 공간(410)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특히, 이 부위에 상기 단열 격벽(600)이 절개되어 있어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으로 공기가 송풍되되 상기 단열 격벽(600)의 내외 모두로 각각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구름수단(710) 및 연료탱크(720)를 구비한 캐리어(7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동 및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캐리어(700)는 다수의 중공 환봉을 구부려서 제작한 것으로, 일측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구름수단(710)을 두고 그 타측 하부에는 받침대(711)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받침대(711) 측을 들어올려 구름수단(710)을 통해 손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 시에는 상기 받침대(711)에 의해 구름수단(710)과 함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캐리어(700)의 하부에는 연료탱크(720)가 마련되어 상기 버너(200)에 공급될 연료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캐리어(700)에 상기 하우징(4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경사조절레버(740)를 통해 상기 하우징(40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풍에 대한 송풍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며, 예를 들어 도 7에는 송풍 방향을 상방향으로 조절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우선 열풍기를 운전하고자 하는 장소로 캐리어(700)의 구름수단(710)을 통해 이동시킨 후, 놓으면 받침대(711)가 구름수단(710)과 함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운전시키면 미도시한 연료공급관로를 통해 연료탱크(720)의 연료가 버너(200)로 공급되는 동시에 미도시한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버너(200)는 상기 연소콘(100) 내에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500)도 함께 작동하게 되며 송풍팬(500)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420)를 통해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로 송풍을 실시하며, 단열 송풍 공간(410)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구(320)를 통해 방열판(300)의 전방으로 송풍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판(300)의 열기가 위나 옆으로 퍼지지 않고 파이프 형태를 이루어 전방을 향하여 원거리까지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단열 송풍 공간(410) 내부의 공기는 단열 격벽(600)에 의해 그 안쪽과 그 바깥쪽, 두 겹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소콘(100)의 높은 온도가 하우징(400)의 표면까지 작용하지 않아, 상기 하우징(400)의 외표면 온도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정도로는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바라기 열풍기는 연소콘(100)과 하우징(400)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410)을 형성하여 송풍팬(500)으로 송풍을 실시함으로써, 단열 송풍 공간(410)을 통과한 뜨거운 공기가 송풍구(320)를 통해 원거리까지 도달하여 난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단열 송풍 공간(410)은 다시 단열 격벽(600)에 의해 2겹의 공기층을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공기가 송풍되기 때문에, 연소콘(100)의 고온이 하우징(400)의 외표면까지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화상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연소콘 200 : 버너
300 : 방열판 310 : 홀
320 : 송풍구 400 : 하우징
410 : 단열 송풍 공간 420 : 덕트
500 : 송풍팬 600 : 단열 격벽
700 : 캐리어 710 : 구름수단
711 : 받침대 720 : 연료탱크
730 : 안전망 740 : 높이조절레버
800 : 마감 파이프

Claims (3)

  1. 원추 형상의 판재로 성형되어 작은 직경의 입구 및 큰 직경의 출구가 형성된 연소콘과;
    상기 연소콘의 입구에 조립되며 연료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소콘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다수의 홀이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에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콘의 출구에 조립되는 방열판과;
    상기 연소콘을 소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여 내측면과 상기 연소콘의 외측면 사이에 단열 송풍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단열 송풍 공간 내부를 통과시켜 다수의 상기 송풍구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방열판의 열기가 퍼지지 않고 파이프 형태를 이루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단열 송풍 공간을 반경 방향으로 이분시켜 두 겹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원추 형상의 단열 격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열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덕트가 일체로 추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상단에 상기 송풍팬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하단에는 상기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단열 송풍 공간 내부의 단열 격벽 내외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열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구름수단 및 연료탱크를 구비한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동 및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열풍기.
KR1020140192898A 2014-12-30 2014-12-30 해바라기 열풍기 KR10166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98A KR101660807B1 (ko) 2014-12-30 2014-12-30 해바라기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98A KR101660807B1 (ko) 2014-12-30 2014-12-30 해바라기 열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54A KR20160080554A (ko) 2016-07-08
KR101660807B1 true KR101660807B1 (ko) 2016-09-28

Family

ID=5650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898A KR101660807B1 (ko) 2014-12-30 2014-12-30 해바라기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13Y1 (ko) * 1999-12-20 2000-05-15 이평섭 이동식 온풍발생기
KR200309675Y1 (ko) * 2002-12-27 2003-04-03 서종길 직물마감처리용 열풍기
KR200386476Y1 (ko) * 2005-03-15 2005-06-17 김장환 전기온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13Y1 (ko) * 1999-12-20 2000-05-15 이평섭 이동식 온풍발생기
KR200309675Y1 (ko) * 2002-12-27 2003-04-03 서종길 직물마감처리용 열풍기
KR200386476Y1 (ko) * 2005-03-15 2005-06-17 김장환 전기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54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11751A1 (en) Radiant heating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adiant heating assembly
US20160230985A1 (en) Double-screened gas heater with dancing flame
US20070017501A1 (en) Gas stove burner
CN104048351B (zh) 一种大功率红外水平热辐射户外燃气取暖器
KR101660807B1 (ko) 해바라기 열풍기
CN1696571A (zh) 室外设置式燃烧装置
CA2475035A1 (en) Combination radiant/convection gas cooking appliance
US20150053200A1 (en) Fuel-burning fireplace
US105983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ampfire heat distribution and airflow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KR101658395B1 (ko) 온풍기용 팬
KR20140005597U (ko) 펠릿난로
KR102322681B1 (ko) 가습 난방기
KR101099156B1 (ko) 열풍식 세라믹 원적외선 전기히터
KR102068256B1 (ko) 미세물방울을 이용한 가습난방기용 히터장치
US10168053B2 (en) Combustion apparatus for both firewood and pellet fuel
WO2015020620A1 (ru) Котел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EP3126737B1 (en) Pre-mixed gas burner cooled by an air-gas mixture
JP4953443B2 (ja) 赤外線発生装置及び放熱板
CN104033944B (zh) 多功能智能电暖器
KR20120009381A (ko) 전기난로
KR20200072430A (ko) 히터 장치
KR101341913B1 (ko)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CN102679436A (zh) 远红外取暖器
US855904A (en)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