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913B1 -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 Google Patents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913B1
KR101341913B1 KR1020120045580A KR20120045580A KR101341913B1 KR 101341913 B1 KR101341913 B1 KR 101341913B1 KR 1020120045580 A KR1020120045580 A KR 1020120045580A KR 20120045580 A KR20120045580 A KR 20120045580A KR 101341913 B1 KR101341913 B1 KR 10134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preader
air
spreader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331A (ko
Inventor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홍 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 대 박 filed Critical 홍 대 박
Priority to KR102012004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9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 또는 열풍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재활용하여 열을 확산시킴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대기 탄소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 절약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열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는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와,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열확산기 커버와,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열확산기 커버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관을 구비하는 에어관과, 상기 에어관의 분기관에 설치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Heating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 또는 열풍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재활용하여 열을 확산시킴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대기 탄소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 절약을 이룰 수 있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난방을 위해 열풍기, 난로, 전기 히터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연통으로 배출되는 상당한 열기를 가진 폐열은 외부로 방출되어 대기 중에 탄소를 많이 배출하므로, 지구 온난화 속도를 빨라지게 한다.
더욱이 기온편차가 심해지면 연료비는 상승하고 연료소모가 더욱 많아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서,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원예작물 하우스의 경우 과일 하나에 절반 이상이 난방비라고 할 만큼 난방비로 인한 농가의 부담은 날로 더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겨울철 난방비를 얼마나 절약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서, 난방비의 절약이 중대한 가격결정의 요인이 된다 하겠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0305호에서는 농업용 온실 등에 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열풍기에서 연통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효과적으로 집열하여 열풍기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료의 절감과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농업용 열풍기의 교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집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집열박판을 지그재그로 부착하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뿐 아니라, 열풍기에서 연통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집열하여 열풍기 내부로 재순환시키는 구조이므로, 난방효율이나 연료비 절감의 효과가 미비한 단점이 있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열풍기 또는 난로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뜨거운 폐열을 난방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열을 확산 및 증폭시킴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대기 중 탄소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 절약을 이룰 수 있는 열확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와, 양단에 통공된 배관을 구비하며, 일단의 배관이 상기 열발생부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배출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열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와,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열확산기 커버와,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열확산기 커버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관을 구비하는 에어관과, 상기 에어관의 분기관에 설치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의 배출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열확산기는 지면과 평행하게 가로놓이며, 상기 열확산기를 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떨어지게 설치하기 위한 스탠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열확산기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열확산기 커버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자형으로 절곡되어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원통형의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확산기 커버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발생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열확산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편이 끼워지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관은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 내부에 공급하는 제1 분기관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 내부에 공급하는 제2 분기관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는 제3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발생부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을 신속히 하도록 상기 열확산기의 유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출터미널이 더 포함되되, 상기 배출터미널은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는 제4 분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분기관에는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터미널은 상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수평면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간격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판은 열전도가 높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와, 상기 열발생부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열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와,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판을 포함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직교하도록 가로놓여 'T'자형 관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연통과 연결되며,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열확산기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확산기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상기 열확산기의 상부로 유입된 후 하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구가 열확산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확산기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에 의하면 열풍기 또는 난로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뜨거운 폐열을 난방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열을 확산 및 증폭시킴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대기 중 탄소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 절약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로서, 밸브C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로서, 밸브A, B, D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열확산기 설치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주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로서, 밸브C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로서, 밸브A, B, D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열확산기 설치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는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100)와, 상기 열발생부(100)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300)와,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열확산기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발생부(100)는 일반적인 난로나 화목난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열풍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후술할 화목난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열확산기(300)는 양단에 통공된 배관을 구비하는데, 일단에 상기 열발생부(100)의 연통인 배출구(110)와 연통되어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외부로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38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확산기(300)는 상기 열발생부(100)의 배출구(110)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열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폐열이 상기 열확산기(300)를 통과하면서 넓은 면적으로 열을 방출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열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난방에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는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80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송풍팬(800)은 상기 열확산기(300)의 하부에 있는 공기를 상기 열발생부(100), 열확산기(300) 또는 열확산기 커버(200)에 공급하여 회오리 바람을 일으켜 폐열을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100), 열확산기(300) 또는 상기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는 에어관(600)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관(600)의 분기관에는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에어관(600)은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100) 내부에 공급하는 제1 분기관(610)과,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 내부에 공급하는 제2 분기관(620)과,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는 제3 분기관(630)을 포함한다.
각각의 분기관(610)(620)(630)에는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B, C, D)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는 상기 열발생부(100)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을 신속히 하도록 상기 열확산기(300)의 타단에 형성된 배관(38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출터미널(4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배출터미널(400)은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는 제4 분기관(640)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분기관(640)에는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A)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터미널(400)은 상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수평면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380)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벗어나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터미널(400)은 외부 바람이 강한 날 에어밸브(A)를 개방할 경우, 에어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열확산기(300) 내부의 폐열을 잡아당겨 외부로 강제송풍되게 하므로, 열확산기(300) 내부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열확산기(300)를 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떨어지게 설치하기 위한 스탠드(700)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확산기(300)가 지면과 평행하게 가로놓이며 열발생부(100)의 일측으로 결합된다.
또한,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열확산기 커버(200) 역시 지면과 평행하게 가로놓인다.
상기 열확산기 커버(200)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발생부(100)와 반대측의 단부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확산기 커버(200)의 하단부는 후술할 스탠드(700)의 끼움편(740)이 끼워지도록 절개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간격볼트(210)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볼트(210)는 상부와 좌우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탠드(7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확산기(300)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720)와, 상기 받침대(72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열확산기 커버(200)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편(740)과, 상기 끼움편(74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자형으로 절곡되어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대(7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720)는 원통형의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형(弧形)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탠드(700)는 열확산기(30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76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자형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온풍비닐관(550) 등을 보존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한 주름판(9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판(900)은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열전도가 높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300) 외측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확산장치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람을 일으키는 송풍팬(800)을 이용할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밸브(C)를 개방하면 열확산기 커버(200) 내부로 에어가 공급된다.
송풍팬(800)에서 에어밸브(C)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열확산기(300)의 외벽을 타고 회전(350)을 일으키면서 열확산기 커버(200)의 개방된 단부로 배출된다.
이때, 열확산기(300)의 열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나가면서 난방을 이루게 하며, 지면으로 찬 공기가 상기 송풍팬(800)에 흡수되므로 대류 현상으로 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밸브(C)를 개방하면 송풍팬(800)에서 발생한 바람이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의 공간으로 회오리치면서 열을 감아 전방으로 배출하여 먼곳까지 난방 효과를 이루게 한다.
한편, 에어밸브(B)를 개방하게 되면 에어가 열확산기(300) 내부로 유입되고, 열확산기(300)의 내측벽을 따라 회전(360)함으로써 열확산기(3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불연소된 연기를 감소하게 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800)으로부터 공급된 바람이 회전하면서 배출을 신속히 할 뿐 아니라 열발생부(100)에서 유입된 폐열을 많이 회전시킴으로써, 열을 신속히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열확산기(300) 내벽으로 유착되는 카본을 제어하여 열전도율을 높이게 한다.
한편, 상기 배출터미널(400)은 외부 바람이 강한 날 에어밸브(A)를 개방할 경우, 에어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열확산기(300) 내부의 폐열을 잡아당겨 외부로 강제송풍되게 한다. 따라서, 외부 바람이 강한 날 역풍을 방지하고, 바람이 상승하면서 열확산기(300) 내부의 폐열을 잡아당겨 배출하므로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열발생부(100)에 연결된 제1 분기관(610)은 화목 난로를 사용할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에어벨브(D)를 개방하게 되면 바람이 열발생부(100)의 내벽을 타고 회전하게 됨으로써 화력을 증폭하게 되고 불연소된 연기 발생을 사라지게 한다.
또한, 재료 투입시 전방으로 연기가 나오지 않게 되어 실내 사용이 용이하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열확산기가 화목갈탄용 난로와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예는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100)와, 상기 열발생부(100)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300)와,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확산기(30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800)과,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에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관(600)과, 상기 에어관(600)에 설치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B)(C)와,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판(900)을 포함한다.
상기 열확산기(300)는 상기 열발생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직교하도록 가로놓여 'T'자형 관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연통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열확산기 커버(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확산기 커버(200)를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관(600)은 열발생부(100)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별개로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관(600)은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분기관과,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2 분기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분기관에는 밸브(B)(C)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관(600)이 열발생부(100)의 측면으로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열발생부(100)의 열이 전달되어 대류가 발생하고, 하단의 송풍팬(800)이 작동하여 상단으로 밸브(B)를 개방하면, 에어가 열확산기(300) 내부로 내벽을 타고 회전하면서 열확산기(300) 온도가 급증하게 되어 불연소된 연기가 열발생부(100)의 상단부로 빨려져 연기가 감소하고, 재료 투입시 연기가 전방으로 나오지 않게 되어 실내 사용이 가능해 진다.
또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난방을 위해 에어밸브(C)를 개방하면 열확산기(300)와 열확산기 커버(200) 사이에 공간으로 바람이 불어 전방으로 수평 송풍 하게 되며, 이때 열확산기(300) 외측으로 감겨진 절곡된 주름판(900)으로 하여 더욱 열확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기술수단으로 하여 대기 탄소배출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난방의 기능을 증폭하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열확산기(300)가 상기 열발생부(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열확산기(300)가 상기 열발생부(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됨으로써, 열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상기 열확산기(300)를 통과하면서 열이 확산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한 주름판(900)이 설치된다.
상기 주름판(900)은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열전도가 높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300) 외측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확산기(30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800)과, 상기 송풍팬(80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300)에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관(6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600)은 열발생부(100)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S'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관(600)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관(60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부재(6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확산기(300)에 소정 길이의 에어관(600)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송풍팬(800)에도 소정 길이의 에어관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열확산기(300)에 고정된 에어관(600)과 상기 'S'자형의 에어관(600)의 일단을 관이음부재(602)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S'자형의 에어관(600)의 타단과 상기 송풍팬(800)에 고정된 에어관을 관이음부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에어관(600)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관(600)과 관이음부재(602)에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체결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600)을 통한 에어의 공급은 기밀을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나사체결 대신 끼워맞춤 방식으로 관이음부재(602)를 설치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열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상기 열확산기(300)의 상부로 유입된 후 하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열확산기(300)의 유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며, 열확산기(300)의 유출구(380)는 열확산기(300)의 반대편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확산기(300)를 복수개로 설치하고, 열확산기(300)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상부와 하부에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폐열이 지나가는 통로가 지그재그형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확산기(30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한 주름판(900)이 설치된다.
상기 주름판(900)은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열전도가 높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300) 외측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열발생부 200 : 열확산기 커버
210 : 간격볼트 220 : 절개홈
300 : 열확산기 380 : 유출구
600 : 에어관 610 : 제1 분기관
620 : 제2 분기관 630 : 제3 분기관
640 : 제4 분기관 700 : 스탠드
720 : 받침대 740 : 끼움편
760 : 지지대 800 : 송풍팬
900 : 주름판 A,B,C,D : 에어밸브

Claims (15)

  1.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
    양단에 통공된 배관을 구비하며, 일단의 배관이 상기 열발생부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배출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열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열확산기 커버;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열확산기 커버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 열확산기 또는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관을 구비하는 에어관; 및
    상기 에어관의 분기관에 설치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
    를 포함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의 배출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는 지면과 평행하게 가로놓이며, 상기 열확산기를 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떨어지게 설치하기 위한 스탠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열확산기를 받치기 위해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열확산기 커버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자형으로 절곡되어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 커버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발생부의 반대측 단부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열확산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끼움편이 끼워지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간격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은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발생부 내부에 공급하는 제1 분기관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 내부에 공급하는 제2 분기관과,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열확산기와 열확산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공급하는 제3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발생부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을 신속히 하도록 상기 열확산기의 유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출터미널이 더 포함되되,
    상기 배출터미널은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는 제4 분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분기관에는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터미널은 상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수평면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판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판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10.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발생부;
    상기 열발생부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열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열확산기;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열방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판;
    상기 열확산기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관; 및
    상기 에어관에 설치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에어밸브;
    를 포함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기는 상기 열발생부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직교하도록 가로놓여 'T'자형 관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연통과 연결되며,
    상기 열확산기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열확산기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열확산기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은 금속판을 '┌┐'자와 '└┘'로 연속 절곡하여 상기 열확산기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되며, 절곡된 홈으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45580A 2012-04-30 2012-04-30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KR10134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80A KR101341913B1 (ko) 2012-04-30 2012-04-30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80A KR101341913B1 (ko) 2012-04-30 2012-04-30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31A KR20130122331A (ko) 2013-11-07
KR101341913B1 true KR101341913B1 (ko) 2013-12-13

Family

ID=4985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580A KR101341913B1 (ko) 2012-04-30 2012-04-30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983U (ko) * 1990-03-29 1991-12-13
KR20050051598A (ko) * 2005-03-11 2005-06-01 서영철 라지 에타를 겸한 보일러연통의 제조형성 및 그설치시공방법 (2)
JP2009079886A (ja) 2007-09-09 2009-04-16 Hiroshi Miyamoto 薪等の固体燃料の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983U (ko) * 1990-03-29 1991-12-13
KR20050051598A (ko) * 2005-03-11 2005-06-01 서영철 라지 에타를 겸한 보일러연통의 제조형성 및 그설치시공방법 (2)
JP2009079886A (ja) 2007-09-09 2009-04-16 Hiroshi Miyamoto 薪等の固体燃料の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31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45311U (zh) 一种电暖风机
CN106705608A (zh) 燃气方管式四回程金属热风炉干燥机
KR20170135123A (ko) 농업용 튜브 온풍기
JP2014126356A (ja) 薪などを燃料とする暖房機
KR100909680B1 (ko) 농업용 열풍시스템
US2787997A (en) Oil-burning room heater
KR101341913B1 (ko) 폐열을 재활용한 열확산장치
CN204513990U (zh) 一种燃气加热干燥装置
KR102306216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갖춘 고에너지 효율 열풍기
KR101556446B1 (ko) 온풍, 온수, 냉풍 및 냉수 공급이 가능한 다기능 냉난방 기기
KR20090109245A (ko) 난방용 온수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장치
JP2010127575A (ja) 熱発生装置、温風ボイラー装置、温水ボイラー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ー装置
JP3144345U (ja) 温風機における空気加熱のための構造
CN208794724U (zh) 一种多用途暖风锅炉
KR101245516B1 (ko) 중공 히트파이프 튜브를 이용한 이동식 열풍기
CN206166876U (zh) 一种鞋子烘干箱
CN105057185B (zh) 一种烘箱结构
CN105333612B (zh)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KR101477520B1 (ko) 이동식 온풍기
CN204787234U (zh) 燃煤型热风炉
KR101210809B1 (ko) 산업용 열풍기
WO2013140269A2 (es) Tubo de evacuación de humos y gases, con aprovechamiento del calor residual
KR102541139B1 (ko) 유류 온풍기
CN104033944B (zh) 多功能智能电暖器
RU208840U1 (ru) Печь-теплообмен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