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660B1 -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 - Google Patents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660B1
KR101660660B1 KR1020157007983A KR20157007983A KR101660660B1 KR 101660660 B1 KR101660660 B1 KR 101660660B1 KR 1020157007983 A KR1020157007983 A KR 1020157007983A KR 20157007983 A KR20157007983 A KR 20157007983A KR 101660660 B1 KR101660660 B1 KR 10166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contactless
user interface
contactless gesture
bas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369A (ko
Inventor
안드레 스트라커
웨이 켄 팡
덕-호 전
달톤 제이. 뉴콤베
Original Assignee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글로벌 filed Critical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글로벌
Publication of KR2015006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n the policy decisions are vali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이 본원에 설명되어 있다.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의 자동 록킹, 수동 록킹, 및/또는 수동 언록킹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들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제어하는 것은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는 것;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는 것; 및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LOCKING AND UNLOCKING OF CONTACTLESS GESTURE-BASED USER INTERFACE OF DEVICE HAVING CONTACTLESS GESTURE DETECTION SYSTEM}
우선권 데이터
이 출원은 전체적으로 참조를 위해 본원에 편입되는, 2012 년 9 월 27 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1/706,714 호의 정규 출원이다.
기술 분야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무접촉 제스처(contactless gesture) 검출 시스템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을 위한 록킹/언록킹(locking/unlocking) 메커니즘들, 및 그것에 의하여,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된 무접촉 제스처-기반(contactless gesture-based)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이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이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스처-기반 검출 시스템들을 구현한다. 광학-기반(영상-기반)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과 같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접촉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얇은 대기(thin air)로 확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 이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의 문제점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의 무의식적 활성화와, 이에 따른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무의식적 이용으로부터 유발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이용 중에, 사용자의 이동들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의도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특정한 미리정의된 제스처로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해독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이 그 의도된 목적들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타당하였지만, 이들은 모든 점들에 있어서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본 개시물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읽을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최상으로 이해된다. 산업에서의 표준적인 관례에 따르면, 다양한 특징들은 척도에 맞게 그려진 것이 아니며 오직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이용된다는 점이 강조된다. 실제로,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는 논의의 명료함을 위하여 임의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a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transition)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lock state)로 천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포화 제스처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상태 머신(state machine)들을 도시한다.
일 예의 실시형태들의 개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이 본원에 설명되어 있다.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의 자동 록킹, 수동 록킹, 및/또는 수동 언록킹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인에이블(enable)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를 위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들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제어하는 것은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는 것;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gesture sequence)를 검출하는 것; 및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의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
많은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이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이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스처-기반 검출 시스템들을 구현한다. 기존의 제스처-기반 검출 시스템들은 모션-기반(motion-based), 터치-기반(touch-based), 및/또는 광학-기반(영상-기반)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로서 분류될 수 있다. 광학-기반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얇은 대기로 확장할 수 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디바이스들 주위의 무접촉 공간으로 확장함(그리고 이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들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 있음). 예를 들어, 패닝 특징(panning feature)은 패닝 특징을 초래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손(또는 손가락(들))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주위에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줌-인(zoom-in) 특징은 사용자의 손(또는 손가락(들))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더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줌-아웃(zoom-out) 특징은 사용자의 손(또는 손가락(들))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면, 다른 디바이스 제어 및/또는 내비게이션 특징들은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 주위의 무접촉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다양한 손(또는 손가락(들)) 모션(motion)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 이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의 문제점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의 무의식적 활성화와, 이에 따른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무의식적 이용으로부터 유발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이용 중에, 사용자의 이동들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내로 무의식적으로 투입될 수 있고(원하지 않는 제스처들로서 지칭됨),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의도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기 위한 특정한 미리정의된 제스처로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제스처 알고리즘들을 통해 해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디바이스 이용 중에, 사용자의 손(또는 손가락(들))은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선택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터치-감응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로 또는 이 터치-감응형 디스플레이로부터 이동할 수도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이것을 특정한 제스처로서(예를 들어, 줌-인 또는 줌-아웃 제스처로서) 해독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하여, 특정한 제스처와 연관된 (줌-인 또는 줌-아웃과 같은) 의도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도를 알 수 없으므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이것으로 투입된) 임의의 제스처들을 해독할 것이고, 사용자가 디바이스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것을 의도하였든 그렇지 않았든 간에,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할 것이다.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의도되지 않은 이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논의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deactivate)/활성화(activate)할 수 있으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비활성화된(록킹된) 상태 또는 활성화된(언록킹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디바이스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디바이스의 무접촉 공간에서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이러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디바이스가 필요할 때에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에이블하지만, 필요하지 않을 때 및/또는 약간의 시간 후에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무의식적인 이용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사용자 좌절감(user frustration)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형태들은 상이한 장점들을 가질 수도 있고,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특별한 장점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로 돌아가면,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바이스(1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 및 디바이스(10)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인 디바이스(10)의 간략화된 블록도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이다. 대안적으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전화, 랩톱 컴퓨터,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발명 개념들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명료함을 위해 간략화되었다. 추가적인 특징들이 디바이스(10)에서 추가될 수 있고, 이하에 설명된 특징들 중의 일부는 디바이스(10)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대체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터치-감응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5), 및 센서 디바이스(25)를 포함하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을 포함한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이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1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 및 디바이스(10)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디바이스(10)를 위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제스처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30) 내에서 제스처들을 검출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무접촉 공간(30) 내에서 제스처들을 수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무접촉 공간(30) 내에서 사용자의 손(손가락(들))을 이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와 상호작용하며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센서 디바이스(25)는 무접촉 공간(30) 내에서 디바이스(10)까지의 사용자의 손(손가락(들))의 근접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및/또는 무접촉 공간(30) 내에서 사용자의 손(손가락(들)) 이동을 추적하기 위하여 (적외선 광과 같은) 반사된 광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기능을 정의하는 제스처 또는 일련의 제스처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광학적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고, 센서 디바이스(25)는 광학적 근접성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들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1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해 어떻게 응답하는지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다양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들을 가지고, 여기서, 각각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는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해 어떻게 응답하는지와 연관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및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를 가진다.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와 상호작용하며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및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 사이에 천이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의도되지 않은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에서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활성화되고, 디바이스(10)가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기능들을 수행하지 않도록,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스처들을 무시한다. 예를 들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는 것으로부터 디스에이블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일부분은 제스처들을 여전히 검출하고,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는 것을 담당하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일부분으로부터의 제스처들을 차단한다(상기 일부분으로 투입되는 제스처들을 방지함). 이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록킹된 상태에 진입하고, 여기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록킹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10)의 애플리케이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검출된 임의의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하는 것이 방지된다.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일부의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부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 및/또는 일부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로 디바이스(10)를 천이하는 것과 연관된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이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언로크(unlock) 제스처(들)를 식별할 때,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한다.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에서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고, 디바이스(10)가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한다. 예를 들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는 것이 인에이블된다. 이에 따라,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언록킹된 상태에 진입하고, 여기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언록킹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의 애플리케이션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패닝 특징, 줌-인 특징, 줌-아웃 특징, 내비게이팅 특징, 및/또는 다른 특징은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제스처들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에 의해 검출 및 해독된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도 1에서 설명 및 예시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을 갖는 디바이스(10)와 같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의 플로우차트이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타임아웃(timeout) 후에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디바이스(10)를 천이하는 자동 록킹 메커니즘, 정의된 사용자 로크 액션(user lock action)에 응답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디바이스(10)를 천이하는 수동 록킹 메커니즘, 및/또는 정의된 사용자 언로크 액션에 응답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디바이스(10)를 천이하는 수동 언록킹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100)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할 때,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최소 전력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발명 개념들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명료함을 위해 간략화되었다.
자동 록킹 메커니즘은 제스처 활동이 없는 정의된 시간 기간 후에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디바이스(10)를 천이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자동 록킹 메커니즘은 타임아웃에 기초할 수 있다. 방법(100)의 블록(102)으로 돌아가면,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임의의 제스처들이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블록(102)에서,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제스처들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임의의 제스처들을 검출하지 않음), 방법(100)은 블록(104)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자동 록킹 메커니즘은 정의된 시간 기간이 경과(만료)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정의된 시간 기간은, 정의된 시간 기간이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 필요성들 및/또는 선호도들에 따라 변동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하다. 타임아웃이 발생하였을 경우, 블록(106)에서는,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방법(100)은 블록(102)으로 복귀하고,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임의의 제스처들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계속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카운트다운 타이머(countdown timer)를 포함하고, 타임아웃은 카운트다운 타이머가 만료할 때에 발생한다. 블록(102)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이 임의의 제스처를 검출할 때, 카운트다운 타이머가 리셋된다.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있을 때, 수동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디바이스(10)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언록킹된 상태로 천이한다. 예를 들어, 블록(102)으로 복귀하면,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제스처들이 검출될 경우(예를 들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제스처들을 검출함), 방법(100)은 블록(108)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수동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검출된 제스처들이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해야 함을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는 로크 제스처,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해야 함을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는 언로크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제스처들이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할 경우, 방법(100)은 블록(11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수동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스처들이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정의된 시간의 기간에 걸쳐 검출되지 않을 경우, 방법(100)은 블록(102)으로 복귀하고,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임의의 제스처들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계속한다.
제스처들이 정의된 시간의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할 경우, 방법(100)은 블록(11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수동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로크 제스처 또는 언로크 제스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로크 제스처에 대응할 경우, 방법(100)은 블록(106)으로 진행하고,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언로크 제스처에 대응할 경우, 방법(100)은 블록(114)으로 진행하고,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고, 다음으로,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로 천이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할 때,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일부분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일부분으로부터 차단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제스처들은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일부분으로 투입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임의의 일련의 제스처들을 포함하고, 정의된 시간 기간은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을 표시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나타내는 일련의 제스처들을 정의하고, 사용자는 일련의 제스처들이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 또는 그 조합임을 표시하는, 일련의 제스처들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 기간을 정의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는 일련의 제스처들, 및/또는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나타내는 완료 시간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3a에서,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는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하도록 디바이스(10)에 지시하는 것에 대응하는 언로크 제스처이다. 도시된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는 3 개의 스테이지(stage)들, 예를 들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3 개의 상이한 제스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는 (예를 들어, 5 초의 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손(손가락)이 (1) 상측, (2) 좌측, 다음으로 (3)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정의된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는 사용자의 손(손가락)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 (1) 상측, (2) 하측, 다음으로 (3)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 (1) 좌측, (2) 우측, 다음으로 (3)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 (1) 하측, (2) 하측, 다음으로 (3)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 (1) 좌측, (2) 하측, 다음으로 (3)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 또는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서의 임의의 다른 일련의 사용자 손(손가락) 이동들을 포함한다. 일부의 구현예들에서, 정의된 시간 기간은 일련의 제스처들에서의 각각의 제스처 사이의 최소 시간 기간을 정의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 및/또는 정의된 시간 기간의 복잡성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0)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들로 천이할 수 있는 용이함을 최대화하면서, 거짓 양성(false positive)들을 - 여기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일련의 제스처들을 정의된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로서 부정확하게 검출함 -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20)의 일반적인 이용 중에 단일 또는 2 제스처 로크/언로크 시퀀스를 무의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천이할 수도 있으므로, 단일 제스처 로크/언로크 시퀀스 또는 2 제스처 언로크/로크 시퀀스는 거짓 양성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너무 많은 제스처들을 갖는 로크/언로크 시퀀스들이 사용자가 정확한 로크/언로크 시퀀스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려움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적어도 3 제스처를 갖는 로크/언로크 시퀀스들은 이에 따라 거짓 양성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가 디바이스(10)의 정상적인 이용 중에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이동들에 끊김없이(seamlessly) 적합할 수도 있으므로, 너무 느슨한 타이밍 제약들은 또한 거짓 양성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너무 빠듯한 타이밍 제약들은 사용자가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어려움을 제공할 수도 있어서, 그것이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수행될 때까지 사용자가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재시도하도록 강요하고, 이것은 사용자의 경험에서 좌절감 및 불만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일부의 상황들에서,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는 ((1) 상측, (2) 하측, 다음으로 (3) 상측 제스처들 또는 (1) 좌측, (2) 우측, 다음으로 (3) 좌측 제스처들을 포함하는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들과 같이) 불충분하게 별개인 일련의 제스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하여,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는 디바이스(10)의 정상적인 이용 중에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이동들에 끊김없이 적합할 수도 있으므로, 거짓 양성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이에 따라,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가 하나의 방향에서의 일련의 제스처들(예를 들어, (1) 하측, (2) 하측, 다음으로 (3) 하측 제스처들을 포함하는 로크/제스처 시퀀스들) 또는 직교 방향들을 합성하는 일련의 제스처들(예를 들어, (1) 좌측, (2) 하측, 다음으로 (3) 우측 제스처들을 포함하는 로크/제스처 시퀀스들)과 같이, 거짓 양성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충분하게 별개인 일련의 제스처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거짓 양성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스처들의 수, 제스처들의 타입들, 및 제스처들에 대한 완료 시간과 같은 다양한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 인자들의 균형을 잡는다.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블록(106)에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블록(114)에서)로 전이할 때, 방법(100)은 블록(11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116)에서는, 디바이스(10)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언로크 상태가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사용자에 대한 표시는 (텍스트, 그래픽, 다른 시각적 표시, 또는 그 조합과 같은) 시각적 표시, 청각적 표시, (진동 표시와 같은) 촉각적 표시, 또는 그 조합일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로크 이미지(lock image)를 디스플레이하고,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언로크 이미지(unlock image)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에 대한 표시는 영구적 표시, 일시적 표시, 또는 양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언로크 상태를 표시하는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15)의 상태 바(status bar)에서의 영구적 아이콘(permanent ic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통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15) 상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난다. 또 다른 예에서는,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천이를 추가로 인식하게 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10)는 그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진동한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은 100% 정확한 제스처 검출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인식하고 있음을 보장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10)로 사용자 경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지만, 디바이스(10)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디바이스(10)와 상호작용하거나 디바이스(10)를 제어하도록 의도된 제스처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상황들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표시는 사용자가 그/그녀가 성공적인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아는 것을 보장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크/언로크 제스처 시퀀스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다수의 시도들을 회피한다.
포화 제스처(saturation gesture)가 검출될 때, 수동 록킹 메커니즘은 또한 디바이스(10)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08)으로 복귀하면, 제스처들이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방법(100)은 블록(118)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결정된 제스처들이 포화 제스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포화 제스처는 디바이스(10)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고의적인 제스처이다. 제스처가 포화 제스처에 대응할 경우, 방법(100)은 블록(106)으로 진행하고, 디바이스(10)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도 3b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포화 제스처를 예시한다. 도 3b에서, 사용자의 손/손가락(들)은 디바이스(10)의 무접촉 공간 내의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센서 상에 놓여 있다(커버함). 방법(100)으로 돌아가면, 제스처들이 포화 제스처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방법(100)은 블록(102)으로 복귀하고,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임의의 제스처들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계속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포화 제스처는 자동 록킹 메커니즘에 대응할 수도 있고, 여기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하도록 디바이스(10)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임의의 객체(object)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의 센서 상에 놓여질 수 있다(커버함).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케이스(case), 백(bag), 포켓(pocket), 또는 디바이스(10)가 더 이상 이용되고 있지 않은 다른 상황에 놓여질 때에 디바이스(10)의 자동 록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로 돌아가면,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본원에서 설명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들과 같은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간략화된 블록도가 제공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도 1 의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으로서 디바이스(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발명 개념들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명료함을 위해 간략화되었다. 추가적인 특징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에서 추가될 수 있고, 이하에 설명된 특징들 중의 일부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대체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도 4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하드웨어 도메인(210)과, 커널 도메인(kernel domain; 220) 및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도메인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도메인(210)은 커널 도메인(220) 및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 내에서 프로그램들 및 서비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도메인(220) 및 사용자 공간 도메인(220)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메모리, 및/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의 메모리의 별개의 영역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 도메인(220)은 (무접촉 제스처 시스템(200)과 연관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의 코어(core)를 구성하는 프로그램과 같은) 커널이 그 서비스들을 실행(런)하고 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예컨대, 하드웨어 도메인(210) 및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 사이의 자원들의 액세스, 제어 및 관리를 제공하는 메모리의 일부분이고;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은, 사용자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 프로그램들, 서비스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태스크들의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및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의 일부분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하드웨어 도메인(210)은 제스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240)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커널 도메인(220)은 제스처 드라이버(245)와 같은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사용자 공간 도메인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250)을 포함한다. 제스처 IC(240), 제스처 드라이버(245), 및 애플리케이션들(250)은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과 함께,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위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본원에서 설명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들을 (하드웨어 도메인(210), 커널 도메인(220), 또는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과 같은) 특정한 도메인으로 구속시킬 수 있고, 여기서, 특정한 도메인은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완전히 담당한다.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더 낮은 도메인으로 구속시키는 것은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더 높은 도메인으로 구속시키는 것은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의 유연한 조절 및/또는 확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다양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 구성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하나를 초과하는 도메인을 가로질러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확산시킬 수 있다. 다양한 도메인들을 가로질러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을 확산시키는 것은 유연한 시스템 구성 옵션들을 제공하며, 여기서, 록킹/언록킹 메커니즘은 다양한 시스템 구성들 및/또는 시스템 최종 사용자들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 4 에 예시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과 같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상태 머신들(300, 310, 및 320)을 도시한다. 상태 머신(300), 상태 머신(310), 및 상태 머신(320)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제스처 IC(240)와 같은) 하드웨어 도메인(210),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제스처 드라이버(245)와 같은) 커널 도메인(220),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애플리케이션들(250)과 같은)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상태 머신들(300, 310, 및 320)은 디바이스(10)에 의해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하는 자동 록킹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한 상태 머신(300)을 구현한다. 상태 머신(300)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없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없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에이블(비활성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에 의해 검출되는 동안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과 연관된 디바이스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유지하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된다.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제스처들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의 기간), 자동 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하며,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을 때,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일부분으로 더 이상 투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커널 도메인(220)은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며, 여기서, 제스처 드라이버(245)는 제스처 IC(240)가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에 제스처들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제스처 IC(240)는 그 연관된 디바이스가 수신된 제스처들에 기초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하드웨어 도메인(220)은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며, 여기서, 제스처 IC(240)는 그 연관된 디바이스가 제스처들을 수신하고, 이것에 의하여, 수신된 제스처들에 기초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드웨어 도메인(210)에서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는 것은, 커널 도메인(220)에서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을 위해 필요한 작업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도메인(210) 및 커널 도메인(220) 및/또는 사용자 공간 도메인(230) 사이(디바이스-호스트 통신 채널)에서 불필요한 활동/통신을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 공간 도메인(310)은 타임아웃이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서비스 레벨(애플리케이션(250))에서 발생하도록 타임아웃을 구현한다.
도 5b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하는 수동 록킹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한 상태 머신(310)을 구현한다. 상태 머신(310)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없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없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에이블(비활성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에 의해 검출되는 동안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과 연관된 디바이스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유지하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된다.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이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로크 제스처를 검출할 때, 수동 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하고,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로크 제스처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것과 같은 정의된 제스처 로크 시퀀스 및/또는 포화 제스처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을 때, 제스처들이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일부분으로 더 이상 투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커널 도메인(220)은 제스처 드라이버(245)가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로크 제스처를 검출하며 다음으로, 로크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도록 수동 록킹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여기서, 제스처 드라이버(245)는 제스처 IC(240)가 제스처들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제스처 IC(240)가 그 연관된 디바이스가 수신된 제스처들에 기초하여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c에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은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하는 수동 언록킹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한 상태 머신(320)을 구현한다. 상태 머신(320)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와,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없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없도록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에이블(비활성화)되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다.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에이블되는 동안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이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언로크 제스처를 검출할 때, 수동 언록킹 메커니즘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에이블하고,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를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로크 상태로 천이한다. 언로크 제스처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것과 같은 정의된 언로크 제스처 시퀀스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을 때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이 제스처들을 수신하고 제스처들이 언로크 제스처 시퀀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더라도, 제스처들은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200)의 일부분으로 투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커널 도메인(220)은 디바이스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크 상태에 있는 동안에 제스처 IC(240)가 제스처들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스처 차단 특징을 구현하면서, 제스처 드라이버(245)가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언로크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수동 언록킹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본원에서 개요가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및/또는 유형의(tangible) 매체들에서 인코딩된 로직(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명령들,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사한 머신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소프트웨어(오브젝트 코드 및 소스 코드를 잠재적으로 포함함), 등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에서 제공된 내장된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사례들 중의 일부에서, 메모리 엘리먼트(element)는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위해 이용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본원에서 설명된 활동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로직(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 프로세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동작들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와 연관된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와 같은) 엘리먼트 또는 항목(article)을 하나의 상태 또는 사물(thing)로부터 또 다른 상태 또는 사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원에서 개요가 설명된 활동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컴퓨터 명령들과 같은) 고정된 로직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본원에서 식별된 엘리먼트들은 (DSP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 프로그래밍가능한 디지털 로직(예를 들어, FPGA,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한 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또는 디지털 로직, 소프트웨어, 코드, 전자적 명령들, 또는 그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하는 ASIC 중의 일부의 타입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도면들에서 예시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의 다양한 회로들 및/또는 컴포넌트(component)들은 연관된 전자 디바이스의 기판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판은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전자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른 주변기기들을 위한 커넥터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회로 기판일 수 있다. 기판은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들이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전기적 접속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적당한 프로세서들(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지원 칩셋들, 등을 포함함), 메모리 엘리먼트들, 등은 특별한 구성 필요성들, 프로세싱 요구들, 컴퓨터 설계들, 다른 고려사항들,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기판에 적당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저장장치, 센서들, 오디오/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기들, 및 주변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은 플러그-인 카드들로서, 케이블들을 통해 기판에 부착될 수도 있거나, 기판 자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도면들에서 예시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또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의 다양한 회로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스탠드-얼론(stand-alone) 모듈들(예를 들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연관된 컴포넌트들 및 회로부를 갖는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하드웨어로의 플러그-인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별한 실시형태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패키지 내에 용이하게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SOC는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을 단일의 칩 내로 집적하는 집적 회로를 나타낸다. 그것은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된 신호, 및 종종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기능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모두는 단일 칩 기판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은 단일 전자 패키지 내에 위치된 복수의 별도의 IC들을 가지며 전자 패키지를 통해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멀티-칩-모듈(multi-chip-module; MCM)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은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들, 다른 반도체 칩들, 또는 그 조합들 내의 (실리콘 코어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반도체 코어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활동들은 신호 프로세싱(예를 들어, 제스처 신호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집적 회로들, 특히, 그 일부가 디지털화된 실시간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과 연관될 수도 있는 특화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실행할 수 있는 것들에 적용가능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어떤 실시형태들은 멀티-DSP 신호 프로세싱,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프로세싱, 신호/제어 프로세싱, 고정-함수(fixed-function) 프로세싱, 마이크로제어기 애플리케이션들, 등에 관련될 수 있다. 어떤 상황들에서는, 본원에서 논의된 특징들이 의료용 시스템들, 과학적 기구(scientific instrumentation), 무선 및 유선 통신들, 레이더, 산업 프로세스 제어, 오디오 및 비디오 장비, 전류 센싱, (고도로 정밀할 수 있는) 기구, 및 다른 디지털-프로세싱-기반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어떤 실시형태들은 의료용 이미징, 환자 감시, 의료용 기구, 및 홈 헬스케어(home healthcare)를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폐 감시기들, 가속도계(accelerometer)들, 심박수(heart rate) 감시기들, 심박 조율기(pacemaker)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안전 시스템들(예를 들어, 안정성 제어 시스템들, 운전자 보조 시스템들, 제동 시스템들, 임의의 종류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및 내부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자동차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들에서의) 파워트레인(powertrain) 시스템들은 배터리 감시, 제어 시스템들, 보고 제어들, 유지보수 활동들, 등에서 높은 정밀도의 데이터 변환 제품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시나리오들에서, 본 개시물의 교시내용들은 구동 생산성, 에너지 효율, 및 신뢰성을 돕는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산업적 시장들에서 적용가능할 수 있다. 소비자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위에서 논의된 신호 프로세싱 회로들의 교시내용들이 이미지 프로세싱, 자동 포커스(auto focus), 및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 캠코더들, 등을 위한) 이미지 안정화(image stabilization)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소비자 애플리케이션들은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들, DVD 레코더들, 및 고해상도(high-definition) 텔레비전들을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소비자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임의의 타입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진보된 터치 스크린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들은 기꺼이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보안 시스템들, PC들, 게임용 기술들,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훈련, 등의 일부일 수 있다.
본원에서 개요가 설명된 사양들, 치수들, 및 관계들은 예 및 교시만의 목적들을 위하여 제시되기만 하였다. 이들의 각각은 본 개시물의 사상, 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당히 변동될 수도 있다. 사양들은 비-제한적인 예들에만 적용되고, 이에 따라, 이들은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일 예의 실시형태들은 특별한 배치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형태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선행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들 및 단계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장치들, 프로세서들, 디바이스들, 및/또는 시스템들에 의해 또는 이들 내에서 실행될 수도 있는 가능한 시나리오들의 일부만을 예시한다. 이 동작들의 일부는 적절한 경우에 삭제 또는 제거될 수도 있거나, 이 단계들은 논의된 개념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당히 수정 또는 변경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이 동작들의 타이밍은 상당히 변화될 수도 있고, 이 개시물에서 교시된 결과들을 여전히 달성할 수도 있다. 선행하는 동작 흐름들은 예 및 논의의 목적들을 위하여 제시되었다. 임의의 적당한 배치들, 연대순 배열들, 구성들, 및 타이밍 메커니즘들은 논의된 개념들의 교시내용들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에 의해 실질적인 유연성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많은 예들로, 2 개, 3 개, 4 개,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측면에서 상호작용이 설명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명료함 및 예만의 목적들 위하여 행해졌다. 본원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유사한 설계 대안들에 따라, 도면들의 예시된 특징들 중의 임의의 것은 다양한 가능한 구성들에서 조합될 수도 있고, 그 전부는 명확히 이 명세서의 넓은 범위 내에 있다. 어떤 경우들에는, 제한된 수의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 특징들을 참조하기만 함으로써 흐름들의 주어진 세트의 기능성들 중의 하나 이상을 설명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도 있다. 도면들 및 그 연관된 교시내용들에서 예시된 특징들은 기꺼이 조정가능하고, 더욱 복잡/정교한 배치들 및 구성들뿐만 아니라 더 큰 수의 특징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제공된 예들은 무수히 많은 다른 아키텍처들에 잠재적으로 적용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그 넓은 교시내용들을 억제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하나의 실시형태", "일 예의 실시형태", "일 실시형태", "또 다른 실시형태", "일부의 실시형태들", "다양한 실시형태들", "다른 실시형태들", "대안적인 실시형태" 등에 포함된 다양한 특징들(예를 들어, 엘리먼트들, 구조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동작들, 특성들, 등)에 대한 참조들은, 임의의 이러한 특징들이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 포함되지만, 동일한 실시형태들에서 반드시 조합될 수도 있거나 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다수의 다른 변경들, 대체들, 변동들, 변화들, 및 수정들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고, 본 개시물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바와 같은 이러한 모든 변경들, 대체들, 변동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 출원에 첨부된 청구항들을 해독함에 있어서 미국 특허 상표청(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과, 추가적으로, 이 출원에 대해 등록된 임의의 특허의 임의의 독자들을 보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a) 단어들 "~위한 수단" 또는 "~위한 단계들"이 특별한 청구항들에서 구체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경우에, 첨부된 청구항들 중의 임의의 것이 그 출원일자에 존재하는 바와 갈은 35 U.S.C. 섹션 112의 단락 6을 적용하도록 의도하지 않으며; (b)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설명에 의해, 그렇지 않을 경우에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반영되지 않는 이 개시물을 여하튼 제한하도록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할 것을 희망한다.
일 예의 실시형태의 구현예들
하나의 특별한 예의 구현예는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디바이스를 천이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사례들에서의 '~하기 위한 수단'은 임의의 적당한 소프트웨어, 회로부, 허브, 컴퓨터 코드, 로직, 알고리즘들, 하드웨어, 제어기, 인터페이스, 링크, 버스, 통신 경로, 등과 함께, 본원에서 논의된 임의의 적당한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Claims (19)

  1. 방법으로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는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는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인에이블(enable)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임의의 제스처들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제스처들을 검출하지 않는 타임아웃 기간 후에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로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언로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최소 전력 상태로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광학적 근접성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광학적 제스처 검출 시스템인, 방법.
  11.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위한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는 것;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디스에이블하는 것; 및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은 광학적 근접성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광학적 제스처 검출 시스템인, 휴대용 디바이스.
  16. 실행을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로직으로 인코딩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들로서,
    상기 실행을 위한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접촉 공간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제스처들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제스처들로부터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정의된 제스처 시퀀스에 기초하여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 또는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이 타임아웃 기간 동안에 제스처들을 검출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포화 제스처를 검출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록킹된 상태로 상기 디바이스를 천이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들.
KR1020157007983A 2012-09-27 2013-09-27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 KR101660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6714P 2012-09-27 2012-09-27
US61/706,714 2012-09-27
US14/036,861 2013-09-25
US14/036,861 US20140298672A1 (en) 2012-09-27 2013-09-25 Locking and unlocking of contacless gesture-based user interface of device having contactless gesture detection system
PCT/US2013/062411 WO2014052895A1 (en) 2012-09-27 2013-09-27 Locking and unlocking of contactless gesture-based user interface of device having contactless gesture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369A KR20150068369A (ko) 2015-06-19
KR101660660B1 true KR101660660B1 (ko) 2016-09-27

Family

ID=5038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983A KR101660660B1 (ko) 2012-09-27 2013-09-27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98672A1 (ko)
EP (1) EP2901252B1 (ko)
KR (1) KR101660660B1 (ko)
CN (1) CN104781758A (ko)
WO (1) WO2014052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6476B (zh) * 2012-11-29 2015-11-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解除觸摸屏鎖定狀態的方法、電子裝置及其儲存媒體
EP2741199B1 (en) * 2012-12-06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individual lock mechanism for a touch screen device
US9836154B2 (en) 2013-01-24 2017-12-05 Nook Digital, Llc Selective touch scan area and reporting techniques
US9715282B2 (en) * 2013-03-29 2017-07-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starting, and restarting applications
SE537579C2 (sv) * 2013-04-11 2015-06-30 Crunchfish Ab Bärbar enhet nyttjandes en passiv sensor för initiering av beröringsfri geststyrning
US20150074613A1 (en) * 2013-09-10 2015-03-12 Nicholas Frederick Oswald Menus with Hand Based Gestures
KR102138034B1 (ko) * 2013-10-08 2020-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21739B2 (en) * 2014-03-03 2018-03-2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EP3637227B1 (en) * 2014-05-20 2023-04-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on intelligent wearing device by using gesture, and intelligent wearing device
FR3024262B1 (fr) * 2014-07-24 2017-11-17 Snecma Dispositif d'aide a la maintenance d'un moteur d'aeronef par reconnaissance de mouvement a distance.
TWI536202B (zh) * 2014-07-30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及其控制方法與判斷解鎖的方法
KR102214194B1 (ko) * 2014-08-19 2021-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Rf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감지방법
US9633497B2 (en) * 2014-09-05 2017-04-25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monitoring device gesture control lockout
JP6043334B2 (ja) * 2014-12-22 2016-12-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表示方法
US10248728B1 (en) * 2014-12-24 2019-04-02 Open Invention Network Llc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US10437981B2 (en) 2015-01-07 2019-10-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system and device unlock method of the same
US10613637B2 (en) * 2015-01-28 2020-04-07 Medtron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gesture input error
US11347316B2 (en) 2015-01-28 2022-05-31 Medtron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gesture input error
WO2016155577A1 (en) * 2015-03-30 2016-10-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Time related interaction with handheld device
DE102015211331A1 (de) * 2015-06-19 2016-12-22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 einer Erfassung von zumindest einer Eingabegeste eines Benutzers sowie die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hierzu
CN105243316B (zh) * 2015-10-15 2018-01-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解锁的方法及装置
CN105389499B (zh) * 2015-10-23 2017-10-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解锁的控制方法及用户终端
CN105306723A (zh) * 2015-11-09 2016-02-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操作行为的移动终端自动解锁方法及系统
CN105491206B (zh) * 2015-11-30 2018-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近距离感应解锁方法及系统、智能设备
DE102016109342B4 (de) * 2016-05-20 2024-02-22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sensorsystem zur gestenerkennung und verfahren zur radarbasierten gestenerkennung
CN106502385A (zh) * 2016-09-22 2017-03-15 南京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移动终端
CN107018121B (zh) 2016-10-13 2021-07-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用户身份验证的方法及装置
CN108089784A (zh) * 2016-11-22 2018-05-29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的设置方法及装置
US10120455B2 (en) 2016-12-28 2018-11-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845477B2 (en) * 2017-05-10 2020-11-24 Google Llc Power management using a low-power radar
US10261595B1 (en) * 2017-05-19 2019-04-16 Facebook Technologies, Llc High resolution tracking and response to hand gestures through three dimensions
EP3502937A1 (en) * 2017-12-20 2019-06-26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for visually capturing a code for locking or unlocking of functions
CN108228054B (zh) * 2017-12-29 2021-08-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10635895B2 (en) 2018-06-27 2020-04-28 Facebook Technologies, Llc Gesture-based casting and manipulation of virtual content in artificial-reality environments
CN109782639A (zh) * 2018-12-29 2019-05-21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工作模式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1036328B2 (en) 2019-01-10 2021-06-15 Schlage Lock Company Llc Touch input lock
KR102140927B1 (ko) * 2020-02-11 2020-08-04 주식회사 베오텍 공간 터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0005A1 (en) * 2010-06-17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gesture recognition
US20120023458A1 (en) * 2005-12-23 2012-01-26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1136153B1 (ko) * 2010-02-19 2012-04-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604B2 (en) * 2004-03-23 2007-02-06 Fujitsu Limited Gesture identification of controlled devices
US20070300140A1 (en) * 2006-05-15 2007-12-27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odes of operation
US20080229255A1 (en) * 2007-03-15 2008-09-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detection
US20080278455A1 (en) * 2007-05-11 2008-11-13 Rpo Pty Limited User-Defined Enablement Protocol
US8442843B2 (en) * 2007-12-05 2013-05-14 Draeger Medic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arming therapy device
KR101447187B1 (ko) * 2007-12-05 2014-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US20100289743A1 (en) * 2009-05-15 2010-11-18 AFA Micro Co. Laser pointer and gesture-based input device
DE102010007455A1 (de) * 2010-02-10 2011-08-11 Ident Technology AG, 82234 System und Verfahren zum berührungslosen Erfassen und Erkennen von Gesten in einem dreidimensionalen Raum
IL204436A (en) * 2010-03-11 2016-03-31 Deutsche Telekom Ag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online TV by waving hands
US20110260829A1 (en) * 2010-04-21 2011-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2299990A (zh) * 2010-06-22 2011-12-28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手势控制的手机
CN101895799B (zh) * 2010-07-07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乐播放的控制方法及音乐播放终端
EP2482168A1 (en) * 2011-01-27 2012-08-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2622087B (zh) * 2012-04-28 2015-01-21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解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3458A1 (en) * 2005-12-23 2012-01-26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1136153B1 (ko) * 2010-02-19 2012-04-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US20110310005A1 (en) * 2010-06-17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gestur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2895A1 (en) 2014-04-03
US20140298672A1 (en) 2014-10-09
KR20150068369A (ko) 2015-06-19
CN104781758A (zh) 2015-07-15
EP2901252A4 (en) 2016-04-13
EP2901252B1 (en) 2019-10-30
EP2901252A1 (en)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660B1 (ko) 무접촉 제스처 검출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의 무접촉 제스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록킹 및 언록킹
TWI576769B (zh) 具有指紋感測功能的電子設備及其驅動電路以及驅動方法
EP2746921B1 (en) Method for managing per-application security level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72013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operation in a portable terminal
EP24162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50059002A (ko) 지문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20262388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N10369929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70119711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조작 방법
US20150121516A1 (en) Authenticating input in trusted execution mode
CN106155720A (zh) 一种启动应用程序功能的方法及系统
CN107209593A (zh) 用于显示面板的输入设备控制
EP276548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2614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electronic device
KR20180108761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719280B1 (ko) 이미지에 대한 제스처들을 통한 프로그램가능한 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JP7142196B2 (ja) 電子機器、タブレット端末、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19227B2 (en) Selective locking method of information device having touch screen
JP6081324B2 (ja) 操作入力装置、携帯型情報端末、操作入力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650442B (zh) 一种信息的安全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2014063222A (ja) 通信端末装置、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677604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CN10448409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121316A1 (en) Method for unlocking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evice
CN103631499B (zh) 一种模式切换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