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594B1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Google Patents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0594B1 KR101660594B1 KR1020140163783A KR20140163783A KR101660594B1 KR 101660594 B1 KR101660594 B1 KR 101660594B1 KR 1020140163783 A KR1020140163783 A KR 1020140163783A KR 20140163783 A KR20140163783 A KR 20140163783A KR 101660594 B1 KR101660594 B1 KR 1016605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waterproof cover
- upper sheet
- porous film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9278 bio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0812 mixe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7 polyurethan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44 Gore-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3 Reac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ELITFHSCLAHKR-UHFFFAOYSA-N acibenzolar-S-methyl Chemical compound CSC(=O)C1=CC=CC2=C1SN=N2 UELITFHSCLAH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4 aerobic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65 bio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WXVUIWOUIDPGS-UHFFFAOYSA-N diacetone alcohol Natural products CC(=O)CC(C)(C)O SWXVUIWOUIDP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1 hyp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leac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8 magnetic separ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64 polyurethane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고 함수율이 높아 기계적 선별이 효율적이지 못한 혼합폐기물의 선별 및 자원회수를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혼합폐기물을 선별하여 고형연료로 생산하고 자원물질을 회수하여 잔류물의 안정화, 최소화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고 최종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거나 제로(zero)화하기 위한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공정의 일부를 개선하여 처리효율의 향상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선별 및 온실가스 저감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도시혼합폐기물에 일부 포함된 유기성폐기물 또는 의도적으로 주입된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하는 열과 과잉공기를 이용하여 도시혼합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바이오드라잉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설비비와 연료비를 절감하고 기계적 선별처리과정에서의 처리효율을 높이고 고발열량의 고형연료(SRF)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다공성 필름과 상·하부시트로 이루어지고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투습방수 커버를 사용하여 투습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국가 및 지자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고 함수율이 높아 기계적 선별이 효율적이지 못한 혼합폐기물의 선별 및 자원회수를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혼합폐기물을 선별하여 고형연료로 생산하고 자원물질을 회수하여 잔류물의 안정화, 최소화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고 최종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거나 제로(zero)화하기 위한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공정의 일부를 개선하여 처리효율의 향상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선별 및 온실가스 저감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도시혼합폐기물에 일부 포함된 유기성폐기물 또는 의도적으로 주입된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하는 열과 과잉공기를 이용하여 도시혼합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바이오드라잉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설비비와 연료비를 절감하고 기계적 선별처리과정에서의 처리효율을 높이고 고발열량의 고형연료(SRF)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다공성 필름과 상·하부시트로 이루어지고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투습방수 커버를 사용하여 투습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국가 및 지자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은 인간이 생활하고 활동하는 문명사회에서 사용되는 모든 제품 및 물질들이 사용 후 고체 또는 고체·액체·고체가 혼합된 고형상(固形狀)의 물질로 버려진 것이다.
폐기물은 신속하게 수집되어 적절하게 처리 또는 처분되지 않으면, 생활공간을 더럽히고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도시의 공중보건상의 문제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 또한 폐기물에 혼합되어있는 재활용 가능한 자원은 최대로 회수하지 않으면 매립지의 부족문제와 천연자원의 고갈문제 등에 대응할 수 없다.
종래의 폐기물 처리는 단순매립, 단순소각에만 의존하여 왔고 폐기물의 처리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침출수, 대기오염물질, 악취 등 2차 오염물질이 처리 시설물 주변은 물론 멀리까지 확산 되어 2차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수질 및 대기환경에 대한 처리기준도 강화되고, 지구 기후변화 및 자원고갈 대책수립의 강화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의 잠재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폐기물 감량·재이용·재활용의 3R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특히 가연성 및 자원성 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도시폐기물의 경우에 에너지화 및 자원회수 등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환경 및 경제적 부가가치를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고효율의 자원회수 및 에너지회수와 더불어 매립대상 잔류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BT)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system)공법은 폐기물의 선별이 주된 과정인 기계적 처리(MT)와 유기성 물질의 분해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처리(BT)의 두 가지 처리공정을 순차 또는 복합으로 결합시킨 폐기물 처리시스템이다.
이러한 MBT 공정은 고효율의 자원회수 및 에너지회수 그리고 잔류물의 안정이라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가연성분으로부터 에너지회수의 극대화와 매립대상 잔류 유기물의 철저한 안정화라는 공정간의 개념충돌로 인한 비효율적 요소가 있다.
다시 말해, 선진국에서는 초기에 매립처분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기성 매립물의 안정화를 우선적으로 하고, 자원물질의 기계적 선별로 잔류물을 최소화하는 중간처리로서 MBT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제는 고효율의 자원회수 및 에너지 회수와 매립물의 최소 또는 제로(zero)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저비용 MBT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MBT 공정에 바이오드라잉(Bio-drying) 공정을 추가하는 '바이도 드라잉 MBT 공정'이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바이오드라잉(Bio-drying) 공정'은 MBT시설에서 유기성분을 포함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을 선별할 때 유기성분이나 수분의 함량이 높거나 불균일하여 기계적 선별공정의 효율이 떨어져 적절하게 운영이 되지 않는 경우에, 도시혼합폐기물 자체에 함유되어있는 유기물 폐기물이 호기성으로 분해될 때 일어나는 발열반응을 이용하는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방식으로 유기물 자체에너지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기계적 건조에 소비되는 높은 에너지 량을 줄이고 기계적 선별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바이오드라잉은 도시폐기물과 같은 혼합폐기물 자체에 함유되어있는 일분의 유기물이 호기성으로 분해될 때 일어나는 발열반응을 이용하는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방식이므로 기계적 건조에 사용되는 화석연료 등 외부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수분증발로 인한 처리대상물의 감량화가 일어나 후속처리량을 줄일 수 있고, 바로 기계적 선별공정으로 투입하기 때문에 다양한 물질의 선별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드라잉 공정은 외부 에너지 및 화석 연료의 지출이 없기 때문에 MBT공정에서 요구되었던 기계적 건조공정의 막대한 연료비 및 설비비가 거의 필요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화석연료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건조로 인한 감량효과로 후단의 선별공정에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폐기물 성분별로 선별효율이 향상된다. 즉, 기존의 MT 공정에서는 반입폐기물 조성의 변화가 심하고 그로 인한 기계적 선별능력의 저하로 버려지는 저칼로리 잔류물에는 생분해성 유기물은 물론 많은 가연성 물질이 섞여 매립지로 버려지고, 연료화 원료인 고칼로리 가연성 물질에도 수분이 많은 유기물이 혼입되는 결과가 나타나지만, 바이오드라잉을 이용하여 충분하고 균일하게 건조하면 폐기물의 선별기능이 높아질 뿐 아니라 유기물 잔류 및 수분함량의 감소로 고형연료의 회수율은 물론 열량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바이오드라잉 공정은 폐기물 더미 위에 투습방수 커버를 덮어서 빗물은 차단되고 수분은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폐기물 더미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바이오드라잉 공정은 폐기물 더미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즉, 폐기물 더미에 강제로 공기를 주입하는 강제식 공기공급방식에 의한 커버형 바이오드라잉(cover style bio-drying with active aeration)과 송풍기와 공기공급관이 없어 생물학적 분해열에 의한 대류 및 확산현상으로 자연식 공기공급이 일어나는 바이오드라잉(cover style bio-drying with passive aeration)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버형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을 일정한 높이로 쌓아서 폐기물 더미(105)를 형성한 후, 그 위에 투습방수 커버(110)를 덮어서 빗물(R)은 차단되고 수분(G)은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기물 더미(105)는 트롬멜 스크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등 각종 기계적 선별을 통해서 선별되고 저칼로리성 유기성분이 포함된 도시혼합폐기물을 폭 2~5m, 높이 3~4m로 쌓아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폐기물 더미(105)의 하부에는 공기공급관(104)을 배치하고, 공기공급관(104)의 일 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를 설치하여 강제로 송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기물 더미(105)의 길이는 송풍기 용량과 공기공급관(104)의 길이에 따라 다르나, 보통 20~50m 정도로 한다. 그리고 투습방수 커버(110)는 폐기물 더미(10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110)는 공기와 수증기(G)는 통과시키고 물방울(R)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습방수성을 갖는 것으로, 빗물이 폐기물 더미(105)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폐기물 더미(105)에서 수분(G)은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 커버(110)는 공극의 크기에 따라 악취 가스의 일부도 차단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110)는 통상 직물시트 위에 다공성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투습방수 커버(110)는 직물원단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거나 다공성 필름(예, 다공질의 e-PTFE(PolyTetraFluoro Ethylene) 필름을 원단에 접착(Laminating)하여 제조한다. 또한, 다공성 필름 대신에 경사와 위사의 교차 밀도를 극한까지 놓여 섬유 간의 공극을 10이하로 치밀하게 직조한 고밀도 직물(micro-porous 직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습식 코팅공법은 폴리우레탄과 유기용제인 디메틸포름아미드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조성물을 원단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이들을 물속으로 통과시켜 원단 상에 미세한 기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코팅 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건식 코팅공법은 폴리우레탄을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수지조성물을 원단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휘발성 유기용제를 휘발시켜서 원단에 균질의 폴리우레탄 필름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라미네이팅 공법은 투습방수성능을 갖는 필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원단과 합포시키는 방법이다.
현재 투습방수 커버의 제조에 있어서 가장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가 바로 라미네이팅 방식이며, 고어-텍스(GORE-TEX), 미크로-텍스(MICRO-TEX), 바이온 2(BION 2), 심파 텍스(SYMPA-TEX)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필름제조의 원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에스테르공중합제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필름 제조 방식 또한 기존의 이형지상 코팅에 의해서 제조되던 것에 비해 블로윙(Blowing)에 의한 대량 제조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합포에서는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던 것을 반응형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적용하여 접착강도 향상, 품질균일성 향상, 생산성 향상, 환경문제 해결 등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라미네이팅 방식의 주요한 기술은 고기능성 박막 필름을 균일하게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설비의 정밀화, 작업환경의 청정화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라미네이트팅 방식이 필름을 직물에 접착하는 방식인데 비하여, 코팅 방식은 직물에 투습방수성을 갖는 막을 코팅하여 투습방수성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하이파론(HYPALON), 엔트란트(ENTRANT), 윅 코트(WICK COAT), 레포라(LEPORA)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투습방수 커버는 각각의 장점이 존재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생산하기 위한 대규모의 정밀 생산시설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생산시설이 구비되지 못한 국가나 지역에서는 적용하기 어렵고, 또 이러한 대규모의 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제적 상황이 좋지 못한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채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 호기성 발효열에 의한 열적 건조와 잉여공기에 의한 물리적 건조가 동시에 일어나는 바이오드라잉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설비비와 연료비를 절감하고 기계적 선별처리과정에서의 처리효율을 높이고 고발열량의 고형연료(SRF)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드라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가 적게 들고 투습도가 향상되며 저렴한 비용으로 대면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는,
폐기물 더미를 덮어서 바이오드라잉을 하기 위한 투습방수 커버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이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는 그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일체로 결합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는,
폐기물 더미를 덮어서 바이오드라잉을 하기 위한 투습방수 커버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된 것이고,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된 것이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제1 상부시트 및 제1 및 제2 하부시트는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제2 상부시트는 상기 제1 상부시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의 상면과 하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상부시트의 상면에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더 설치된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된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퍼의 상부에는 빗물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테이프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 장치는,
기계적 선별과정을 거쳐 선별된 도시혼합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한 후 일정한 크기의 폐기물 더미로 쌓고 그 위에 투습방수 커버로 덮어서 유기물의 분해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바이오드라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커버는,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더미의 하부에는 파렛트를 평평하게 설치하여 자연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폐기물 더미의 상면에도 파렛트를 설치하여 상기 폐기물 더미와 투습방수 커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는 상기 폐기물 더미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퍼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광폭의 투습방수 커버를 형성한다.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상면에 흡착시트를 더 설치한다.
상기 폐기물 더미의 상부에는 상기 투습방수 커버가 상기 파렛트가 마찰을 일으켜 상기 투습방수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파렛트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간격부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 폐기물 더미의 폭이 3~15m이고,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폭은 1~5m이며, 상기 폐기물 더미 위에 설치된 다수의 투습방수 커버를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된 것이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된 것이고,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된 것이고; 상기 제2 상부시트는 상기 제1 상부시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BT)에 바이오드라잉 공정을 적용하여 기계적 선별효율을 높이고 저비용으로 고열량의 고형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투습방수 커버를 제공하여 경제성이 요구되는 국가 및 지자체에서도 건설비와 운영비를 최소화하면서 바이오드라잉 공정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필름을 하부시트 또는 상부시트에 전면적으로 코팅하거나 접착하는 대신에 부분적으로 접착하고 상·하부시트와 함께 다공성 필름을 재봉하여 고정함으로써 다공성 필름을 코팅하거나 접착하는 과정에서 다공성 필름의 기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투습방수 커버의 투습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상부시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투습방수 커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 흡착시트를 설치하여 악취와 온실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폭이 좁은 투습방수 커버를 제조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줄이면서도 다수의 투습방수 커버를 연결하여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시트를 설치하여 다공성 필름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를 설치하여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3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4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5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대면적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6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를 이용하여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3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4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5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투습방수 커버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대면적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6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를 이용하여 바이오드라잉 장치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10)(이하 '투습방수 커버'라 한다)는, 크게 다공성 필름(11)과,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시트(12)와,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시트(13)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필름(11)은 투습방수 필름으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합성수지 필름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시트(12)는 직물로서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통과한다. 그리고 하부시트(13)는 직물과 부직포의 복합포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자유롭게 통과하지만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시트(13)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16)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17)의 복합포로서 니들 펀칭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시트(16)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다공성 필름(11)을 접착시킨다. 도면에서는 제1 하부시트(16)의 상면에 점(도트) 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하였으나 다공성 필름(11)과 하부시트(13)를 평평하고 균일하게 접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태는 어떠한 것으로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12)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하부시트(13)와 접합된 다공성 필름(11)을 다시 접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시트(12)와 다공성 필름(11) 사이에는 접착제가 전면적으로 도포되거나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름(11), 상부시트(12) 및 하부시트(13)로 구성된 투습방수 커버(10)는 그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고정한다. 참조번호 18은 제봉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재봉선(18)을 이용하여 다공성 필름(11)과 상부시트(12) 및 하부시트(13)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의 테두리에는 별도의 보강띠(21)를 두고 재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띠(21)를 두르고 재봉선(18)을 형성함으로써 다공성 필름(11)이 인장력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필름(11)은 PE, PP, P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필름의 내부에 수많은 기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공(h)은 0.1~10㎛ 이하로 형성되어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투습방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투습방수성"은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지만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이러한 투습방수성은 수증기의 크기와 물방울의 크기(예를 들어, 물방울의 직경은 1mm이상이고 수증기의 직경은 0.0004㎛ 이하)가 크게 다른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필름(11)은 0.1~100㎛의 기공(h)이 형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다공성 필름(11)은 두께 0.01~0.1mm의 얇은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투습도는 향상되는 반면에 생산단가는 떨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1,300~2,000g/㎡/일 이상의 투습도가 요구된다. 즉, 폐기물 더미의 온도를 50℃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송풍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하루에 1평방미터당 1,200~2,000g의 수분이 증발할 수 있는 정도의 투습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투습도를 만족하고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다공성 필름(11)의 두께가 0.01~0.1mm 이하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물는 위사와 위사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여 진 천으로서, PE, PP, 나일론, 면 등으로 이루어진다. 직물는 강한 인장력을 갖기 때문에 투습방수 커버(10)를 폐기물 더미에 덮거나 벗기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다공성 필름(11)이 변형되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즉, 직물는 다공성 필름(11)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부직포는 섬유를 짜지 않고 평행하게 놓거나 일정한 방향 없이 배열하여 접착제로 붙여 만든 천으로서, 일정한 쿠션이 있기 때문에 다공성 필름(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표면이 거친 직포에 의해서 다공성 필름(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PP나 PET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온 및 단열기능이 있어 폐기물 더미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습방수 커버(10)는 크게 다공성 필름(11)과,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상부시트(14)와 제2 상부시트(15), 그리고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하부시트(16)와 제2 하부시트(17)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필름(11)은 투습방수 필름으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합성수지 필름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시트(14)는 부직포로서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통과하고, 상기 제2 상부시트(15)는 직물로서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하부시트(16)는 부직포로서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통과하고, 상기 제2 하부시트(17)는 직물로서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통과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상부시트(14)와 제1 하부시트(16)는 부직포로서 다공성 필름(11)을 보호하는 역할과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14)와 제1 하부시트(15)는 외력에 의해서 또는 직포와의 마찰에 의해서 다공성 필름(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아래에서 올라오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시트(14)와 제2 상부시트(15) 그리고 상기 제1 하부시트(16)와 제2 하부시트(17)는 부직포와 직포 또는 직물이 일체로 결합된 복합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필름(11), 제1, 2 상부시트(14)(15) 그리고 제1, 2 하부시트(16)(17)로 구성된 투습방수 커버(10)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재봉선(18)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필름(11)과 제1 상부시트(14) 그리고 상기 다공성 필름(11)와 제1 하부시트(16)의 사이가 실질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 필름(11)과 제1 상부시트(14) 및 제1 하부시트(16) 사이에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도포하면, 다공성 필름(11)의 기공이 막혀서 투습도가 크게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도포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용이 증가하고 생산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는, 원단 상에 다공성 필름을 접착하거나 코팅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고가의 생산시설이 갖춰져야 했지만 재봉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초기 투자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의 제 4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다공성 필름(11)과,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상부시트(14)와 제2 상부시트(15), 그리고 상기 다공성 필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하부시트(16)와 제2 하부시트(17)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 상부시트(15)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상부시트(14)의 상면과 제2 상부시트(15)의 하면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22)가 대응되게 설치된다. 벨크로 테이프는 통상의 벨트로 테이프를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상부시트(15)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제2 상부시트(15)만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투습방수 커버(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즉, 제2 상부시트(15)는 직물로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것으로 다공성 필름(11)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제2 상부시트(15)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지면 다공성 필름(11)이 손상되어 투습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상부시트(15)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지기 전에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줌으로써 다공성 필름(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투습방수 커버(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악취나 온실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시트(2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흡착시트(20)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 물질을 포함하거나 흡착물질로 이루어진 시트 또는 패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시트(2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시트(14)와 제2 상부시트(15)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 상부시트(15)의 상면에 설치하여 교체가 쉽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흡착시트(20)에도 벨크로 테이프(22)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의 제 7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지퍼(25)가 설치된다. 상기 지퍼(25)는 통상의 지퍼로서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10)을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다수 개의 투습방수 커버(10)를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만들 수 있다.
즉,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다수 개의 투습방수 커버(10)를 지퍼(25)를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10)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1~3m폭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투습방수 커버(10)를 3~6개 폭 방향으로 연결하면, 폭이 3~18m인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폭이 좁은 다수 개의 투습방수 커버(10)를 연결하여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비투자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m의 폭을 갖는 투습방수 커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3~6m의 폭의 다공성 필름과 직포 및 부직포를 생산하는 시설이 요구되어 초기에 많은 설비투자비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1~2m폭의 투습방수 커버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로서 3~15m의 폭을 갖는 투습방수 커버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특히, 폐기물 더미의 폭이 10~20m로 매우 넓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대면적의 투습방수 커버도 제조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퍼(25)를 덮을 수 있도록 방수 테이프(26)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 테이프(26)는 보강띠(21) 및 지퍼(25)와 함께 재봉하여 상기 지퍼(25)를 통해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의 제 8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방수 커버(10)는 다공성 필름(11)의 상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14)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상부시트(14)의 상부에 직포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15)를 설치한다. 그리고 다공성 필름(11)의 하부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16)를 설치하고, 상기 제1 하부시트(16)의 하부에는 직포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17)를 설치한다. 직포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15)와 제2 하부시트(17)는 다공성 필름(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14)와 제1 하부시트(16)는 다공성 필름(11)을 보호하고 열의 방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시트(15)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다공성 필름(11)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시트(15)의 상부에는 제3 상부시트(15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부시트(15a)는 검은색 또는 녹색 등의 컬러 부직포로 이루어져 햇빛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를 이용한 커버형 바이오드라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선별과정을 거쳐 선별된 도시혼합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한 후 일정한 크기의 폐기물 더미(5)로 쌓고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로 덮어서 호기성 미생물이 도시혼합폐기물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도시혼합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투습방수 커버(10)는 폐기물 더미(5)에서 발생하는 열은 보호하고, 수분을 방출시키며, 외부로부터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폐기물 더미(5)의 아래에 파렛트(31)를 설치하여 폐기물 더미(5)의 하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더미(5) 내부로 공기가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폐기물 더미(5)의 상부에도 파렛트(31)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폐기물 더미(5)와 투습방수 커버(1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하여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드라잉 장치(1)는, 공기를 강제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관과 송풍기를 설치하는 대신에 폐기물 더미의 하부와 상면에 파렛트(31)를 설치하여 공기의 자연 확산을 이용함으로써 설비비와 운영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어,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를 이용한 커버형 바이오드라잉 장치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우선, 도시되지 않은 기계적 예비 선별과정에서 도시폐기물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도시폐기물을 파쇄 및 혼합하여 유기성 폐기물이 포함된 도시혼합폐기물을 만든다.
이어, 미리 지정된 처리장에 다수개의 파렛트(pallet)(31)를 평평하게 설치한다(도 13 참조). 파렛트(31)는 지게차 따위로 물건을 실어 나를 때 물건을 안정적으로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물로 통상 얇은 나무판을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것이므로 공기의 흐름이 자유로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파렛트(31)는 사용한 후 폐기처분되는 것으로 이를 활용하면 경제적으로 매우 유익하다.
그리고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넓게 깔린 파렛트(31) 위에 도시혼합폐기물을 일정한 높이와 폭으로 쌓아서 폐기물 더미(5)를 만든다. 이때, 폐기물 더미(5)의 폭은 3~15m로 하고 높이는 3~4m로 한다. 즉, 종래에는 1~3m의 폭으로 폐기물 더미를 쌓아서 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은 폭을 넓게 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 더미(50)의 상면에 다수 개의 파렛트(31)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파렛트(31)는 폐기물 더미(5)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투습방수 커버(10)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공기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 더미(50)의 상부에 상기 파렛트(31)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간격부재(33)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부재(33)는 다수 개의 구체(33a)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체(33a)는 끈으로 연결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간격부재(33)는 투습방수 커버(10)를 덮거나 분리할 때, 상기 파렛트(31)와 투습방수 커버(10)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 투습방수 커버(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간격부재(33)는 파렛트(31)와 투습방수 커버(10)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라면 구체 외에 다른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렛트(31)와 간격부재(33)가 설치된 폐기물 더미(5) 위에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를 덮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커버(10)는 폐기물 더미(5)의 폭 방향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의 상면에 흡착시트(2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더미(5)는 폭이 10~20m정도로 넓기 때문에 투습방수 커버(10)를 폐기물 더미(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폭이 1~3m인 투습방수 커버(10)를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한 후,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10)를 지퍼(25)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10)는 폐기물 더미(5) 위에 설치하기 전에 연결하거나 폐기물 더미(5) 위에 설치한 후에 연결할 수 있다. 끝으로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끈(27)을 바닥에 고정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폐기물 더미(5) 위에 투습방수 커버(10)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드라잉 장치(1)는, 기계적 선별과정을 거쳐 선별된 도시혼합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한 후 일정한 크기의 폐기물 더미(5)로 쌓고 그 위에 투습방수 커버(10)로 덮는다.
그러면 상기 폐기물 더미(5)의 하단에 설치된 파렛트(31)를 통하여 폐기물 더미(5) 내로 공기가 공급되게 되고 폐기물 더미(5)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하는 열은 폐기물 더미(5)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은 투습방수 커버(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도시혼합폐기물이 건조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투습방수 커버(10)에 포함된 다공성 필름(11)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폐기물 더미(5)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투습방수 커버(10)에 포함된 부직포가 폐기물 더미(5)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폐기물 더미(5)의 하단 및 상단에 통기가 가능한 파렛트(31)를 설치하여 자연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강제 송풍을 생략하거나 송풍량을 줄여서 운영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더미(5)의 폭을 10~20m정도로 매우 넓게 설치함으로써 많을 양을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바이오드라잉 장치 5: 폐기물 더미
10: 투습방수 커버 11: 다공성 필름
12: 상부시트 13: 하부시트
14: 제1 상부시트 15: 제2 상부시트
16: 제1 상부시트 17: 제2 하부시트
18: 재봉선 19: 접착제
20: 흡착시트 21: 보강띠
22: 벨크로 테이프 25: 지퍼
26: 방수 테이프 27: 고정끈
31: 파렛트 33: 간격부재
10: 투습방수 커버 11: 다공성 필름
12: 상부시트 13: 하부시트
14: 제1 상부시트 15: 제2 상부시트
16: 제1 상부시트 17: 제2 하부시트
18: 재봉선 19: 접착제
20: 흡착시트 21: 보강띠
22: 벨크로 테이프 25: 지퍼
26: 방수 테이프 27: 고정끈
31: 파렛트 33: 간격부재
Claims (18)
- 폐기물 더미를 덮어서 바이오드라잉을 하기 위한 투습방수 커버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가장자리는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부시트의 상면이나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는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더 설치되며;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삭제
- 삭제
- 폐기물 더미를 덮어서 바이오드라잉을 하기 위한 투습방수 커버로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상부시트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제1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부시트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제1 상부시트 및 제1 및 제2 하부시트는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제2 상부시트는 상기 제1 상부시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의 상면과 하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시트의 상면에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퍼의 상부에는 빗물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테이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기계적 선별과정을 거쳐 선별된 도시혼합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한 후 일정한 크기의 폐기물 더미로 쌓고 그 위에 투습방수 커버로 덮어서 유기물의 분해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바이오드라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커버는,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성 필름과, 상기 다공성 필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시트와, 상기 다공성 필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더미의 하부에는, 파렛트를 평평하게 설치하여 자연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폐기물 더미의 상면에도 파렛트를 설치하여 상기 폐기물 더미와 투습방수 커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투습방수 커버를 상기 폐기물 더미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하되, 상기 투습방수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퍼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투습방수 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광폭의 투습방수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상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상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2 상부시트는 상기 제1 상부시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1 상부시트와 제2 상부시트 사이에는 흡착제가 포함된 흡착시트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하부시트와, 직물로 이루어진 제2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복합포로서, 상기 제1 하부시트와 제2 하부시트를 니들 펀칭하여 결합한 것이고,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 필름과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폐기물 더미의 상부에는, 상기 투습방수 커버가 상기 파렛트가 마찰을 일으켜 상기 투습방수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파렛트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간격부재가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3783A KR101660594B1 (ko) | 2014-11-21 | 2014-11-21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PCT/KR2015/012445 WO2016080775A1 (ko) | 2014-11-21 | 2015-11-19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3783A KR101660594B1 (ko) | 2014-11-21 | 2014-11-21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1198A KR20160061198A (ko) | 2016-05-31 |
KR101660594B1 true KR101660594B1 (ko) | 2016-09-27 |
Family
ID=5601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3783A KR101660594B1 (ko) | 2014-11-21 | 2014-11-21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0594B1 (ko) |
WO (1) | WO20160807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0700B (zh) * | 2016-05-27 | 2018-08-28 | 中国农业大学 | 生活垃圾的生物干化方法 |
IL305797A (en) * | 2021-03-10 | 2023-11-01 | Change Water Labs Inc | Special layers and devices for passive drying, dehumidification, water separation, water evaporation and water and/or waste treat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0688A (ja) * | 2000-10-12 | 2002-07-16 | Transhield Inc | 強化織物を有する収縮性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642289B2 (ja) * | 2001-08-29 | 2011-03-02 |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 家畜排泄物の乾燥・発酵用被覆材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2289B2 (ja) * | 1988-08-31 | 1994-06-01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両面演奏光ディスクプレーヤ |
US6037281A (en) * | 1996-12-27 | 2000-03-1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Cloth-like, liquid-impervious, breathable composite barrier fabric |
KR20000008803A (ko) | 1998-07-16 | 2000-02-15 | 윤신웅 | 시계의 자명장치 |
KR20020039907A (ko) * | 2000-11-22 | 2002-05-30 | 구자홍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필터설치구조 |
JP2005126135A (ja) * | 2003-10-24 | 2005-05-19 | Shunji Oyama | 運搬物保護荷崩れ防止防水シートカバー装置 |
KR20060006140A (ko) * | 2004-07-15 | 2006-01-19 | 이영근 | 군용의 야전텐트용 천막 |
KR20110123593A (ko) | 2010-05-07 | 2011-1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호열성 복합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폐페인트 슬러지의 바이오-드라잉 방법 |
KR20120140440A (ko) | 2011-06-21 | 2012-12-31 | 김병주 |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
-
2014
- 2014-11-21 KR KR1020140163783A patent/KR1016605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11-19 WO PCT/KR2015/012445 patent/WO201608077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0688A (ja) * | 2000-10-12 | 2002-07-16 | Transhield Inc | 強化織物を有する収縮性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642289B2 (ja) * | 2001-08-29 | 2011-03-02 |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 家畜排泄物の乾燥・発酵用被覆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1198A (ko) | 2016-05-31 |
WO2016080775A1 (ko) | 201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303299C (zh) | 覆盖装置 | |
US8865453B2 (en) | Landfill biofilt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removal of gas-phase pollutants and contaminants | |
US7812210B2 (en) | Refuse treatment plant | |
CN105884432A (zh) | 一种自除臭堆肥化处理系统 | |
KR101660594B1 (ko) |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 |
US20170297969A1 (en) | Self-deodorizing composting system | |
US11376539B2 (en) | Multilayer film for air purif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EP1216145B2 (en) | Cover for aerobic treatment of biodegradable matter | |
US6855253B2 (en) | Anaerobic digester | |
US20070029246A1 (en) | Adsorbent carbon, water quality purifier, water quality purifying bag, water quality purifying substrate and method of removing oil film | |
CN109020659A (zh) | 一种具有生物除臭功能的垃圾堆肥系统 | |
KR20080013589A (ko) | 지표면에서 표면 발산되는 메탄가스를 줄이는 방법 및 이를위한 바이오 매트와 메탄가스 저감시스템 | |
Barati et al. | Different waste management method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 |
Soccol et al. | Biofiltration: an emerging technology | |
AU2009202247A1 (en) | Compost cover | |
FI124171B (en) | Biofilter | |
Ergas et al. | Biofiltr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 |
KR101880351B1 (ko) | 오염가스 제거용 생물복합섬유 | |
KR200408350Y1 (ko) | 폐 비닐을 이용한 합성수지 판재 | |
CN1323829C (zh) | 包括腐蚀抑制剂的防护罩系统 | |
JPH05123659A (ja) | 廃棄物処理方法及びガス抜き遮水シート | |
JP2004091301A (ja) | 堆肥製造装置 | |
CN201239579Y (zh) | 一种除尘及二恶英分解一体化过滤材料 | |
US10960443B2 (en) | Method and plant for waste disposal | |
DE10059031C2 (de) | Rottemiete mit Adsorptionsmittelbah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