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440A -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 Google Patents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440A
KR20120140440A KR1020110060178A KR20110060178A KR20120140440A KR 20120140440 A KR20120140440 A KR 20120140440A KR 1020110060178 A KR1020110060178 A KR 1020110060178A KR 20110060178 A KR20110060178 A KR 20110060178A KR 20120140440 A KR20120140440 A KR 2012014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isture
fabric
cov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김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주 filed Critical 김병주
Priority to KR102011006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440A/ko
Publication of KR2012014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원단의 발수성(撥水性)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1발수원단;과, 상기 제1발수원단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주변이 습(濕)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乾燥)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과, 상기 습식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원단의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2발수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습?방수포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주변이 습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의 상?하부에 발수성을 갖는 발수원단을 적층하여 투습성 및 방수성을 갖는 투습?방수포로 방수커버를 제작함으로,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습 및 방수 기능으로 인해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이며 종래의 방수커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일론 필라멘트 원착사로 직조한 발수원단을 사용함으로, 색이 선명하여 미관상 수려할 뿐만 아니라, 일광견뢰도 역시 우수하여 종래의 방수커버에 비하여 색이 퇴색되는 시간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The cover to have a vapor permeability and waterproof facility}
본 발명은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이 습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의 상?하부에 발수성을 갖는 발수원단을 적층하여 투습성 및 방수성을 갖는 투습?방수포로 방수커버를 제작함으로,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습 및 방수 기능으로 인해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이며 종래의 방수커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용 전차나 장갑차, 발칸포 등의 장치에는 우기 시에 장치가 빗물에 노출되어 장치에 탑재되는 고가의 전자장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치 전체를 덮어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커버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상기 방수커버로 국방규격에 의거하여 종래에는 나일론 원단의 양면에 방화제를 첨가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물이나 공중합물을 도포하여 방수기능이 수행되는 도포원단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에 방수커버로 사용되던 도포원단은 내구성, 내후성, 일광견뢰도, 방수성은 우수하여 방수커버뿐만 아니라 군용품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도포원단은 600 g/㎡ 중량을 가져 군용 전차나 장갑차를 덮기 위해서 약 80㎡의 크기로 제작하면 중량이 대략 48㎏ 정도 되므로, 종래의 도포원단은 중량으로 인해 사용 및 운반이 매우 곤란하여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직조된 원단에 방수액을 통한 방수가공을 수행한 합성범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상기 합성범포는 종래의 도포원단에 대비하여 일광견뢰도는 다소 낮지만, 중량이 300 g/㎡로 유지되어 종래의 도포원단에 대비하여 절반 수준 정도여서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하여 상기 합성범포가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도포원단이나 합성범포로 제작되는 방수커버는 방수성은 우수하나 투습성은 없어 상기 방수커버로 장치를 덮어 놓은 경우에, 낮과 밤의 기온차이나 상기 방수커버의 안쪽과 바깥쪽의 온도차이로 인해 상기 방수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결로현상으로 인해 장치에 탑재되는 전자장비가 물에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도록 0.1 내지 10㎛ 정도의 미세공(微細孔)을 갖는 피막층을 형성시켜 통상 100㎛ 내외의 직경을 가자는 안개비, 3000㎛ 내외의 직경을 갖는 소낙비는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 방수성을 가지며, 0.0004㎛ 내외의 분자직경을 갖는 수증기(기체)는 통과시켜 투습성이 확보되게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방수커버를 사용하면 되지만, 이러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원단은 원체 고가여서 방수커버 용도로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원단은 통상 고가의 스포츠의류 용으로 제작되어 매우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가지되 통상의 방수커버로 제작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단가를 갖는 원단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변이 습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의 상?하부에 발수성을 갖는 발수원단을 적층하여 투습성 및 방수성을 갖는 투습?방수포로 방수커버를 제작함으로,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습 및 방수 기능으로 인해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이며 종래의 방수커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나일론 필라멘트 원착사로 직조한 발수원단을 사용함으로, 색이 선명하여 미관상 수려할 뿐만 아니라, 일광견뢰도 역시 우수하여 종래의 방수커버에 비하여 색이 퇴색되는 시간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는 원단의 발수성(撥水性)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1발수원단;과, 상기 제1발수원단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주변이 습(濕)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乾燥)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과, 상기 습식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원단의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2발수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습?방수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수원단에 사용되는 원단은 나일론 필라멘트(Nylon Filament) 원착사(原着絲)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식필름은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는 내수도 800 [㎝] 이상, 투습도 7500 [g/㎡?24h] 이상을 충족하는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에 의하면, 주변이 습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의 상?하부에 발수성을 갖는 발수원단을 적층하여 투습성 및 방수성을 갖는 투습?방수포로 방수커버를 제작함으로,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습 및 방수 기능으로 인해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이며 종래의 방수커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일론 필라멘트 원착사로 직조한 발수원단을 사용함으로, 색이 선명하여 미관상 수려할 뿐만 아니라, 일광견뢰도 역시 우수하여 종래의 방수커버에 비하여 색이 퇴색되는 시간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방수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투습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방수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의 투습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제1발수원단(10)과, 습식필름(20)과, 제2발수원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수원단(10)은 발수성(撥水性)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원단이다.
여기서, 발수가공은 원단에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원단의 표면에 발수제를 얇게 도포하여 고착시켜 작업으로 친수성이 강한 실(絲)로 직조한 원단은 발수제의 사용량이 많아 제품의 중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에 사용되는 원단은 친수성이 약한 나일론 필라멘트(Nylon Filament) 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수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원단의 중량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수가공을 거친 원단이 물(2)에 젖지 않는 것은 발수제가 가지고 있는 발수성에 의한 것이며, 발수가공은 방수가공과 달리 실과 실사이의 공간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어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기체는 자유롭게 통과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후설될 상기 습식필름(20)을 이용하여 투습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단을 직조하는 나일론 필라멘트(Nylon Filament) 재질의 실은 극방색이 미리 염색된(염색이 수행된 실을 통상 "원착사(原着絲)"라 칭함) 나일론 필라멘트 원착사를 사용하여 직조함으로, 태양 광에 노출시 색이 퇴색되지 않고 견디는 성질이 우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식필름(20)은 상기 제1발수원단(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주변이 습(濕)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乾燥)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습식필름(20)은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상기 습식필름(20)은 상기 제1발수원단(10)과 후설될 상기 제2발수원단(30) 사이에 위치되어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의 내부가 낮과 밤의 기온차이나 안쪽과 바깥쪽의 온도차이로 인해 습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식필름(20)에서 내부의 습기를 흡수한 후에 외부로 발산 배출하는 투습효과로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의 내부에 습기로 인한 결로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의 방수커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수원단(30)은 상기 습식필름(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원단이다.
여기서, 상기 제2발수원단(30)은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제1발수원단(10)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가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젖지않는 발수성을 가진 상기 발수원단(10,30)으로 인해서 물의 침투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발수원단(10,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습식필름(20)에서 습기를 흡수하고 배출하는 기능으로 인해 투습기능이 수행되므로, 방수 및 투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의 저렴한 단가로 인해서 사용의 범용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군용 전차, 장갑차 등의 장치(1)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국가규격 KSK1452 합성범포 규격 중에서 투습기능을 갖는 원단(4종)의 품질기준인 아래의 [표 1]의 물성 치에 적합하도록 내수도 800 [㎝] 이상, 투습도 7500 [g/㎡?24h] 이상을 충족하는 물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를 아래의 [실시예 1]과 같이 제작하여 방수 및 투습성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에 1]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를 나일론 필라멘트 원착사로 직조한 원단의 표명에 방수제를 얇게 도포하여 제작한 발수원단과, 폴리우레탄 재질의 습식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후에, 박리강도, 내수도, 투습도를 시험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의 시험성적서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상기 [표 1]의 품질규격을 충족할 수 있는 내수도 및 투습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와 종래의 도포원단 및 합성범포의 중량, 일광견뢰도, 투습 및 방수기능, 단가를 대비하여 살펴본 바, 아래의 [표 2]와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표 2]
Figure 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가 종래의 도포원단 및 합성범포에 대비하여 우수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 비해 가격차이가 크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의 단가는 통상 고가의 스포츠 의류에 사용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원단(고어텍스)의 단가(50000 ₩/㎡)에 대비하여 1/4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여 방수 및 투습기능이 수행된다.
먼저,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를 우기 시에 전차나 장갑차 등의 장치(1)가 비에 노출되어 고가의 전자장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치(1)의 상부를 덮는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의 발수원단에 빗물(2)이 닿게 되면, 상기 발수원단(10,30)이 발수성을 가짐으로 인해서 빗물(2)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어 내부에 수용된 장치(1)가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장치(1)를 보호한다.
비가 그친 후, 본 발명의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낮과 밤의 기온차이나 안쪽과 바깥쪽의 온도차이로 인해 내부가 습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필름(20)에서 내부의 습기를 흡수한 후에 외부로 발산 배출하는 투습효과로 내부에 습기로 인한 결로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장치(1)에 탑재되는 고가의 전자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장치 2. 물
10. 제1발수원단 20. 습식필름
30. 제2발수원단
100.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Claims (4)

  1. 장갑차, 전차 등의 주요장비를 덮어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커버에 있어서,
    원단의 발수성(撥水性)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1발수원단(10);
    상기 제1발수원단(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주변이 습(濕)하면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乾燥)하면 흡수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식필름(20); 및
    상기 습식필름(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원단의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발수가공이 수행된 제2발수원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습?방수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원단(10,30)에 사용되는 원단은 나일론 필라멘트(Nylon Filament) 원착사(原着絲)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필름(20)은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100)는 내수도 800 [㎝] 이상, 투습도 7500 [g/㎡?24h] 이상을 충족하는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KR1020110060178A 2011-06-21 2011-06-21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KR20120140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78A KR20120140440A (ko) 2011-06-21 2011-06-21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78A KR20120140440A (ko) 2011-06-21 2011-06-21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40A true KR20120140440A (ko) 2012-12-31

Family

ID=4790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78A KR20120140440A (ko) 2011-06-21 2011-06-21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4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1748A (zh) * 2013-07-12 2013-11-06 太仓市豪阳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水防尘罩
KR20160061198A (ko) 2014-11-21 2016-05-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1748A (zh) * 2013-07-12 2013-11-06 太仓市豪阳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水防尘罩
KR20160061198A (ko) 2014-11-21 2016-05-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혼합폐기물의 효율적 mbt를 위한 바이오드라잉용 투습방수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드라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2515B2 (ja) 撥水性生地及びこれを含む撥水ダウン製品
CN101479331B (zh) 活性颗粒增强的膜及其制造和使用方法
WO2004108410A2 (en) Outdoor fabric
CN102174211B (zh) 凝固法聚氨酯微多孔防水透湿薄膜及其制备方法
JP6262660B2 (ja) 透湿性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9657B1 (ko) 방염성, 발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차양막 및 천막지와 그의 제조방법
CN104762818A (zh) 一种单面涂层阻燃透湿防雨布及其制备工艺
KR20120140440A (ko)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갖는 커버
US7820561B2 (en) Coated, water-vapor-pervious and fungus-resistant wovens, process of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3358625A (zh) 防水布料
CN105109136A (zh) 一种具有防蚊防虫功能的帐篷布料
JP2005219355A (ja) 透湿防水保温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073859A1 (en) Outdoor Cover Product with Stretch Properties
KR102298944B1 (ko) 방수 직물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CN103850073B (zh) 一种兼具防淋雨渗漏和防兜水渗漏性能的蓬盖织物及其制造方法
CN104757708A (zh) 一种多用途防水防风服装
US11512476B2 (en) Shielding device for shading and rain protection purposes
KR101421660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포함된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된 수지층과 다공성 수지층으로 양면 코팅된 아웃도어용 원단 및 그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
US9924831B2 (en) Stretchable grill cover
US9783979B2 (en) Weather protection device
KR20140045490A (ko) 나노 산화아연이 포함된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된 수지층과 다공성 수지층으로 양면 코팅된 아웃도어용 원단 및 그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
CN104589750A (zh) 一种高强涂层牛津布
CN109720045A (zh) 一种防水透气复合面料
KR101131946B1 (ko) 투습방수용 코팅물, 코팅방법 및 투습방수 직물
JP2008144310A (ja) 透湿防水性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6

Effective date: 201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