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419B1 -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419B1
KR101660419B1 KR1020150047172A KR20150047172A KR101660419B1 KR 101660419 B1 KR101660419 B1 KR 101660419B1 KR 1020150047172 A KR1020150047172 A KR 1020150047172A KR 20150047172 A KR20150047172 A KR 20150047172A KR 101660419 B1 KR101660419 B1 KR 10166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flow path
brak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김기남
황성운
Original Assignee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 B61H11/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of hydrostatic, hydrodynamic, or aerodynam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기된 제어유로; 상기 제어유로의 오일 압력을 충기하며, 출력 압력을 유지해주는 비례감압밸브; 상기 비례감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제어밸브; 보안제동시의 압력을 설정하는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제어밸브; 및 비상·상용 또는 보안제동을 선택하는 모드셀렉트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동 방법을 제어하게 된다.

Description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Electro hydraulic power unit of hydraulic brake system}
본 발명은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 및 경량 전철에 적용되는 유압 제동 시스템의 제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해주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 경량 전철 등과 같은 철도차량은 여러 개의 객차를 서로 연결하여 많은 수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도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유압 제동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철도 차량용 유압 제동 시스템은 선택된 안전수준, 철도 차량의 제동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제어기, 에너지 소산장비를 포함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유압 제동 시스템에는 물리적으로 철도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장치는 차륜에 설치된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와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가 포함된 제동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장치는 유압에 의해 구동하며, 유압은 전기 유압 동력 장치(Electro Hydraulic Power Unit, EHPU)에 의해 공급된다.
즉, 유압 제동 시스템은 전기 유압 동력 장치(Electro Hydraulic Power Unit, EHPU)에 의해 제어되며, 전기 유압 동력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용 유압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및 기능을 제어하고 유압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주게 된다.
또한, 철도 차량은 주행 상황, 정차 등에 따라 다양한 제동 방법이 적용되며, 이와 같은 제동 방법은 전기 유압 동력 장치가 제어한다.
이러한 철도 차량의 제동방법은 상용 제동, 비상 제동, 보안 제동, 주차 제동 및 마찰 제동으로 구분된다.
상용 제동(service brake)은 열차속도를 통제하기 위해 열차운전자 또는 자동 운전장비 두 개중 한 개의 통제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동이며, 최대 상용 제동(full service brake)은 상용제동의 최대사용수준이다.
비상 제동(emergency brake)은 철도직원과 이용자, 승객의 안전을 최대로 하는 주된 목적을 제공하는 제동으로 정의된 속도-거리관계 이내에서 열차를 정지시키게 된다.
보안 제동(security(또는 sasfety) brake)은 상용과 비상제동보다 시스템무결성의 더 높은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된 제동(제동작용을 보다 보장하기 위해)으로 제동성능은 비상 또는 상용제동에 의해 달성된 것보다 낮은 정도이다.
주차 제동(parking brake)은 규정된 경사에서 규정된 하중의 열차를 영구적으로 정지시 킬 수 있는 제동이다.
마찰 제동(friction brake)은 차륜답면 또는 브레이크 드럼에 제동블록(또는 슈)의 작용에 의한 방법 또는 디스크에 브레이크패드에 의한 방법으로 달성되는 제동이다.
차륜활주보호(WSP ; Wheel slide protection)는 차륜/선로 점착조건에서 제동이 작용하는 동안, 제동성능을 최적화하고, 차륜손상보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동 방법의 제어가 용이한 개선된 형태의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9811호(2014.01.23. 특허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 제어를 통해 제어 압력을 형성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측의 압력을 피드백 받아 제동 압력을 제어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유압 동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제동 및 비상제동 기능이 문제가 있을 경우 보안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회로가 병렬로 구성된 유압 제동 시스템용 유압 동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유압 동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기된 제어유로; 상기 제어유로의 오일 압력을 충기하며, 출력 압력을 유지해주는 비례감압밸브; 상기 비례감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제어밸브; 보안제동시의 압력을 설정하는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제어밸브; 및 비상·상용 또는 보안제동을 선택하는 모드셀렉트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에는 오일을 배유하는 메뉴얼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에는 체크밸브와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에는 최대압력설정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와 제어유로에는 테스트 피팅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와 제어유로에는 압력송신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로에는 설정 압력 이상임을 판단하는 압력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유압 동력 장치는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중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 제동은, 상기 펌프가 구동하여 오일을 메인유로를 통해 어큐뮬레이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 제동시에 오일 압력은 메인 유로에 설치된 압력송신기가 모니터링하며, 최대압력설정밸브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상용 제동은, 상기 모드셀렉트밸브는 제1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제2제어밸브를 폐쇄하여 메인유로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어유로를 통해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상용 제동시의 제어유로에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은 비례감압밸브에 의해 제어하며, 제어유로의 오일 압력은 제어유로의 압력송신기가 모니터링하며, 상기 압력스위치는 압력 과부하 감지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제동은, 상기 모드셀렉트밸브는 제1제어밸브를 폐쇄하고 제2제어밸브를 개방하여 메인유로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2제어밸브,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 및 모드셀렉트밸브를 통해 제어유로의 액츄츄에이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는 제어유로의 공급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 완해는, 제1,2제어밸브는 폐쇄되고 비례감압밸브는 탱크 측 유로를 개방하여 액츄에이터로 공급된 오일을 탱크로 배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륜활주보호는, 비례감압밸브는 탱크 측 유로를 개방하여 제어유로를 통해 액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오일 중 일부를 탱크로 배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에 따르면,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동 방법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용제동 및 비상제동 기능이 문제가 있을 경우 안전을 위한 보안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회로가 병렬로 구성된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 체크밸브, 압력송신기, 압력스위치 등과 같은 보호 장치(Safety device)가 적용되어 있어 유압에너지 동력원인 모터, 펌프 고장 및 필터 막힘, 배관 누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압력 저하, 과대 출력, DC Motor 과부하등)들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초기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비상·상용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보안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제동 완해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차륜활주보호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초기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비상·상용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보안 제동을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제동 완해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의 차륜활주보호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U)는, 매니폴드 블록(B) 및 오일이 저장되는 탱크(T)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매니폴드 블록(B)은 내부에 배관의 역할을 담당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는 제어를 위한 접속구(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 블록(B)의 상부는 덮개(2)에 의해 마감된다.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 블록(B)에는 전기 유압 동력 장치(U)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유압 동력 장치(U)는, 탱크(T)의 오일을 어큐뮬레이터(M)로 전달하는 메인유로(100)와, 상기 메인유로(100)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200)와, 상기 메인유로(100)에서 분기되며 탱크(T)의 오일을 액츄에이터(C)로 전달하는 제어유로(300)와, 상기 제어유로(300)의 오일 압력을 충기(charge)하며, 출력 압력을 유지해주는 비례감압밸브(400)와, 상기 비례감압밸브(400)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제어밸브(500)와, 보안제동시의 압력을 설정하는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600)와,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600)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제어밸브(700) 및 비상·상용 또는 보안제동을 선택하도록 제1,2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셀렉트밸브(800)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20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기계에너지를 유압에너지로 변환하여 오일을 유로상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비례감압밸브(400)는 Proportional reducing valve로서 제어유로(300) 측의 유압 에너지를 충기(Charge) 및 출력 측의 압력을 유지해주게 된다. 제어유로(300)의 오일을 배유하는 동작도 담당한다.
상기 제1제어밸브(500)는 2/2 way solenoid valve로 구성된다.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600)는 Pressure limiting valve로서 보안제동의 최대 압력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제2제어밸브(700)는 2/2 way solenoid valve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셀렉트밸브(800)는 비상/상용 또는 보안 제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제1,2제어밸브(500,7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100)에는 메뉴얼밸브(1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로(100)의 오일을 수동 조작으로 배유(dump)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유로(100)에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30)와 오일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유압기기를 보호하는 필터(120)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유로(100)에는 바이패스 유로(141)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141)에는 바이패스 밸브(140)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120)와 체크밸브(130)의 불량, 막힘 및 고장 등으로 메인유로(100)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밸브(140)가 개방되어 오일을 탱크(T)로 배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100)에는 최대압력설정밸브(150)가 더 구비되어 메인유로(100)의 최대 압력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유로(100)와 제어유로(300)에는 압력송신기(160,310)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메인유로(100)와 제어유로(300)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그 정보를 제1,2제어밸브(500,700)를 포함하는 전술한 밸브들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30), 체크밸브(120) 등을 통해 어큐뮬레이터(M)로 오일이 공급되어야 하나, 필터(130) 또는 체크밸브(120)의 불량으로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최대압력설정밸브(150)는 메인유로(100)가 시스템 설정압력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메인유로(100)의 압력송신기(160)가 장시간 입력값을 감지하지 않으면 바이패스 밸브(140)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오일을 자동으로 배유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 밸브(140)는 일정압력 이상의 부하가 걸릴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오일을 탱크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압력송신기(160)와 연계하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유로(100)와 제어유로(300)에는 테스트 피팅(101,301)이 각각 구비되어 메인유로(100)와 제어유로(300)의 압력 점검 및 플러싱 작업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로(300)에는 설정 압력 이상임을 판단하는 압력스위치(320)가 더 구비되어 제어유로(300)에 공급되는 오일이 설정 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감지하여 시스템을 보호하게 된다. 즉, 압력스위치(320)의 접점 동작시 장치 보호회로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로(300)에는 오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30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전기 유압 동력 장치(U)는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중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초기 제동은 도 2와 같이 상기 펌프(200)가 구동하여 탱크(T)에 저장된 오일을 메인유로(100)의 체크밸브(130), 필터(12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M)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초기 제동시에 오일 압력은 메인유로(100)에 설치된 압력송신기(160)가 모니터링하며, 최대압력설정밸브(150)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오일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최대압력설정밸브(150)는 개방되어 탱크로 오일을 배유하게 된다.
비상 제동(emergency brake)은 철도직원과 이용자, 승객의 안전을 최대로 하는 주된 목적을 제공하는 제동이며, 상용 제동(service brake)은 열차속도를 통제하기 위해 열차운전자 또는 자동 운전장비 두 개중 한 개의 통제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동이다.
본 발명의 상기 비상·상용 제동은 도 3과 같이 상기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오일은 메인유로(100)를 통해 어큘뮬레이터(M)로 공급되며, 상기 모드셀렉트밸브(800)는 제1제어밸브(500)를 개방하고 제2제어밸브(700)를 폐쇄하여 메인유로(100)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어유로(300)를 통해 액추에이터(C)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상용 제동시의 제어유로(300)에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은 비례감압밸브(400)에 의해 제어하며, 제어유로(300)의 오일 압력은 제어유로(300)의 압력송신기(310)가 모니터링하며, 상기 압력스위치(320)는 압력 과부하 감지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안 제동(sasfety brake)은 상용과 비상제동보다 시스템무결성의 더 높은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된(제동작용을 보다 보장하기 위해) 제동이며, 제동성능은 비상 또는 상용제동에서 달성된 것보다 낮은 정도이다.
본 발명의 보안 제동은 도 4와 같이, 상기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오일은 메인유로(100)를 통해 어큘뮬레이터(M)로 공급되며, 상기 모드셀렉트밸브(800)는 제1제어밸브(500)를 폐쇄하고 제2제어밸브(700)를 개방하여 메인유로(100)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2제어밸브(700),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600) 및 모드셀렉트밸브(800)를 통해 제어유로(300)의 액츄츄에이터(C)로 공급된다.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600)는 제어유로(300)의 공급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어유로(300)의 오일 압력은 제어유로(300)의 압력송신기(310)가 모니터링하며, 상기 압력스위치(320)는 압력 과부하 감지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동 완해는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중에도 5와 같이 제1,2제어밸브(500,700)는 폐쇄하고 비례감압밸브(400)는 탱크(T) 측 유로를 개방하여 액츄에이터(C)로 공급된 오일을 탱크(T)로 배유하게 된다.
차륜활주보호(WSP ; Wheel slide protection)는 차륜/선로 점착조건에서 제동이 작용하는 동안, 제동성능을 최적화하고, 차륜손상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륜활주보호는 도 6과 같이 비례감압밸브(400)는 탱크(T) 측 유로를 개방하여 제어유로(300)를 통해 액츄에이터(C)로 공급되는 오일 중 일부를 탱크로 배유하도록 오일의 유량을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동 방법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용제동 및 비상제동 기능이 문제가 있을 경우 안전을 위한 보안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회로가 병렬로 구성된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140), 체크밸브(130), 압력송신기(160,310), 압력스위치(320), 최대압력설정밸브(150) 등과 같은 보호 장치(Safety device)가 적용되어 있어 유압에너지 동력원인 모터, 펌프 고장 및 필터 막힘, 배관 누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압력 저하, 과대 출력, DC Motor 과부하등)들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U -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00 - 메인유로
200 - 펌프 300 - 제어유로

Claims (17)

  1.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기된 제어유로;
    상기 제어유로의 오일 압력을 충기하며, 출력 압력을 유지해주는 비례감압밸브;
    상기 비례감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제어밸브;
    보안제동시의 압력을 설정하는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에 오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제어밸브;
    비상·상용 또는 보안제동을 선택하는 모드셀렉트밸브; 및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최대압력설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에는 오일을 배유하는 메뉴얼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에는 체크밸브와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와 제어유로에는 테스트 피팅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와 제어유로에는 압력송신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압 동력 장치는 초기 제동, 비상·상용 제동, 보안 제동, 차륜활주보호, 제동 완해 중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제동은,
    상기 펌프가 구동하여 오일을 메인유로를 통해 어큐뮬레이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제동시에 오일 압력은 메인 유로에 설치된 압력송신기가 모니터링하며, 최대압력설정밸브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용 제동은,
    상기 모드셀렉트밸브는 제1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제2제어밸브를 폐쇄하여 메인유로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어유로를 통해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용 제동시의 제어유로에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은 비례감압밸브에 의해 제어하며,
    제어유로의 오일 압력은 제어유로의 압력송신기가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어유로에 설정 압력 이상임을 판단하도록 구비된 압력스위치는 압력 과부하 감지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제동은,
    상기 모드셀렉트밸브는 제1제어밸브를 폐쇄하고 제2제어밸브를 개방하여 메인유로의 오일은 분기되어 제2제어밸브,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 및 모드셀렉트밸브를 통해 제어유로의 액츄츄에이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제동압력설정밸브는 제어유로의 공급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완해는,
    제1,2제어밸브는 폐쇄되고 비례감압밸브는 탱크 측 유로를 개방하여 액츄에이터로 공급된 오일을 탱크로 배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활주보호는,
    비례감압밸브는 탱크 측 유로를 개방하여 제어유로를 통해 액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오일 중 일부를 탱크로 배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KR1020150047172A 2015-04-03 2015-04-03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KR10166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2A KR101660419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2A KR101660419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419B1 true KR101660419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72A KR101660419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3419A (zh) * 2018-09-25 2018-12-07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刹车系统
CN111016864A (zh) * 2019-12-31 2020-04-17 中铁磁浮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悬挂式轨道车辆的液压制动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406A (ja) * 1992-07-29 1994-02-25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986400A (ja) * 1995-09-21 1997-03-31 Nabco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0261336Y1 (ko) * 2001-09-26 2002-01-24 금천씨스템 주식회사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KR20110011532U (ko) * 2010-06-08 2011-12-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KR20140009811A (ko) 2012-07-13 2014-01-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철도차량의 정차 제동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406A (ja) * 1992-07-29 1994-02-25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986400A (ja) * 1995-09-21 1997-03-31 Nabco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0261336Y1 (ko) * 2001-09-26 2002-01-24 금천씨스템 주식회사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KR20110011532U (ko) * 2010-06-08 2011-12-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KR20140009811A (ko) 2012-07-13 2014-01-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철도차량의 정차 제동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3419A (zh) * 2018-09-25 2018-12-07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刹车系统
CN108953419B (zh) * 2018-09-25 2023-12-01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刹车系统
CN111016864A (zh) * 2019-12-31 2020-04-17 中铁磁浮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悬挂式轨道车辆的液压制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9322C (en) Pneumatic emergency brake assurance module
AU2007243823B2 (en) Pneumatic timer for delaying the application of an emergency braking pressure
EP3328698B1 (en) Electro-pneu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JP2011506162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CN108217376B (zh) 一种比例溢流阀恒减速安全制动冗余液压站及其控制方法
CN106660536B (zh) 车辆的具有集成的紧急气源压力容器的压缩空气装置
KR101660419B1 (ko)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EA028159B1 (ru) Дисков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CN106536395A (zh) 具有可控制动力的液压电梯轿厢制动器单元
AU730164B2 (en) Release assuring arrangement for combined electro-pneumatic/automatic pneumatic brake
KR101584659B1 (ko) 유압 제동 시스템용 전기 유압 동력 장치
WO2018081839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10125068A (ko) 전자 슬립 제어식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
KR20100121393A (ko) 네거티브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장치
RU198428U1 (ru) Блок тормоз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796672B1 (ko) 완해 불량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MX2008011426A (es) Modulo de aseguramiento de frenos de deslizamiento de ruedas.
US6017098A (en) Brake pipe control portion to enhance operation under low main reservoir pressure conditions
KR101479407B1 (ko) 네거티브용 브레이크
CN208278039U (zh) 一种湿式制动系统
US4448458A (en) Shut-off cylinder for a supply accumulator of a hydraulic brake system
ES2960042T3 (es) Sistema de válvula de freno de emergencia para un sistema de freno neumático
JPH082401A (ja) 車両の制動装置
US3232675A (en) Fluid pressure brake apparatus with periodic acknowledgment type safety control
GB2531486A (en) Lifting-device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