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230B1 -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230B1
KR101660230B1 KR1020140178967A KR20140178967A KR101660230B1 KR 101660230 B1 KR101660230 B1 KR 101660230B1 KR 1020140178967 A KR1020140178967 A KR 1020140178967A KR 20140178967 A KR20140178967 A KR 20140178967A KR 101660230 B1 KR101660230 B1 KR 10166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current value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616A (ko
Inventor
조정숙
오석주
Original Assignee
조정숙
오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숙, 오석주 filed Critical 조정숙
Priority to KR102014017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로,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조정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 전원으로 입력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원출력I/F부, 상기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출력 전원 감지부, 상기 전원조정부 및 전원출력I/F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전원 조정부를 리셋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리셋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원조정부는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Solar charger with function compensation for fixation of charging current by light intensity variations of incident solar ligh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휴대형 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기능, MP3 기능, 모바일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스마트 기기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를 통화 목적 이외에 음악감상, 영화감상, 게임, 인터넷 서핑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용 시간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용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전력 설계와 배터리의 용량 증가가 요구고 있으나 상기 저전력 설계와 배터리의 용량 증가는 휴대형 스마트기기의 하드웨어적 특성에 의하여 그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은 상황과, 배터리의 충전이 여의치 않은 환경인 캠핑, 등산, 사이클링 등 야외 활동에서의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시간의 증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에 기기에 있어 보조적인 전원공급 내지 배터리의 충전 수단으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휴대형 태양광 충전기의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태양전지를 통해 발전된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스마트기기의 내장 USB 단자를 통해 스타트 기기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이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휴대형 태양광 충전기의 경우 태양전지판의 특성상 날씨 등의 영향으로 발전되는 태양출력 전원이 일정하지 않은 취약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의 내장 USB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값이 변동된다.
한편, 휴대형 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의 대부분은 내장된 배터리의 효율 유지 및 수명 연장 등을 위하여, 충전 전류량이 일정 크기 이하의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정격 전류값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설정 및 고정하여 이후,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보다 큰 정상 전류값 내지 전류량 예컨대 정격 전류값 내지 전류량으로 충전 전원이 입력되더라도 변경설정 및 고정된 입력 충전 전류값으로만 충전이 진행되도록 충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충전 전류량의 변동이 많은 휴대형 태양광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중, 예를 들어 그림자나 구름으로 초래된 일시적인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하여 발전 전류값 또는 전류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전류값 또는 전류량이 감소하였었지만 현재 발전 전류량이 회복되어 정상 전류값 내지 전류량으로 충전 전류값이 회복되어 충전 전원이 휴대형 단말기에 입력되더라도, 휴대형 단말기에서는 이미 변경설정하여 고정된 충전 전류값 내지 전류량만을 입력허용하므로 충전 효율이 떨어지고 충전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28554호(태양광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따라서, 본 발명은 입사 태양광의 광량 변이에 의하여, 휴대형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류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변동하는 경우에도, 충전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충전시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로,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충전 전류량이 일정 크기 이하의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정격 전류값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설정 및 고정하여 변경설정 및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으로만 충전이 진행되도록 충전을 제어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조정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 전원으로 입력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원출력I/F부, 상기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출력 전원 감지부, 상기 전원조정부 및 전원출력I/F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력 전류값과 사전설정된 전류값에 따라 전원 조정부를 리셋하는 제어부 및 태양전지판에서 발전전력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이상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발전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전류값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을 개시하는 임계 전류값으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인 상기 임계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리셋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원조정부는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인 상기 임계 전류값 이상이 되면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재개하여,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새로운 접속으로 인식하여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조정부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사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이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출력하는 정전압조절부, 상기 태양전지판과 정전압조절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정전압조절부로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ON/OFF스위칭하는 리셋설정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리셋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따라, 리셋설정 부의 ON/OFF스위칭을 제어하는 설정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출력I/F부는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출력I/F부는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각각 상이한 값으로 각각 조절하는 2개 이상의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전원 감지부는 사전 설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값과 출력 전원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전압값에 의하여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출력I/F부를 통하여 사용자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을 ON/OFF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제어방법으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조절단계, 상기 조절된 출력 전원을 감시하여 감지된 출력 전원의 전압값을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연산하는 출력감시/출력전류연산 단계,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미만인 경우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전압조정부 리셋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 이상인 경우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조절된 전원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입력받는 설정 전류값 입력받는 설정 전류값 입력단계(S5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설정된 전류값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을 개시하는 임계 전류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 태양광의 광량 변이에 의하여, 휴대형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류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변동하는 경우 이로 인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고정하는 데 대응하여,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이 사전 설정된 값 미만이 되는 경우 전원조정부의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고 그 값 이상이 되면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의 출력을 재개하여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새로운 접속으로 인식하여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고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전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충전시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조절부의 세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제어과정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 휴대형 단말기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단말기로써,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모바일 프로젝터, 휴대용 스피커, USB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 충전이 필요한 모든 휴대형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응용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태양광 충전기는 각종 전극, 반사방지막, n-타입 불순물로 도프된 n형 실리콘, p-타입 불순물로 도프된 p형 실리콘을 포함하는 다양한 판형 형태로 상용화된 태양전지판이 사용되며, 태양전지판은 광이 입사되면, 정공과 전자가 생성되고, 전자는 n형 실리콘에, 정공은 p형 실리콘에 집중되는 방식으로 전류가 발생하여 전극을 통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을 수행한다. 발전전원은 전압/전류를 조정하는 정류회로 등을 통하여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전류로 조정되어 휴대형 단말기에 입력되며, 전압/전류 조정 기능 이외에도 일반적인 역방향전류 흐름방지 기능, 과방전 방지 기능, 온도 보상 기능을 가지도록 조정회로가 구성되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특징과 연관된 구성과 회로 및 기능을 중심으로만 설명하며, 기타 일반적인 태양광 충전기의 구성과 회로 및 기능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량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조절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는, 태양전지판(10), 전원조정부(20), 전원출력I/F부(30), 출력 전원 감지부(40), 및 제어부(5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20)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리셋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원조정부(20)는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새로운 접속으로 인식하여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태양전지판(10)에서 발전전력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이상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발전표시부(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표시부(60)를 통해 사용자는 발전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태양광 충전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거나 태양전지판(60)의 설치 각도를 발전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태양전지판(10)은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진다.
전원조정부(20)는 태양전지판(10)에서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직류인 발전전원을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하는 전압으로 변경하는 DC/DC 컨버터 회로를 포함하며, DC/DC 컨버터 회로는 펄 스폭 변조 제어(PWM Control) 방식을 사용하여, 입력전력의 순시적인 변동에도 불구하고 변경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조절하는 전압조절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외부 제어신호의 입력 예컨대 High 전압신호 또는 Low 전압신호 입력에 따라, 위 작동을 ON/OFF제어하여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조정부(20)는 구체적으로 태양전지판(10)으로부터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사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이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출력하는 정전압조절부(21), 상기 태양전지판(10)에서 정전압조절부(21)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ON/OFF스위칭하는 리셋설정부(22), 상기 제어부(50)로부터의 리셋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따라, 리셋설정 부(22)의 ON/OFF스위칭을 제어하는 설정제어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리셋설정부(22)는 상기 태양전지판(10)과 정전압조절부(21)의 사이에 설치되어 발전전원을 직접 ON/OFF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단순히 정전압조절부(21)의 작동전원을 ON/OFF스위칭하여 작동 상태/비작동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출력I/F부(30)는 상기 전원조정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 전원으로 입력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하여 각각 상이한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전원 감지부(40)는 상기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전 설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사전 저장된 상기 저항값과 출력 전원 감지부(40)로부터 전송된 전압값에 의하여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50)는 상기 전원조정부(20) 및 전원출력I/F부(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전원 조정부(20)를 리셋하며,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20)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리셋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원조정부(20)는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각종 프로그램 및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구현된다. 각 프로그램 및 설정 값은 변경 및 재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충전 대상이 되는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 사양에 따라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사전설정된 전류값을 설정 및 변경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단자 또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사전 설정되는 전류값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을 개시하는 임계 전류값으로 설정되며, 임계 전류값은 휴대형 기기마다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임계 전류값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 전류값이 일정 크기 이하인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정격 전류값보다 작은 전류값 내지 전류량으로 변경설정 및 고정을 개시하는 전류값으로, 임계 전류값 이하에서 충전허용 전류값이 정격 전류값보다 작은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으로 충전되고 이후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보다 큰 정상 전류량 내지 전류값으로 예컨대 정격 충전 전류값으로 충전 전원이 입력되더라도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 내지 전류량으로만 충전이 진행되도록 충전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임계 전류값과 관련하여 아이폰(iPhone)의 경우 전류값이 200mA 이하인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120, 100, 50 mA 등) 해당 입력전원의 전류값을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으로 확정하며, 개럭시S3(GalaxyS3)의 경우 전류값이 90mA 이하인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60, 50 mA 등) 해당 입력전원의 전류값을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으로 확정하는 것이 시험에 의하여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아이폰(iPhone)의 경우 200mA 의 임계 전류값을 가지므로, 리셋 제어신호 발생의 기준이 되는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200mA 설정하여 충전기를 제어하고, 개럭시S3(GalaxyS3)의 경우 전류값이 90mA 임계 전류값을 가지므로, 리셋 제어신호 발생의 기준이 되는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90mA 설정하여 충전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더 큰 임계값을 가지고 치명적인 휴대형 단말의 임계값 즉, 아이폰(iPhone)의 임계값(200mA)을 사전 설정 전류값으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임계값(90mA)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 즉, 개럭시S3(GalaxyS3)의 충전에도 사용하도록 제작되며, 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임계값(90mA)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에 있어서도 리셋 제어신호 발생의 기준이 되는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자신의 임계값(90mA)보다 큰 전류값(200mA)으로 설정하는 경우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이 고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설정값으로 복수의 휴대형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제작할 경우 사전 설정 전류값은 가장 큰 임계값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의 임계값을 사용하여 하나의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가지는 충전기로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출력I/F부(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을 ON/OFF스위칭하도록 상기 전원출력I/F부(30)를 제어하며, 충전 전원의 전류의 감지는 별도의 감지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상술한 출력 전원 감지부(40)로부터 전송된 전압값에 의하여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여 출력 전원의 전류값을 충전 전원의 전류값으로 의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 전원의 전류값의 변동 즉, 감소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완충여부를 판단하여 완충시 상기 전원출력I/F부(30)에서 충전전원의 공급 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충전 전원의 전류값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과도한 경우 단락 등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원출력I/F부(30)에서 충전전원의 공급 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각 구성은 태양전지모듈과 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분이 도 3 및 도 4와 같이 소자 및 칩셋의 연결구조를 갖는 PC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주요부분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전원조정부(20)를 구성하는 부분은 우측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태양전지판(10)으로부터 발전전원(VIN3)가 입력되며, 발전전원은 전원조정부의 칩셋(U1)으로 입력되는 한편, 제너 다이오드인 D3를 이용하여 5.1V의 전압을 형성하여 제어부의 칩셋(U2)에 작동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조정부의 칩셋(U1)으로 입력되는 발전전원은 전원조정부의 칩셋(U1)과 이에 연결된 저항(R4, R5)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되어 출력된다. 칩셋(U1)은 기본적으로 DC/DC 컨버터 회로를 포함하며, DC/DC 컨버터 회로는 펄 스폭 변조 제어(PWM Control) 방식을 사용하여, 입력전력의 순시적인 변동에도 불구하고 변경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저항(R4, R5)은 출력되는 전압을 최종 조정한다.
칩셋(U1)은 외부 제어신호의 입력 예컨대 High 전압신호 또는 Low 전압신호 입력에 따라, 위 작동을 ON/OFF제어하여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자(EB)가 제어부의 칩셋(U2)의 리셋 제어신호 출력단자(PBO)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전원출력I/F부(30)는 전원출력 인터페이스의 칩셋(J1)과 충전 전류를 조정하는 저항(R5,R6)등 으로 구성되며, 칩셋(J1)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최종 휴대단말기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ON/OFF제어하여 충전을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출력 전원 감지부(40)는 전압조절된 출력전원의 전압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저항(R15)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 양단의 전압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어 사전 저장된 저항(R15)과 저항 양단의 전압에 의하여 출력 전원이 출력 전류값이 산출된다.
제어부(50)를 구성하는 칩셋(U2)의 메모리에는 상기 전원조정부(20) 및 전원출력I/F부(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전원 조정부(20)를 리셋하며,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20)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설정 값 등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출력I/F부(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을 ON/OFF스위칭하도록 상기 전원출력I/F부(30)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상술한 출력 전원 감지부(40)로부터 전송된 전압값에 의하여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여 출력 전원의 전류값을 충전 전원의 전류값으로 의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 전원의 전류값의 변동이 모니터링되어 설정값 이하로 감소하거나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감소율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시 휴대 단말기의 완충여부를 판단하여 완충시 상기 전원출력I/F부(30)에서 충전전원의 공급 OFF하도록 제어하며, 충전 전원의 전류값 또는 증가율이 설정된 전류값 또는 증가율 값보다 큰 경우 단락 등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원출력I/F부(30)에서 충전전원의 공급 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20)의 칩셋(U3)의 단자(EB)로 리셋 제어신호 Low 전압신호 전송하고, Low 전압신호를 수신한 칩셋(U3)는 칩셋의 작동을 리셋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태양전지판(10)에서 발전전력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이상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발전표시부(60)는 조절된 출력전원에 따라 점등하는 LED(D2)형태로 구현되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기의 회로 구성을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만을 살펴 설명하면, 전원조정부의 구현이 도 3의 칩셋(U1)이 사용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스위칭 콘트롤러 기능을 가지는 칩셋(U4)과 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 기능과 전원 관리 기능 내지 전압조절 기능을 가지는 칩셋(U1, U3)로 분리되어 구현된 차이와 전원출력I/F부(30)가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각각 상이한 값으로 각각 조절하는 2개 전류조절회로(31, 32)로 구성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충전 전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의 제어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 충전기의 제어과정을 상술한 사항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태양광 충전기를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USB 단자에 연결하여 충전기의 제어 과정 내지 충전과정이 시작된다(S10), 이어 상술한 발전표시부(60)를 통해 태양전지판(10)에서 발전전력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이상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S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최대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O는다,
이어 전원조정부(20)에 의하여 태양전지판(10)으로부터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조절단계(S30)가 수행되며, 제어부(50)는 상기 조절된 출력 전원을 감시하여 감지된 출력 전원의 전압값을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연산하는 출력감시/출력전류연산 단계(S40)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수행하고,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 미만인 경우 전원조정부(20)를 리셋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전압조정부 리셋단계(S60)를 수행하거나, 상기 연산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 설정된 전류값 이상인 경우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조절된 전원출력 단계(S70)를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류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변동하는 경우 이로 인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고정하는 데 대응하여,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이 사전 설정된 값 미만이 되는 경우 전원조정부의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고 그 값 이상이 되면 출력 전원 내지 충전 전원의 출력을 재개하여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새로운 접속으로 인식하여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고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설정된 전류값으로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을 개시하는 임계 전류값이 사용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류값을 입력받는 설정 전류값 입력받는 설정 전류값 입력단계(S51)가 사전 단계로서 수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또는 단계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 및 단계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태양광 충전기 200: 휴대형 단말기
10 : 태양전지판 20 : 전원조정부
30 : 전원출력I/F부 40 : 출력 전원 감지부
50 : 제어부 60 : 발전표시부

Claims (10)

  1.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에 있어서,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판(10),
    상기 태양전지판(10)에서 출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충전 전류량이 일정 크기 이하의 충전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정격 전류값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설정 및 고정하여 변경설정 및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으로만 충전이 진행되도록 충전을 제어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조절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조정부(20),
    상기 전원조정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 전원으로 입력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원출력I/F부(30),
    상기 전압 조절된 출력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출력 전원 감지부(40),
    상기 전원조정부(20) 및 전원출력I/F부(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력 전류값과 사전설정된 전류값에 따라 전원 조정부(20)를 리셋하는 제어부(50) 및
    태양전지판(10)에서 발전전력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이상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발전표시부(60)를 포함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전류값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값을 기준으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을 개시하는 임계 전류값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인 상기 임계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조정부(20)에 리셋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리셋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원조정부(20)는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중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산출된 출력 전류값이 사전설정된 전류값인 상기 임계 전류값 이상이 되면 조절된 출력 전원의 출력을 재개하여, 휴대형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새로운 접속으로 인식하여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값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조정부(20)는,
    태양전지판(10)으로부터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입력받아 사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이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출력하는 정전압조절부(21),
    상기 태양전지판(10)과 정전압조절부(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에서 정전압조절부(21)로 입력되는 발전전원을 ON/OFF스위칭하는 리셋설정부(22),
    상기 제어부(50)로부터의 리셋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따라, 리셋설정 부(22)의 ON/OFF스위칭을 제어하는 설정제어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I/F부(30)는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I/F부(30)는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각각 상이한 값으로 각각 조절하는 2개 이상의 전류조절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전원 감지부(40)는 사전 설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항값과 출력 전원 감지부(40)로부터 전송된 전압값에 의하여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출력I/F부(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충전 전원을 ON/OFF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충전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78967A 2014-12-12 2014-12-12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6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67A KR101660230B1 (ko) 2014-12-12 2014-12-12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67A KR101660230B1 (ko) 2014-12-12 2014-12-12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16A KR20160071616A (ko) 2016-06-22
KR101660230B1 true KR101660230B1 (ko) 2016-09-27

Family

ID=5636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67A KR101660230B1 (ko) 2014-12-12 2014-12-12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559A (ja) 2000-09-26 2002-04-05 Nakatake:Kk 風力発電機用の系統連係装置
JP2011155820A (ja) 2010-01-28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電源装置及び太陽電池を用いた二次電池の充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7B1 (ko) * 2002-04-24 2004-10-14 헥스파워시스템(주)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00128554A (ko) 2009-05-28 201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광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94337A (ko) * 2013-01-22 2014-07-30 (주)케이엘엘플러스 연계형과 독립형을 복합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전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559A (ja) 2000-09-26 2002-04-05 Nakatake:Kk 風力発電機用の系統連係装置
JP2011155820A (ja) 2010-01-28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電源装置及び太陽電池を用いた二次電池の充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16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942B2 (ja) 充電制御回路への電源供給を行う電源回路、その電源回路を備えた充電装置及び充電制御回路への電源供給方法
US8378634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EP2605359A1 (en) Storage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285127B2 (ja) 充電電流の制御方法
WO2009137995A1 (zh) 一种电池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4017141A1 (ja) 充電装置
US9419472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140239724A1 (en) Power conditioner and power conditioning method
CN103997076B (zh) 便携式电子设备的充电电路
KR20130009599A (ko) 저 복귀 전압 조절기 및 부스트 조절기를 위한 공통 제어 루프를 가진 배터리 충전 장치
US20140354050A1 (en) Power bank and control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9160198B2 (e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JP2015204705A (ja) 充電制御回路及び方法、並びに充電装置
US10312701B2 (en) Charging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425648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1660230B1 (ko) 입사 태양광의 광량변이에 의한 고정된 입력허용 충전 전류의 고정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70222453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battery quick charge
CN102255362A (zh) 一种终端的供电装置及方法
US8493023B2 (en) Char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0226857A (ja) 電源供給システム
JP2010252505A (ja) 充電装置
US20110187311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201620229A (zh) 充電系統及其控制方法
US10985605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JP2013247716A (ja) 二次電池充電システム及び二次電池充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