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088B1 -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88B1
KR101660088B1 KR1020130053277A KR20130053277A KR101660088B1 KR 101660088 B1 KR101660088 B1 KR 101660088B1 KR 1020130053277 A KR1020130053277 A KR 1020130053277A KR 20130053277 A KR20130053277 A KR 20130053277A KR 101660088 B1 KR101660088 B1 KR 10166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m
present
guide plat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544A (ko
Inventor
김병묵
한상철
김경모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12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투과막; 및 상기 반투과막 상부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출광부의 면적이 입광부의 면적보다 큰 다수의 렌즈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광 추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투과막은 상기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 대비 2배 내지 6배의 광 반사율을 갖는 것인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OPTICAL FILMS LAMINAT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지형 LED 광원을 사용하는 조명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조명 장치들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 으로 구별될 수 있다. 광원이 광학 필름 적층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를 일반적으로 에지형이라고 부르며, 광원이 광학 적층체의 하부의 전면적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를 일반적으로 직하형이라고 부른다. 에지형은 직하형에 비해 광원 사용 개수가 적고, 얇은 두께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직하형에 비해 휘도가 낮고, 균일한 광 분포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에지형 조명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광 분포를 구현하기 위해 종래에는 프리즘 시트, 렌티큘러 시트, 확산 시트 등과 같은 광학 필름들을 다수개 적층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학 필름들을 사용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거의 한계에 도달하였으며, 다수의 광학 필름들의 사용으로 인해 디바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휘도 향상 효과가 우수한 프리즘 시트의 경우 60도 이상의 시야각에서 휘도가 급상승하는 사이드-로브 현상이 발생하여 광 손실이 크고, 사이드-로브에 의해 광학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소비 전력이 낮고 사용수명이 긴 LED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 기구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조명 기구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 기판에 다수의 LED 들이 종횡으로 배열 설치된 LED 모듈을 굴절, 확산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판 등이 부착된 케이스 내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직하형 타입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LED 조명 장치의 경우, 사용되는 LED 소자의 수가 많고, LED 모듈과 조명판이 상하 방향으로 마주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두께가 두껍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 광원의 경우, 점광원인 데다가 CCFL 등의 종래 광원에 비해 직진성이 크고 퍼짐성이 약하기 때문에, 조명 장치 전면적에 대해 균일한 광 분포를 구현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은 수의 광원을 사용하고, 박형으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휘도 및 광 균일도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조명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수의 광원만으로도 우수한 휘도 특성을 나타내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고, 광 균일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투과막; 및 상기 반투과막 상부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출광부의 면적이 입광부의 면적보다 큰 다수의 렌즈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광 추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투과막은 상기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 대비 2배 내지 6배의 광 반사율을 갖는 것인 광학 필름 적층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는 반투과막과 광 추출 필름 사이에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투과막은 광 반사율이 40% 내지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 추출 필름의 렌즈 구조물은 입광부의 너비가 출광부 너비의 10 ~ 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종횡비가 1:1 내지 1:6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구조물의 측면은 곡면, 경사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구비된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종래의 프리즘 필름 등에서 발생하는 사이드 로브(side-lobe) 현상이 없어 광 손실이 적고, 그 결과, 종래의 광학 필름들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반투과막을 구비하여, 에지형 광원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광 균일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렌즈 구조물들의 단면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적용한 조명장치의 휘도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2매의 프리즘 시트를 적용한 조명장치의 휘도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기재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발명의 원활한 이해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 축소 또는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일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광원(100) 및 광학 필름 적층체(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원(100)은 광학 필름 적층체(2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100)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광원들, 예를 들면, CCFL, OLED, LED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에너지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LED 광원을 채용할 경우, 휘도가 높다는 장점은 있으나, 광의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 출사되는 광의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광원이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 조명 장치의 경우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에지형 LED 광원을 적용하여도 균일한 광 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후술할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2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200)는 도광판(220), 반투과막(240) 및 광 추출 필름(2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220)은 광원(1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광판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220)은,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사이클로올레핀(COP),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면 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220)의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반사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50)은 광을 도광판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반사판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0)으로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의 반사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광판(220)의 상부에는 반투과막(240)이 배치된다. 상기 반투과막(240)은 조명 장치, 특히 에지형 광원을 구비한 조명장치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도광판 상부에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율의 반투과막을 형성함으로써, 휘도와 출광 균일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240)은 후술할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의 2배 내지 6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3배 내지 5배 정도의 광 반사율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개구율은 도광판 상부 표면의 면적에 대한 광 추출 필름의 입광부의 총 면적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개구율 = (입광부 면적의 총합/도광판 상부 표면의 면적)×100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반투과막(240)의 광 반사율과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이 상기 조건을 만족할 경우, 광 효율 및 출광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게 나타나는 반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광 효율 또는 출광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투과막(240)은 광 반사율이 40% 내지 90% 정도일 수 있다. 반투과막(240)의 광 반사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보다 우수한 광 효율 및 출광 균일도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반투과막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반투과막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굴절율이 상이한 물질들을 교대로 스퍼터링 코팅하거나 공압출하여 형성되는 다층 박막층, 반투막 특성을 갖는 수지막 또는 나노 사이즈의 두께를 갖는 금속 박막 등을 도광판 상부 표면에 증착 또는 코팅함으로써 반투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이 중에서도 금속 박막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1 ~ 100nm 정도의 두께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 박막의 증착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반사율을 갖는 반투과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반투과막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 상부 표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추출 필름의 입광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반투과막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 등으로 도광판의 일부 영역에 마스크를 형성한 후, 반투과막 형성 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통해 반투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 추출 필름(230)은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도광판 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반투과막(240)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렌즈 구조물(232)들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230)의 구현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230)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렌즈 구조물(232)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렌즈 구조물들의 연장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광원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원의 배열 방향이란, CCFL와 같은 선 광원이 적용될 경우에는, 선 광원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며, LED와 같은 점 광원이 적용될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점광원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렌즈 구조물(232)들은 도광판 및 반투과막을 투과한 빛들이 광 추출 필름 내부로 입사되는 입광부(235), 광 추출 필름 내부로 입사한 빛의 광 경로를 도광판 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광 경로 변경부(236) 및 광 추출 필름 외부로 광을 출광시키는 출광부(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입광부(235)와 면적이 출광부(237)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집광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면 방향의 휘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광부의 너비(D2)는 출광부의 너비(D1)의 1% 내지 90% 정도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정도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정도일 수 있다. 입광부와 출광부의 너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정면 방향의 휘도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은 10% 내지 3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율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집광 효율 및 광 균일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 경로 변경부(236)는 상기 렌즈 구조물(230)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광 추출 필름(230) 내부로 입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되고,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광 경로 변경부(236)은 곡면, 경사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렌즈 구조물(230)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부(236)은 도 4의 (a)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수직 단면이 유사-포물선 형태인 곡면일 수도 있고,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포물선 형태와 직선 형태가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사도가 다른 2 이상의 직선 형태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렌즈 구조물(232)는 출광부 너비 (D1)에 대한 렌즈 구조물의 높이(H)의 비(이하, '종횡비'라 함), 즉, H/D의 값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정도인 것이 좋다. 렌즈 구조물의 종횡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광 경로 변경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집광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렌즈 구조물 성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렌즈 구조물(23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조물들 사이에 간격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렌즈 구조물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230)은 필요에 따라, 기재부(2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부(234)는 렌즈 구조물(23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사이클로올레핀(COP),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은 기재부의 상면, 즉 상기 렌즈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집광을 위한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광을 위한 구조물은 프리즘 렌즈, 렌티큘러 렌즈,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같이 종래에 잘 알려진 집광 구조물일 수도 있고, 상기 본 발명의 렌즈 구조물과 같은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230)은 굴절율이 1.4 내지 1.7 정도인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상기 반투과막(240)과 광 추출 필름(230)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광 추출 필름과 도광판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필름용 접착제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는 투과율이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으로 투명한 것이 좋으며, 굴절율이 도광판의 굴절율과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적용한 에지형 조명 장치의 경우, 정면 휘도 특성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출광 균일도 역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 1에는 본 발명의 광 추출 필름이 1매가 도광판 상부에 적층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광판 상부에 상기 광 추출 필름을 2매 이상 적층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시뮬레이션(LIGHTTOOLS 광학시뮬레이션S/W)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에서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과 반투과막 반사율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킬 경우의 출광 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때, 광 추출 필름은 도 2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
광원 : LED edge type (상하 2bar 적용)
도광판 :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
광 추출 필름 굴절율 :1.51
출광부 너비 : 91㎛
종횡비 : 1:1.2
렌즈 구조물의 간격 : 110㎛
전체 필름 면적 : 10cm×10cm
측정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기초로, 광 균일도 및 광 효율을 계산하였다. 이때, 광 균일도는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가 15%이하인 경우에는 양호로,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달로 표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개구율 반투과막 반사율 균일도 광효율
실시예 1 10% 40% 양호 88%
실시예 2 20% 70% 양호 86%
실시예 3 30% 90% 양호 85%
비교예 1 10% 15% 미달 77%
비교예 2 20% 5% 미달 80%
비교예 3 30% 10% 미달 89%
비교예 4 10% 80% 양호 68%
상기 [표 1]을 통해,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과 반투과막의 반사율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균일도와 광 효율이 모두 우수한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의 집광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실시예 1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프리즘 시트 2매를 적층한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정면 휘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때 프리즘 시트는 3M사의 BEF 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프리즘 렌즈의 연장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였을 때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며, 도 6은 2매의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였을 때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할 경우, 프리즘 시트 2매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에서 정면 휘도가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이드-로브가 강하게 발생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이드-로브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100 : 광원
200 : 광학 필름 적층체
220 : 도광판
230 : 광추출 필름
232 : 렌즈 구조물
234 : 기재부
235 : 입광부
236 : 광 경로 변경부
237 : 출광부
240 : 반투과막

Claims (10)

  1.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투과막; 및
    상기 반투과막 상부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출광부의 면적이 입광부의 면적보다 큰 다수의 렌즈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광 추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투과막은 상기 광 추출 필름의 개구율 대비 2배 내지 6배의 광 반사율을 가지고,
    상기 광 반사율이 40% 내지 90%이며,
    상기 렌즈 구조물은 종횡비가 1 : 1 내지 1 : 6인 광학 필름 적층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물은,
    광 추출 필름 내부로 광이 입사하는 입광부,
    상기 입사된 빛의 광 경로를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광 경로 변경부 및
    광 추출 필름 외부로 광이 출사하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입광부의 너비가 출광부의 너비의 10 ~ 50%인 광학 필름 적층체.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부는 곡면, 경사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 필름은 굴절율이 1.4 내지 1.7인 광학 필름 적층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 필름은 개구율이 10% 내지 35%인 광학 필름 적층체.
  9. 청구항 1, 3, 4 및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인 조명 장치.
KR1020130053277A 2012-05-10 2013-05-10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660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9869 2012-05-10
KR1020120049869 201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544A KR20130126544A (ko) 2013-11-20
KR101660088B1 true KR101660088B1 (ko) 2016-09-26

Family

ID=498545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77A KR101660088B1 (ko) 2012-05-10 2013-05-10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30053279A KR101676901B1 (ko) 2012-05-10 2013-05-10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79A KR101676901B1 (ko) 2012-05-10 2013-05-10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60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856B1 (ko) * 2015-06-09 2016-08-0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편광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70551A1 (ko) * 2016-10-10 2018-04-1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추출부가 형성된 단일 광학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광추출부가 형성된 선형 광원을 포함하는 모바일용 백라이트 유닛
KR102367247B1 (ko) 2017-07-04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10962B1 (ko) 2017-11-08 2019-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95845B1 (ko) 2017-12-26 202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23769A1 (en) * 2021-01-08 2022-07-14 Nanosys, Inc. Light-emitting diode device containing microlens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78A (ja) 2007-04-27 2008-11-13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227Y2 (ja) * 1993-06-04 1999-02-1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
KR20060106415A (ko) * 2005-04-08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렌즈를 구비한 광 시트,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반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1224638B1 (ko) * 2006-02-07 2013-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사층을 구비한 프리즘 시트,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및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78A (ja) 2007-04-27 2008-11-13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01B1 (ko) 2016-11-16
KR20130126546A (ko) 2013-11-20
KR20130126544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088B1 (ko)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8184235B2 (en) Optical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7859611B2 (en) Diffuser prism sheet having amorphous light diffusers on prism valleys,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mold, and associated methods
US8616755B2 (en) Light guide plat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US20090097273A1 (en) Light guide plate and light-emitting apparatus
US9958596B2 (en) Display device, multilayer light guide plate structure and front light module
JP2015508936A (ja) 導光板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285389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8299131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216831A (ja) 光学調整部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光学調整部材の製造方法
JP444855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410840B2 (ja) 光学調整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90316387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JP4250192B2 (ja) 光学調整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671598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1205928B1 (ko) 면광원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10066722A (ja) 光学部材、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6343624A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26753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調整部材
KR101171828B1 (ko) 면광원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2671601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1802579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344047B (en) Backlight module
JP4410841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854502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