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215B1 - Wireless charger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215B1
KR101659215B1 KR1020150026237A KR20150026237A KR101659215B1 KR 101659215 B1 KR101659215 B1 KR 101659215B1 KR 1020150026237 A KR1020150026237 A KR 1020150026237A KR 20150026237 A KR20150026237 A KR 20150026237A KR 101659215 B1 KR101659215 B1 KR 10165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vertical
portable terminal
transver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2743A (en
Inventor
이상범
박승원
박용운
조상호
조재형
김창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78,301 priority Critical patent/US9793727B2/en
Priority to EP15189084.5A priority patent/EP3007312A1/en
Priority to CN201510654325.6A priority patent/CN105515086B/en
Publication of KR2016004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는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와 가로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and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longitudinal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nsvers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transverse portion, wherein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also provided so as to m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Description

무선 충전기 {WIRELESS CHARGER}{WIRELESS CHARGER}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er.

무선 충전기는 별도의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 무선 충전기는 전력을 전송하도록 코일이 권선된 충전용 단말 본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단말 본체의 상부에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올려놓으면 별도의 케이블 등이 없더라도 무선 전력전송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된다. 물론, 배터리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The wireless charger is a device that can charge the battery wirelessly without a separate cable. Conventionally, a wireless charger is composed of a charging terminal body in which a coil is wound to transmit electric power. If a battery requiring charging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cable or the like. Of course, the batter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이 경우, 배터리는 단말 본체 중 권선된 코일의 중앙 부분에 가깝게 올려질수록 충전 효율이 좋아지므로 단시간에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battery is raised closer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il wound in the terminal body, the charging efficiency is improved, so that the charging can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그런데, 종래의 무선 충전기는 단순히 배터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별도로 중앙부를 맞출 수 있는 구조는 아니므로 배터리의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an be simply placed, and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can not be adjusted separately.

이는, 휴대 단말(핸드폰 등)에 배터리가 내장된 상태로 충전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의 사이즈가 다양한 최근에는 특히 문제될 수 있다.This may be particularly problematic in recent years when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varies in the case where the charging progresses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is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mobile phone or the like).

아울러, 무선 충전기는 전원이 꽂힌 상태로 충전을 하기 않고 대기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라도 무선 충전기는 수신기 감지를 위해 송신 코일에서 수신부를 감지하고자 일정 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er consumes a certain amount of power in order to detect the receiver in the transmission coil to detect the receiver. Therefore, the wireless charger consumes unnecessary power have.

공개특허 제10-2014-0114613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14613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핸드폰 등)에 적용되더라도 휴대 단말의 충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고지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maximiz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portable terminals even when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cell phones, etc.) of various sizes.

아울러, 충전이 시작되기 전에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하여 전력 사용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before charging starts.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는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와 가로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a transmission coil provided to face a reception coi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is also moved in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

본 발명을 사용하면, 간단한 기구적 구성의 변경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핸드폰 등)에 적용되더라도 휴대 단말의 충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maximiz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a portable terminal even if it is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mobile phones, etc.) of various sizes by a simple change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아울러, 충전이 시작되기 전에 대기전력의 소모가 없으므로 전력 사용에 효율을 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standby power is not consumed before charging start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power.

도 1은 무선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무선 충전기와 휴대 단말에 각각 구비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중심의 상대 위치에 따른 충전 효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무선 충전기의 활용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무선 충전기의 활용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전력전송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에서 대기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er,
FIG.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rging efficiency concept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utilization principle of the wireless charger of FIG. 3,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utilization principle of the wireless charger of FIG. 6,
9 and 10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principle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for explaining a structure for reducing loss of standby power in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ame numerical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 first, "" second," " one side, "" other,"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no.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무선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무선 충전기와 휴대 단말에 각각 구비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중심의 상대 위치에 따른 충전 효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er, and FIG.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of charging efficiency according to a relative position of a center of a transmitting coil and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a wireless charger and a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전력전송장치(10) - 이하, '무선 충전기'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함 - 의 구조가 개시된다. 무선 전력전송장치(10)는 핸드폰(20)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13)를 구비하는 하우징(11); 상기 삽입구(13)로 삽입된 핸드폰(20)에 구비되는 수신코일(23)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1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 (hereinafte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term "wireless charger") is disclose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11) having an insertion opening (13) into which a cellular phone (20) can be inserted; And a transmitting coil 12 provided to face the receiving coil 23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3.

그리고, 도 2를 참고하면, 송신코일(12)의 중심(CT)과 수신코일(23)의 중심(CR)이 상호 일치하도록 구비되면 충전효율이 66.80%로 가장 좋은 위치에서(CT=CR), 수신코일(23)의 중심(CR)이 송신코일(12)의 중심(CT)에서 좌우(C1방향) 또는 상하(C2 방향)로 어긋나는 길이가 커질수록 충전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2, if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tting coil 12 and the center C R of the receiving coil 23 coincide with each other, then the charging efficiency becomes 66.80% at the best position (C T = C R ) and the length of the center C R of the receiving coil 23 deviates left and right (C1 direction) or up and down (C2 direction) from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tting coil 12 becomes larger, .

이에서 보듯이, 휴대 단말(20)을 무선 전력전송장치(10)에 삽입하거나 거치하는 등 무선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송신코일(12)의 중심(CT)과 수신코일(23)의 중심(CR)이 상호 일치 내지는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충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20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ssion coil 12 and the center C M of the reception coil 23 C R ) are mutually coincident or close to each other to maximize the charging efficienc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내부 투시 사시도이다.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는 휴대 단말 등의 전자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115)를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삽입구(115)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12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111)와 가로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111)와 상기 가로지지부(113)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1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113)도 일정 비율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n insertion port 115 into whic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a transmission coil 120 provided to face a reception coi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15. The housing 11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for supporting a vertical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is moved by a predetermined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 .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는 휴대 단말(MP1, MP2)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휴대 단말(MP1, MP2)을 하우징(110)의 삽입구(115)에 끼워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송신코일(120)의 중심(CT)과 수신코일(R1, R2)의 중심(CR)이 상호 일치 내지는 근접하도록 구비하여 무선 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15 of the housing 110 to be charg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provided so as to be closer naejineun mutually match the center (C R) of the center (C T) and a receiving coil (R1, R2) of the transmission coil 120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휴대 단말(MP1, MP2)은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며, 사이즈가 커질수록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일정 비율로 모두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무선 충전기(10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120)은 하우징(1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송신코일(120)의 중심(CT)과 수신코일(R1, R2)의 중심(CR)이 상호 일치 내지는 근접하도록 구비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모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have various sizes. As the size increases, the lengths of the widths and lengths are generally increased at a certain ratio. The transmission coil 12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er 10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center of the transmitter coil (120) (C T) and a receiving coil (R1, R2), the center (C R) are mutually matching naejineun to having to approach the vertical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he support 111 and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113 must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그리고,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기(100)에는 커버 등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휴대 단말(MP1, MP2)을 끼우거나 거치하는 방식으로 구비되므로 세로지지부(1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의해 가로지지부(113)도 확장 내지는 복귀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세로지지부(111)는 탄성 거치된 상태로 양측으로 각각 확장되므로 휴대 단말(MP1, MP2)의 양쪽 세로부가 모두 한 쌍의 세로지지부(111)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인 구조이나, 가로지지부(113)는 아래쪽(도 3 및 도 4 기준)에만 구비되므로 윗쪽(도 3 및 도 4 기준) 부분의 구속력이 없어서 탄성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지지부(113)를 누르더라도 가로지지부(113)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휴대 단말(MP1, MP2)이 원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wireless charger 100 is not provided with a cover or the like, but simply includes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in such a manner as to sandwich or moun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or returning. In other words, since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extend to both sides in an elastically fixed state,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supported on both sides by the pair of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Refer to FIG. 3 and FIG. 4), the pressing member 113 does not have a restraining force at the upper portion (reference in FIG. 3 and FIG. 4), so that even if the pressing member 113 is pressed b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113, This is because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can not be seated at desired positions because they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는 세로지지부(1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따라 가로지지부(113)도 하향이동(확장) 내지는 복귀할 수 있도록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를 상호 연동시키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상술한다.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can be moved downward )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우징(110)은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도록 삽입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활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휴대 단말(MP1, MP2) 형상의 삽입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는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MP1, MP2)을 충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삽입부(115)의 사이즈는 충분히 큰 휴대 단말(MP1, MP2)도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15)는 하우징(110)에 휴대 단말(MP1, MP2)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면 충분하며, 가령,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구멍 또는 하우징(110)의 일면이 오픈되어 휴대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 등이 가능하다.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15 for inserting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lthough the housing 110 of the attached drawings is illustrated as being box-shaped,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15 in the form of a portable terminal MP1 or MP2. Since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for charging, the sizes of the insertion portions 115 are sufficiently large for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may be provided in a size that can be inserted. The inserting portion 115 has a sufficient structure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on the housing 110. The inserting portion 115 may have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110 or one side of the housing 110 opened A shape capable of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삽입부(1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수신코일(R1, R2)과 대면하도록 송신코일(120)이 구비된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coil 120 so as to face the receiving coils R1 and R2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115. [

또한, 하우징(110)에는 이하 설명할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에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4)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4)은 양쪽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레일(114)의 경사도는 휴대 단말(MP1, MP2)의 세로모서리와 가로모서리의 길이의 비율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114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rails 114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s 113 provided on both sides. 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s 114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lengthwise edges to lengthwise edge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하우징(110)에는 삽입부(115)로 돌출되어 휴대 단말(MP1, MP2)의 세로모서리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111)와 가로모서리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113)가 구비된다.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는 상호 연동된 구조로 구비되며, 좌우로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111 which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ortion 115 and supports longitudinal corners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a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which supports lateral edges.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ing parts can be provided.

세로지지부(111)는 하우징(110)에 탄성 내지는 단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부(115)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세로모서리를 가압할 수 있다. 세로지지부(111)의 상단, 즉,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는 경우 세로지지부(111)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11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5 in a state where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111 can be elastically or simply slidably moved to the housing 110. The vertical edge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5 can be pressed. The end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111,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into which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may be provided with a tapered portion 111a inclined outwards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longitudinal supporting portion 111 can be easily expanded 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가로지지부(113)는 하우징(111)에 탄성 내지는 단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부(115)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하부의 가로모서리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가로지지부(113)는 세로지지부(111)와 연결되어 세로지지부(1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의해 함께 확장(하측이동) 내지는 복귀될 수 있다.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sertion portion 115 in a state where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can be elastically or simply slidably moved to the housing 111. The horizontal edges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5 can be pressed. In additio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may be extended (moved downward) or returned together by extension or retur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은 상호 연결되어 'L'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 중 어느 일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4)에 상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상기 가이드레일(1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탄성결합되어 이동시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n L shape. The guide protrusion 11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114 in any one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Not shown). The guide protrusion 112 is resiliently coupled and can be moun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upon movement.

그리고, 휴대 단말(MP1, MP2)이 세로지지부(111)의 테이퍼부(111a)를 타고 내려오면서 세로지지부(11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상기 가이드레일(114)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111)는 좌우측, 즉, 좌우의 세로지지부(111)가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로지지부(113)는 하측, 즉,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부(115)의 내부에서 아랫쪽으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MP1, MP2)의 사이즈에 따라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상호 연동하여 확장되면서,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부(115)에 끼워지는 경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120)의 중심(CT)과 휴대 단말(MP1, MP2)의 중심에 구비되는 수신코일(120)의 중심(CR)이 대략 일치하거나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press dow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while descending down the tapered portion 111a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the guide projections 112 are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s 114 The vertical support parts 111 move in the direction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 part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the horizontal support part 113 moves downward, MP2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expanded so as to be inserted deeper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5 downward.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15 while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exp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ssion coil 12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the center C R of the reception coil 12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ortable terminals MP 1 and MP 2 can be substantially coincident or close to each other . Accordingly,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wireless charger 100 can be increased.

한편, 세로지지부(111), 가로지지부(113) 및 가이드돌기(112)는 모두 상호 연결된 형상이므로, - 실질적으로 일체로 구비된다고 봐도 무방함 - 적어도 어느 하나만 하우징(110)에 탄성결합되면 복원력을 공유할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are all interconnected,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y are substantially integrally formed. When at least one of them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You can share.

이에, 세로지지부(111)와 하우징(110)의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111c)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가로지지부(113)와 하우징(110)의 사이에 제2 탄성부재(113c)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는 움직임이 상호 연동된 상태이므로, 제1 탄성부재(111c)와 제2 탄성부재(11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a first elastic member 111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using 110. [ Or a second elastic member 113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and the housing 110. [ Since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are in a mutually interlocked motion, only on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11c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13c may be provid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112)가 세로지지부(111)나 가로지지부(113)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114)이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이와는 반대로 가이드돌기가 하우징(110)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이 세로지지부(111)나 가로지지부(113)에 구비되는 구조도 활용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112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and the guide rail 114 is provided on the housing 110. However, A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rails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guide rails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s 113 are also applicable.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무선 충전기의 활용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4 and 5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using the wireless charger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는 휴대 단말(MP1, MP2)이 세로지지부(111)의 테이퍼부(111a)를 타고 내려오면서 세로지지부(11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상기 가이드레일(114)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111)는 좌우측, 즉, 좌우의 세로지지부(111)가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로지지부(113)는 하측, 즉,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부(115)의 내부에서 아랫쪽으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4,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descend through the tapered portion 111a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The guide protrusions 112 are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s 114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111 extend in the direction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 portion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113 can b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ide, that is,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can be inserted deeper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5 downward.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의 사이즈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가 어떻게 유동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제1 휴대 단말(MP1)은 제2 휴대 단말(MP2)보다 크기가 작게 구비되며, 이들이 동일한 무선 충전기(100)의 삽입부(115)에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how the wireless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lexib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a case whe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P1 is smaller tha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MP2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115 of the same wireless charger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5의 (a)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제1 휴대 단말(MP1)이 무선 충전기(100)에 삽입된 경우로,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비교적 작게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M1). 그리고, 도 5의 (b)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제2 휴대 단말(MP2)이 무선 충전기(100)에 삽입된 경우로,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비교적 많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M2).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상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연동하여 확장하면서 어느 경우라도 송신코일(120)의 중심(CT)과 휴대 단말(MP1, MP2)의 중심에 구비되는 수신코일(120)의 중심(CR)이 대략 일치하거나 근접한 것을 알 수 있다.
5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P1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100 and the case where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move relatively small (M1). 5B shows a case where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MP2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100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are relatively moved (M2). Further, in the cas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e vertical to the suppo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3 linked extension of which any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transmitter coil (120) (C T) and the mobile terminal (MP1, MP2)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s C R of the receiving coils 120 are substantially coincident or close to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내부 투시 사시도이다.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는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215)를 구비하는 하우징(210); 상기 삽입구(215)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22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10)은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211)와 가로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213)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211)와 상기 가로지지부(213)는 기어(212, 214)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2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213)도 일정 비율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212, 214)는 톱니바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10 having an insertion port 215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a transmission coil 220 provided to face the reception coi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215. The housing 21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for supporti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gears 212 and 214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are supported by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1, (213) are also arranged to move at a constant rate. Here, the gears 212 and 214 may be gears.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는 휴대 단말(MP1, MP2)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송신코일(220)의 중심(CT)과 수신코일(R1, R2)의 중심(CR)이 상호 일치 내지는 근접하도록 구비하여 무선 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ssion coil 220 and the center C R of the reception coils R1, R2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re provided to be close to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thereby maximizing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휴대 단말(MP1, MP2)은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며, 사이즈가 커질수록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일정 비율로 모두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무선 충전기(20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220)은 하우징(2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송신코일(220)의 중심(CT)과 수신코일(R1, R2)의 중심(CR)이 상호 일치 내지는 근접하도록 구비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가 모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have various sizes. As the size increases, the lengths of the widths and lengths are generally increased at a certain ratio. Meanwhile, the transmission coil 220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er 2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using 210. Therefore, the center of the transmitter coil (220) (C T) and a receiving coil (R1, R2), the center (C R)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in order to provided to the proximity naejineun cross matching is provided in the housing 210 with a horizontal The supporting portion 213 must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그리고,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기(200)에는 커버 등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휴대 단말(MP1, MP2)을 끼우거나 거치하는 방식으로 구비되므로 세로지지부(2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의해 가로지지부(213)도 확장 내지는 복귀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세로지지부(211)는 탄성 거치된 상태로 양측으로 각각 확장되므로 휴대 단말(MP1, MP2)의 양쪽 세로부가 모두 한 쌍의 세로지지부(211)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인 구조이나, 가로지지부(213)는 아래쪽(도 6 및 도 7 기준)에만 구비되므로 윗쪽(도 6 및 도 7 기준) 부분의 구속력이 없어서 탄성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지지부(213)를 누르더라도 가로지지부(213)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휴대 단말(MP1, MP2)이 원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wireless charger 200 is not provided with a cover or the like, but simply includes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in such a manner tha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sandwiched therebetween. )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or returning. In other words, since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211 extend to both sides in an elastically fixed state,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are supported on both sides by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portions 211, (Refer to FIG. 6 and FIG. 7), and therefore, even if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213 provided in the elastic coupling manner is depressed,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213 This is because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can not be seated at desired positions because they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는 세로지지부(2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따라 가로지지부(213)도 하향이동(확장) 내지는 복귀할 수 있도록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를 상호 연동시키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상술한다.
The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can be downwardly moved (extended) or returned in response to expansion or retur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 )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우징(210)은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도록 삽입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하우징(2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활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휴대 단말(MP1, MP2) 형상의 삽입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는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MP1, MP2)을 충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삽입부(215)의 사이즈는 충분히 큰 휴대 단말(MP1, MP2)도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15)는 하우징(210)에 휴대 단말(MP1, MP2)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면 충분하며, 가령,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구멍 또는 하우징(210)의 일면이 오픈되어 휴대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 등이 가능하다.The housing 210 may include an insertion unit 215 to inser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lthough the housing 21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llustrated as being box-shaped, the housing 210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215 in the form of a portable terminal MP1 or MP2. Since the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for charging, the size of the insertion unit 215 is not limited to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may be provided in a size that can be inserted. The inserting portion 215 has a sufficient structure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on the housing 210. The inserting portion 215 may have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210 or one side of the housing 210 opened A shape capable of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그리고, 하우징(210)에는 삽입부(2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수신코일(R1, R2)과 대면하도록 송신코일(220)이 구비된다.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coil 220 so as to face the receiving coils R1 and R2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ng unit 215. [

하우징(210)에는 삽입부(215)로 돌출되어 휴대 단말(MP1, MP2)의 세로모서리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부(211)와 가로모서리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213)가 구비된다.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는 상호 톱니바퀴 등의 기어(212, 214)로 연동된 구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지지부(211)는 좌우로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지지부(213)는 하나가 상기 좌우의 세로지지부(211)와 모두 연결되거나, 한 쌍이 각각 좌우의 세로지지부(21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215 to support vertical edges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supporting horizontal edges.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213 ar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linked with gears 212 and 214 such as gears. One of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s 213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 portions 211 or one of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s 213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 portions 213 Can be connected.

세로지지부(211)는 하우징(210)에 탄성 내지는 단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부(215)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세로모서리를 가압할 수 있다. 세로지지부(211)의 상단, 즉,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211a)가 구비될 수 있다.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되는 경우 세로지지부(211)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sertion portion 215 in a state where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is elastically or simply slidably moved to the housing 210. The longitudinal edge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5 can be pressed. The end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may be provided with a tapered portion 211a that is inclined outwardly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can be easily expanded 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가로지지부(213)는 하우징(210)에 탄성 내지는 단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부(215)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15)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MP1, MP2)의 하부의 가로모서리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가로지지부(213)는 세로지지부(211)와 기어(212, 214)로 연결되어 세로지지부(211)의 확장 내지는 복귀에 의해 함께 확장(하측이동) 내지는 복귀될 수 있다.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5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can be elastically or simply slidably moved to the housing 210. The horizontal edges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5 can be presse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may b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gears 212 and 214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can be extended or moved back together by expansion or return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은 좌우측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기어(212, 214)에 의해 상호 이동이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세로지지부(211)의 좌우측으로의 확장에 의해 가로지지부(213)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may be provided so that their mutual movements are interlocked by gears 212 and 214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That is, the lateral support portion 213 may be provided so as to move downward by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to the left and right.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 형상의 제1 기어(212)와 톱니바퀴 형상의 제2 기어(214)가 상호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제1 기어(212)는 세로지지부(211)에 구비되는 제1 톱니(211a)와 치합되고, 제2 기어(214)는 가로지지부(213)에 구비되는 제2 톱니(213a)와 치합되어, 제2 기어(212)가 좌우로 확장되면, 제1 기어(2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2 기어(21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214)와 치합된 가로지지부(213)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의 이동 비율은 제1 기어(212)와 제2 기어(214)의 톱니 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휴대 단말(MP1, MP2)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first gear 212 in the form of a toothed wheel and the second gear 214 in the form of a toothed wheel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gear 212 And the second gear 214 meshes with the second tooth 213a provided o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so that the second gear 212 meshes with the second tooth 213a provided o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The first gear 212 rotates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second gear 21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meshed with the second gear 214 rotates clockwise, Lt; / RTI > The movement ratio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gear 212 and the second gear 214. This is because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nd the vertical length.

한편, 도면의 도시에서는 제1 기어(212)와 제2 기어(214)를 포함하는 2개의 기어에 의해 세로지지부(211)에서 가로지지부(213)로 동력이 전달되는 형상이나, 기어의 개수는 2개를 초과할 수도 있다.In the figur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by two gears including the first gear 212 and the second gear 214, May be more than two.

휴대 단말(MP1, MP2)의 사이즈에 따라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가 상호 연동하여 확장되면서,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부(215)에 끼워지는 경우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220)의 중심(CT)과 휴대 단말(MP1, MP2)의 중심에 구비되는 수신코일(R1, R2)의 중심(CR)이 대략 일치하거나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기(200)의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art 215 while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211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part 213 exten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the center (C R) of a receiving coil (R1, R2)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C T) and the mobile terminal (MP1, MP2) of the transmission coil 220 is provided in the can to be substantially matched or close. Accordingly,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wireless charger 200 can be increased.

한편, 세로지지부(211), 가로지지부(213) 및 제1, 제2 기어(212, 214)는 모두 상호 연결된 형상이므로, 적어도 어느 하나만 하우징(210)에 탄성결합되면 복원력을 공유할 수 있다.Since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211,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s 212 and 2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silient force can be share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212 and 214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210.

이에, 세로지지부(211)와 하우징(210)의 사이에는 제3 탄성부재(211c)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가로지지부(213)와 하우징(210)의 사이에 제4 탄성부재(213c)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는 움직임이 상호 연동된 상태이므로, 제3 탄성부재(211c)와 제4 탄성부재(21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a third elastic member 211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using 210. [ Or a fourth elastic member 213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213 and the housing 210. [ Since the vertical supports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s 213 are mutually interlocked, at least on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211c and the fourth elastic member 213c may be provided.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무선 충전기의 활용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FIGS. 7 and 8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utilization principle of the wireless charger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는 휴대 단말(MP1, MP2)이 세로지지부(211)의 테이퍼부(211a)를 타고 내려오면서 세로지지부(211)를 가압하면, 세로지지부(211)는 좌우측, 즉, 좌우의 세로지지부(211)가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로지지부(213)는 상기 세로지지부(211)와 기어(212, 214) 연결되어 하측, 즉, 휴대 단말(MP1, MP2)이 삽입부(215)의 내부에서 아랫쪽으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7, the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descend through the tapered portion 211a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support portions 211 ar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s 211 are exten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s 213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211 and gears 212 and 214 so that the mobile terminals MP1 and MP2 can be inserted in the inserting portion 215 in a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의 사이즈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00)가 어떻게 유동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제1 휴대 단말(MP1)은 제2 휴대 단말(MP2)보다 크기가 작게 구비되며, 이들이 동일한 무선 충전기(200)의 삽입부(215)에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how the wireless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lexib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a case whe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P1 is smaller tha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MP2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5 of the same wireless charger 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의 (a)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제1 휴대 단말(MP1)이 무선 충전기(200)에 삽입된 경우로,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가 비교적 작게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M1). 그리고, 도 8의 (b)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제2 휴대 단말(MP2)이 무선 충전기(200)에 삽입된 경우로,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가 비교적 많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M2).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상 세로지지부(211)와 가로지지부(213)가 연동하여 확장하면서 어느 경우라도 송신코일(220)의 중심(CT)과 휴대 단말(MP1, MP2)의 중심에 구비되는 수신코일(220)의 중심(CR)이 대략 일치하거나 근접한 것을 알 수 있다.
8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P1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200 and the case where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move relatively small (M1). 8B shows a case in which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MP2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200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13 move relatively much (M2). In any case, the center C T of the transmission coil 220 and the center of the portable terminals MP 1 and MP 2, which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ortable terminals MP 1 and MP 2,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s C R of the receiving coils 220 are substantially coincident or close to each other.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전력전송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9 and 10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principle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기(100, 200)에서 전력이 휴대 단말로 전송되는 원리가 도시된다. 즉, 파워소스(1)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부(2) - 전력 전달(power transfer)을 포함하는 개념임 - 의 제어에 의해 전력이 송신코일(120, 220)로 전달되며, 송신코일(120, 220)은 휴대 단말의 수신코일(23)에 의해 전력을 전송받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2)는 송신코일(120, 220)이 휴대 단말의 수신부, 즉, 수신코일(23)을 감지하기 위해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도 파워소스(1)에서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전력을 소모하게 되며, 이러한 소비는 휴대 단말을 충전하지 않는 동안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이다.Referring to FIG. 9, a principle is shown that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ers 100 and 200 to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s 120 and 22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 - the concept including the power transfer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1, And 220 are received by the receiving coil 23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even if the transmitting coils 120 and 220 are not charging to detect the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receiving coil 23, the control unit 2 continuously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ource 1,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unnecessarily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charg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0, 200)에 적용되는 전력전송 원리가 도시된다. 즉,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에 스위치(300)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이 충전 상태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파워소스(1)에서 제어부(2)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Referring to FIG. 10, there is shown a power transmission principle applied to a wireless charger 100,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witch 300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from the power source 1 to the control unit 2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placed in the charged state Method.

특히,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충전기(100, 200)는 세로지지부(111)와 가로지지부(113)가 휴대 단말(MP1, MP2)의 삽입에 의해 확장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세로지지부(111) 또는 가로지지부(113)의 확장에 따른 스위치 조작이 기구적으로 가능한 구조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스위치(300)로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reless chargers 100 and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are extended by inse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s MP1 and MP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switch 300 as a switch because it is possible to mechanically switch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113.

이하,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를 구현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9. FIG.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에서 대기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11 to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for explaining a structure for reducing loss of standby power in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1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에 택트스위치(Tact Switch, 313)를 구비하고, 상기 택트스위치(313)가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에, 상기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와 상기 택트스위치(313)의 사이에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3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311)이 상기 택트스위치(313)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속 성능 향상을 위해 금속판(312)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11, a switch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act switch 313 between a power source 1 and a control unit 2, and the tact switch 313 is connected to a vertical support Can be pressuriz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upporting member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A spring 311 having an elastic for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and the tact switch 313, A metal plate 31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 portion contacting with the metal plate 313 to improve connection performance.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2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각 단부에 탄성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탄성 부재가 가압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단절된 공급 라인 중 파워소스(1) 또는 제어부(2)와 연결된 일 단에는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22)를 장착하고, 다른 일단에는 탄성편 형상의 탄성체(321)를 장착하고,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22) 또는 탄성편 형상의 탄성체(321)가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밀리면서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22)와 탄성편 형상의 탄성체(321)가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22)의 단부에는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금속 판(323)이 구비될 수 있다.12, the switch 3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connect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form an elastic coupling structure at each end of the disconnected supply line . The elastic members may be pressed and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That is, an elastic member 322 having a coil spring structure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disconnecte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 or the control unit 2, and an elastic member 321 having an elastic piece shape is mounted on the other end, Spring-shaped elastic body 322 and the elastic-shaped elastic body 321 are pushed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s 113 and 213, The elastic body 32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end of the elastic body 322 of the coil spring structure, the metal plate 323 can be provided to improve the connection performance.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3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각 단부에 탄성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탄성 부재가 가압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2의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22)를 도체 스펀지(332)로 변경한 형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13, the switch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connect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form an elastic coupling structure at each end of the disconnected supply line . The elastic members may be pressed and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lastic body 322 of the coil spring structure is changed to the conductive sponge 332 in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4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각 단부에 탄성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탄성 부재가 가압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12의 구현 방식과 동일하나, 파워소스(1)와 연결되는 공급 라인은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와 연결되고, 상기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가 직접 제어부(2)와 연결된 공급 라인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는 내부에 배선 등을 통해 전력의 전속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14, the switch 3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disconnect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form an elastic coupling structure at each end of the disconnected supply line . The elastic members may be pressed and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12, the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and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111 , 211 or the transverse supports 113, 213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 Of course,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llowing the electric power to be transferred through wiring or the like.

그리고, 제어부(2)와 연결된 공급 라인의 단부에는 접촉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42) 또는 탄성편 형상의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단부에는 탄성판(343)이 구비될 수 있다.An elastic body 342 of a coil spring structure or an elastic body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 and an elastic plate 343 may be provided.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5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각 단부에 탄성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탄성 부재가 가압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4의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342)를 도체 스펀지(352)로 변경한 형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15, the switch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connect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form an elastic coupling structure at each end of the disconnected supply line . The elastic members may be pressed and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hape obtained by changing the elastic body 342 of the coil spring structure to the conductor sponge 352 in the embodiment of Fig. 1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5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사이에 별도의 컨트롤러(362)를 구비한다. 그리고, 무선 충전기(100, 200)의 내부에는 휴대 단말이 삽입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정전용량 센서 등의 근접센서(361)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의 접근 감지에 따라 컨트롤러(362)의 조작에 의해 전력을 공급 라인을 통해 전달하거나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16, the switch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onnects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has a separate controller 362 between the disconnected supply lines . In the wireless chargers 100 and 200, a proximity sensor 361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or a capacitive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approach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therein is provided, The power of the controller 362 can be transmitted or disconnected through the supply line.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60)는 파워소스(1)와 제어부(2)의 사이의 공급 라인을 단절하고, 단절된 공급 라인의 사이에 별도로 홀센서를 포함하는 컨트롤러(361)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확장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361)로 접근하도록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의 일단에 구비되는 자석(362)을 구비할 수 있다. 자석(362)의 접근에 따라 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이 무선 충전기에 삽입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17, the switch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onnects the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ource 1 and the control unit 2, and a controller 361 (not shown) including a Hall sensor separately between the disconnected supply lines .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magne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approach the controller 361 in accordance with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362). The hall sensor senses the approach of the magnet 362 and can detect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도 18을 참조하면, 복수의 파워소스(1, 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스위치(370) 구조가 개시된다. 무선 충전기 회로의 전원(1, 1')과 제어부(2, 전원 입력단) 사이에 트랜지스터 스위치(371)를 설치하고 Base(BJT의 경우) 또는 Gate단(FET의 경우)에는 용수철(372)을 연결한다. 휴대 단말이 무선 충전기 내부로 삽입되어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를 누르면 Base 또는 Gate단에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On 되고 이때 전원과 무선충전기 회로가 연결된다.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가 눌리지 않으면 전원과 무선충전기 회로는 서로 분리된다.Referring to Fig. 18, a structure of a switch 370 capable of being powered by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1, 1 'is disclosed. A transistor switch 371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1, 1 'of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nd the control unit 2 (power source input terminal) and a spring 372 is connected to the base (in case of BJT) do.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and presses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r the gate terminal so that the transistor switch is turned on and the power supply and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re connected. When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are not pressed, the power supply and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8을 참조하면, 복수의 파워소스(1, 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스위치(380) 구조가 개시된다. 무선 충전기 회로의 전원(1, 1')과 제어부(2, 전원 입력단) 사이에 트랜지스터 스위치(381)를 설치하고 Base(BJT의 경우) 또는 Gate단(FET의 경우)에는 도체 스펀지(382)을 연결한다. 휴대 단말이 무선 충전기 내부로 삽입되어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를 누르면 Base 또는 Gate 단에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On 되고 이때 전원과 무선충전기 회로가 연결된다. 세로지지부(111, 211) 또는 가로지지부(113, 213)가 눌리지 않으면 전원과 무선충전기 회로는 서로 분리된다.
Referring to Fig. 18, a structure of a switch 380 capable of being powered by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1, 1 'is disclosed. A transistor switch 381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1, 1 'of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nd the control unit 2 (power input terminal), and a conductor sponge 382 is provided in the base (in case of BJT) Connec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er and presses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s 111 and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s 113 and 213,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r the gate terminal so that the transistor switch is turned on and the power supply and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re connected. When the vertical supports 111, 211 or the horizontal supports 113, 213 are not pressed, the power supply and the wireless charger circu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n electric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Further,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200: 무선 충전기
110, 210: 하우징
120, 220: 송신코일
100, 200: wireless charger
110, 210: housing
120, 220: transmission coil

Claims (22)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 길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 길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로지지부;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삽입에 따른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거리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세로방향 이동거리의 비에 해당하는 무선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to face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 vertica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vertical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later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nsverse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is also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one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Wherein the guide rail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sli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corresponds to a ratio of a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and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ccording to inse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에서 상기 삽입구의 입구쪽에 위치하는 상단은 경사진 무선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end located on the inlet side of the insertion port 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is incl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nd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L' 형상으로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are arranged in an 'L' shape.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 길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 길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로지지부;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서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to face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 vertica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vertical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later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nsverse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is also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one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provided to be inclin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fixed to the housing and fitted in the guide rail to guide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삽입에 따른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거리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세로방향 이동거리의 비에 해당하는 무선 충전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corresponds to a ratio of a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and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ccording to inse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L' 형상으로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are arranged in an 'L' shape.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 길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 길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로지지부;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을 상호 연동해주는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to face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 vertica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vertical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later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nsverse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is also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unit and the transverse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for interlocking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unit and the transverse support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세로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의 좌우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가로지지부와 각각 치합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first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gear in the form of a toothed wheel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can move up and dow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세로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의 좌우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가로지지부와 치합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first gear which is meshed with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left-right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gear which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gear and meshes with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gear in the form of a toothed wheel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transverse support part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movement.
휴대 단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송신코일;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 길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가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세로 길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로지지부;
상기 세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는 상호 연동되어 상기 세로지지부의 가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도 일정 비율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신코일은 송신할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송신코일과 상기 파워소스의 사이에는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가로지지부 또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좌우 또는 상하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무선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to face a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 vertica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vertical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later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nsverse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ort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is also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The transmission coil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be transmitted,
A switch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power source,
And the switch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eft or right or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transverse support portion or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세로지지부 또는 가로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작동되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인 무선 충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witch is a tact switch which is press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r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세로지지부 또는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 클립(Spring Clip)이 이동하여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작동되는 탄성스위치인 무선 충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witch is a resilient switch that is operated by pressing a resilient member by movement of a spring clip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or the horizontal suppo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도체 스펀지인 무선 충전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or a conductive spon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소스는 상기 세로지지부 또는 상기 가로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세로지지부 또는 가로지지부가 이동하여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접촉되어 작동되는 탄성스위치인 무선 충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r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witch is a resilient switch in which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or the lateral support portion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while pressing the elastic memb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 또는 상기 가로지지부는 전도체이거나, 내부에 신호전달선이 내삽되는 무선 충전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r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a conductor or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inserted therei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도체 스펀지인 무선 충전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or a conductive spon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삽입되는 휴대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근접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전력 공급의 여부를 조절하는 무선 충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n approach of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controls whether or not the power is supplied by operation of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 또는 상기 가로지지부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세로지지부 또는 상기 가로지지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홀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전력 공급의 여부를 조절하는 무선 충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magnet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and a hall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or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And controls whether or not electric power is supplied by operation of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hall sensor.
KR1020150026237A 2014-10-10 2015-02-25 Wireless charger KR101659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78,301 US9793727B2 (en) 2014-10-10 2015-10-08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EP15189084.5A EP3007312A1 (en) 2014-10-10 2015-10-09 Wireless charger
CN201510654325.6A CN105515086B (en) 2014-10-10 2015-10-10 Wireless 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6561 2014-10-10
KR1020140136561 2014-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43A KR20160042743A (en) 2016-04-20
KR101659215B1 true KR101659215B1 (en) 2016-09-22

Family

ID=5591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237A KR101659215B1 (en) 2014-10-10 2015-02-25 Wireless char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61B1 (en) * 2019-07-26 2020-02-11 주식회사 동원테크 Mobile phone loc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18A (en) * 2017-01-02 2018-07-11 광주과학기술원 Wireless charging and nfc device and a table including the same
KR101875778B1 (en) * 2017-09-21 2018-07-06 주식회사 서연이화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KR101976430B1 (en) * 2017-09-21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03B1 (en) * 2001-04-24 200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ving a handphone of an automobile
KR101437948B1 (en) * 2013-01-08 2014-09-12 나도진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KR101455343B1 (en) 2013-03-19 2014-10-2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61B1 (en) * 2019-07-26 2020-02-11 주식회사 동원테크 Mobile phone lo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43A (en)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3727B2 (e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101659215B1 (en) Wireless charger
US10164468B2 (en)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EP2797093B1 (en) Slidable charging transmitter position adjust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device
US9287041B2 (en) Coil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having the same
JP2013005665A (en) Coil movable type contactless charger
CN105449766B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3378632A (en) Holder and non-contact charging device including holder
US2016009957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14102883A1 (en) Portable terminal and non-contact charging method for same
JP2012130139A (en) Magnetic induction coil moving type contactless charger
JP3189577U (en) Fixing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20100317233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O2013031054A1 (en) Charging system, electronic apparatus, charg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734562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CN102104642B (en)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slot
CN201413914Y (en) USB interface female seat provided with switch at side
US20050085122A1 (en) Charger
CN205304300U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0484841Y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US9793742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case part and a powerless supply part
CN211296214U (en) Two-in-one wireless charger for mobile phone and watch
KR20150007708A (en) Wireless charger
CN105337338A (en) Cellphone charging device and cellphone
CN219918512U (en) Wireless charg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