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43B1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43B1
KR101455343B1 KR1020130029091A KR20130029091A KR101455343B1 KR 101455343 B1 KR101455343 B1 KR 101455343B1 KR 1020130029091 A KR1020130029091 A KR 1020130029091A KR 20130029091 A KR20130029091 A KR 20130029091A KR 101455343 B1 KR101455343 B1 KR 10145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wireless power
coil
unit
transmi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4613A (en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300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43B1/en
Priority to PCT/KR2014/001396 priority patent/WO2014148742A1/en
Publication of KR2014011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6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4B5/7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수용부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과,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송유닛; 및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해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객체감지부; 및 상기 객체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대응하는 전송 코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having a hollow receiving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being formed in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each of which is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us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ch that only o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ils selectively outputs the radio power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such that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n object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n object;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oper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Description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0001] WEL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0002]

본 발명은 리셉터클형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가 배터리로서 장착된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Generally,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re mounted as batterie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o charge the battery, a separate charging device is needed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commercial commercial power source.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Typically,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each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act terminal on the outside,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by connecting the two contact terminals to each other. However, if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and the contact state is easily deteriorated easily. Further,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o the battery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or exposure to moisture, the charging energy can be easily lost.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대안으로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각각의 접촉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As an alternative to such a contact charging method,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wirelessly so that the battery is char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고,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차량 내에서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무선전력 충전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Such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can typically be placed on a desk, table top, etc., or used in a vehicle. However, when the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s used in the vehicle,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ay not be smooth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runn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하여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accommodat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enables stable wireless power charging even in a situation affected by vib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수용하게 하면서도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stably receive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while allow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to be accommodated in a simple manne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중공형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수용부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과,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송유닛; 및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해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객체감지부; 및 상기 객체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대응하는 전송 코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receiving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being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each of which is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us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ch that only o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ils selectively outputs the radio power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such that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n object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n object;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여기서, 상기 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직육면체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od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space.

여기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발광 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송 코일이 작동 이상이면, 상기 발광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전송 코일의 작동 이상을 알리고 상기 제2 전송 코일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body,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form the operation abnormality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is abnormal, And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제1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송 코일이 작동 이상이면 상기 제1 발광부는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발광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Her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an deactivat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ctivat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is abnormal.

여기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측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오정렬을 알릴 수 있다. Here, when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located o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sid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to notify misalignme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수용부의 한 쌍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전송 코일과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코일 패널; 및 상기 코일 패널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코일 패널을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coil panel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a pair of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coil panel including either the first transfer coil or the second transfer coil; And a moving module configured to connect the coil panel and the body, and moving the coil panel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여기서, 상기 코일 패널은, 패널몸체; 및 상기 패널몸체 중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대응하는 단부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il panel may include a panel body; And a press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of the panel body at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코일 패널에 연결되는 로드; 상기 몸체에 상기 로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채널; 및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일 패널을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module includes: a rod connected to the coil panel; A receiving channel formed in the body to receive the rod; And an elastic body formed to surround the rod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il panel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여기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피니언이 결합된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 및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며, 상기 코일 패널에 연결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and the movement module includes: a motor installed in the body, the motor having an output shaft coupled with a pinion; And a rack coupled to the pinion and coupled to the coil panel.

여기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가 감지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that is pres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dule based o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수용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수용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eption sensing senso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sens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initiating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상기 수용감지 센서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수용감지 센서를 상기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보호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receptacle sensing sensor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protecting the receptacle sensor from the impact while buffering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몸체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보호 부재가 상기 제1 관통공을 덮는 경우에 상기 완충보호 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communicate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When the buffer protecting member covers the first through hole, the buffer prot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A corresponding second through hole can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어, 상기 전송 코일을 보호하는 보호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ating layer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for protecting the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은, 자성체 물질로 압축 성형되며, 상기 전송 코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re having a concave portion that is compression-molded with a magnetic material and accommodates the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각각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서브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서브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includes a pair of sub-coils arranged such that a part thereof overlaps with each other, and the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air At least one of the sub coi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coils may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여기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be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전송 유닛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전원잭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접속잭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a connection jack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jack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대상물의 원통형의 리세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와, 무선전력수신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충전부에 내장되고,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과,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송유닛; 및 상기 전송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해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객체감지부; 및 상기 객체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대응하는 전송 코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cylindrical recess of an object; and a charging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which are built in the charging unit and are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input power;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only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selectively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coil so that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n object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which of two transmission coils corresponds to which transmission coil;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여기서, 상기 설치부는, 원통형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리세스의 내면에 대해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cylindrical base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the base portion and fixing the base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을 통해 노출되록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리; 및 상기 다리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다리가 상기 외측 방향으로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leg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s mov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 driving unit that is formed to interlock with the leg and drives the leg to be driven in the outward direction.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설치부와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고,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harging portion and formed to be be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하여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도,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로의 전력신호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tably receive power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even when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is accommodated and is affected by vibration .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사용자가 단순히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부에 집어넣는 동작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에 있게 한다.
Further,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tably receiv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by simply put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to the receiv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의 컵 홀더(CH)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세부 구조 및 그에 수용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코일 패널(33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코일 패널(331)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코일 패널(33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전송 제어부(335)의 중앙 제어부(335') 및 그가 제어하는 구성들과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500)가 차량의 컵 홀더(CH')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설치부(520)의 상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523) 중 구동부(525)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p holder CH of a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FIG. 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ccommodated therei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130 of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of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panel 331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il panel 331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coil panel 331 of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of FIG. 4 and the configurations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p holder CH 'of a vehicl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change of the mounting portion 520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525 of the fixing unit 523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의 컵 홀더(CH)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p holder CH of a vehicl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대쉬 보드에는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WD)가 형성된다. 송풍구(WD)에는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한 컵 홀더(CH)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대쉬 보드의 하측에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잭(CJ)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dashboard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 blowing port WD for discharging cold air or hot air. A cup holder CH for receiving beverage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blowing port WD. A power jack (CJ)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ashboard.

이러한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컵 홀더(CH)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원잭(CJ)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In such an environment,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CH and be mounted thereon. Als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jack CJ, and can operate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몸체(110)와, 전송 유닛(130, 도 2 참조)와, 전원공급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body 110, a transmission unit 130 (see FIG. 2), and a power supply unit 150.

몸체(110)는 컵 홀더(CH)의 리세스(recess)에 수용되는 형태를 갖고, 또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도 2 참조)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110)는 컵 홀더(CH)의 상부 보다 돌출되는 높이를 가지면, 사용자가 수용부(113, 도 2)의 입구를 인식하기 쉬어질 것이다. The body 110 has a form accommodated in a recess of the cup holder CH and is formed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see FIG. 2). At this time, if the body 110 has a height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CH, the user will b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3 (FIG. 2).

전송 유닛(130)은 몸체(110)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included in the body 110 and is also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전원공급 유닛(150)은 전송 유닛(130)의 작동에 필요한 입력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 유닛(150)은 전송 유닛(130)과 전원잭(CJ)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the input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130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power jack CJ by wir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거치를 위해 차량의 기본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다만 차량의 기본 구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컵 홀더(CH')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거치 문제가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up holder CH 'that is mounted and used 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vehicle without chang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vehicle for moun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0. Thereby, the mounting problem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be solved simply.

이상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concret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세부 구조 및 그에 수용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FIG. 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ccommodated therei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몸체(110)와, 전송 유닛(130)과, 전원공급 유닛(15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발광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110, a transmission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70 .

몸체(110)는 컵 홀더(CH, 도 1)에 수용되면서도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3)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해, 몸체(110)는,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가 원통형인 경우에, 몸체(110)는 원형의 상면(111), 그리고 상면(111)에 대향되는 원형의 하면(112)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면(111)은 하면(112)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거나, 하면(112) 보다 다소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몸체(110)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몸체(110)의 상부가 컵 홀더(CH, 도 1)의 상부에 걸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The body 110 is accommodated in a cup holder CH (FIG. 1) and has a receiving portion 113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or this purpose,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illustrated in this figure. When the body 110 is cylindrical, the body 110 has a circular upper surface 111 and a circular lower surface 112 facing the upper surface 111.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111 may have the same area as the lower surface 112, or may have a somewhat larg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112. In the latter case,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is hoo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CH (FIG. 1).

수용부(113)는 몸체(110)의 중앙에 중공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3)는 몸체(110)의 상면(111)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몸체(11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3)는 상면(111)에 입구(114)가 형성되며, 하면(112) 측에 바닥면(117)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의 빈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13)의 내면들 중에서 가장 넓은 한 쌍의 내면들은 각각 제1 내면(115), 또는 제2 내면(116)으로 불려질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1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10 in the form of a hollow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113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ody 110 (depth direction of the body 110). 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113 may be an empty spac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inle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and a floor surface 1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12 side. In this case, the widest pair of inner surfaces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3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ner surface 115, or a second inner surface 116, respectively.

전송 유닛(130)은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전송 유닛(130)은, 상기 무선전력 신호가 수용부(113)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음악 재생기 등을 지향하도록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unit 130 i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wireless power signal using input power. The transmit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direct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113,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sic player, and the like.

전송 유닛(130)은, 전송 코일(131)과, 전송 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131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전송 코일(131)은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송 코일(131)은, 제1 내면(115) 측에 위치하는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내면(116) 측에 위치하는 제2 전송 코일(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전송 코일(132)은 몸체(110) 속, 구체적으로 제1 내면(11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 코일(133)은 역시 몸체(110)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2 내면(116)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송 코일(131)은 하나로 구비되어, 제1 내면(115)과 제2 내면(116) 중 어느 하나 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configured to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The transmission coil 131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position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115 side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position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116 sid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may be located within the body 110, specifically, inside the first inner surface 115.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body 110, specifically, inside the second inner surface 116.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coil 131 may be provided as one, and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of the first inner surface 115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116.

전송 제어부(135)는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출력을 위해 전송 코일(13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송 제어부(135)는,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송 제어부(135)는, 몸체(110) 속, 구체적으로 수용부(113)의 바닥면(117)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제어부(135)는 몸체(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전송 코일(131)의 작동에 따른 자기적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to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control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so that only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outputs the wireless power signal.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be located in the body 110, specifically, below the bottom surface 117 of the receiving unit 113.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is advantageous in that it receives less magnetic influen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than whe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body 110. [

전원공급 유닛(150)은, 전송 유닛(130)에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원공급 유닛(150)은, 케이블(151)과, 접속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51)의 일단은 전송 유닛(130)에 연결되고 그의 타단은 접속잭(153)에 연결된다. 접속잭(153)은 차량의 전원잭(CJ, 도 1 참조)에 접속되게 형성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이 아닌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경우라면, 접속잭(153)은 콘센트에 대응하여 플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a cable 151 and a connection jack 153. One end of the cable 151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153. The connection jack 15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jack (CJ, see Fig. 1) of the vehicle.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used in an indoor space other than a vehicle, the connection jack 153 may be formed in a plug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발광 유닛(170)은, 전송 유닛(130)[및 전원공급 유닛(15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발광 유닛(170)은, 구체적으로, 몸체(110)의 상면(11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광원으로서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유닛(170)은 제1 내면(115) 측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171)과, 제2 내면(116) 측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71)은 제1 전송 코일(132)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발광부(173)은 제2 전송 코일(133)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71)과 제2 발광부(173)에 대한 제어는 전송 제어부(13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170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o notify the user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unit 13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light emitting unit 170 may include on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ody 110.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n LED as a light source. The light emitting unit 170 includes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171 locat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115 si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173 locat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116 side .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171 may be used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173 may be used to display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 The control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7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73 may be perform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단순히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수용부(113)에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e user merely needs to pu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nto the receiving section 113.

이 경우에,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또한 수용부(113)에 대부분이 수용된 상태이므로, 진동 등의 영향에도 수용부(113)에서 이탈될 가능성은 낮아진다. 수용부(113)가 몸체(51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이탈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것이다.In this case, since mos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also housed in the receiving section 113, the possibility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ection 113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becomes low. I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3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body 510, the possibility of such disengagement will be further lowered.

결과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충전을 위한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충전을 위한 상태로 안정적을 유지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ile it is simple to plac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n a state for charg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for charging .

또한, 두 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이 구비된다면, 그 중 어느 하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는 제1 내면(115) 및 제2 내면(116)에 대한 구분 없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수용부(113)에 투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if two transmission coils 132 and 133 are provided, one of them will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either the first inner surface 115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input into the receiving section 113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es 116.

이상의 전송 유닛(130), 전원공급 유닛(150), 및 발광 유닛(170)들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관련하여 어떻게 작동하는지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bove transmission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relation to how they operate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IG.

도 3은 도 2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130 of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도 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전력 신호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면, 이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FIG. 2)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receiving the power signal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A battery is charged, or power is suppli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이하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구체적으로는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연관된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lated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전송 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전송 코일(131) 및 전송 제어부(135)에 더하여, AC/DC 컨버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의 배터리(DC 전류를 저장하는)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AC/DC 컨버터(141)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AC / DC converter 141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described above. However,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utilizes the vehicle's battery (which stores the DC current), the AC / DC converter 141 may not be needed.

먼저, 전송 코일(131)은 전력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즉,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이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ower signal to the reception coil 210 of the power reception device 200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In this embodiment, two coils (that is,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can be applied.

다음으로, 전송 제어부(135)는, 객체 감지부(136), 중앙제어부(137), 스위칭제어부(138), 구동드라이버(139) 및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include an object sensing unit 136, a central control unit 137, a switching control unit 138, a driving driver 139, and a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객체 감지부(136)는 전송 코일(131)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즉 아이디 확인부로서의 기능을 가짐). 나아가,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되는 경우에, 객체 감지부(136)는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감지부(136)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상태 신호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송 코일(131)을 통해 전송되는 아이디 호출 신호의 응답신호인 아이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 하여 처리하고, 충전 중, 배터리 셀이나 충전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The object sensing unit 136 can sense a load change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determine whether the load change is cau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e., function as an ID checking unit). The object sensing unit 136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When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composed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determined. The object sensing unit 136 performs a function of filtering and processing the charge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when the ID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of the ID cal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received, the ID signal is filtered and processed, and a charge stat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battery cell or the charge voltage Once received, it filters and processes it.

중앙 제어부(137)는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전송 코일(131)에서 수신되는 아이디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 코일(131)을 통해 무선전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된 경우에, 중앙 제어부(137)은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에 따라 두 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 중 수신 코일(210)에 가까운 하나의 전송 코일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 코일(210)의 방향(위치)을 구별하지 않고 수용부(113, 도 1)에 넣으면, 중앙 제어부(137)가 알맞은 전송 코일(132 또는 133)로 수신 코일(210)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중앙 제어부(137)는 전송 코일(131)로부터 충전 상태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구동 드라이버(139)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analyzes the iden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riving driver 139.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controls the two transmission coils 132 and 132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136.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composed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133, only one of the transmission coils close to the reception coil 21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reby, when the user inserts the direction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0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3 (Fig. 1) without discrimination, the central control portion 137 controls the receiving coil 210 with the appropriate transmitting coil 132 or 133, Lt; / RTI >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controls the drive driver 139 to change the wireless power signal based on the charge stat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

스위칭제어부(138)는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와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의 사이에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이 예시되나, 전송 코일(131)이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스위칭제어부(138)가 불필요하게 된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38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between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In this embodiment, two transmission coils 132 and 133 are illustrated. However, when only one transmission coil 131 is use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8 is unnecessary.

구동 드라이버(139)는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를 통해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drive driver 13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 전원을 생성하여 전송 코일(131)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제어부(137)가 요구되는 전력 값을 갖는 전력 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면, 구동 드라이버(139)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 값에 대응하는 송출 전력을 전송 코일(131)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을 통해 각각 제 1 객체 감지 신호와 제 2 객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generates a transmission power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and supplies it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In other words,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 power signal having a required power value to the drive driver 139, the drive driver 139 generates a series resonance Type converter 140 and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applies the transmission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value requir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so that the required intensity So that the wireless power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can be transmitted.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object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object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And serves to supply power.

AC/DC 컨버터(141)는 220V 또는 110V 의 교류 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장치로서,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에 의해, 출력 전압 값이 변경된다. 그러나, AC/DC 컨버터(141)는, 전술한 바대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의 배터리(DC 전류를 저장하는)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필요하지 않다. The AC / DC converter 141 is an apparatus for changing an AC power source of 220 V or 110 V to a DC power source of a predetermined voltage. The output voltage value is chan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However, the AC / DC converter 141 is not necessary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uses the battery (storing the DC current)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전력 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수신 코일(210),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정류된 전력으로 충전되는 배터리셀 모듈(230), 그리고, 수신 코일(210), 정류부(220) 및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ing a power signal and receiving power includes a receiving coil 210 for generating an inductive power based on the transmitted power signal, a rectifying unit 220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And a receiving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receiving coil 210, the rectifying unit 220 and the battery cell module.

수신 코일(210)은 전송 유닛(130)의 전송 코일(13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The receiving coil 21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coil 131 of the transmitting unit 130.

정류부(220)는 수신 코일(2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며, 충전 개시 전까지는 충전전압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rectifying unit 220 rectifies the radio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210 to a DC voltage and maintains the charged state until the charging starts.

배터리셀 모듈(230)은 수신 제어부(240)의 제어를 받아 정류부(220)에서의 직류 전원을 통해 충전이 되는 충전 대상이 된다. 한편, 배터리셀 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또한,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Under the control of the reception control unit 240, the battery cell module 230 becomes a charging object to be charged through the DC power source in the rectifying unit 220.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module 230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such as an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evention circuit,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the like, and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cell.

수신 제어부(240)는 정류부(220)에서 충전된 전원의 전류를 제어하여 배터리셀 모듈(230)로 적절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reception controller 24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current of the power source charged in the rectifier 220 so that a proper current flows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230.

한편,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검파를 위하여 3개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3개의 센서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직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직류 전류 센서와, 전송 코일(131)의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 전류 센서 및 교류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ree sensors may be installed for detect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side. The three sensors may include a DC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C current of the drive driver 139 and an AC current sensor and an AC voltage sensor for measuring AC current and AC voltage of the transfer coil 131.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 신호(즉, 아이디 신호 및 충전 상태 신호를 포함)가 전송 코일(131)을 통해 수신되게 되면, 이에 따라, 코일(131)에서의 전류 및 전압과 구동 드라이버(139)에서의 전류가 변동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무선전력 수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That is, when a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ncluding an ID signal and a charging sta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the current and voltage in the coil 131 And the driving driver 139 are changed,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s received by sensing the current.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중앙 제어부(137)는, 교류 전류 센서, 직류 전류 센서, 교류 전압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모두 에러인 경우에만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만약, 2 이상의 신호가 정상신호인 경우, 이들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이중 최선의 신호(전력 레벨이 가장 높은 신호)를 선택하고, 그 최선의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수신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more accurate recep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s possible by using three sensors.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generates an error signal only when the signals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sensor, the DC current sensor, and the AC voltage sensor are all in error. If any one of them is a norma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If two or more signals are normal signals, their power levels are measured, the best signal (the signal with the highest power level) is selected, the best signal is processed to acquire the radio received signal, Thereby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다음으로,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의 작동 상태와 관련하여, 중앙 제어부(137)가 발광 유닛(170)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Next,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anner in which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controls the light emission unit 170. FIG.

먼저,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중앙 제어부(137)는 제1 발광부(171)와 제2 발광부(173) 모두가 적어도 일부 광원이라도 발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171) 및 제2 발광부(173) 각각의 두 개의 광원 중에 하나가 녹색광을 출력['대기 상태의 출력']하는 것이다.First, when both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operate normally,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7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73 are at least partially So that even a light source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For example, one of the two light source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17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173 outputs green light ('output in a standby state').

만약, 수신 코일(210)이 제1 전송 코일(132)로부터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받고 있는 경우라면, 제1 발광부(171)은 나머지 하나의 광원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색의 광을 출력['충전 상태의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은 충전이 진행 중에는 황색이다가, 완충 시에는 녹색으로 전환될 수 있다. If the receiving coil 210 is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71 outputs light of a color indicating that the remaining one light source is also being charged, Output of charge state ']. The light is yellow when charging is in progress, but can be switched to green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이와 달리, 제1 전송 코일(132)이 작동 이상이면, 중앙 제어부(137)는 제1 발광부(171)를 전체적으로 비활성화시키고 제2 발광부(173)만 대기 상태의 출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37)는 그와 함께, 제1 전송 코일(132)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2 전송 코일(133)만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Alternatively, i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operates abnormally,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may inactivat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71 entirely and output only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73 in a standby state.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controls only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to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위 상황에서, 수신 코일(210)이 제1 전송 코일(132)에 대응하도록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배치된 경우라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수용부(113)에서 꺼내져서 뒤집어서 다시 수용부(113)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를 알리기 위해, 중앙 제어부(137)는 제2 발광부(173)의 나머지 하나의 광원이 황색광으로 점멸하는 출력['오정렬 상태의 출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꺼내서 뒤집어 수용부(113)에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부(137)는 제2 전송 코일(133)이 수신 코일(210)에 대응됨을 판단하여, 제2 발광부(173)가 충전 상태의 출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situation, i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arranged so that the receiving coil 210 corresponds to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3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taken out of the receiving section 113 and turned over And t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3 again. In order to inform such a necessity,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may cause the remaining one light source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73 to output an output ['output in a misaligned state'] in which the yellow light is blinking. Thereby, the user can take ou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nd put it in the receptacle 113 in the upside.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corresponds to the reception coil 210, so tha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73 outputs the charged state output.

다음으로, 앞서의 무선전력 전송장치(20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other aspect o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Fig.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는, 앞선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유사하게 몸체(310)와, 전송 유닛(330)과, 전원공급 유닛, 및 발광 유닛[370(도 6 참조), 371 및 373]을 포함하나, 전송 코일(331, 도 5)을 구비하는 코일 패널(331)이 수용부(313)의 폭 방향(W)으로 이동될 수 있고 수용감지센서(343) 및 완충보호 부재(380)가 더 구비되는 점 등에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includes a body 310, a transmission unit 330, a power supply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370 6), but the coil panel 331 including the transmission coil 331 (FIG. 5)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313 and the reception detection sensor 343 And the buffering protecting member 380 are further provided.

구체적으로, 몸체(310)의 수용부(313)의 입구(314)의 양측에는 돌출된 부분(3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19)는 사용자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도 2 참조)를 수용부(313)에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구(314)의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입구(314) 측에는 덮개(320)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320)는 입구(314)를 개폐하면서 수용부(314)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Specifically, protruding portions 319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314 of the receiving portion 313 of the body 310. [ This protrusion 319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inlet 314 when the user intends to pu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see Fig. 2) into the receiving portion 313. The lid 320 may be provided on the inlet 314 side. The cover 320 opens and closes the inlet 314 to block the entry of foreign matter into the receiving portion 314.

또한, 전송 유닛(330)은, 코일 패널(331)과, 전송 제어부(335)과, 이동 모듈(33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330 may include a coil panel 33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and a movement module 336. [

코일 패널(331)은 이동 모듈(336)에 의해 폭 방향(W)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코일 패널(331)은 패널몸체(332)와, 가압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몸체(332)는 전송 코일(3311, 도 5)을 내장하며 대체로 사각 패널 형태일 수 있다. 패널몸체(332)는 수용부(313)의 제1 내면(315)과 제2 내면(316)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면(315)은 제2 내면(316) 보다는 입구(314)의 중심을 관통하는 선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다. 제1 내면(315)의 후퇴된 폭은 제1 내면(315) 측에 위치하는 패널몸체(332)의 이동 공간이 폭을 늘려준다. 패널몸체(332)의 입구(314) 단부 측에는 제2 내면(316)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33)는 스펀지나 부직포 등과 같이, 완충성 및 마찰력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il panel 331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W by the moving module 336. [ The coil panel 331 may include a panel body 332 and a pressing portion 333. The panel body 332 incorporates a transmission coil 3311 (FIG. 5) and can be generall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nel. The panel body 33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315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31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surface 315 is retracted from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let 314 rather than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The retracted width of the first inner surface 315 increases the width of the moving space of the panel body 332 locat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315 side. A pressing portion 333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may be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inlet 314 of the panel body 332. The pressing portion 33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buffering and frictional properties, such as a sponge or a nonwoven fabric.

전송 제어부(335)는 이동 모듈(3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송 제어부(335)는 몸체(310)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라면, 수용부(313)에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삽입됨에 따라 충격으로부터, 바닥면(317)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덜 영향을 받게 된다.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336. [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310. In such a case, a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13, the impact is less affected than when it is disposed under the floor surface 317 from the impact.

이동 모듈(336)은, 모터(337)와, 피니언(338), 랙(339), 압력 센서(340), 안내 돌기(341), 안내 채널(342), 및 수용감지센서(34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338)은 모터(337)의 출력축에 설치된다. 랙(339)은 피니언(338)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또한 패널몸체(332)에 연결된다. 압력 센서(340)는 패널몸체(332)의 제2 내면(316)을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다. 안내 돌기(341)는 패널몸체(332)에 연결되며, 안내 채널(342)에 삽입된다. 수용감지센서(343)는 수용부(313)의 바닥면(317)에 설치되어, 수용부(313)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도 2 참조)를 감지하게 된다. The movement module 336 includes a motor 337 and a pinion 338, a rack 339, a pressure sensor 340, a guide projection 341, a guide channel 342, and a reception sensor 343 can do. The pinion 338 is mount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337. The rack 339 is disposed to engage with the pinion 338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panel body 332. [ The pressure sensor 340 is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of the panel body 332. The guide protrusion 341 is connected to the panel body 332 and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342. The reception sensing sensor 343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317 of the receiving portion 313 to sens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see FIG. 2)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13.

다음으로, 완충보호 부재(380)는 수용부(313)의 바닥면(317)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보호 부재(380)는 수용부(313)에 투입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의 바닥면(317)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완충보호 부재(380)는, 본 실시예에서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일 수 있다. 그와 달리, 완충보호 부재(380)는 스프링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완충보호 부재(380)는 수용감지센서(343)보다는 돌출 형성되어, 수용감지센서(343)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충돌되지 않게 한다. 수용부(313)의 입구(314)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몸체(310)의 바닥면(317)에 제2 관통공(319)이 형성될 때, 제2 관통공(319)을 덮는 완충보호 부재(380)에는 그에 대응하여 제1 관통공(381)이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cushioning protecting member 38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317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13. The shock absorbing protective member 380 absorbs the impact on the bottom surface 317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at is put into the receiving portion 313. [ The buffering protecting member 380 may be a pad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ernatively, the cushioning protecting member 380 may be a spring. At this time, the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380 is protruded rather than the cushioning sensor 343, so that the cushioning sensor 343 does not collid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19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17 of the body 310 for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4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13, The first through hole 38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ushioning protecting member 380 covering the first through hole 380. [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용부(313)에 수용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사이즈[주로, 폭 방향(W)을 따르는 두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전송 제어부(335)가 이동 모듈(336)을 제어하여 코일 패널(331)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size (mainly the thicknes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13 is change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controls the moving module 336 So that the coil panel 331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구체적으로, 모터(337)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338)에 맞물린 랙(339)이 폭 방향(W)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랙(339)에 연결된 코일 패널(331)은 폭 방향(W)으로 좌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코일 패널(331)에 연결된 안내 돌기(341)는 안내 채널(342)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 패널(331)을 따라 이동되므로, 코일 패널(331)의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rack 339 engaged with the pinion 338 is moved laterally in the width direction W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37. Thereby, the coil panel 331 connected to the rack 339 can be moved laterally in the width direction (W).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341 connected to the coil panel 331 is moved along the coil panel 33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342, so that the posture of the coil panel 331 is maintained.

이러한 이동 모듈(336)의 작동은, 객체감지부(136, 도 3)가 수신 코일(210)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중앙 제어부(335')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336 may be perform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36 (FIG. 3) sensing the reception coil 210 and controlling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이와 달리, 이동 모듈(336)의 작동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용부(313)에 투입됨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용감지센서(343)의 감지 결과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336)의 작동 중지를 위해서는 압력 센서(340)의 감지 결과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336)의 작동 및 그 작동의 중지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위해 발광 유닛(370)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dule 336 may be perform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313. [ For this purpos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ception sensor 343 can be us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essure sensor 340 for stopping the movement module 336. Further, a light emitting unit 370 may be use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336 and the operation thereof. Specific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제, 코일 패널(33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ow,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il panel 3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코일 패널(331)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panel 331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 패널(331)의 패널몸체(332)는, 전송 코일(3311)과, 코어(3315)와, 보호코팅층(33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nel body 332 of the coil panel 331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3311, a core 3315, and a protective coating layer 3317. [

전송 코일(3311)은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은 서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oil 3311 may include a pair of sub-coils 3312 and 3313. [ At this time, the pair of sub-coils 3312 and 3313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코어(3315)는 자성체 물질로 성형된다. 이때, 자성체 물질로는 페라이트(Ferri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압축 성형하면 코어(3315)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전송 코일(3311)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코어(3315)는 그의 넓은 면에 전송 코일(3311)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3316)를 구비할 수 있다. 오목부(3316)는 두 개 층의 바닥면을 갖는 계단식 구조를 이루어,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 들이 서로 일부 중첩된 채로 배열된 상태를 이루게 한다.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의 끝단들은 코어(3315)의 오목부(3316)를 한정하는 측벽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코어(3315)는 오목부(3316)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오목부(3316)를 가지지 않은 단순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re 3315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Ferrit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gnetic material. Compressing the material may shiel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coil 3311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re 3315. The core 3315 may have a concave portion 3316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coil 3311 on its wide surface. The concave portion 3316 has a stepped structure having two layers of bottom surfaces, so that the pair of sub-coils 3312 and 3313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ends of the pair of sub coils 3312 and 3313 can extend outwar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defining the concave portion 3316 of the core 3315. [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re 3315 is described as having the concave portion 3316,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re 3315 as a simple plate type without the concave portion 3316.

보호코팅층(3317)은 전송 코일(3311)에 도포된 코팅 물질에 의해 이루어지는 층이다. 상기 코팅 물질은 전송 코일(3311)의 일 면, 또는 양면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UV 코팅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코팅층(3317)은 전송 코일(3311)에 가해지는 진동, 습기, 열 등의 영향으로부터 전송 코일(3311)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3317 is a layer made of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transfer coil 3311. The co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ransfer coil 3311. For the coating, for example, a UV coating method may be used.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3317 is provided to protect the transfer coil 3311 from the influence of vibration, moisture, heat, and the like applied to the transfer coil 3311.

이러한 패널몸체(332)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ther forms of such a panel body 33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도 4의 패널몸체(332)의 일 변형예에 따른 패널몸체(332')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nel body 332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anel body 332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몸체(332')는 전송 코일(3311')로서 하나의 코일만을 구비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의 패널몸체(332)와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panel body 332 'differs from the panel body 332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it has only one coil as the transmission coil 3311'.

그에 의해, 오목부(3316')는 단일한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바닥면만을 갖게 된다. 나아가, 코어(3315') 또한 앞선 실시예의 코어(3315) 보다는 작아지며, 전체적으로 좀 더 폭이 짧아지게 된다. Thereby, the concave portion 3316 'has only the bottom surface forming one plane having a single depth. Further, the core 3315 'is also smaller than the core 3315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overall width becomes shorter.

기타, 보호코팅층(3317') 역시 하나의 전송 코일(3311')을 덮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3317 'is also formed so as to cover one transmission coil 3311'.

이러한 구성의 패널몸체(332')는, 앞선 실시예의 패널몸체(332)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서, 그 보다 작은 부피(두께 및 폭)를 갖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 panel body 33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anel body 332' has a smaller volume (thickness and width) than the panel body 332 of the previous embodiment.

이상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for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도 7은 도 4의 전송 제어부(335)의 중앙 제어부(335') 및 그가 제어하는 구성들과의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of FIG. 4 and the configurations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송 제어부(335)는 중앙 제어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35')는 코일 패널(331)의 이동 및 전송 코일(3311)에 의한 무선전력신호 출력 등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90)는 중앙 제어부(335')에 코일 패널(331)의 이동 등에 관한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390)는 버튼 방식의 키, 터치 키, 또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35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unit 335 '.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oil panel 331 and the output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by the transmission coil 3311. The user input unit 390 is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signal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coil panel 331 to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 To this end, the user input unit 390 may include a button-type key, a touch key, or a voice recognition module.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335')는 수용감지센서(343)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부(313)에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용된 상태라면, 중앙 제어부(335')는 이동 모듈(336)의 모터(337)를 작동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13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ception sensing sensor 343. I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operates the motor 337 of the movement module 336. [

모터(337)의 작동으로 패널몸체(332)는 제2 내면(316)을 향한 방향으로 폭 방향(W)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패널몸체(332)의 전진에 따라 압력 센서(34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해 가압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340)가 감지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중앙 제어부(335')는 모터(337)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부(333)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상측[입구(314)에 가까운 위치]에서 가압함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진동 등에 의해 입구(314) 밖으로 튀어 나가려는 것을 보다 강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The operation of the motor 337 causes the panel body 332 to adv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 As the panel body 332 advances, the pressure sensor 340 is pres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Based o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340,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tor 337. [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portion 333 presse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t the upper side (position near the inlet 314),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ries to jump out of the inlet 314 by vibration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more strictly restrict the above.

중앙 제어부(335')는 전송 코일(3311)을 이루는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과 수신 코일(210)의 관계에 따라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 중 어느 코일에 수신 코일(210)이 대응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 중 어느 코일이 수신 코일(210)에 대응하는지 판단한 메커니즘에 따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코일(210)의 위치[주로, 몸체(310)의 높이 방향을 따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수신 코일(210)에 최적의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서 수신 코일(210)의 위치에 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대로, 코일 패널(331) 및 다른 코일 패널[제2 내면(316) 측의 것] 중 수신 코일(210)에 대응하는 코일 패널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용부(313)에 대한 투입 방향의 자유도 또한 향상된다. 그러나, 수신 코일(210)의 위치[몸체(310)의 높이 방향을 따른 위치]의 변화가 거의 없다면, 이상과 같은 한 쌍의 서브 코일(3312 및 3313)과 수신 코일(210)의 관계에 따른 제어가 불필요하다. 이때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널몸체(332')를 채용하는 것이 구조적 및 제어적으로 간단한 구성의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35'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b coils 3312 and 3313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r of sub coils 3312 and 3313 forming the transmission coil 3311 and the reception coil 210, So that the power signal is output. The determination as to which coil of the pair of sub-coils 3312 and 3313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coil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It is possible to follow a mechanism for determining which coil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coil 210. [ In this manner, the optimum radio powe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oil 210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0 (mainly the posi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310) The degree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oil panel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coil 210 among the coil panel 331 and the other coil panel (on the sid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outputs a radio power signal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input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13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also improved. However, if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0 (the posi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3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ir of sub coils 3312 and 3313 and the receiving coil 210 No control is required. At this time, employing the panel body 33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simple and structurally simple configuration.

중앙 제어부(335')는, 코일 패널(331) 또는 다른 코일 패널[제2 내면(316) 측의 것]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충전 중에, 발광 유닛(370)을 이용하여 그에 관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러한 알림 방법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35'may use the light emitting unit 370 whil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being charged by using the coil panel 331 or another coil panel (on the second inner surface 316 side)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status of the operation. Such a notif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with reference to FIG. 3.

중앙 제어부(335')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모터(337)를 작동시켜 코일 패널(331)을 제1 내면(315) 측으로 약간 후퇴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수용부(313)에서 꺼내는데 대한 제한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충전 중이라도, 사용자 입력부(390)를 통해 명령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중앙 제어부(335')는 코일 패널(331)을 상기와 같이 후퇴시킬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may operate the motor 337 to slightly retract the coil panel 331 toward the first inner surface 315 when the charging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completed. This is to reduce the restriction of the user to take ou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rom the receiving section 313. Alternatively, even when charg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when the comm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390, the central control unit 335 'may retract the coil panel 331 as described above.

이상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도 4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는, 앞선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와 유사하게 몸체(410)와, 전송 유닛(430)과, 전원공급 유닛, 및 발광 유닛(470) 등을 포함하나, 코일 패널(431)이 수용부(413)의 폭 방향(W)의 중앙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됨에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includes a body 410, a transmission unit 430, a power supply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470, simila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But the coil panel 431 is elastically deflected to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3.

구체적으로, 전송 유닛(430)은, 코일 패널(431)과, 전송 제어부(435)과, 이동 모듈(436)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unit 430 may include a coil panel 43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435, and a movement module 436. [

코일 패널(431)은 입구(414)의 코너가 라운드 처리되어, 입구(414)로 삽입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도 2)가 코일 패널(431)을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The coil panel 431 is formed such that the corners of the inlet 414 are rounded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FIG. 2) inserted into the inlet 414 can press the coil panel 431 in the right direction do.

이동 모듈(336)은, 로드(437), 수용 채널(438), 및 탄성체(439)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437)는 코일 패널(431)에 일 단이 연결되며, 타 단은 수용 채널(438)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수용 채널(438)은 몸체(410)의 제1 내면(415) 측에 폭 방향(W)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탄성체(439)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탄성체(439)는 로드(437)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코일 패널(431)이 제1 내면(415) 측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The transfer module 336 may include a rod 437, a receiving channel 438, and an elastic body 439. The rod 437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il panel 431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channel 438. The receiving channel 438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n the first inner surface 415 side of the body 410. The elastic body 439 is,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The elastic body 439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rod 437 so that the coil panel 431 is resilient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surface 415 sid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코일 패널(431)은 입구(414)의 폭 보다 좁은 폭을 형성하도록 수용부(413)의 중심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된 상태로 배치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il panel 431 is arranged to be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3 so as to form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414.

이때, 수용부(413)에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도 2)가 투입되면, 수신장치(200)에 의해 가압된 코일 패널(431)은 탄성체(439)의 반발력을 극복하면서 수용부(413) 내로 삽입된다. 그에 의해, 수신장치(200)는 수용부(413) 내에서 코일 패널(43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2)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413, the coil panel 431 pressurized by the receiving device 200 is moved to the receiving portion 413 while overcom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439. At this time, ). There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il panel 431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13. [

이제, 또 다른 형태의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500)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ow another type of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Fig.

먼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500)가 차량의 컵 홀더(CH')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p holder CH 'of a vehicl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내에는 컵 홀더(CH')가 구비되고, 또한 전원잭(CJ)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a cup holder CH 'and a power jack CJ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이러한 컵 홀더(CH') 및 전원잭(CJ)을 이용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500)는, 몸체(510)와, 전송 유닛(550)과, 전원공급 유닛(570)을 포함할 수 있다. A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using such a cup holder CH 'and a power jack CJ may include a body 510, a transmission unit 550 and a power supply unit 570.

몸체(510)는, 설치부(520)와 및 충전부(530)를 포함하고, 나아가 로드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520)는 대상물인 컵 홀더(CH')의 리세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컵 홀더(CH')의 리세스가 원통형이므로, 설치부(520)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53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35)를 구비한다. 수용부(535)는 전면은 일부만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가지고 배면은 무선전력 전송장치(500)를 전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590)는 설치부(520)와 충전부(530)를 연결하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590)는 휘어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설치부(520)에 대한 충전부(530)의 위치나 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The body 51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520 and a charging portion 530, and may further include a rod portion 590. The mounting portion 520 is a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 of the cup holder CH 'which is an object. Since the recess of the cup holder CH 'is cylindrical, the mounting portion 520 can als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harging unit 530 includes a receiving unit 535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e receiving portion 535 may be formed to support onl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partially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500 on the rear surface. The rod portion 590 connects the mounting portion 520 and the charging portion 530, and may be formed into a rod shape. The rod portion 590 is formed of a curved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charging portion 53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520 can be freely changed by a user.

전송 유닛(550)은 충전부(530)에 내장되어, 수용부(535)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송 유닛(550)은, 앞선 실시예의 전송 유닛(130 또는 330)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다시 설명하지는 않는다.The transmission unit 550 is built in the charging unit 53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535. [ This transmission unit 55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130 or 330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will not be described again.

전원공급 유닛(570)은 전송 유닛(550)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을 전송 유닛(55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원공급 유닛(570)은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원잭(CJ)에 연결되는 접속잭과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70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55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of the vehicle to the transmission unit 550. The power supply unit 570 may include a connection jack and a cable which are connected to the power jack CJ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컵 홀더(CH')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5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무선 충전 중에도,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로드부(590)의 변형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사용자에 대한 각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the cup holder CH 'of the vehicl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displa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during wireless charging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urther,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rod portion 590, the angl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with respect to the user can be optimized.

이상의 설치부(520)의 구성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5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도 9의 설치부(520)의 상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change of the mounting portion 52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설치부(520)는, 베이스부(521)와, 고정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mounting portion 520 may include a base portion 521 and a fixing portion 523. [

베이스부(521)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컵 홀더(CH', 도 9)의 원통형의 리세스에 삽입되게 된다. The base portion 5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recess of the cup holder CH '(FIG. 9).

고정부(523)는 베이스부(521)가 컵 홀더(CH')의 리세스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부(523)는 베이스부(521)의 외주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다리(5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524)의 자유단에는 다리(524) 보다는 마찰력이 좋은 스펀지, 고무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다리(524)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베이스부(521)에 수용된 상태[도 9의 (a)]와 베이스부(521)의 외측 방향(O)으로 돌출된 상태[도 9의 (b)] 간에 이동될 수 있다. 다리(524)의 외측 방향(O)으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조작부(526)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523 is configured to fix the base portion 521 to the recess of the cup holder CH '. The fixing portion 523 may include a leg 524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521. A sponge, rubber or the like having a better frictional force than the leg 524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g 524. The legs 524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state and protrude in the outer direction O of the base portion 521 (Fig. 9 (b))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base portion 521 ]. In order to move the leg 524 in the outward direction O,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ng portion 526.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컵 홀더(CH')의 리세스의 사이즈가 차량마다 다르더라도, 베이스부(521)의 단면의 기본 직경은 최소로 하면서 고정부(523)를 이용하여 베이스부(521)가 각 컵 홀더(CH')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size of the recess of the cup holder CH 'differs from one vehicle to another, the base portion 5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using the fixing portion 523 while minimizing the basic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521 And can be fixed to each cup holder CH '.

이상의 고정부(523)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The above-mentioned fixing unit 523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523) 중 구동부(525)를 보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525 of the fixing unit 523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523)는 다리(524, 도 9)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구동부(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25)는 다리(524)가 외측 방향(O)으로 이동되게 구동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ortion 523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ortion 525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leg 524 (FIG. 9). The driving unit 525 drives the legs 524 so as to move in the outward direction (O).

구동부(525)는, 구체적으로, 조작부(526)와, 캠부(527)와, 연결부(52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section 525 may specifically include an operating section 526, a cam section 527, and a connecting section 529. [

조작부(526)는 베이스부(521)의 상측에 노출도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캠부(527)는 베이스부(521)의 내측에 위치하며, 다리(524)에 맞물리도록 위치한다. 캠부(527)의 가압면(528)은 회전 각도에 따라 다리(524)를 외측 방향(O)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부(529)는 조작부(526)와 캠부(527)를 연결하도록 베이스부(521)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portion 52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521 so that the exposed door user can rotate. The cam portion 527 is located inside the base portion 521 and is positioned to engage with the leg 524. The pressing surface 528 of the cam portion 527 serves to press the leg 524 in the outward direction O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The connection portion 529 may be disposed in the base portion 521 so as to extend vertically so as to connect the operation portion 526 and the cam portion 527.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부(526)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그 회전에 따른 힘은 연결부(529)를 통해 캠부(527)로 전단된다. 상기 힘에 의해, 캠부(527)도 회전하게 되면서, 가압면(528)은 다리(524)를 점차로 외측 방향(O)으로 가압하게 된다. 다리(524)가 외측 방향(O)으로 구동되는 중에, 다리(524)의 자유단은 컵 홀더(CH')의 리세스의 내면에 압착되어, 설치부(520)가 컵 홀더(CH')에 고정되게 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portion 526, the force due to the rotation is sheared to the cam portion 527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29. [ As the cam portion 527 is rotated by the force, the pressing surface 528 gradually presses the leg 524 in the outward direction (O). While the leg 524 is driven in the outward direction O the free end of the leg 524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of the cup holder CH ' .

상기와 같은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anner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예를 들어, 마지막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500)에는 발광 유닛(170, 370)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지만, 그러한 구성은 위의 무선전력 전송장치(5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lth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last embodiment has not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units 170 and 370, such a configura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described above.

또한, 도 5를 참조한 전송코일(3311)의 구성은, 역시 이후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400, 500), 나아가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3311 referring to Fig. 5 can also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es 400 and 500 according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furthe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또한, 도 4를 참조한 이동 모듈(336) 및 수용감지센서(343), 그리고 완충보호 부재(380) 등의 구성 역시 마지막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500), 나아가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module 336 and the reception sensing sensor 343 and the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38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also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last embodiment, And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s well.

나아가,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공간에서 연필통이나 컵 등에 수용된 채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히고자 한다.
Although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hile being housed in a pencil case, I want to clarify.

100,300,400, 500: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10,310,410,510: 몸체 130,330,430, 550: 전송 유닛
150,350,570: 전원공급 유닛 170,370,470: 발광 유닛
380,480: 완충보호 부재 390: 사용자 입력부
100, 300, 400, 500: Receptacl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310, 410, 510: body 130, 330, 430, 550:
150, 350, 570: power supply unit 170,
380, 480: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390: user input part

Claims (26)

중공형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수용부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수용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과,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송유닛; 및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해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객체감지부; 및
상기 객체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대응하는 전송 코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A body having a hollow receiving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being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each of which is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us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ch that only o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ils selectively outputs the radio power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n object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which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rresponds to; And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oper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직육면체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like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발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송 코일이 작동 이상이면, 상기 발광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전송 코일의 작동 이상을 알리고 상기 제2 전송 코일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signal by notifying an operation error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is abnormal, Transmiss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제1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송 코일이 작동 이상이면 상기 제1 발광부는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발광부를 활성화시키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ght-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ctiv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is abnorm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측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오정렬을 알리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to notify misalignme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receiving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located o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수용부의 한 쌍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코일 패널; 및
상기 코일 패널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코일 패널을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coil panel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a pair of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coil panel including either the first transmission coil or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nd
And a moving module configured to connect the coil panel and the body, the moving module moving the coil panel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코일 패널에 연결되는 로드;
상기 몸체에 상기 로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채널; 및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일 패널을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bile module comprises:
A rod connected to the coil panel;
A receiving channel formed in the body to receive the rod; And
And an elastic body formed to surround the rod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il panel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널은,
패널몸체; 및
상기 패널몸체 중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대응하는 단부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내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il panel includes:
A panel body; And
And a press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ner surfaces of the panel body at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receiv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피니언이 결합된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 및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며, 상기 코일 패널에 연결되는 랙을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module,
The mobile module comprises:
A motor installed in the body and having an output shaft coupled with a pinion; And
And a rack coupled to the pinion and coupled to the coil pan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가 감지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bile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that is pres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cti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based on a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수용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수용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reception sensing senso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sens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ction for starting operation of the movement modul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reception detection sens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상기 수용감지 센서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수용감지 센서를 상기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ushioning protect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receptacle sensing sens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so as to protect the receptacle sensor from the impact while buffering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ransmission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몸체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보호 부재가 상기 제1 관통공을 덮는 경우에 상기 완충보호 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uffer protecting member when the buffer protecting member covers the first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어, 상기 전송 코일을 보호하는 보호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ating layer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protect the transmission coi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자성체 물질로 압축 성형되며, 상기 전송 코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코어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ore that is compression molded with a magnetic material and has a recess to receive the transmission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각각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서브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서브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includes a pair of sub coils partially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b-coils to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located below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전송 유닛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전원잭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접속잭을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And a connection jack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jack of the vehicle.
대상물의 원통형의 리세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와, 무선전력수신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충전부에 내장되고,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과,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송유닛; 및
상기 전송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해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이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객체감지부; 및
상기 객체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코일 및 상기 제2 전송 코일 중 대응하는 전송 코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A mounting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cylindrical recess of the object, and a charging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first transmission coil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which are built in the charging unit and are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input power;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only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selectively output the wireless power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transmission uni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n object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which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rresponds to; And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oper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원통형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리세스의 내면에 대해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mounting portion
A cylindrical base portion; And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the base portion to fix the base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을 통해 노출되록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리; 및
상기 다리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다리가 상기 외측 방향으로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fixing unit includes:
A leg that is expos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is mov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ase; And
And a driving portion formed to be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g so that the leg is driven in the outward direc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설치부와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고,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body,
And a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harging portion and formed to be bent.
KR1020130029091A 2013-03-19 2013-03-19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KR101455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091A KR101455343B1 (en) 2013-03-19 2013-03-19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PCT/KR2014/001396 WO2014148742A1 (en) 2013-03-19 2014-02-20 Receptacle-typ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091A KR101455343B1 (en) 2013-03-19 2013-03-19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13A KR20140114613A (en) 2014-09-29
KR101455343B1 true KR101455343B1 (en) 2014-10-27

Family

ID=5158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091A KR101455343B1 (en) 2013-03-19 2013-03-19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5343B1 (en)
WO (1) WO201414874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215B1 (en) 2014-10-10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er
US9793727B2 (en) 2014-10-10 2017-10-17 Samsung-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101693554B1 (en) * 2014-12-30 2017-01-09 갑을오토텍(주) Terminal charging device for vehicle
JP6909026B2 (en) 2017-03-23 2021-07-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and transmission equipment
CN113228455A (en) * 2018-10-18 2021-08-06 爱沃包公司 Bag with pocket for mobile phone and wireless battery char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763A (en) * 2005-12-13 2007-06-28 Seiko Epson Corp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8295273A (en) * 2007-05-28 2008-12-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Non-contact power transmitter
KR100952100B1 (en) * 2008-12-15 2010-04-13 유병철 Navigation coupling apparatus of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979A (en) * 2004-08-19 2006-03-02 Seiko Epson Corp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060107145A (en) * 2005-04-07 2006-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emo board for leaving of wireless char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763A (en) * 2005-12-13 2007-06-28 Seiko Epson Corp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8295273A (en) * 2007-05-28 2008-12-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Non-contact power transmitter
KR100952100B1 (en) * 2008-12-15 2010-04-13 유병철 Navigation coupling apparatus of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13A (en) 2014-09-29
WO2014148742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43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KR101993482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96390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ssion apparatus used therein
EP3136540B1 (en) Non-contact charger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batte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04643B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feeder and power receiver for use in the same
KR102097497B1 (en)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er
US20110074344A1 (en) Wireless charger using inductive coupling
KR101250267B1 (en)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wireless for car
KR101461101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037082A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182669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JP2012065537A (en) Battery built-in device and charging apparatus
JP2010098861A (en) Charger apparatus of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2044894A (en) Mobile device charging base, and mobile device and charging base system
KR10204508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1250644A (en) Battery pack, battery drive apparatus,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method of battery pack
KR101737232B1 (en)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R101409225B1 (en) 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KR102434072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40066010A (en)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wireless for car
KR200484841Y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KR102540921B1 (en)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5725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radle for vehicle
KR10226138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102167963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