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02B1 -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02B1
KR101658902B1 KR1020150045463A KR20150045463A KR101658902B1 KR 101658902 B1 KR101658902 B1 KR 101658902B1 KR 1020150045463 A KR1020150045463 A KR 1020150045463A KR 20150045463 A KR20150045463 A KR 20150045463A KR 101658902 B1 KR101658902 B1 KR 10165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awer
insertion holes
main body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Original Assignee
권오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익 filed Critical 권오익
Priority to KR102015004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이 형성된 제4 상면(410)과, 상기 제4 상면(410)의 하측에 제4 중공부(450)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4 빗물 배출홀(421)이 형성된 복수의 제4 오목홈(422)을 구비하는 제4 받침면(420)으로 구성되는 본체(400)와; 상기 본체(4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이 형성된 제1 상면(110)과, 상기 제1 상면(110)의 하측에 제1 중공부(160)를 갖도록 상기 제1 상면(110)과 제1 측면(1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1 빗물 배출홀(131)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홈(132)을 구비하는 제1 받침면(130) 및 상기 제1 받침면(13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바닥면(150)으로 구성되는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상기 본체(40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이 형성된 제2 상면(210)과, 상기 제2 상면(210)의 하측에 제2 중공부(260)를 갖도록 상기 제2 상면(210)과 제2 측면(2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2 빗물 배출홀(231)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홈(232)을 구비하는 제2 받침면(230) 및 상기 제2 받침면(23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바닥면(250)으로 구성되는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본체(400)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이 형성된 제3 상면(310)과, 상기 제3 상면(310)의 하측에 제3 중공부(360)를 갖도록 상기 제3 상면(310)과 제3 측면(3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3 빗물 배출홀(331)이 형성된 복수의 제3 오목홈(332)을 구비하는 제3 받침면(330) 및 상기 제3 받침면(330)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바닥면(350)으로 구성되는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는 제4 중공부(45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고, 상기 제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300)는 제1 중공부(16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며,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는 제2 중공부(26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3,4 우산 삽입홀(111,211,311,411)은 상기 본체(400)의 제4 중공부(450)에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청구항 2] (정정 : 최초출원서의 제2항 발명에 대한 구성 중 보정된 제2항 발명에는 제1 손잡이에 대한 구성만을 존치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항 발명에 병합)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120)은 제1 손잡이(1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EXTENDING DRAWER TYPE UMBRELLA STAND}
본 발명은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길이 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 다수의 우산을 꽂을 시에는 복수의 서랍식 우산꽂이가 본체로부터 확장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서랍식 우산꽂이가 본체에 수납되어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며, 본체로부터 확장되는 복수의 서랍식 우산꽂이의 바닥면의 상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을 구비하여 우산으로부터 떨어진 빗물이 하나의 빗물받이에 모여져 제거될 수 있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된 우산꽂이는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우산을 한꺼번에 꽂아 넣게 되므로, 꽂혀있는 우산이 서로 섞여 우산을 찾기 어렵게 될 뿐 아니라, 우산을 꽂을 때 주변에 있는 다른 우산이 손상되거나 우산을 뽑을 때 다른 우산이 딸려 나와 함께 뽑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패널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우산을 각각의 구멍에 하나씩 꽂도록 된 우산꽂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꽂이는 부피가 커서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산은 접히지 않는 장우산이나 2단 또는 3단으로 접히는 접이식우산 등이 있으며, 각각의 우산은 접은 서로 길이가 다르게 구성되는데, 우산꽂이의 구멍에 길이가 짧은 접이식우산을 끼울 경우, 우산의 길이가 짧아 패널에 고정되지 않고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접이식우산은 장우산의 우산대와 기지부분을 접어 길이를 줄이므로, 길이가 줄어든 만큼 지름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한국 등록특허 제 10-1080822 호이다.
상기 선행특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와, 우산(1,2)을 꽂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삽입공(21)이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케이스(10)를 지지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는 상호 이격되는 전, 후방패널(31,32)과,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부(33a)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전, 후방패널(31,32)의 양단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사이드패널(33)로 이루어져서, 상하단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측면과 하부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0)의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는 상호 조립되어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지지대(30)를 접은 후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를 조립한 박스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며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꽂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사용시에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립 및 분해해야 하기에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 10-1080822 호 "우산꽂이" (등록일자 : 2011. 11. 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정한 수납 길이를 구비한 서랍식 우산꽂이가 본체로부터 세 방향으로 확장되어 다양한 길이의 다수의 우산이 우산 길이별로 우산꽂이에 수납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서랍식 우산꽂이가 본체에 수납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는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이 형성된 제4 상면과, 상기 제4 상면의 하측에 제4 중공부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4 빗물 배출홀이 형성된 복수의 제4 오목홈을 구비하는 제4 받침면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이 형성된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면의 하측에 제1 중공부를 갖도록 상기 제1 상면과 제1 측면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1 빗물 배출홀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홈을 구비하는 제1 받침면 및 상기 제1 받침면의 하부에 구비된 제1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이 형성된 제2 상면과, 상기 제2 상면의 하측에 제2 중공부를 갖도록 상기 제2 상면과 제2 측면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2 빗물 배출홀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홈을 구비하는 제2 받침면 및 상기 제2 받침면의 하부에 구비된 제2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이 형성된 제3 상면과, 상기 제3 상면의 하측에 제3 중공부를 갖도록 상기 제3 상면과 제3 측면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3 빗물 배출홀이 형성된 복수의 제3 오목홈을 구비하는 제3 받침면 및 상기 제3 받침면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는 제4 중공부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고, 상기 제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는 제1 중공부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며,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는 제2 중공부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3,4 우산 삽입홀은 상기 본체의 제4 중공부에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는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다량으로 수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꽂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우산꽂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사용상태 도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작동상태 도시도.
도 6은 도 4의 요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다른 요부의 확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사용상태 도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의 작동상태 도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요부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의 다른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는 본체(400)와, 상기 본체(400)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상기 본체(400)의 전면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와, 상기 본체(400)의 타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400)의 제4 중공부(450)에는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와,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상이한 방향(일측, 타측 및 전면 방향)에서 수납되며,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의 제1 중공부(160)에는 상기 제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300)가 상이한 방향에서 수납되며,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의 제2 중공부(260)에는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상이한 방향에서 수납된다.
또한,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는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이 형성된 제1 상면(110)과, 제1 손잡이(121)가 장착된 제1 측면(120)과, 상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에 대응하고 중앙에 제1 빗물 배출홀(131)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홈(132)을 구비한 제1 받침면(130)과, 상기 제1 받침면(1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본체(400) 쪽(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일측이 경사져있는 제1 경사면(140)과, 상기 제1 경사면(140)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바닥면(150), 및 제1 중공부(1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는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이 형성된 제2 상면(210)과, 제2 손잡이(221)가 장착된 제2 측면(220)과, 상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에 대응하고 중앙에 제2 빗물 배출홀(231)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홈(232)을 구비한 제2 받침면(230)과, 상기 제2 받침면(2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본체(400) 쪽(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일측이 경사져있는 제2 경사면(240)과, 상기 제2 경사면(240)의 하부에 설치된 제2 바닥면(250), 및 제2 중공부(2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는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이 형성된 제3 상면(310)과, 제3 손잡이(321)가 장착된 제3 측면(320)과, 상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에 대응하고 중앙에 제3 빗물 배출홀(331)이 형성된 복수의 제3 오목홈(332)을 구비한 제3 받침면(330)과, 상기 제3 받침면(3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본체(400) 쪽(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일측이 경사져있는 제3 경사면(340)과, 상기 제3 경사면(340)의 하부에 설치된 제3 바닥면(350), 및 제3 중공부(3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400)는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이 형성된 제4 상면(410)과,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에 대응하고 중앙에 제4 빗물 배출홀(421)이 형성된 복수의 제4 오목홈(422)을 구비한 제4 받침면(420), 및 상기 제4 받침면(4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와,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를 통해 상기 본체(400)로 인입한 빗물을 수용하기 위한 빗물 수용부(430)와, 상기 빗물 수용부(430)의 하부에 설치된 제4 바닥면(440), 및 제4 중공부(4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수용부(430)는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각기 수용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 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빗물 수용부(430)는 인출을 위한 제4 손잡이(43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각기 수용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 면[도 4의 도시에 있어서 본체(400)의 뒷면]의 상단에는 우산비닐봉투 인출기(49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의 제1 상면(1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1 레일(112)이 장착되어 있고,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의 제2 상면(2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2 레일(212)이 장착되어,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의 제3 상면(3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3 레일(31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400)의 측벽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112), 한 쌍의 제2 레일(212) 및 한 쌍의 제3 레일(312)을 각기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레일 삽입홈(460), 한 쌍의 제2 레일 삽입홈(470), 한 쌍의 제3 레일 삽입홈(48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와,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상기 본체(400)의 제4 중공부(450)에 부드럽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의 제1 중공부(160)에는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가 수용되고,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의 제2 중공부(260)에는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400)의 제4 중공부(450)에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수용될 시에, 상기 본체(400)의 제4 상면(4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과,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의 제1 상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과,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의 제2 상면(21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 및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의 제3 상면(3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은 그 직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나 그 직경의 수직방향 중심은 일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가 제4 중공부(450)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400)의 제4 상면(4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과 제1,2,3 우산 삽입홀(111,211,311)을 통해 장우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400)로 부터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가 확장되면, 상기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의 제1 상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에는 상기 본체(400)의 제4 상면(4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을 통해 삽입되는 장우산 보다는 길이가 짧은 우산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의 제2 상면(21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에는 2단 접이식 우산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의 제3 상면(3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에는 3단 접이식 우산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는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다량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각각의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의 상면의 양단에 레일이 설치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의 바닥면의 양단에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 110: 제1 상면
111: 제1 우산 삽입홀 112: 제1 레일
120: 제1 측면 121: 제1 손잡이
130: 제1 받침면 131: 제1 빗물 배출홀
132: 제1 오목홈 140: 제1 경사면
150: 제1 바닥면 160: 제1 중공부
200: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 210: 제2 상면
211: 제2 우산 삽입홀 212: 제2 레일
220: 제2 측면 221: 제2 손잡이
230: 제2 받침면 231: 제2 빗물 배출홀
232: 제2 오목홈 240: 제2 경사면
250: 제2 바닥면 260: 제2 중공부
300: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 310: 제3 상면
311: 제3 우산 삽입홀 312: 제3 레일
320: 제3 측면 321: 제3 손잡이
330: 제3 받침면 331: 제3 빗물 배출홀
332: 제3 오목홈 340: 제3 경사면
350: 제3 바닥면 360: 제3 중공부
400: 본체 410: 제4 상면
411: 제4 우산 삽입홀 420: 제4 받침면
421: 제4 빗물 배출홀 422: 제4 오목홈
430: 빗물 수용부 431: 제4 손잡이
440: 제4 바닥면 450: 제4 중공부
460: 제1 레일 삽입홈 470: 제2 레일 삽입홈
480: 제3 레일 삽입홈 490: 우산비닐봉투 인출기

Claims (11)

  1.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이 형성된 제4 상면(410)과, 상기 제4 상면(410)의 하측에 제4 중공부(450)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4 우산 삽입홀(4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4 빗물 배출홀(421)이 형성된 복수의 제4 오목홈(422)을 구비하는 제4 받침면(420)으로 구성되는 본체(400)와;
    상기 본체(4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이 형성된 제1 상면(110)과, 상기 제1 상면(110)의 하측에 제1 중공부(160)를 갖도록 상기 제1 상면(110)과 제1 측면(1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우산 삽입홀(1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1 빗물 배출홀(131)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홈(132)을 구비하는 제1 받침면(130) 및 상기 제1 받침면(13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바닥면(150)으로 구성되는 제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와;
    상기 본체(40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이 형성된 제2 상면(210)과, 상기 제2 상면(210)의 하측에 제2 중공부(260)를 갖도록 상기 제2 상면(210)과 제2 측면(2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우산 삽입홀(2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2 빗물 배출홀(231)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홈(232)을 구비하는 제2 받침면(230) 및 상기 제2 받침면(23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바닥면(250)으로 구성되는 제2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 및
    상기 본체(400)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이 형성된 제3 상면(310)과, 상기 제3 상면(310)의 하측에 제3 중공부(360)를 갖도록 상기 제3 상면(310)과 제3 측면(3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우산 삽입홀(3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제3 빗물 배출홀(331)이 형성된 복수의 제3 오목홈(332)을 구비하는 제3 받침면(330) 및 상기 제3 받침면(330)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바닥면(350)으로 구성되는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는 제4 중공부(45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고, 상기 제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200,300)는 제1 중공부(16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며, 상기 제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300)는 제2 중공부(260)에 상이한 방향에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3,4 우산 삽입홀(111,211,311,411)은 상기 본체(400)의 제4 중공부(450)에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120)은 제1 손잡이(1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220)은 제1 손잡이(2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320)은 제3 손잡이(3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받침면(42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400) 및 제1,2,3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부(100,200,300)를 통해 인입된 빗물을 수용하기 위한 빗물 수용부(4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빗물 수용부(430)의 하부에는 제4 바닥면(4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110)은 양단에 제1 레일(112)이 구비되고 제2 상면(210)은 양단에 제2 레일(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상면(310)은 양단에 제3 레일(312)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400)의 측벽에는 상기 제1 레일(112)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레일 삽입홈(460)과, 상기 제2 레일(212)을 수용하기 위한 제2 레일 삽입홈(470) 및 상기 제3 레일(312)을 수용하기 위한 제3 레일 삽입홈(4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면(130)과 제1 바닥면(150) 사이에는 제1 경사면(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받침면(230)과 제2 바닥면(250) 사이에는 제2 경사면(2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3 받침면(330)과 제3 바닥면(350) 사이에는 제3 경사면(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제1,2,3 경사면(140,240,340)은 본체(40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400)는 본체(400)의 뒷면에 우산비닐봉투 인출기(4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우산비닐봉투 인출기(490)는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우산 삽입홀(111,211,311,411)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우산 삽입홀(111,211,311,411)은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KR1020150045463A 2015-03-31 2015-03-3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KR10165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63A KR101658902B1 (ko) 2015-03-31 2015-03-3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63A KR101658902B1 (ko) 2015-03-31 2015-03-3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02B1 true KR101658902B1 (ko) 2016-09-22

Family

ID=5710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463A KR101658902B1 (ko) 2015-03-31 2015-03-31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14U (ko) * 1983-07-22 1985-04-08 오세창 우산 보관대
JPH03146757A (ja) * 1989-10-28 1991-06-21 Unitika Ltd ニードルパンチルーフイング用不織布
KR100595417B1 (ko) * 2005-03-25 2006-07-03 김관영 우산꽂이겸용 화분대
KR20090121785A (ko) * 2008-05-23 2009-11-26 박윤정 물 받침대를 구비한 우산 꽂이
KR101080822B1 (ko) 2009-09-03 2011-11-07 주식회사 성강 우산꽂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14U (ko) * 1983-07-22 1985-04-08 오세창 우산 보관대
JPH03146757A (ja) * 1989-10-28 1991-06-21 Unitika Ltd ニードルパンチルーフイング用不織布
KR100595417B1 (ko) * 2005-03-25 2006-07-03 김관영 우산꽂이겸용 화분대
KR20090121785A (ko) * 2008-05-23 2009-11-26 박윤정 물 받침대를 구비한 우산 꽂이
KR101080822B1 (ko) 2009-09-03 2011-11-07 주식회사 성강 우산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726B1 (en) Ladder and container combination apparatus
US9661959B2 (en) Toilet paper holding device
US20150115123A1 (en) Foldable and portable music stand
US20100236457A1 (en) Collapsible transaction table
US20200074887A1 (en) Pop-up display structure
US7631952B2 (en) Collapsible combination cabinet
KR20170030234A (ko) 냉장고의 선반 구조
KR200438117Y1 (ko) 세탁물 건조대용 접이식 받침대
EP2589467A1 (en) Tool stand
US20160051041A1 (en) Portable folding table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1658902B1 (ko) 확장형 서랍식 우산꽂이
US20130062298A1 (en) Display rack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CN211211882U (zh) 轮式可折叠桌子和存储组件
US20130106270A1 (en) Tool Stand
CN205413119U (zh) 具有折叠功能的试管架
KR200447188Y1 (ko) 접이식 시스템선반
KR101115577B1 (ko) 광고판 스탠드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799916B1 (ko) 다용도 연필꽂이
CN211657866U (zh) 一种多场景使用的展衣架
US20050155533A1 (en) Circular table
KR200460599Y1 (ko) 파티션 선반장치
CN218635565U (zh) 一种便于调节隔板间距的立式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