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812B1 -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812B1
KR101658812B1 KR1020150048270A KR20150048270A KR101658812B1 KR 101658812 B1 KR101658812 B1 KR 101658812B1 KR 1020150048270 A KR1020150048270 A KR 1020150048270A KR 20150048270 A KR20150048270 A KR 20150048270A KR 101658812 B1 KR101658812 B1 KR 101658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ing
electric motor
scree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현
홍종운
Original Assignee
(주) 스크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크린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스크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4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와 다수개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정착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변경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Variable motion frame for supporting screen}
본 발명은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극장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모터를 부착시켜 공간 규모에 따라 평면인 프레임에 커브율을 주어 곡선 모양의 라운드형 프레임으로 변형할 수 있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상영관의 스크린 프레임은 스틸 파이프를 재단, 용접하여 바닥과 뒷벽 보강대에 붙여 시공하며 영화의 화면 비율에 따라 2.39:1 비율인 시네마 스코프(Cinema Scope)형과 1.85:1 비율인 비스타(Vistavision)형 2가지로 크게 나누어지며, 이에 따라 프레임을 제작한다. 프레임 비율은 상영관 층고에 의해 결정되며, 사이즈는 현장 실측을 통해 시네마 스코프(Cinema Scope)형과 비스타(Vistavision)형 중 면적이 더 넓은 것으로 최종 결정된다. 층고가 낮은 상영관에는 시네마 스코프(Cinema Scope)형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반대로 층고가 높은 상영관에서는 비스타(Vistavision)형의 프레임을 설치하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334451호(2013.11.22)의 프레임은 고정형으로 프레임 변형이 불가능하다.
일반 상영관용 프레임은 한번 시공이 끝난 이후에는 구조 등 프레임 변형이 불가능하여, 영사기기의 위치 및 상영관 층고 등 상영관 환경이 달라지면 기존 프레임을 철거한 후 재시공을 해야 한다.
종래의 상영관의 경우, 일반적인 평면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평면 프레임의 경우 객석 측면으로 반사되는 빛의 손실이 곡선 모양의 라운드 형 프레임에 비해 높아 영상의 밝기를 저하 시켜 사이드 객석의 관객들은 상영관 중앙에 위치한 관객들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상을 감상하게 되어 관객의 시야각 확보가 불리하게 된다. 즉, 어두운 톤의 장면이 스크린에 투사됐을 때 사이드 객석에서는 중앙 객석에 비해 어두운 밝기로 투사되기 때문에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볼 수 없어 영화 감상의 질을 저하 시키기도 한다.
KR 등록 1334451 (2013.11.2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을 곡선 모양의 라운드형 프레임으로 변형하여 프레임에 커브율을 줌으로써 스크린의 상,하,좌,우 끝단의 영상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보완하여 스크린 전체 밝기 등을 향상시켜 관객의 시야각을 확보하여 영화감상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와 다수개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정착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변경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은 유·무선의 컨트롤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곡선 모양의 라운드형 프레임으로 변형 또는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며, 커브율 조절에 의한 최적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크린 영상의 밝기 및 전 관람석에서 최적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시야각 확보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와 제 1 지지부 및 구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프레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의 반사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의 프레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의 반사율 값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와 다수개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정착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변경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다수개의 구동장치 및 전동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는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이중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 모터에 전력을 주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구동부의 전동 모터와 연결된 컨트롤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속도와 힘을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한 커브율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는 한 개 이상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과 한 개 이상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이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는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이중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가 서로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정착하기 위한 프레임부(10)는 한 개 이상의 외측 프레임(11), 한 개 이상의 내측 프레임(12), 다수개의 프레임 연결 부재(13) 및 스크린(14)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및 내측 프레임(11, 12)은 다수개의 수직 기둥과 다수개의 수평 기둥이 직각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프레임(11)은 내측 프레임(12) 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12) 및 외측 프레임(1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 기둥과 두 개 이상의 수평 기둥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0)에는 스크린을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 연결 부재(13)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이 횡 방향일 때 종 방향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이 종 방향일 때 횡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부재는 기둥일 수 있으며, 상기 기둥은 외경 15mm~ 50mm, 두께 1.5mm ~ 2.5mm 일 때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둥’은 스틸파이프 또는 강관 및 각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호 연결 또는 결속 되는 구조’는 용접을 이용한 결속 또는 연결용 소켓, 볼트와 너트, 조인트, 연결파이프 등을 이용한 결속 및 종래에 사용되어 오는 결속 가능한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다 사용 가능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전문가가 그 사용목적 및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상기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100)의 크기를 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구동부(30)가 작동되어 상기 프레임부(10)가 커브율을 갖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와 제 1 지지부 및 구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20)는 일 실시예로 삼각 형태의 일측에 상기 구동부의 전동 모터(32)와 연결가능 하도록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부재(2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지지부(20)의 일측이 평행하게 구비된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10)를 지지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0)는 삼각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밀고 당기는 힘을 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의 전동 모터(32)와 연결된 구동장치(31)는 외경이 다른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형태 일 수 있으며, 전동 모터에 전력을 주어 구동될 때 모터의 힘에 의해 상기 이중파이프 구조의 내관이 길이 방향으로 확장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된 상기 제 1 지지부(20)에 미는 힘이 가해져 상기 제 1지지부와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10)의 변형으로 커브율이 생길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변형에 따라 이중파이프 구조를 가진 상기 브라켓(51)의 내관이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커브율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31)의 축소를 통해 상기 제 1 지지부에(20)에 당기는 힘이 가해져 이와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10)가 커브율이 없는 상태로 복귀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51)의 내관이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 모터 이외에도 상기 프레임부를 밀고 당기는 힘을 줄 수 있는 장치 또는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제 1 지지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부(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0)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제 1 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3개가 연결된 형태가 가장 바람직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커브율’이라 함은 상기 프레임부(10)가 평면인 상태의 중심점과 곡선 형태의 프레임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프레임의 가로 폭의 비율을 의미하며,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번 화살표에 표시한 평면 상태의 프레임의 중심점과 2번 화살표에 표시한 곡선형 형태의 프레임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깊이)를 X, 곡선형 형태의 프레임의 가로 폭(너비)을 Y 로 했을 때, X와 Y의 비율로 커브율 값을 나타낼 수 있다. X 값 즉, 중심점 사이의 거리(깊이) 값이 커질수록 커브율은 커지게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40)는 상기 구동부의 전동 모터(32)와 연결된 컨트롤 제어장치를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속도와 힘을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100)을 설치 후 객석에서 영상을 관람 시 최적의 영상 구현을 위한 스크린의 최적의 커브율을 지정 및 저장이 가능하며, 설정한 커브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브율은 0~2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동 모터(32)를 사용함으로써 동작의 오차가 없어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 모터의 속도와 힘을 동기화 한다는 것은 상기 다수개의 모터에 동일한 동력을 가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비동기화 한다는 것은 상기 다수개의 모터에 동일하지 않은 즉, 각각 모터의 힘을 달리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50)는 한 개 이상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과 한 개 이상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이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개 이상의 수직 기둥과 한 개 이상의 수평 기둥이 직각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 기둥과 두 개 이상의 수평 기둥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둥은 외경 15 mm ~ 50 mm, 두께 1.5mm ~ 2.5mm 일 때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지지부(50)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의 일측을 연결하는 브라켓(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1)은 외경이 다른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이중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구동부(30) 작동 시 상기 프레임부(10)의 커브율의 변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위함이며, 상기 브라켓(51)은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종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의 일측에 연결되어 적어도 각각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100)은 상영관의 층고, 영사기 위치 등의 조건에 관계없이 어떠한 환경에서도 프레임 시공 후 최적의 영상 구현을 위해 프레임의 커브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커브율을 갖은 프레임은 상영관 좌, 우측의 객석에서 관람하는 관객에게 영상의 상,하,좌,우 끝단의 영상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보완하여, 영상의 밝기 향상과 관객의 시야각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100)은 커브율 만큼의 공간감이 생겨 평면 프레임에 비해 입체적인 영상을 볼 수 있어 영화 감상에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프레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의 반사 방향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프레임에 비해 곡선(커브) 프레임의 스크린에서 빛 손실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평면 프레임은 객석 측면으로 반사되는 빛의 손실이 높아 영상의 밝기가 저하되는 부분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브를 가진 프레임은 반사되는 빛이 대부분 객석 쪽으로 향하여 최적의 영상의 밝기로 보다 선명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프레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의 반사율 값을 나타낸다.
도 5의 (A)는 종래의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 반사율 값,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인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 반사율 값으로 각각의 스크린을 9등분 하여 반사율을 측정했을 때, 종래의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의 반사율 값(A)은 중앙 반사율 값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끝단의 영상이 어둡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반사율 값(B)과 비교했을 때, 종래의 프레임에 따른 스크린에 비해 전체 밝기가 약 23% 상승한 효과를 나타낸다.
100: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10: 프레임부
11: 외측프레임 12: 내측프레임
13: 프레임 연결 부재 14: 스크린
20: 제 1 지지부 21: 지지 부재
30: 구동부
31: 구동장치 32: 전동 모터
40: 컨트롤부
50: 제 2 지지부 51: 브라켓

Claims (8)

  1. 다수개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와 다수개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부재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정착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배면에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각각 연결구비 되는 다수개의 제 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타측에 지지부재 중심부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 일단은 전동모터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동모터 타단은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지지부재 및 제1 지지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을 변경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도록 배면의 상부 및 하부에 일측이 연결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커브율 변동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과 연결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다수개의 구동장치와 다수개의 전동 모터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이중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구동부의 전동 모터와 연결된 컨트롤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속도와 힘을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커브율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한 개 이상의 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과 한 개 이상의 종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이 상호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8. 삭제
KR1020150048270A 2015-04-06 2015-04-06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KR10165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270A KR101658812B1 (ko) 2015-04-06 2015-04-06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270A KR101658812B1 (ko) 2015-04-06 2015-04-06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812B1 true KR101658812B1 (ko) 2016-09-23

Family

ID=5704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270A KR101658812B1 (ko) 2015-04-06 2015-04-06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1352A (zh) * 2022-09-01 2022-12-02 嘉兴汇匠人力资源服务有限公司 一种企业营销策划多人在线会议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61A (ja) * 1989-07-07 1991-05-22 Warner Lambert Co 低カロリーチユーインガ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JP2006154426A (ja) * 2004-11-30 2006-06-15 Canon Inc 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101334451B1 (ko) 2008-02-18 2013-11-29 최해용 극장식 영사용 스크린
CN103995417A (zh) * 2014-05-27 2014-08-20 海信集团有限公司 投影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61A (ja) * 1989-07-07 1991-05-22 Warner Lambert Co 低カロリーチユーインガ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JP2006154426A (ja) * 2004-11-30 2006-06-15 Canon Inc 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101334451B1 (ko) 2008-02-18 2013-11-29 최해용 극장식 영사용 스크린
CN103995417A (zh) * 2014-05-27 2014-08-20 海信集团有限公司 投影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1352A (zh) * 2022-09-01 2022-12-02 嘉兴汇匠人力资源服务有限公司 一种企业营销策划多人在线会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051B1 (ko)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JP7139305B2 (ja) 光照射野プロジェクタおよび方法
US97850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mmersion theater environment with dynamic screens
US8746894B2 (en) 3D display system
WO2012034011A3 (en) Transportable immersive motion picture display structures
EP3231963B1 (en) Dynamic multidirectional film watching system
CN113424103B (zh) 具有自由形式折叠镜的背投模拟器
KR200485121Y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1658812B1 (ko) 스크린 지지용 가변형 프레임
CN105074567A (zh) 多投影系统
KR101611174B1 (ko) 다면 상영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CN209799475U (zh) 多功能剧场系统
WO2018009799A1 (en) Portable motion picture theater
CA2979212A1 (en) Foil tensioning system for pepper's ghost illusion
WO2017002530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CN102646407B (zh) 一种无缝拼接显示方法及装置
US7654678B1 (en) Cinewide with autoscope
CN214220757U (zh) 一种桁架式的多台投影融合折幕影院系统
CN206074983U (zh) 一种球幕投影系统
CN205539896U (zh) 一种下沉式虚拟观影系统
CN220453229U (zh) 一种拼接式球幕屏钢结构
KR102291474B1 (ko) 시뮬레이션 모듈의 배치구조
KR101997646B1 (ko) 차량의 전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45566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관람용 의자를 포함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및 방법
RU2141689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видео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