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53B1 - 차량용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53B1
KR101658053B1 KR1020140172226A KR20140172226A KR101658053B1 KR 101658053 B1 KR101658053 B1 KR 101658053B1 KR 1020140172226 A KR1020140172226 A KR 1020140172226A KR 20140172226 A KR20140172226 A KR 20140172226A KR 101658053 B1 KR101658053 B1 KR 10165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coupled
sensor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878A (ko
Inventor
조홍규
강호동
김용진
이상현
김인엽
조강용
정지영
전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4017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락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는 케이싱유닛; 케이싱유닛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유닛; 및 센서유닛에 결합되어 센서유닛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락 장치{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용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은 도어(door)를 개폐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키 실린더(key cylinder)에 차량용 키를 삽입한 후 회전하며, 이에 의해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용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여 차량용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반드시, 운전자가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소지하고 있어야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분실하거나 트렁트 등 차량 내부에 둔 상태에서 차량 도어가 잠기게 되면 외부의 도움없이는 차량 내부의 진입 및 차량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활동시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다른 장소에 보관해야 하지만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보관할 적절한 장소를 찾기 힘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계속적으로 보유해야하는 경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분실하거나 트렁크 등 차량 내부에 둔 경우, 사용자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외부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의 낭비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1242122호(공고일자:2013년03월1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용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의 분실시에도 차량 외부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결합되는 케이싱유닛; 상기 케이싱유닛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유닛은, 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손잡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유닛은,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일 영역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중공에 배치되어 터치방식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에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윈도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윈도우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유닛 내부의 차폐를 위해 상기 윈도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내부차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유닛은 회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되 상기 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방열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으로서 상기 컨트롤유닛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의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배치되어 발광하도록 마련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은, LED(Light Emitting Dode) 및 야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윈도우부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터치방식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에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트롤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에 터치 발생시 터치 발생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피드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유닛은 진동피드백유닛 및 소리피드백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용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의 분실시에도 차량 외부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은 차량 외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용 도어의 잠금 및 잠근해제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각종의 기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는, 차량에 결합되는 케이싱유닛(200)과, 케이싱유닛(200)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유닛(300)과, 센서유닛(300)에 결합되어 센서유닛(300)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8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400)을 포함한다.
케이싱유닛(200)은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케이싱유닛(200)은 차량용 도어(800), 차량용 보닛(bonnet, 미도시) 또는 차량용 트렁크(미도시) 등의 다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유닛(200)은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어 차량의 도어(800)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 손잡이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차량의 도어(800)에 결합되어 차량용 도어 손잡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는 차량 도어(80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잠금해제된 도어(800)를 개방할 때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유닛(200)은 현재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차량의 차량용 도어 손잡이와 공통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존 차량에 대해서도 차량용 도어(800)의 파손없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유닛(200)은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케이싱유닛(200)이 차량용 도어 손잡이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차량의 도어(800)에 결합되어 차량용 도어 손잡이로 마련되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싱유닛(200)은,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데, 특히, 차량의 도어(8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케이스(210)는, 하부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20)를 지지하며,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센서유닛(300)과 컨트롤유닛(400)이 모두 설치되는 경우, 센서유닛(300)과 컨트롤유닛(400)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10)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800)를 개방하는 경우 손잡이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상부케이스(220)는 하부케이스(210)에 결합되어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센서유닛(300)과 컨트롤유닛(400)이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20)는 상부케이스(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300)에서 터치방식에 의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22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신호를 센서유닛(3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20) 역시 하부케이스(210)와 마찬가지로 센서유닛(300)과 컨트롤유닛(400)을 보호하게 되며,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800)를 개방하는 경우 손잡이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220)의 일 영역에는 소정 영역이 절취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공에는 윈도우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부(230)가 상부케이스(220)에 형성된 중공에 결합되는 경우 윈도우부(230)를 통해 상부케이스(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300)에서 터치방식에 의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윈도우부(230)에 손가락 등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채 이동하게 되면, 윈도우부(2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센서유닛(300)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후 이동에 의한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센서유닛(300)은 케이싱유닛(200)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센싱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부(230)를 통해 터치되는 터치신호를 인식하도록 마련되는데, 터치신호는 감압식일 수도 있고 또는 정전식일 수도 있으며, 다만, 바람직하게는, 센서유닛(300)이 정전식으로 마련되어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유닛(300)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는 센서유닛(300)에 결합되는 컨트롤유닛(400)에 의해 처리되는데, 이에 의해, 차량 도어(8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컨트롤유닛(400)은 센서유닛(300)의 신호를 제어하는 다양한 연산처리장치, 즉,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컨트롤유닛(400)은 MCU(Micro Controller Unit)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유닛(400)은 회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판(4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는데, PCB 기판에는 터치를 인식하는 센서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을 구현하는 장치의 소재는 금, 은 내지 동 등의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부(230)와 기판(410)의 사이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마련되는 점착 소재(260) 또는 실리콘 재질(260)의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410)은 센서유닛(300)이 결합되는 상부기판(410a)과, 상부기판(410a)의 하측에서 상부기판(410a)에 결합되는 하부기판(4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센서유닛(300)은 상부기판(410a)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410)은 나사,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 또는 점착력 있는 물질(미도시)에 의해 케이싱유닛(2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410)에는 방열지지유닛(420)이 결합될 수 있는데, 방열지지유닛(420)은 기판(410)에 결합되어 기판(41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기판(4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지지유닛(420)은,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폴리카보네이트수지(PC) 또는 PMMA수지(Polymethly Methacrylate) 등의 플라스틱 계열과,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기타 다양한 합금 등의 금속으로 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판(410)과 마찬가지로 나사,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 또는 점착력 있는 물질(미도시)에 의해 기판(410) 내지 케이싱유닛(2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센서유닛(300)의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유닛(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발광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유닛(500)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영역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센서유닛(300)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유닛(500)은 센서유닛(300)의 정확한 중심뿐만 아니라 중심에서 소정 범위 벗어나지만 정확한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유닛(500)이 센서유닛(300)에 근접하게, 특히, 센서유닛(30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발광유닛(500)에 의해 센서유닛(300)으로의 정확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발광유닛(500)은 빛을 발생하거나 외부 광원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기기 내지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발광유닛(500)은 LED(Light Emitting Dode) 또는 야광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a)를 참조하면, 윈도우부(230)의 양측 단부에는 단차부(231)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220)에 결합된다. 이는, 윈도우부(230)가 상부케이스(220)에 결합된 후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윈도우부(230)가 윈도우부(230)에 형성된 단차부(231)를 통해 상부케이스(220)에 결합되는 경우 윈도우부(230)는 상부케이스(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a)의 경우 윈도우부(230)에는 일측 단부에 하나의 단차부(231)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부(230)에 형성되는 단차부(231)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부(230)와 상부케이스(220)가 결합되는 부분, 즉, 윈도우부(230)에서 단차부(231)가 형성되는 윈도우부(230)의 양측 단부에는 방수를 위해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단차부(231)는 방수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내부차폐유닛(240)은 케이싱유닛(200) 내부의 차폐를 위해 윈도우부(2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차폐유닛(240)이 없다면 윈도우부(230)를 통해 케이싱유닛(2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300)과 컨트롤유닛(400)이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질 수 있으므로, 내부차폐유닛(240)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윈도우부(230)는 플라스틱의 사출 또는 압출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이렇게 가공된 윈도우부(230)에 대해 스프레이, 배면인쇄(스크린, 그라비아, 전사 등) 및 증착공법을 통해 케이싱유닛(200)의 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발광유닛(500)과 표시문자 등은 사용자에게 인식되어져야 하므로, 차폐대상에서 제외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용 도어(800)의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의 분실시에도 차량 외부에서 도어(8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유닛(30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며, 이러한 터치 신호에 의해 차량용 도어(8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차량용 키 또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지 않아도 차량용 도어(8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에 대해서만 설명하되, 이 경우, 차량용 키에 대해서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물놀이 등에서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물 속으로 가지고 들어갈 수 없지만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보관할 적절한 장소도 찾기 힘들어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계속적으로 보유해야하는 경우, 또는, 축구, 농구, 야구 등 야외에서 다양한 운동시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보관할 장소가 적절하지 않지만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계속적으로 보유해야하는 경우, 그리고, 사용자가 해외로의 출국시 공항주차장에 장시간 주차 후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해외에서도 계속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면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계속적으로 보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생활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하나의 차량에 대해 다수의 소유자 등이 공용으로 차량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또는, 차량 사용자가 아닌 차량 동승자가 운반 물건을 인출하는 경우, 그리고, 차량 내부에 동승자가 대기하고 있으며 차량의 시동을 유지한 채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로 나갔다 다시 들어오는 경우에도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하게 되면 불편함을 느끼지만, 역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면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생활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 도어(800)의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용 도어 리모트컨트롤을 분실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도어(8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외부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차량용 도어(800)를 손쉽게 잠금해제할 수 있으므로, 외부전문가를 호출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는 차량에 케이싱유닛(200)이 결합되고 케이싱유닛(200) 내부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유닛(300)이 구비되며, 또한, 센서유닛(300)에 결합되어 센서유닛(300)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컨트롤유닛(4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유닛(300) 중심부의 중공에는 LED 등의 발광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LED 등을 통해 센서유닛(300)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센서유닛(300)에 최대한 근접하게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센싱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센서유닛(300)은 5개로 마련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센서유닛(3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센서유닛(300)이 5개로 마련되는 경우, 5개의 센서유닛(300) 각각에는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 2개의 숫자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첫번째 센서유닛(300)에는 숫자 1과 숫자 2가 입력될 수 있고, 두번째 센서유닛(300)에는 숫자 3과 숫자 4가 입력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숫자 10까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센서유닛(300)을 한번 터치하면 숫자 1이 입력되고, 첫번째 센서유닛(300)을 두번 터치하면 숫자 2가 입력되며 다른 센서유닛(300)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도어(8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는 터치방식에 의해 패스워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용 도어(800)가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센서유닛(300) 각각을 터치하는 경우 숫자뿐만 아니라 각종 문자, 소정의 형상이나 모양 또는 다양한 패턴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로 두드리거나 정해진 순서대로 터치 및 터치 후 이동하게 되면, 즉, 정해진 패턴을 그리게 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발광유닛(500)은 RGB LED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RGB LED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터치의 시작시에는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입력이 올바른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되며, 입력이 잘못된 경우에는 붉은색으로 표시되고 입력이 종료된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터치 입력과 색상과의 관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은 제1실시예와 비교시, 센서유닛(300)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센서유닛(300)이 윈도우부(23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센서유닛(300)은 컨트롤유닛(400)으로부터 이격되어 윈도우부(2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부(230)의 하측에는 케이싱유닛(200) 내부의 차폐를 위한 내부차폐유닛(24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센서유닛(300)은 내부차폐유닛(240)의 하측에서 내부차폐유닛(2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도 사용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LED 등의 발광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발광유닛(500)의 빛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내부차폐유닛(240)과 센서유닛(300)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를 참조하면, 컨트롤유닛(400)의 기판(41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유닛(300)은 FPCB(60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기판(41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시, 센서유닛(300)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센서유닛(300)이 기판(410)에 결합되어 상부케이스(220)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한편, 도 5(a)에는 윈도우부(2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장치(100)에서 윈도우부(230)가 결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부케이스(220)는 터치방식에 의해 센서유닛(300)에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220)는 상부케이스(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300)에서 터치방식에 의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20)에는 내부차폐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 코팅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유닛(300)은 컨트롤유닛(400)에 구비되는 기판(4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케이스(2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센서유닛(300)이 상부케이스(220)에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터치시 사용자와 센서유닛(300)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게 되며 이에 의해, 터치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5(b)를 참조하면, 센서유닛(30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LED 등의 발광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발광유닛(500)으로부터의 빛이 센서유닛(300)에 계속 반사되면서 빛이 중심으로 모이게 되므로(도 5(a)의 A 참조), 상대적으로 밝은 빛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a)를 참조하면, 피드백유닛(700)은 상부케이스(220)에 터치 발생시 터치 발생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상부케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부케이스(220)에 터치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터치 발생에 대한 피드백을 할 수 있는데, 여기서, 피드백유닛(700)은 진동피드백유닛(710) 또는 소리피드백유닛(미도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피드백유닛(710)은 피에조 센서, 진동 모터 또는 코인 모터 등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유닛(700)은 상부케이스(220)에 결합되며, FPCB(600, 도 5(a) 참조)를 통해 기판(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도어락 장치 200 : 케이싱유닛
210 : 하부케이스 220 : 상부케이스
230 : 윈도우부 231 : 단차부
240 : 내부차폐유닛 300 : 센서유닛
400 : 컨트롤유닛 410 : 기판
420 : 방열지지유닛 500 : 발광유닛
600 : FPCB 700 : 피드백유닛
710 : 진동피드백유닛 800 : 도어

Claims (17)

  1.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손잡이로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싱유닛;
    상기 케이싱유닛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터치방식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에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터치 발생시 터치 발생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피드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일 영역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중공에 배치되어 터치방식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에서 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윈도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유닛 내부의 차폐를 위해 상기 윈도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내부차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유닛은 회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되 상기 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방열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윈도우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으로서 상기 컨트롤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의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배치되어 발광하도록 마련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LED(Light Emitting Dode) 및 야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윈도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트롤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유닛은 진동피드백유닛 및 소리피드백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장치.
KR1020140172226A 2014-12-03 2014-12-03 차량용 도어락 장치 KR10165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26A KR101658053B1 (ko) 2014-12-03 2014-12-03 차량용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26A KR101658053B1 (ko) 2014-12-03 2014-12-03 차량용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78A KR20160066878A (ko) 2016-06-13
KR101658053B1 true KR101658053B1 (ko) 2016-09-20

Family

ID=5619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226A KR101658053B1 (ko) 2014-12-03 2014-12-03 차량용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78B1 (ko) 2019-11-28 2020-12-23 김이현 Obd단자를 이용한 차량용 오토도어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8883A1 (en) * 2018-08-06 2020-02-12 DURA Automotive Holdings U.K., Ltd. Keypad for unlocking or locking the opening of an electric vehicle
DE102020102897A1 (de) * 2020-02-05 2021-08-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dulare Betätigungsvorrichtung, Fahrzeug, sowie 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426A (ja) * 2002-11-20 2004-06-17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2011106204A (ja) * 2009-11-19 2011-06-02 Tokai Rika Co Ltd ドア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9670B2 (ja) * 1992-12-28 2003-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US7911321B2 (en) * 2004-10-26 2011-03-22 Adac Plastics, Inc. Keyless entry system incorporating concealable keypad
KR101242122B1 (ko) 2012-02-07 2013-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426A (ja) * 2002-11-20 2004-06-17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2011106204A (ja) * 2009-11-19 2011-06-02 Tokai Rika Co Ltd ドア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78B1 (ko) 2019-11-28 2020-12-23 김이현 Obd단자를 이용한 차량용 오토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78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7760B1 (en)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20210129795A1 (en) Vehicular function control using sensing device with backlit icons
US9797179B2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10351099B2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US10822845B2 (en) Gesture access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70167180A1 (en) Hands-free rear vechicle access system and improvements thereto
KR101658053B1 (ko) 차량용 도어락 장치
CA2594526A1 (en) Keyless entry touch pad system and method
US8558561B2 (en) Multi-function sensor and method
US10954709B2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9694735B2 (en) Vehicle emblem incorporating capacitive switch and LED lighting
US20160329894A1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1441338B2 (en) Vehicle door handle with enhanced lighting and touch sensors
US20170074009A1 (en) Touchless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CN106163869B (zh) 用于打开或解锁车辆的设备的操作元件和车辆
CN112543838B (zh) 用于机动车辆的手势进入和物体碰撞避免系统
KR101602141B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US20170190309A1 (en) Vehicle part for the exterior area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7502996B2 (ja) 乗り物のピラー用外部トリミング部材
JP200905233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7206965B (zh) 电容式键盘、车辆装饰部件和车辆以及实现这种电容式键盘的方法
US20210090368A1 (en) Wireless lock system
US20180223569A1 (en) Magnetic anti-theft lock system and method
KR101095972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2010209609A (ja) ドア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