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30B1 -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 Google Patents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30B1
KR101657830B1 KR1020140188750A KR20140188750A KR101657830B1 KR 101657830 B1 KR101657830 B1 KR 101657830B1 KR 1020140188750 A KR1020140188750 A KR 1020140188750A KR 20140188750 A KR20140188750 A KR 20140188750A KR 101657830 B1 KR101657830 B1 KR 10165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ss
weight
present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712A (ko
Inventor
이상철
한일욱
이봉근
김정길
이동렬
김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성 용접부는 탄소강 모재 상에 형성된, 중량%로 C: 0.09~0.78%, Si:0.2~1.21%, Mn:1.0~4.0%, P:0.025%미만, S:0.025%미만, Ni:10%이하, Cr:19~30%, Mo:7%이하, W:6%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육성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OVERLAY WELDING LAYER WITH HIGH STRENGTH AND EXCELLENT ANTI-ABRASION}
본 발명은 석유 생산과 관련된 오일 샌드 산업 등에서 슬러리 파이프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 용접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고유가 지속 추세에 따라 저비용의 석유 생산 방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대규모 원유 분리공정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오일샌드 산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오일 샌드란 최초에는 원유를 함유한 모래 또는 사암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유층 중에 존재하는 원유를 함유한 퇴적암 등 모든 암석에 대한 지칭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오일 샌드에서 원유를 추출하는 석유 생산 방법은 종래의 액체 유전에서의 원유 추출방식을 대신하는 새로운 석유 생산 방법으로서, 생산 비용을 낮춘다는 측면에서 개발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일 샌드의 경우, 액상의 오일 이외에도 높은 수준의 고상 불순물들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들은 파이프의 내부를 마모시키게 되며, 특히 파이프의 두께의 편차가 발생하는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국부적인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국부적인 마모를 방지 및 보수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육성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우수한 강도와 내마모성을 가지는 육성 용접부를 얻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파이프 내부의 국부적인 마모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박리성이 저감된 육성 용접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탄소강 모재 상에 형성된, 중량%로 C: 0.09~0.78%, Si:0.2~1.21%, Mn:1.0~4.0%, P:0.025%미만, S:0.025%미만, Ni:10%이하, Cr:19~30%, Mo:7%이하, W: 6%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육성층을 구비하는 육성 용접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육성층와 상기 탄소강 모재 사이에 중량%로 C:0.19~0.52%, Si:0.2~1.25%, Mn:6.0~12.0%, P:0.025%미만, S:0.025%미만, Ni:19~32%, Cr:1.0~2.8%, Mo:7%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합금의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내마모성 및 강도가 우수한 육성층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육성층와 탄소강 모재 사이에 버퍼층(buffer layer)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육성층의 박리성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마모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시험 시편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 시험 시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일 샌드 산업에 적용되는 파이프의 경우 용접 또는 기계적 체결을 통하여 파이프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각 파이프 간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는 곳에서는 와류의 발생으로 국부적인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도 1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일샌드 방식의 원유 획득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 용접부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해서 연구하던 중, C, Si, Mn, Cr, S, P 성분에 대한 함량제어를 통해 강도와 내마모성이 향상된 육성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V, Nb, Mo, W, Cu, B 성분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의 용접이음부가 더 우수한 물성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탄소강에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육성 용접재료를 곧바로 용접할 경우 사용 중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균열이 발생하였을 경우, 균열이 전파되어 이 또한 모재와의 박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육성부와 모재 사이에 버퍼층(buffer layer)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굽힘시험을 통해 개선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육성층은 중량%로 C: 0.09~0.78%, Si:0.2~1.21%, Mn:1.0~4.0%, P:0.025% 미만, S:0.025% 미만, Ni:10%이하, Cr:19~30%, Mo:7%이하, W: 6%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성분의 수치 한정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0.09~0.78중량%
상기 탄소(C)는 용접금속의 강도를 확보하고, 용접 경화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성분이다. 탄소(C)의 함량이 0.09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접이음부의 강도는 탄소(C)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탄소(C)의 함량이 0.7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이 발생하여 용접이음부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망간, 크롬 등의 합금원소와 결합하여 MC, M23C6 등의 카바이드를 생성하여 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탄소(C)의 함량은 0.09~0.78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Si): 0.2~1.21중량%
규소(Si)는 탈산제로서 역할을 하며, 용접 시 용융금속의 퍼짐성을 좋게 만들어 용접특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아울러, 고용강화에 따른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규소(Si)의 함량이 0.2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1.2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부의 인성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규소(Si)의 0.2~1.21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 1.0~4.0중량%
망간(Mn) 또한, 가공경화도를 높임과 동시에 강도, 충격인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MnS 형성을 통한 탈황 효과도 있다. 상기 망간의 함량이 1.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망간(Mn)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용융금속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용입 감소 및 아크 불안정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Mn의 1.0~4.0%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망간(Mn)의 1.0~4.0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 19~30중량%
크롬(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크롬(cr)을 첨가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롬(Cr)은 MC, M23C6과 같은 탄화물 생성에 핵심적인 성분으로 작용한다. 즉, 일정량의 크롬(Cr)이 첨가되면 보다 높은 수준의 석출 경화도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추어도 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크롬(Cr) 성분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크롬(Cr)은 강력한 내산화 방지 원소로서, 외부의 산화분위기에 대응하는 내산화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19중량% 이상 첨가한다. 반면, 크롬(Cr)을 30중량%이상 첨가하는 경우, 가격 상승의 문제점과 내마모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크롬(Cr)의 함량은 19~30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0.025중량% 미만
인(P)은 용접 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 그 상한을 0.025중량%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25중량% 미만
황(S)은 인(P)과 함께 용접 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25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FeS 등의 저융점화합물을 형성시켜 고온 균열(Crack)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 황의 함량은0.025중량% 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 10중량% 이하(0제외)
니켈(Ni)은 고용강화에 의해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여 저온에서의 인성 향상에 유리한 성분이다. 니켈(Ni)을 첨가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을 촉진하여 용접이음부의 인성을 증가시켜, 경화도가 높은 용접이음부의 취성 파괴를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니켈(Ni)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인성이 크게 향상되지만, 적층결함에너지(Stacking Fault Energy, SFE)를 증가시켜 내마모 특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켈(Ni) 원소는 가격이 높기 때문에 다량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니켈(Ni)의 함량은 10중량%(0제외)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7.0중량% 이하(0 제외)
몰리브덴(Mo)은 기지의 고용강화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아울러, 니오븀(Nb), 바나듐(V)과 유사하게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만, 몰리브덴(Mo)의 함량이 과도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며, 인성 및 용접성 열화를 야기하고 강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몰리브덴(Mo)의 함량은 7.0중량%(0제외)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스텐(W): 6.0중량% 이하(0제외)
텅스텐(W)은 기지의 고용강화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아울러, 니오븀(Nb), 바나듐(V), 몰리브덴(Mo)과 유사하게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만, 텅스텐(W)의 함량이 과도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며, 인성 및 용접성 열화를 야기하고 강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텅스텐(W)의 함량은 6.0중량%(0제외)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버퍼층은 중량%로 C:0.19~0.52%, Si:0.2~1.25%, Mn:6.0~12.0%, P:0.025%미만, S:0.025%미만, Ni:19~32%, Cr:1.0~2.8%, Mo:7%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C): 0.19~0.52중량%
탄소(C)는 용접금속의 강도를 확보하고, 용접금속의 극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만, 탄소(C)의 함량이 0.19중량% 미만이 되면 오스테나이트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인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소(C)의 함량이 0.5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이 발생하여 용접이음부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망간, 크롬 등의 합금원소와 결합하여 MC, M23C6 등의 카바이드를 생성하여 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탄소(C)의 함량은 0.19~0.52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Si): 0.2~1.25중량%
규소(Si)는 탈산제로서 역할을 하며, 용접 시 용융금속의 퍼짐성을 좋게 만들어 용접특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아울러, 고용강화에 따른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규소(Si)의 함량은 0.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의 탈산효과가 불충분하고 용접금속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1.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부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i의 0.2~1.2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 6.0~12.0중량%
망간(Mn) 또한, 가공경화도를 높임과 동시에 강도, 충격인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탈황 및 탈산 효과도 있다. 이를 위해 6.0중량% 이상 첨가한다. 반면, 망간(Mn)의 함량이 12.0 중량%를 초과하면 용융금속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용입 감소 및 아크 불안정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Mn의 6.0~12.0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 1.0~2.8중량%
크롬(Cr)은 페라이트 형성 원소이기도 하며, 또한 강력한 내산화 방지 원소로 외부의 산화분위기에 대응하는 내산화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위해 크롬(Cr)은 1.0 중량% 이상 첨가한다. 다만, 크롬(Cr)의 함량이 2.8 중량%를 초과하면 고온에서 페라이트 및 크롬탄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크롬(Cr)의 함량은 1.0~2.8 중량%가 바람직하다.
인(P): 0.025중량% 미만
인은 용접 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 그 상한을 0.025중량%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25중량% 미만
황은 인과 함께 용접 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2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FeS 등의 저융점화합물을 형성시켜 고온 균열(Crack)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 황의 함량은0.025중량% 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 19~32중량%
니켈(Ni)은 고용강화에 의해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여 저온에서의 인성 향상에 유리한 성분이다. 니켈(Ni)을 첨가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을 촉진하여 용접이음부의 인성을 증가시켜, 경화도가 높은 용접이음부의 취성 파괴를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하여 니켈(Ni)은 19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니켈(Ni)의 함량이 3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인성이 크게 향상되지만, 가격이 급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니켈(Ni)의 함량은 19~32중량%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7.0중량% 이하(0제외)
몰리브덴(Mo)은 기지의 고용강화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아울러, 상기 니오븀(Nb), 바나듐(V)과 유사하게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만, 몰리브덴의 함량이 과도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며, 인성 및 용접성 열화를 야기하고 강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몰리브덴 함량은 7.0중량%(0제외)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소정의 길이(L), 두께(t) 및 폭(W)을 가지는 바 형태(bar-type)의 굽힘시험 시편을 제조한 후, 마모율 평가 및 굽힘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굽힘시험 시편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을 통해 제조되었다. 구체적으로, 탄소가 모재 상에 먼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통해 버퍼층을 형성한 후, 이어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통해 육성층을 형성하였다. 버퍼층 및 육성층 각각은 멀티 패스 용접층(multi-pass welding layer)일 수 있다.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육성층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에 의해 탄소가 모재 상에 제조한 후, 마모율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C Si Mn Ni Cr Mo P S W 마모율*1
육성 실시예1 0.15 0.75 1.51 6.0 26.2 1.91 0.002 0.002 2.19 0.47
육성 실시예2 0.35 1.21 0.54 0.7 18.9 2.52 0.002 0.002 3.53 0.65
육성 실시예3 0.51 1.14 1.21 1.4 27.5 3.75 0.002 0.002 2.16 0.59
육성 실시예4 0.21 1.21 0.79 9.1 29.1 2.52 0.002 0.002 1.48 0.54
육성 실시예5 0.18 0.91 2.09 5.1 24.7 4.83 0.002 0.002 2.04 0.53
육성 비교예1 0.08 1.21 1.87 14.2 12.8 3.26 0.002 0.002 2.09 0.89
육성 비교예2 0.10 1.85 1.82 3.7 30.9 8.41 0.002 0.002 2.01 0.94
*1. API X70대비 마모율(ASTM G65Test). API X70 마모율=1
상기 표 1에서 육성 실시예 1 내지 육성 실시예 5는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성분 범위를 충족하는 육성층들이다. 육성 비교예 1은 C 함량, Ni 함량 및 Cr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나고, 육성 비교예 2는 Si 함량, Ni 함량, Cr 함량 및 Mo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난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성분 범위를 충족하는 육성 실시예 1 내지 육성 실시예 5는 육성 비교예들에 비해 마모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육성 실시예 1의 경우, 마모율이 0.47로 가장 낮았다. 즉, 육성 실시예 1의 경우는 API X70 강재에 비해 2배 이상 내마모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을 갖는 버퍼층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의해 탄소강 모재상에 형성한 후, 이어서 상기 버퍼층 상에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의해 상기 육성 실시예 1의 조성을 가지는 육성층을 형성하여 굽힘시험 시편을 제조하였다. 각 굽힘시험 시편들에 대해 박리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C Si Mn Ni Cr Mo P S 박리유무*2
버퍼 실시예1 0.27 0.53 8.94 27.01 1.85 1.38 0.002 0.002 X
버퍼 실시예2 0.52 1.24 11.8 19.21 1.12 2.78 0.002 0.002 X
버퍼 실시예3 0.19 1.12 6.08 31.8 1.21 2.38 0.002 0.002 X
버퍼 비교예1 0.04 1.21 9.08 17.25 0.89 4.84 0.002 0.002 O
버퍼 비교예2 0.64 1.42 3.48 12.43 2.85 1.01 0.002 0.002 O
*2. O: 박리 있음, X: 박리 없음.
상기 표 2에서 버퍼 실시예 1 내지 버퍼 실시예 3은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성분 범위를 충족하는 버퍼층이다.
버퍼 비교예 1은 C 함량, Ni 함량 및 Cr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나고, 버퍼 비교예 2는 C 함량, Si 함량, Ni 함량, Cr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난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퍼 실시예 1 내지 버퍼 실시예 3은 육성 용접부의 굽힘시험에서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버퍼 비교예 1 및 2의 경우는 육성 용접부의 굽힘시험에서 박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퍼층 없이 육성 실시예 1만을 탄소강 모재에 직접 형성한 경우(도 3(a) 경우)는 굽힘 시험에서 균열이 생기며 파괴되었다. 탄소강 모재에 버퍼 비교예 1를 형성한 후, 육성 실시예 1을 형성한 경우(도 3(b) 경우)에도 균열이 생기며 파괴되었다. 반면, 탄소가 모재에 버퍼 실시예 1을 형성한 후, 육성 실시예 1을 형성한 경우(도 3(c) 경우)에는 굽힘시험에서 균열이나 박리 없이 휘어지기만 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성 용접부는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박리성이 저감되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탄소강 모재
10: 버퍼층
20: 육성층

Claims (2)

  1. 탄소강 모재 상에 형성된, 중량%로 C: 0.09~0.78%, Si:0.2~1.21%, Mn:1.0~4.0%, P:0.025%미만, S:0.025%미만, Ni:10%이하(0 제외), Cr:19~30%, Mo:7%이하(0 제외), W:6%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육성층을 구비하는 육성 용접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층과 상기 탄소강 모재 사이에 버퍼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버퍼층은 중량%로 C:0.19~0.52%, Si:0.2~1.25%, Mn:6.0~12.0%, P:0.025%미만, S:0.025%미만, Ni:19~32%, Cr:1.0~2.8%, Mo:7%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 용접부.
KR1020140188750A 2014-12-24 2014-12-24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KR10165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50A KR101657830B1 (ko) 2014-12-24 2014-12-24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50A KR101657830B1 (ko) 2014-12-24 2014-12-24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12A KR20160078712A (ko) 2016-07-05
KR101657830B1 true KR101657830B1 (ko) 2016-09-20

Family

ID=5650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750A KR101657830B1 (ko) 2014-12-24 2014-12-24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8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775A (ja) 1999-04-06 2000-10-17 Sumitomo Metal Ind Ltd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継手
JP2001107196A (ja) 1999-10-07 2001-04-17 Sumitomo Metal Ind Ltd 耐溶接割れ性と耐硫酸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鋼溶接継手およびその溶接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647B1 (ko) * 1994-10-04 1998-04-08 정주용 내열균열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크롬마르텐사이트계 용착금속 및 이를 위한 플럭스 충진와이어와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775A (ja) 1999-04-06 2000-10-17 Sumitomo Metal Ind Ltd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継手
JP2001107196A (ja) 1999-10-07 2001-04-17 Sumitomo Metal Ind Ltd 耐溶接割れ性と耐硫酸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鋼溶接継手およびその溶接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12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2010B2 (ja) ラインパイプ用継目無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6372A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KR20150066369A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JP5447698B2 (ja) スチーム配管用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6373A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KR101568642B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KR20150020181A (ko) 용접용 초고장력 강판
KR102450006B1 (ko) 미세 합금강 및 상기 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372599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용 용접이음부
KR20160078624A (ko)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강관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768B1 (ko) 연속주조기용 압연롤 제조방법
WO2018020972A1 (ja) 高強度継目無鋼管及びライザー
KR20160078600A (ko) 확관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5677A (ja) 鋼、溶接消耗材、鋳造または鍛造または展伸された製品、溶接方法、溶接製品、および熱処理方法
JP2009127104A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が優れた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57830B1 (ko)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부
JP6515324B2 (ja) 耐sr特性に優れた高強度uoe鋼管の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金属
KR102396818B1 (ko) 우수한 저온인성 및 저경도 특성을 가지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금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강관
KR10165025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4811A (ko)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1118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강관 제조 방법
KR20140130324A (ko) 파이프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0042B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KR101428201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이음부
KR101902329B1 (ko) 소입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저원가 오일시추용 합금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