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032B1 - 페라이트 적층 시트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적층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032B1
KR101657032B1 KR1020160031834A KR20160031834A KR101657032B1 KR 101657032 B1 KR101657032 B1 KR 101657032B1 KR 1020160031834 A KR1020160031834 A KR 1020160031834A KR 20160031834 A KR20160031834 A KR 20160031834A KR 101657032 B1 KR101657032 B1 KR 10165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pattern layer
ferrite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화
Original Assignee
정윤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화 filed Critical 정윤화
Priority to KR102016003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2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ferri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적층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에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 및 상기 페라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성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적층 시트{FERRITE LAMINATE SHEET}
본 발명은 페라이트 적층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기기의 보급률과 함께 활용의 방향도 여러 분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의 한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NFC 기술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휴대용 기기에서 가능한 용도뿐만 아니라 선후불식 교통요금의 결제, 신용결제, 전자통장, 저작권관리, 신원확인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NFC는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NFC 기술이 접목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 식별정보, 결제정보 등이 저장된 태그 칩과, 그 태그 칩의 데이터를 송출하고 외부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전파로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주로 소형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루프 안테나는 동일 평면상에 교차 패턴이 존재함으로 인해 전기적인 특성에서 열악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금속 물질이 루프 안테나의 패턴에 가까워지게 되면 성능 저하 현상이 더욱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높은 전압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안테나 패턴과 쇄교하는 자속의 양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자속의 양은 안테나 코일에 포함된 연자성 재료의 양이 많을수록, 그리고 재료의 투자율이 높을수록 크게 된다. 특히, RFID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비접촉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기 때문에 리더 안테나에서 만들어지는 무선 전자기파를 태그 안테나로 집속시키기 위해서는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자성시트가 필요하다. 자성시트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인덕턴스가 높아져 신호의 인지거리 향상 및 신호의 안정성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최근 휴대전화의 박형화 및 소형화는 이러한 자성시트 두께 증가를 제한하게 된다. 이처럼 자성시트의 두께가 박형화 및 소형화에 따라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누설되는 양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동작 신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에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 및 상기 페라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성 패턴층;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과 상기 페라이트 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층; 상기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 또는 이 둘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각각, 에폭시, 멜라민, 패럴린(Parylene), 물유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I(Polyamide)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의 두께는, 각각, 3 ㎛ 내지 25 ㎛인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의 두께는 2 ㎛ 내지 50 ㎛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두께는 10 ㎛ 내지 200 ㎛인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보다 1.5배 내지 6배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과 제1 전도성 패턴층을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아홀은 단자부 외부 영역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비아홀은 상기 단자부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00 ㎛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비단자부 영역에만 위치하거나 상기 단자부 영역은 저투자율을 가지는 일반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은 100 이상이고, 상기 일반 유전체 물질의 투자율은 10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각각, 구리(Cu)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각각, 방사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전체 방사체 패턴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20% 이하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Fe, Al, Si, Ba, Mn-Zn, Ni-Zn, Fe-Mn, Ni-Zn-Cu, Mn-Mg-Cu, Mg-Zn-Cu, Al2O3(알루미나), 우레탄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전도성 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수십 khz 에서 수십 mhz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 고효율화 및 광대역화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층을 최소화하여 박형화 및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신뢰성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페라이트 적층 시트의 단자부 영역 및 비단자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페라이트 적층 시트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에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 및 상기 페라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성 패턴층;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전도성 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수십 khz 에서 수십 mhz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 고효율화 및 광대역화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층을 최소화하여 박형화 및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신뢰성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100)는, 제1 전도성 패턴층(110), 페라이트 시트(120) 및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을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페라이트 시트(120)는, Fe, Al, Si, Ba, Mn-Zn, Ni-Zn, Fe-Mn, Ni-Zn-Cu, Mn-Mg-Cu, Mg-Zn-Cu, Al2O3(알루미나) 우레탄(Urethane)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Mn-Zn 페라이트는 저주파 대역에서의 특성이 양호하고, 투자율(μi)이 100 내지 15,000이다. 따라서, 저주파 대역 (예를 들어, 50 kHz 내지 500 kHz)이 주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안테나에 Mn-Zn 페라이트를 사용하면, 전력 전송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i-Zn 페라이트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특성이 양호하고, 투자율(μi)이 100 내지 1,000이다. Mn-Zn 페라이트 소재 및 Ni-Zn 페라이트 소재를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분말에는 특성 향상을 위해 미량의 탄산칼슘, 산화실리콘, 바나듐, 비스무스 등의 원소가 0.01% 내지 5% 첨가될 수도 있다. 합금 분말을 이용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제조할 경우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페라이트 시트(120)는, 공지된 다양한 페라이트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특성을 이루기 위한 조성의 페라이트 분말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제조하여 그린 시트를 형성한 후, 이를 소결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라이트 시트(120)는 100 KHz 내지 13.56 MHz 주파수 대역의 넓은 투자율 형성이 가능하고 고투자율 형성도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페라이트 시트(120)의 두께는, 1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70 ㎛인 것일 수 있다. 자성시트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인덕턴스가 높아져 신호의 인지거리 향상 및 신호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지만, 소결된 페라이트 시트는 비교적 얇은 두께라도 높은 투자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페라이트 시트(120)는, 페라이트 시트(120)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시트 두께의 1/2 이하 깊이로 시트를 컷팅하는 다수의 하프 컷을 구비하여 유연성을 확보하여 취급이 용이하게 하고, RFID 안테나의 기판 또는 EMI 시트로도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패턴층(110),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은, 각각, 구리(Cu)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턴층(110),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은, 금속분말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전도성 패턴층(110),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은, 각각, 방사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방사체 패턴은, 원형, 사각형, 패치(patch)형, 스파이럴(spiral) 및 헬리컬(herical)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로서 사용하기 위한 방사 패턴의 형태는 어느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페라이트 시트(120) 상에 실크 스크린 공정, 잉크젯 공정 및 프린팅 공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다수의 턴으로 와선형 형상을 이루는 방사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자성시트와 안테나 코일을 따로 제작하여 결합하면서 생기는 두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턴층(110) 및 제2 전도성 패턴층(130) 전체 방사체 패턴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의 상기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상기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즉, 제1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패턴보다 제2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에 따르면, 인덕턴스 향상 및 신호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시트(120)는, 페라이트 시트(120) 상에 직접 제1 전도성 패턴층(110),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을 형성함으로써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인지거리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패턴층(110)의 두께는 2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18 ㎛인 것일 수 있다.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의 두께는 1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50 ㎛인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은 제1 전도성 패턴층(110)보다 1.5배 내지 6배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제2 전도성 패턴층(130)은 제1 전도성 패턴층(110)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제2 전도성 패턴층의 저항을 감소시켜 안테나의 신호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과 상기 페라이트 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층; 상기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 또는 이 둘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100)에 제1 절연층(112), 제2 절연층(122)을 더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절연층(112), 제2 절연층(122)은 각각 제1 전도성 패턴층(110)과 상기 페라이트 시트(120) 사이, 페라이트 시트(120)와 제2 전도성 패턴층(130) 사이에 전기절연 특성 및 미소 누설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절연층(112) 및 제2 절연층(122)은, 각각, 에폭시, 멜라민, 패럴린(Parylene), 물유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I(Polyamide) 및 우레탄(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전기절연 특성을 가지는 물질인 경우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절연층(112) 및 제2 절연층(122)은,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및 스핀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및 플라즈마와 같은 증착 방법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절연층(112) 및 제2 절연층(122)의 두께는, 각각, 3 ㎛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20 ㎛인 것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12) 및 제2 절연층(122)의 두께가 3 ㎛ 보다 얇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할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복수의 각 층을 온간 프레스, 온간 롤링, 냉간 정수압 및 온간 정수압 등의 방법으로 압착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과 제1 전도성 패턴층을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아홀은 단자부 외부 영역, 다시 말하면 페라이트 시트 중 비단자부 영역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단자부 영역, 다시 말하면, 단자부의 상부에 해당하는 페라이트 시트에는 비아홀이 형성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페라이트 적층 시트의 단자부 영역 및 비단자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상기 제2전도성 패턴층(130)에서 제1 전도성 패턴층(110)으로 연결되는 비아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홀은 페라이트 시트를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비아홀(140)은 제1 전도성 패턴(110), 제2 전도성 패턴(130)의 방사체 패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때 패턴이 교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제1 전도성 패턴(110), 제2 전도성 패턴(130) 또는 이 둘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도성 패턴(110), 제2 전도성 패턴(130) 또는 이 둘 모두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단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단자부(15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전도성 패턴(110), 제2 전도성 패턴(130)의 양 단부 측 일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홀(140)은 단자부 외부 영역, 즉, 비단자부 영역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 적층 시트의 비단자부 영역은 페라이트 시트(120) 중 a 부분으로서, 단자부(150)와 대응하지 않는 부분이다. 단자부 영역은 페라이트 시트(120) 중 b 부분으로서, 단자부(150)와 대응하는 부분이다. 단자부(150)는, 비아홀(140)의 내면을 도금하여 제1 전도성 패턴(110), 제2 전도성 패턴(130) 또는 이 둘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비아홀(140)은 단자부(150)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비단자부 영역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송수신부로 입력되는 비아홀(140)의 위치는 단자부(150)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00 ㎛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비단자부 영역에만 위치하거나 상기 단자부 영역은 저투자율을 가지는 일반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단자부 영역, 다시 말하면, 단자부의 상부에는 페라이트 시트가 아예 없거나, 해당 부분에는 비단자부 영역 상의 페라이트 시트와 성분이 상이한 투자율이 낮은 일반 유전체 물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 100 이상이고, 상기 일반 유전체 물질의 투자율은 10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4에서의 비단자부 영역인 b에만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50) 영역에는 페라이트 시트가 없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도입한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단자부(150)로부터 미소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고, 안테나 특성의 변화가 매우 적어 안정한 통신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단자부 대응 영역은 일반 유전체 물질(124)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 유전체 물질(124)은 페라이트 시트(120)와 달리 고투자율이 아닌 100 미만의 투자율을 가지는 일반 유전체 물질로서, 페라이트 시트보다 투자율이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요구되는 전송 전력 효율 및 전자기 에너지 송수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페라이트 적층 시트는,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이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TV, 노트북, 태블릿 PC, 교통카드, 신용카드, 출입카드 등의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에너지 집속 성능이 우수하여 전기자동차, 지하철, 전철 등의 대형 응용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페라이트 적층 시트
110: 제1 전도성 패턴층
112: 제1 절연층
120: 페라이트 시트
122: 제2 절연층
124: 일반 유전체 물질
130: 제2 전도성 패턴층
140: 비아홀
150: 단자부

Claims (13)

  1.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에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 및
    상기 페라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성 패턴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보다 1.5배 내지 6배 두꺼운 것이거나,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비단자부 영역에만 위치하거나 상기 단자부 영역은 저투자율을 가지는 일반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각각, 방사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전체 방사체 패턴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20% 이하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방사체 패턴의 길이는 80% 이상인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과 상기 페라이트 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층; 상기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 또는 이 둘 모두를 더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각각, 에폭시, 멜라민, 패럴린(Parylene), 물유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I(Polyamide)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의 두께는, 각각, 3 ㎛ 내지 25 ㎛인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의 두께는 2 ㎛ 내지 50 ㎛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의 두께는 10 ㎛ 내지 200 ㎛인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과 제1 전도성 패턴층을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아홀은 단자부 외부 영역에 형성된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은 상기 단자부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00 ㎛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인, 페라이트 적층시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은 100 이상이고, 상기 일반 유전체 물질의 투자율은 100 미만인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층,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층은, 각각, 구리(Cu)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Fe, Al, Si, Ba, Mn-Zn, Ni-Zn, Fe-Mn, Ni-Zn-Cu, Mn-Mg-Cu, Mg-Zn-Cu, Al2O3(알루미나), 우레탄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페라이트 적층 시트.
KR1020160031834A 2016-03-17 2016-03-17 페라이트 적층 시트 KR10165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34A KR101657032B1 (ko) 2016-03-17 2016-03-17 페라이트 적층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34A KR101657032B1 (ko) 2016-03-17 2016-03-17 페라이트 적층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032B1 true KR101657032B1 (ko) 2016-09-12

Family

ID=5695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834A KR101657032B1 (ko) 2016-03-17 2016-03-17 페라이트 적층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26B1 (ko) 2017-01-18 2017-05-30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비아홀 에칭기술을 이용한 무선 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797576B1 (ko) * 2017-02-12 2017-12-12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시트타입 전도성 폴리머의 홀가공 기술을 이용한 무선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무선안테나용 회로기판, 무선안테나모듈 및 전기전자기기
KR101823999B1 (ko) * 2017-01-31 2018-01-31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비아홀 충진기술을 이용한 무선 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선 안테나 모듈, 이것이 장착된 전기전자기기
KR102005548B1 (ko) * 2018-04-27 2019-07-30 정윤화 모바일 통신 장치용 안테나 모듈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466A (ko) * 2007-03-07 2008-09-11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페라이트 성형 시트, 소결 페라이트 기판 및 안테나 모듈
KR20100111409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아모텍 자성시트, 자성시트와 일체화된 방사체 패턴을 구비한 무선 식별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268B1 (ko) * 2013-01-03 2013-07-10 에이큐 주식회사 Nfc 소형화 안테나
KR20140143964A (ko) * 2013-06-10 2014-12-18 한국세라믹기술원 근접장 통신용 페라이트 자성 복합시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466A (ko) * 2007-03-07 2008-09-11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페라이트 성형 시트, 소결 페라이트 기판 및 안테나 모듈
KR20100111409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아모텍 자성시트, 자성시트와 일체화된 방사체 패턴을 구비한 무선 식별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268B1 (ko) * 2013-01-03 2013-07-10 에이큐 주식회사 Nfc 소형화 안테나
KR20140143964A (ko) * 2013-06-10 2014-12-18 한국세라믹기술원 근접장 통신용 페라이트 자성 복합시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26B1 (ko) 2017-01-18 2017-05-30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비아홀 에칭기술을 이용한 무선 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823999B1 (ko) * 2017-01-31 2018-01-31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비아홀 충진기술을 이용한 무선 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선 안테나 모듈, 이것이 장착된 전기전자기기
KR101797576B1 (ko) * 2017-02-12 2017-12-12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시트타입 전도성 폴리머의 홀가공 기술을 이용한 무선안테나용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무선안테나용 회로기판, 무선안테나모듈 및 전기전자기기
KR102005548B1 (ko) * 2018-04-27 2019-07-30 정윤화 모바일 통신 장치용 안테나 모듈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834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9767450B2 (en) Antenna module package, antenna module package circuit,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97684B1 (ko) 자성시트, 자성시트와 일체화된 방사체 패턴을 구비한 무선 식별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883B1 (ko) 하이브리드형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US10658870B2 (en)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US11784502B2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657032B1 (ko) 페라이트 적층 시트
US20150116178A1 (en) Combin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charging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combined rfid and wireless charging wireless antenna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7371387A (zh) 无线充电用散热单元及包括其的无线电力充电模块
KR101878162B1 (ko)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US8933859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160100786A (ko)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CN102243721A (zh) 非接触通信介质、天线图案配置介质、通信设备及方法
CN207517888U (zh) 天线装置、卡型信息介质以及通信终端装置
US112280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for both heat dissipation and radiation
JP2011066759A (ja)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KR101358283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루프 안테나
CN106910986B (zh) 一种多谐振超宽带nfc天线系统
JP2019008596A (ja) 配線基板およびrfidタグ
CN205282648U (zh) 用于近场无线通信的微型天线
JP2013211638A (ja) 近距離無線通信用アンテナ
CN202076400U (zh) 一种近场通讯天线
KR102339683B1 (ko)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TWM519819U (zh) 用於近場無線通訊的微型天線
JP2011066760A (ja)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